KR20020078977A -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977A
KR20020078977A KR1020010019491A KR20010019491A KR20020078977A KR 20020078977 A KR20020078977 A KR 20020078977A KR 1020010019491 A KR1020010019491 A KR 1020010019491A KR 20010019491 A KR20010019491 A KR 20010019491A KR 20020078977 A KR20020078977 A KR 20020078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emission
emission display
electrode
metal mask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66958B1 (en
Inventor
정규원
차재철
한호수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958B1/en
Publication of KR2002007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9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9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PURPOSE: A field emission display is provided to obtain a high quality image by easily and effectively suppressing luminance of other pixels than the target pixel, while improving uniformity of luminance. CONSTITUTION: A field emission display comprises a back plate(18) and a face plate(20) arranged to be opposed with each other; a gate electrode(24) arranged at the back plate; a cathode electrode(28)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with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an emitter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and which is made of a field emission material; a metal mask(16)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 passing apertures(32) corresponding to a pixel region, and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plate; a ceramic glass serving as a member for attaching the metal mask to the plate, while permitting a tension force to apply to the metal mask; and an anode electrode(38) arranged to the face plate, and a phosphor screen(36) formed at the anode electrode.

Description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언더 게이트(under gate)를 갖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의 빔 퍼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having an under gate,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suppress a beam spreading phenomenon of electrons emitted from an emitter, thereby realizing a good imag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는 양자역학적인 터널링 효과를 이용하여 캐소드 전극의 에미터에서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를 애노드 전극의 형광체에 충돌시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소자로서, 이러한 표시장치는 그의 구동 방식에 따라 2극관 및 3극관 구조로 구분된다.In general,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emits electrons from an emitter of a cathode electrode by using a quantum mechanical tunneling effect, and impinges the emitted electrons on a phosphor of an anode electrode to realize a predetermined image. As a display element, such a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a dipole and a triode structure according to its driving method.

상기 2극관 구조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캐소드 및 애노드 전극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각각 인가하여 이 전극들에 인가된 전압 차이에 따라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에미터에서 전자를 방출시키는 구조이고, 3극관 구조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이 전극들에 인가된 전압 차이에 따라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에미터에서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를 애노드 전극쪽으로 가속시키는 구조이다.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the bipolar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emitter by applying a predetermined driving voltage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respectively, and forming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applied to the electrodes. 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the device emits electrons from the emitter by applying a predetermined driving voltage to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to form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applied to the electrodes, and accelerates the emitted electrons toward the anode electrode. Structure.

한편, 근래에는 게이트 전극을 캐소드 전극의 하부에 형성한 3극관 구조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표시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에 스트라이프상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며, 그 위에 게이트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트라이프상의 캐소드 전극을 형성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a triode structure in which a gate electrode is formed below the cathode electrode has been proposed. Such a display device forms a stripe-shaped gate electrode on a back plate as mentioned above, and an insulating layer thereon. And a stripe-shaped cathode electrode is formed there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ate electrodes.

이에 따라,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양 전극간의 전압 차이에 의해 강한 전계가 형성되어 전계 방출에 의해 에미터에서 전자가 방출되며, 방출된 전자들은 애노드 전압에 의한 추가의 전기장에 의해 형광체쪽으로 이동하여 형광체에 충돌되므로써 소정의 화상이 구현된다.Accordingly,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a strong electric field is formed b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emitter by the field emission, and the emitted electrons are further added by the anode voltage. The predetermined image is realized by moving toward the phosphor by the electric field and impinging on the phosphor.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가 빔 퍼짐 현상에 의해 타겟(target) 화소 이외의 다른 화소에도 충돌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good image because electrons emitted from the emitter collide with other pixels other than the target pixel due to the beam spreading phenomen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의 빔 퍼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a beam spreading phenomenon of electrons emitted from an emitter to implement a good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x축을 기준으로 절개한 결합 상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taken along the x axis of FIG. 1. FIG.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사용된 카본 캐소드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백 플레이트의 사시도와 단면도.3 and 4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back plate for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bon cathode layer used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사용된 포커스 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메탈 마스크의 사시도.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metal mask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cus electrode used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서로 마주보는 백 플레이트 및 페이스 플레이트와;A back plate and a face plate facing each other;

