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858A - 질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질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858A
KR20020077858A KR1020020054488A KR20020054488A KR20020077858A KR 20020077858 A KR20020077858 A KR 20020077858A KR 1020020054488 A KR1020020054488 A KR 1020020054488A KR 20020054488 A KR20020054488 A KR 20020054488A KR 20020077858 A KR20020077858 A KR 20020077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ap water
storage means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선
Original Assignee
박만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선 filed Critical 박만선
Priority to KR102002005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7858A/ko
Publication of KR2002007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8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08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2Enemata; Irrigators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질(膣; vagina)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질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서 수도물을 이용하되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1차 여과, 가열, 냉각, 보온 및 2차 여과 등의 과정을 통해 사용하기 좋은 최적 온도의 중성화된 물(세척수)로 변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수도물을 직접 사용하면서도 질염 발생의 방지 및 질염 예방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질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여성 신체의 질을 세척하기 위한 질 세척장치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중성의 세척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도물 성질 변환수단과; 상기 수도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과; 상기 중성의 세척수를 질 세척을 위한 최적 온도로 유지보관하기 위한 세척수 유지보관 수단; 및 상기 최적의 온도로 유지보관된 중성의 세척수를 여성 신체의 질에 배출시켜 상기 질이 세척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질 세척장치{Apparatus for washing vagina}
본 발명은 여성의 질(膣; vagina)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질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서 수도물을 이용하되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1차 여과, 가열, 냉각, 보온 및 2차 여과 등의 과정을 통해 사용하기 좋은 온도의 중성화된 물(세척수)로 변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수도물을 직접 사용하면서도 질염 발생의 방지 및 질염 예방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질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신체의 질(膣, vagina)은 세균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여성의 질은 평상시에 약산성 상태를 유지하다가 생리시에는 알카리도가 높아지고 질의 점막이 얇아져서 세균의 감염이 용이해 지므로 청결상태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따뜻한 물 또는 소정의 의약품을 탄 물로서 뒷물을 하여 왔으나 이와같은 뒷물 방법은 모든 동작을 손을 이용하여 하므로 오히려 뒷물시 세균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의 질 세척기는 사용자가 수도물 등에 세척용 의약품을 희석시켜 질 세척기에 주입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사용후 재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제 사용시 질 세척기를 소독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질 세척기는 세척용기와 몸체로 나뉘어진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도물 등을 직접 사용하여 질을 세척하거나 수도물 등에 질 세척 의약품을 희석하여 질을 세척하고 있는데, 이렇게 하는 경우 질염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여성의 질 내부는 강산성에서 약산성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질 세척액으로 사용되는 수도물 등은 알칼리성이기 때문이다.
현재, 질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 중성의 세척수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질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서 수도물을 이용하되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1차 여과, 가열, 냉각, 보온 및 2차 여과 등의 과정을 통해 사용하기 좋은 온도의 중성화된 세척수로 변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수도물을 직접 사용하면서도 질염 발생의 방지 및 질염 예방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질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의 제어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차 필터14...제1 제어밸브
16...1차 저장탱크18...제1 온도센서
20...제1 유량센서22...1차 히터
24...제2 제어밸브26...2차 저장탱크
28...제2 유량센서32...제2 온도센서
34...냉각팬 모터36...2차 히터
38...제3 제어밸브42...2차 필터
44...배출밸브46...유연성 배출관
48...사용손잡이52...배출노즐
54...작동 스위치100...제어부
