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649A -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649A
KR20020076649A KR1020010016653A KR20010016653A KR20020076649A KR 20020076649 A KR20020076649 A KR 20020076649A KR 1020010016653 A KR1020010016653 A KR 1020010016653A KR 20010016653 A KR20010016653 A KR 20010016653A KR 20020076649 A KR20020076649 A KR 20020076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torage box
user
fingerprint informatio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주찬
Original Assignee
표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주찬 filed Critical 표주찬
Priority to KR102001001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649A/ko
Publication of KR2002007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은 내장된 광원으로부터 투사된 빛이 손가락 표면에 반사되고, 손가락 표면의 지문을 반영한 반사광을 촬상하는 지문정보 입력부; 촬상된 지문 정보를 신호처리 및 디지털 데이터 처리하는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문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해당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고, 해당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를 기록하는 공간인 지문정보 저장부;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물품보관함을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인증 지문 및 피인증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처리 명령에 따라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문데이터를 지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지문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물품보관함의 개폐신호를 송출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지문정보 입력부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주제어부; 및 주제어부로부터 개폐신호를 수신하여 내장하고 있는 물품보관함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고, 잠금장치의 작동여부를 파악하여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신호를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보관함 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공장소에 설치된 물품보관함의 사용에 있어서 열쇠, 비밀번호 등의 분실, 도용, 노출로 인한 물품 보관상의 위험을 제거하고, 물품보관이 필요한 각종 서비스 시설에 물품보관함을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troling article custody cabinet using dactylogram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물품보관함을 관리함에 있어 최초 사용시 사용자로부터 인증시 기준이 되는 인증 지문을 입력받고, 문을 개방할 때마다 피인증 지문을 입력받으며, 사용이 끝난 후에는 1회적으로 사용된 지문을 삭제시키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쇼핑몰, 지하철, 버스 터미널, 놀이공원, 은행 등의 공공장소에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일정액의 요금을 지불하고 1회적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한 물품보관함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 기간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가까운 설치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저렴한 가격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물품보관함을 애용하고 있다.
이러한 물품보관함은 개개의 보관함마다 동전을 투입하고 열쇠로 잠그는 개별형, 진열된 물품보관함들 중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장치에 지폐를 포함한 현금을 투입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안내창에 따라 보관함을 선택하여 열쇠로 잠그는 일체형, 보관함과는 별개로 동떨어져 있는 관리소에서 사용에 관한 일련의 절차를 밟도록 하는 중앙관리형 등의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물품보관함의 사용에는 열쇠, 비밀번호 등의 분실, 도용, 노출로 인한 위험이 항시 존재하며, 수영장이나 목욕탕의 경우에는 고유 서비스 이용료와 물품보관함 사용료를 따로 계산하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카운터에서 요금지불과 함께 열쇠를 건네주는 종래의 방식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요즈음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생체 인식기술을 응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물품보관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생체 인식기술에는 망막, 홍채, 혈관, 얼굴, 음성 등의 인식기술이 있으나 신뢰도와 안정도에 있어서 지문(Fingerprint)인식 기술이 가장 효율적인 개인 인증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문은 땀샘이 융기되어 일정한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그 형태가 개개인마다 서로 다르고 태어날 때의 모습 그대로 평생동안 변하지 않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문인식 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전자적으로 읽어 미리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해 본인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에, 지문 인식기술을 응용한 공공장소 설치형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됨에 따라 물품보관함의 개폐를 전자 제어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지문의 1회적 사용을 위한 처리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와 다수 물품보관함들의 연결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와 다수 물품보관함들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3실시예와 다수 물품보관함들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110a: 지문정보 입력부 120a: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
130a: 지문정보 저장부 140a: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a: 주제어부160a: 보관함 개폐부
200: 물품보관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은 내장된 광원으로부터 투사된 빛이 손가락 표면에 반사되고, 손가락 표면의 지문을 반영한 반사광을 촬상하는 지문정보 입력부; 촬상된 지문 정보를 신호처리 및 디지털 데이터 처리하는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문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해당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고, 해당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를 기록하는 공간인 지문정보 저장부;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물품보관함을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인증 지문 및 피인증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처리 명령에 따라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문데이터를 지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지문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물품보관함의 개폐신호를 송출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지문정보 입력부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주제어부; 및 주제어부로부터 개폐신호를 수신하여 내장하고 있는 물품보관함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고, 잠금장치의 작동여부를 파악하여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신호를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보관함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은 (a)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을 선택받고, 인증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처리 후 보관함 개폐부의 잠금장치를 해제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b) 사용자에 의하여 보관함 개폐부의 잠금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c)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피인증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인증 지문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d)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보관함 개폐부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 및 (e)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 저장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100a)와 다수 물품보관함(200)들의 연결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100a)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100a)는 지문정보 입력부(110a),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a), 지문정보 저장부(130a),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 주제어부(150a) 및 보관함 개폐부(160a)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관함 개폐부(160a)는 각 물품보관함(200)마다 설치되어 있다. 지문정보 입력부(110a)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 있다.
지문정보 입력부(110a)는 크게 광원, 프리즘, 수광수단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프리즘의 한 면에 밀착시키면 광원으로부터 투사된 빛이 평탄해진 손가락의 표면에 반사되고, 반사광은 손가락 표면의 지문을 반영하여 수광수단에 포착된다.