상기 백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게이트 전극과;A gate electrode provided on the back plate;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과;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with an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캐소드 전극 위에 형성되며 전계 방출 물질로 이루어지는 에미터와;An emitter formed over the cathode and made of a field emission material;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 통과용 어퍼쳐를 구비하며 백 플레이트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메탈 마스크와;A metal mask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 passing apertures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ack plate;

상기 메탈 마스크를 인장 상태로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Fixing means for fixing the metal mask to the plate in a tensioned state;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애노드 전극 및 이 전극의 표면에 제공되는 형광막;An anode electrode provided on the face plate and a fluorescent film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electrode;

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a field emission display comprising a.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상태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도 1의 x축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in a coupled state, based on the x-axis of FIG. 1.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스페이서(12,14)에 의해 메탈 마스크(16)를 백 플레이트(18)와 페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들 두 개의 플레이트(18,20)를 시일재(22)를 통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일체로 밀봉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field emission display positions the metal mask 16 between the back plate 18 and the face plate 20 by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pacers 12 and 14, and the two plates. 18 and 20 ar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ior is made vacuum through the sealing material 22 and sealed integrally.

상기 백 플레이트(18)는 그 표면에 x축 방향으로 다수의 게이트 전극(24)을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24) 위로 백 플레이트(18) 전면에 걸쳐 절연층(26)을 형성하며, 절연층(26) 위에 y축 방향으로 다수의 캐소드 전극(28)을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 때, 캐소드 전극(28)과 게이트 전극(24)의 교차 부분이 화소 영역에 대응한다.The back plate 18 forms a plurality of gate electrodes 24 in a stripe pattern on its surface in the x-axis direction, and forms an insulating layer 26 over the entire back plate 18 over the gate electrodes 24. On the insulating layer 26, a plurality of cathode electrodes 28 are formed in a stripe pattern in the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intersec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28 and the gate electrode 24 corresponds to the pixel region.

그리고 캐소드 전극(28) 위에 안정된 전자 방출 구현을 위한 면전자원으로서 카본 캐소드층(30)을 형성한다. 상기 카본 캐소드층(30)은 저전압 전계 방출 물질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 나노튜브(CNT), C60(훌러렌),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DLC), 그라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 물질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카본 나노튜브는 전자 방출원으로 최근에 연구되기 시작한 신소재로서, 도체와 같은 전기적 특성과 안정된 기계적 특성을 함께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a carbon cathode layer 30 is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28 as a surface electron source for stable electron emission. The carbon cathode layer 30 is made of a low voltage field emission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is made of carbon nanotubes (CNT), C60 (fullerene), diamond, diamond-like carbon (DLC), graphite, or a combination thereof. . Among these, carbon nanotubes are a new material that has recently been studied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and are known to have both electrical and stable mechanical properties as conductors.

이러한 카본 캐소드층(30)은 캐소드 전극(28) 위에 형성되며, 이 캐소드 전극(28)과 동일한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28) 위 화소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rbon cathode layer 30 is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28 and has the same stripe pattern as the cathode electrode 28 or is selectively formed in the pixel region on the cathode electrode 28 as shown in FIG. 3. Can be.

또한 상기 카본 캐소드층(30)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28)의 한쪽 단부에 걸쳐진 형태로 제작되어 캐소드 전극(28)의 두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캐소드 전극(28)과 게이트 전극(24)에 일정한 전압 차가 걸렸을 때, 카본 캐소드층(30)의 날카로운 단부에서 더 큰 전계가 걸리므로, 실질적으로 전자 방출은 상기 단부에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4, the carbon cathode layer 30 may be formed to cover one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8 to surround two surfaces of the cathode electrode 28. In this structure, when a constant voltage difference is appli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8 and the gate electrode 24, a larger electric field is applied at the sharp end of the carbon cathode layer 30, so that electron emission is substantially at that end.