200...세척수 배출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여성 신체의 질을 세척하기 위한 질 세척장치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중성의 세척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도물 성질 변환수단과; 상기 수도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과; 상기 중성의 세척수를 질 세척을 위한 최적 온도로 유지보관하기 위한 세척수 유지보관 수단; 및 상기 최적의 온도로 유지보관된 중성의 세척수를 여성 신체의 질에 배출시켜 상기 질이 세척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도물 성질 변환수단은,
상수도관을 경유한 수도물을 저장하기 위한 1차 저장수단과, 이 1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수도물을 가열하여 소정 온도이상의 중성 세척수로 하기 위한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수도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수 유지보관 수단은,
상기 1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중성 세척수를 넘겨받아 저장하기 위한 2차 저장수단과, 이 2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 및/또는 냉각시켜 섭씨 28도 내지 32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수단, 및 상기 2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상수도관과 상기 1차 저장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수관을 경유한 수도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 필터수단과, 상기 2차 저장수단과 상기 세척수 배출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2차 저장수단을 경유한 세척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재차 제거하기 위한 2차 필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질 세척장치는 상기 상수도관과 상기 1차 필터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상기 1차 필터수단과 상기 1차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제어밸브와, 상기 1차 저장수단과 상기 2차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제어밸브와, 상기 1차 저장수단과 상기 2차 필터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2차 필터수단과 상기 세척수 배출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배출밸브와 유연성 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질 세척장치는 상기 1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수도물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유량센서와, 상기 2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유량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배출수단은 세척수 배출노즐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 및 사용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온도센서와 유량센서 및 상기 작동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가열수단과 보온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제어밸브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알칼리성 성질의 수도물을 중성 세척수로 성질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1차 필터(12)를 통해 공급된 수도물을 저장하는 1차 저장탱크(16)와, 1차 저장탱크(16)에 저장된 수도물을 소정 온도이상(예; 섭씨 100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중성 세척수로 변환시키는 1차 히터(22)와, 1차 히터(22)에 의해 가열되는 수도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18), 및 1차 저장탱크(16)에 공급되는 수도물의 양을 감지하는 제1 유량센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1차 저장탱크(16)에서 중성으로 변환된 세척수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1차 저장탱크(16)에 저장된 중성 세척수를 넘겨받아 저장하기 위한 2차 저장탱크(26)와, 2차 저장탱크(26)에 저장된 세척수를 섭씨 28~32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세척수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2차 히터(36) 및 냉각팬 모터(34), 그리고 2차 저장탱크(26)에 저장된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32), 및 2차 저장탱크(26)에 공급 저장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제2 유량센서(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상기 수도물 또는 세척수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으로서, 상수도관 수도꼭지(2)와 1차 저장탱크(16) 사이에 개재되어 상수도관 수도꼭지(2)를 경유한 수도물을 여과하는 1차 필터(12)와, 2차 저장탱크(26)와 세척수 배출장치(200) 사이에 개재되어 2차 저장탱크(26)를 경유한 세척수를 재차 여과하는 2차 필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상수도관 수도꼭지(2)와 1차 필터(1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4)과, 1차 필터(12)와 1차 저장탱크(16)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제어밸브(14)와, 1차 저장탱크(16)와 2차 저장탱크(26)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제어밸브(24)와, 1차 저장탱크(16)와 2차 필터(42)를 연결하기 위한 제3 제어밸브(38), 및 2차 필터(42)와 세척수 배출장치(200)를 연결하기 위한배출밸브(44)와 유연성 배출관(46)을 포함한다. 세척수 배출장치(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손잡이(48)와 작동 스위치(54) 및 배출노즐(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각각의 온도센서(18)(32)와 유량센서(20)(28) 및 작동 스위치(54)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히터(22)(36)와 냉각팬 모터(34) 및 제어밸브(14)(24)(38)를 각각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상수도관, 즉 수도꼭지(2)를 통해 수도물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2)는 연결관(4)를 통해 1차 필터(12)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도물은 통상적으로 약칼리성 성질을 가진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연결관(4)을 통해 상수도관 수도꼭지(2)에 연결된 1차 필터(12)는 수도물에 포함된 불순물 및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1차 필터(12)는 제1 제어밸브(14)를 통해 1차 저장탱크(16)와 연결되고, 제1 제어밸브(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에 의해 그 개폐(開閉) 동작이 제어된다. 제1 제어밸브(14)가 제어부(100)에 의해 열리면, 수도꼭지(2)를 통해 공급되는 수도물이 연결관(4)과 1차 필터(12) 및 제1 제어밸브(14)를 경유하여 1차 저장탱크(16)에 공급되어 저장되게 된다. 제어부(100)는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차 저장탱크(16)에 저장되는 수도물의 유량이 1차 저장탱크(16) 용량의 소정 용량, 예를 들면 1차 저장탱크(16) 용량의 80%까지 채워진 경우 제1 유량센서(20)는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유량센서(20)가 센서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여 1차 저장탱크(16)에 더 이상 수도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1 제어밸브(14)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해서 1차 저장탱크(16)에 수도물이 공급되면, 제어부(100)는 1차 히터(22)를 동작시켜 1차 저장탱크(16) 내의 수도물을 가열하고, 제1 온도센서(18)를 통해 가열되는 수도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가열되는 수도물의 온도가 소정온도, 예를 들면 알칼리성 성질의 수도물이 중성 성질의 세척수로 변환되는 온도인 섭씨 100도 이상에 도달하였으면, 제1 온도센서(18)는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00)는 1차 저장탱크(16) 내의 수도물이 더 이상 가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차 히터(2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해서 1차 저장탱크(16) 내의 수도물이 중성의 세척수로 변환되었으면, 제어부(100)는 제2 유량센서(28)를 통해 2차 저장탱크(26) 내의 세척수 양을 체크하여 2차 저장탱크(26) 내의 세척수 유량이 소정량, 예를 들면 상기 저장탱크 용량의 80% 이하이면, 제2 제어밸브(24)를 오픈 동작시켜 1차 탱크(16) 내의 세척수가 2차 저장탱크(26) 내로 유입되게 한다. 1차 저장탱크(16)의 중성 세척수가 2차 저장탱크(26)로 유입되어 2차 저장탱크(26) 내의 세척수 유량이 예를 들어 상기 저장탱크 용량의 80% 이상이 되면, 제2 유량센서(28)는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제어부(100)가 인식하여 1차 저장탱크(16)의 세척수가 더 이상 2차 저장탱크(26)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 제어밸브(24)를 폐쇄 동작시킨다.
상기에서 제1, 제2 유량센서(20)(28)가 1차, 2차 저장탱크(16) 내의 수도물 또는 세척수의 해당 유량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해당 저장탱크의 해당 높이에 설치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해서 2차 저장탱크(26)에 중성의 세척수가 저장되면, 제어부(100)는 제2 온도센서(32)를 통해 저장된 세척수의 온도가 여성의 질 세척을 위한 최적의 온도범위, 예를 들면 섭씨 28~32도에 있는가를 체크하여 상기 최적 온도범위 보다 높으면, 냉각팬 모터(34)를 동작시켜 2차 저장탱크(26) 내의 세척수 온도를 상기 최적 온도범위로 유지되게 냉각시키고, 상기 최적 온도범위 보다 낮으면 2차 히터(36)를 동작시켜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상기 최적 온도범위 내로 유지되게 가열한다.
상기와 같이 2차 저장탱크(26) 내의 세척수가 최적 온도범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질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 배출장치(200)의 작동 스위치(54)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00)는 이를 인식하여 제3 제어밸브(38)를 오픈시켜 세척수 배출장치(200)의 배출노즐(52)를 통해 2차 저장탱크(26)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가 배출되어 질을 세척하도록 한다. 세척수 배출장치(200)의 배출노즐(52)을 통해 배출되는 2차 저장탱크(26) 내의 세척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제어밸브(38), 2차 필터(42), 배출밸브(44), 유연성 배출관(46)을 경유하게 되는데, 세척수가 2차 필터(42)에서 한번 더 여과되어 오염물질 등의 불순물이 걸러짐으로써 사용자는 위생적으로 안전한 중성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세척수 배출장치(200)의 작동 스위치(54)의 작동 신호를 제어부(100)가 인식함으로써 제3 제어밸브(38)의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3 제어밸브(38)를 일반밸브로 교체하고 세척수 배출장치(200)의 작동 스위치(54) 자체를 밸브 작동수단(레버)로 교체함으로써 2차 저장탱크(26)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노즐(52)을 통해 배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 세척장치는 질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서 수도물을 이용하되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1차 여과, 가열, 냉각, 보온 및 2차 여과 등의 과정을 통해 사용하기 좋은 온도의 중성화된 세척수로 변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수도물을 직접 사용하면서도 질염 발생의 방지 및 질염 예방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6)

  1. 여성 신체의 질을 세척하기 위한 질 세척장치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중성의 세척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도물 성질 변환수단;
    상기 수도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
    상기 중성의 세척수를 질 세척을 위한 최적 온도로 유지보관하기 위한 세척수 유지보관 수단; 및