모든 경우, 상기 카본 캐소드층(30)은 스크린 프린팅, 화학기상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ll cases, the carbon cathode layer 30 can be easily formed by screen print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sputtering, or the like.

이와 같이 저전압 전계 방출 물질로 구성되는 카본 캐소드층(30)은 저전압 구동 조건에서 전자를 안정적으로 방출하며, 공지의 박막 또는 후막 공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작에 유리한 전자원이라 할 수 있다.As such, the carbon cathode layer 30 made of the low voltage field emission material stably emits electrons under low voltage driving conditions, and can be easily formed by a known thin film or thick film process, and thus is an advantageous electron source for manufacturing a large area display. can do.

그리고 상기 메탈 마스크(16)는 전자 통과를 위해 화소 영역에 제공된 다수의 어퍼쳐(32)를 구비하는 마스크 본체(16a)와, 마스크 본체(16a)로부터 페이스 플레이트(20)쪽으로 굴곡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16b)와, 각 리브(16b)를 연결하는 타이바(16c)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메탈 마스크(16)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12,14)에 의해 백 플레이트(18) 위쪽에서 지지된다.The metal mask 16 includes a mask body 16a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32 provided in the pixel region for electron passing, and a plurality of bends formed from the mask body 16a toward the face plate 20. The rib 16b and tie bars 16c connecting the ribs 16b are formed, and the metal mask 16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12 and 14 to form the back plate 18. Supported from above.

여기에서, 상기 리브(16b)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스크 본체(16a)의 4측면에 모두 제공할 수도 있으며, 메탈 마스크(16)는 타이바(16c)의 일면으로 도포되는 결정화 글라스(34)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Although not shown, the ribs 16b may be provided on all four sides of the mask body 16a, and the metal mask 16 is formed by the crystallized glass 34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tie bar 16c. It is fixed to the face plate 20.

이때, 상기 결정화 글라스(34)는 소성 작업시 메탈 마스크(16)와의 열전도도 차이에 의해 메탈 마스크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메탈 마스크(16)가 상기 백 플레이트(18)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case, the crystallized glass 34 prevents the metal mask 16 from sagging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plate 18 by causing a tensile force to act on the metal mask due to a difference in thermal conductivity with the metal mask 16 during the firing operation. .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20)는 메탈 마스크(16)와 마주하는 밑면에형광막(36)과 애노드 전극(38)을 구비하는데, 상기 애노드 전극(38)은 애노드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카본 캐소드층(3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형광막(36)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ace plate 20 includes a fluorescent film 36 and an anode electrode 38 on a bottom surface facing the metal mask 16. The anode electrode 38 receives an anode voltage and receives the carbon cathode layer ( Electrons emitted from the substrate 30 are attracted to the fluorescent film 36.

이에 따라, 캐소드 전극(28)과 게이트 전극(24)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이들 전극에 인가된 임계 전압 이상의 전압 차에 의한 전계 형성으로 카본 캐소드층(30)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며, 방출된 전자는 애노드 전극(38)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형광막(36)쪽으로 가속된다.Accordingly, when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28 and the gate electrode 24,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carbon cathode layer 30 due to electric field formation due to a voltage differen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oltage applied to these electrodes. Is accelerated toward the fluorescent film 36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38.

이때, 메탈 마스크(16)에는 각 화소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어퍼쳐(32)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카본 캐소드층(30)에서 방출된 전자가 도 2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광막(36)에 있어 타겟(target) 화소 이외의 다른 화소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aperture 32 is provided only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f the metal mask 16,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rbon cathode layer 30 are represented by the arrow of FIG. 2. ), It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a pixel other than the target pixel.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메탈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메탈 마스크(16)의 일면에 상기 어퍼쳐(32)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들(40a)을 갖는 포커스 전극(40)을 형성한 것이다.5 and 6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a metal mask applied to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plurality of holes 40a corresponding to the aperture 32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etal mask 16. The focus electrode 40 having the above is formed.