    상기 최적의 온도로 유지보관된 중성의 세척수를 여성 신체의 질에 배출시켜 상기 질이 세척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물 성질 변환수단은, 상수도관을 경유한 수도물을 저장하기 위한 1차 저장수단과, 상기 1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수도물을 중성의 세척수로 하기 위해 소정 온도이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수도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수 유지보관 수단은, 상기 1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중성 세척수를 넘겨받아 저장하기 위한 2차 저장수단과, 이 2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 및/또는 냉각시켜 섭씨 28도 내지 32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수단, 및 상기2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상수도관과 상기 1차 저장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수관을 경유한 수도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 필터수단과, 상기 2차 저장수단과 상기 세척수 배출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2차 저장수단을 경유한 세척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재차 제거하기 위한 2차 필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과 상기 1차 필터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상기 1차 필터수단과 상기 1차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제어밸브와, 상기 1차 저장수단과 상기 2차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제어밸브와, 상기 1차 저장수단과 상기 2차 필터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2차 필터수단과 상기 세척수 배출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배출밸브와 유연성 배출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수도물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유량센서와, 상기 2차 저장수단에 저장된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유량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배출수단은 세척수 배출노즐과, 상기 배출관을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 및 사용손잡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척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온도센서와 유량센서 및 상기 조작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가열수단과 보온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제어밸브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척장치.
KR1020020054488A 2002-09-10 2002-09-10 질 세척장치 KR20020077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488A KR20020077858A (ko) 2002-09-10 2002-09-10 질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488A KR20020077858A (ko) 2002-09-10 2002-09-10 질 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73U Division KR200296880Y1 (ko) 2002-09-10 2002-09-10 질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858A true KR20020077858A (ko) 2002-10-14

Family

ID=2772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488A KR20020077858A (ko) 2002-09-10 2002-09-10 질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78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55A (ko) 2016-09-29 2018-04-06 (주)에스제이글로벌 플라즈마 방전으로 생성된 살균수와 레이저 광에 따른 2차적 멸균이 가능한 질 세정 치료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223Y1 (ko) * 1986-09-04 1989-04-15 서신자 종광복귀용 고무줄의 고정장치
US4950231A (en) * 1988-10-14 1990-08-21 Liu Su Haw Vagina cleansing device
KR20000000352U (ko) * 1998-06-09 2000-01-15 조영구 분사압 조절이 가능한 질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223Y1 (ko) * 1986-09-04 1989-04-15 서신자 종광복귀용 고무줄의 고정장치
US4950231A (en) * 1988-10-14 1990-08-21 Liu Su Haw Vagina cleansing device
KR20000000352U (ko) * 1998-06-09 2000-01-15 조영구 분사압 조절이 가능한 질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55A (ko) 2016-09-29 2018-04-06 (주)에스제이글로벌 플라즈마 방전으로 생성된 살균수와 레이저 광에 따른 2차적 멸균이 가능한 질 세정 치료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3762A1 (en) Excrement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without taking it off
KR10162932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07860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2427360U (zh) 一种反渗透净饮机
KR101164722B1 (ko)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101507861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296880Y1 (ko) 질 세척장치
KR20020077858A (ko) 질 세척장치
CN101301176B (zh) 生物安全型洗手器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15102630U (zh) 一种消毒供应室冷却水回收装置
CN212168345U (zh) 具有汽电两用的清洗消毒器
CN210569274U (zh) 一种智能电热水器
KR20080006558U (ko) 냉·온 정수기
CN110754939A (zh) 一种节能直饮机
JP3820377B2 (ja) 冷熱浄水供給装置
CN202365609U (zh) 一种无净水箱净饮机
CN201276726Y (zh) 洗手器
CN211432341U (zh) 一种节能直饮机
JP4084146B2 (ja) 高温浄水供給装置
CN109665641A (zh) 一种净水饮水机
JP3599025B2 (ja) 給湯装置
CN217636163U (zh) 一种即热储水型管线机
CN213014503U (zh) 一种医用智能控温洗手柜
CN212369369U (zh) 一种一体式妇科外阴智控恒温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