상기 포커스 전극(40)은 카본 캐소드층(30)에서 방출된 전자를 어퍼쳐(32) 중심으로 집중시켜 전자의 퍼짐을 방지하면서 전자의 흐름을 균일화시키는데, 이러한 전자의 포커스 기능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어퍼쳐 어레이를 감싸는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한 모든 포커스 전극(40)에 동일한 포커스 시그널을 공급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면전극으로 형성한 포커스 전극(40)에 포커스 시그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cus electrode 40 concentrates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rbon cathode layer 30 to the center of the aperture 32 to uniformize the flow of electrons while preventing electrons from spreading. The focus function of the electrons is illustrated in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same focus signal is supplied to all the focus electrodes 40 formed in the stripe pattern surrounding the aperture array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focus electrodes 40 formed of one surface electrode as shown in FIG. 6. This can be done by supplying a focus signal to the.

이와 같이 포커스 전극(40)을 통해 집중된 전자는 어퍼쳐(32)를 통과하면서 애노드 전극(38)에 공급된 전압에 의해 상기 형광막(36)의 타겟(target) 화소로 집중된다.The electrons concentrated through the focus electrode 40 are concentrated to the target pixel of the fluorescent film 36 by the voltage su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38 while passing through the aperture 32.

따라서, 빔 퍼짐에 의해 상기 형광막(36)의 인접 화소가 발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adjacent pixels of the fluorescent film 36 from emitting light by beam spread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어퍼쳐를 구비하는 메탈 마스크를 설치함으로써 타겟 화소 이외의 다른 화소가 발광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메탈 마스크에 포커스 전극을 형성하면 상기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ppress the emission of pixels other than the target pixel by providing the metal mask including the aperture. Since it can achieve, a favorable image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면전자원은 전자 방출 특성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아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휘도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방출을 위해 절연층을 사이로 캐소드 전극 밑에 게이트 전극을 제공함으로써 낮은 구동 전압에서도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electron source used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in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has high reliability, facilitates the manufacture of a large area display, and improves the luminance uniformity. In addition, by providing a gate electrode under the cathode electrode between the insulating layers for electron emiss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electron emission even at a low driving voltage.

Claims (15)

서로 마주보는 백 플레이트 및 페이스 플레이트와;A back plate and a face plate facing each other; 상기 백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게이트 전극과;A gate electrode provided on the back plate;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과;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with an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캐소드 전극 위에 형성되며 전계 방출 물질로 이루어지는 에미터와;An emitter formed over the cathode and made of a field emission material;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 통과용 어퍼쳐를 구비하며 백 플레이트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메탈 마스크와;A metal mask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 passing apertures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ack plate; 상기 메탈 마스크를 인장 상태로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Fixing means for fixing the metal mask to the plate in a tensioned state;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애노드 전극 및 이 전극에 제공되는 형광막;An anode electrode provided on the face plate and a fluorescent film provided on the electrode; 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마스크는 상기 전자 통과용 어퍼쳐를 구비하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로부터 페이스 플레이트쪽으로 굴곡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metal mask comprises a mask body including the electron passing aperture, and a plurality of ribs bent from the mask body toward the face pl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마스크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2, wherein the rib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mask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마스크 본체의 4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2, wherein the ribs are provided on four sides of the mask body, respective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단부에는 각 리브를 연결하는 타이바가 구비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2, wherein a tie bar connecting each rib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rib. 제 2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소성 작업시 메탈 마스크와의 열전도도 차이에 의해 상기 마스크를 인장시키는 결정화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fixing means is made of crystallized glass that tensions the mask due to a difference in thermal conductivity with a metal mask during a firing oper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어퍼쳐를 통과하는 전자를 해당 화소로 집속하는 포커스 전극이 제공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6, wherein the mask body is provided with a focus electrode for focusing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aperture to the pixe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이 게이트 전극과 평행한 일방향의 어퍼쳐 어레이를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7, wherein the focus electrode is formed in a stripe pattern along an aperture array in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gate electr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이 하나의 면전극으로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8. 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7, wherein the focus electrode is formed of one surface electr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다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7, wherein the gat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are provided in plural and have a stripe patter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가 카본 캐소드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8. 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7, wherein the emitter comprises a carbon cathode lay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캐소드층이 카본 나노튜브(CNT), C60(훌러렌),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DLC), 그라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11, wherein the carbon cathode layer is formed of carbon nanotubes (CNT), C60 (fullerene), diamond, diamond-like carbon (DLC), graphit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캐소드층이 캐소드 전극 위 화소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12. 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11, wherein the carbon cathode layer is selectively formed in a pixel region on the cathode electrod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캐소드층이 캐소드 전극의 적어도 두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The field emission display of claim 11, wherein the carbon cathod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cathode electr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비화소 영역에는 다수의 제1 및 제2 스페이서가 각각 형성되어 백 플레이트와 메탈 마스크 사이 및 메탈 마스크와 페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The flat panel display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pacer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non-pixel regions of the back plate and the face plate to support the back plate and the metal mask and between the metal mask and the face plate.
KR1020010019491A 2001-04-12 2001-04-12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100766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491A KR100766958B1 (en) 2001-04-12 2001-04-12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491A KR100766958B1 (en) 2001-04-12 2001-04-12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977A true KR20020078977A (en) 2002-10-19
KR100766958B1 KR100766958B1 (en) 2007-10-15

Family

ID=2770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491A KR100766958B1 (en) 2001-04-12 2001-04-12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95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841A (en) * 2003-11-26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with grid electrode
US7362045B2 (en) 2003-02-14 2008-04-22 Samsung Sdi Co., Ltd.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US7365483B2 (en) 2003-03-27 2008-04-29 Samsung Sdi Co., Ltd.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with multi-layered structure
US7432645B2 (en) 2004-03-31 2008-10-07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the same
KR100869789B1 (en) * 2002-12-12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US7459843B2 (en) 2005-02-28 2008-12-02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multilayered insulating layers
KR100986895B1 (en) * 2004-03-31 2010-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n emission display having structure used to fix grid to cathode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229A (en) * 1996-04-01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eld emission electron source
JPH09274845A (en) * 1996-04-03 1997-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n emission element and focusing electrode for electron emission element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0048743A (en) * 1998-05-26 2000-02-18 Futaba Corp Plane image pick-up device, and its manufacture
JP2000090861A (en) * 1998-07-14 2000-03-31 Sony Corp Cathode panel for cold cathode field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and cold cathode field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FR2792771B1 (en) * 1999-04-22 2001-07-27 Cit Alcatel PULSE ELECTRON GENERATOR
KR100312694B1 (en) * 1999-07-16 2001-11-03 김순택 Fed having a carbon nanotube film as emitter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789B1 (en) * 2002-12-12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US7362045B2 (en) 2003-02-14 2008-04-22 Samsung Sdi Co., Ltd.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US7365483B2 (en) 2003-03-27 2008-04-29 Samsung Sdi Co., Ltd.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with multi-layered structure
KR20050050841A (en) * 2003-11-26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with grid electrode
US7432645B2 (en) 2004-03-31 2008-10-07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the same
KR100986895B1 (en) * 2004-03-31 2010-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n emission display having structure used to fix grid to cathode substrate
US7459843B2 (en) 2005-02-28 2008-12-02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multilayered insulating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958B1 (en) 2007-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15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KR20010010234A (en) Fed having a carbon nanotube film as emitters
JP2008130574A (en) Surface conduction electron emitting element and electron source using it
US7714493B2 (en) Field emission device and field emission display employing the same
KR100766958B1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70010660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fla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50236961A1 (en) Triode type field emission display with high resolution
US7362045B2 (en)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JP2006190665A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US7348720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658738B1 (en) Large-size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flat emission source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device
JP2007128866A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KR100363219B1 (en) A field emission display
US20070138939A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JP2006286618A (en) Electron emission element
KR100330154B1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50114000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KR101072998B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US7750547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reduced deterioration of screen image quality
KR20020037171A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70014680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JP2007227348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electron emission device
KR20060095717A (en) Field emission device
US20070046174A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JP200422782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