수광수단으로는 보통 전하결합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이하에서, "CCD 카메라"한다)가 사용된다. CCD(Charge Coupled Device)란 n형 반도체 표면에 0.1㎛ 정도의 두께를 가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금속 전극이 배열되어 있고, 금속 전극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반도체 표면의 전위가 낮은 부분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축적된 전하를 순차 전송시킬 수 있는 전하 결합 소자이다. CCD 카메라는 빛에 감응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CCD칩을 사용하여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비디오 시그널로 출력하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a)는 수광수단에 포착된 지문 영상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방향성을 추출하고, 이진화, 세선화, 특징점 추출, 특징점 코드화 과정을 실행한다. 특징점은 지문의 개인별 특징을 잡아내기 위한 것으로, 융선의 형태에 따라 끝점, 분기점, 중심점, 삼각주 등으로 나뉜다.
특징점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선화나 주파수 공간에서의 푸리에(Fourier)변환, 웨이블릿(Wavelet)변환, 또는 신경회로망이나 퍼지논리에 의한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잡음을 줄이는 전처리 과정와 보정을 위한후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a)는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이진 영상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지문정보 저장부(130a)는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a)에서 처리된 지문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문정보 저장부(130a)에는 지문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저장된 데이터가 인증을 위하여 새로 입력된 지문 정보와 비교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에서 전달한 해당 물품보관함(200)의 식별코드도 함께 저장된다. 또한, 후술될 물품보관함(200)의 개폐상태 신호가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 전술한 식별코드 영역에 기록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물품보관함(200)을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인증시 기준이 되는 인증 지문 및 피인증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의 디스플레이 초기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버튼을 삽입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안내 메시지에 따라 입력된 명령을 주제어부(150a)로 전송하고, 주제어부(150a)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 지문정보 입력부(110a)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그래픽처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가능한 물품보관함(10)을 선택한다. 선택된 영역(10)은 인증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안내 화면으로 링크시킨다. 인증 지문은 보관함을 개방할 때에 인증을 위하여 입력되는 피인증 지문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지문이다. 안내 화면을 읽고 사용자는 지문정보 입력부(110a)를 통하여 지문정보를 입력한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사용자가 선택영역을 클릭함으로써 생성되는 데이터 처리 명령과 함께 물품보관함 식별코드를 주제어부(150a)로 전송한다.
주제어부(150a)는 전송된 데이터들을 해석하여 지문정보 저장부(130a)에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의 저장 영역을 설정하고 지문정보 입력부(110a)를 통하여 입력된 인증 지문을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주제어부(150a)의 제어 신호를 받아 등록 확인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등록 확인 화면은 도 3에 의한 초기 화면으로 복귀된다.
인증 지문이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의 디스플레이 초기화면상의 "문열기" 버튼(20)이 클릭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신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인증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안내 화면으로 링크시킨다.
피인증 지문은 전술한 과정을 거쳐 입력되고, 주제어부(150a)는 이를 해당물품보관함 식별코드의 인증 지문과 비교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물품보관함(200)의 개폐상태신호를 주제어부(150a)로부터 전송받아 물품보관함(200)이 개방되어 있으면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입력한 지문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사용마감" 버튼을 활성화한다. "사용마감" 버튼을 활성화하는 것은 사용자가 물품보관함(200)을 개방함으로써 물품보관함(200)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가정하고 지문정보의 삭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의 초기화 여부를 묻는 것이다. 또한, 주제어부(150a)로부터 물품보관함(200)의 개방상태를 확인받는 것은 물품보관함(2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실수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이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사용자로부터 삭제 명령을 입력받아 주제어부(150a)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은 물품보관함 사용자가 자신의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함의 번호를 잊는 경우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보관함 찾기" 버튼(40)이 있는데 사용자에 의해 이 버튼이 클릭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물품보관함 번호의 검색을 위한 확인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화면을 제공한다. 물품보관함 번호가 검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전술한 안내 화면에 따라 물품보관함 번호의 검색을 위한 확인 지문을 입력하면, 이는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a)에서 처리된 후 주제어부(150a)로 전달된다. 주제어부(150a)는 확인 지문 데이터를 전달받아 지문정보 저장부(130a)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들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문에 해당하는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에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번호로 디스플레이된다)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물품보관함 사용자에 의해 물품보관함 선택명령이 입력되어진 시점부터 지문정보 삭제 명령이 입력되어진 시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주제어부(150a)는 지문정보 입력부(110a)로 입력되어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a)에서 처리된 지문데이터(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지문과 피인증 지문 데이터)를 지문정보 저장부(130a)에 저장한다.
주제어부(15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처리 명령(전술한 설명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문열기" 버튼(20)이 클릭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처리 명령)에 따라 지문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물품보관함(200)의 개폐신호를 송출한다.
주제어부(150a)는 물품보관함(200) 사용을 마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를 통하여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하면 지문정보 저장부(130a)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삭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를 초기화시킨다.
보관함 개폐부(160a)는 주제어부(150a)로부터 개폐신호를 전송받아 잠금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잠금장치 제어부, 전자석과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잠금장치, 잠금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물품보관함(200)마다 설치되어 있는 보관함 개폐부(160a)는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의 주제어부(150a)와, 가령 RS-232와 같은 신호선을 통하여 연결된다.
보관함 개폐부(160a)는 주제어부(150a)로부터 개폐신호를 수신하여 내장하고 있는 물품보관함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고, 잠금장치의 작동여부를 파악하여 물품보관함(200)의 개폐상태신호를 주제어부(150a)로 전송한다.
보관함 개폐부(160a)가 주제어부(150a)로 개폐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주제어부(150a)로 하여금 물품보관함(20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하였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및 지문정보 저장부(130a)를 초기화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물품보관함(200)이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만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은 초기화될 수 있고, 초기화된 다음의 보관함 개폐부(160a)는 새로운 사용자에 의하여 지문정보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잠금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없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100b)와 다수 물품보관함(200)들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100b)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100b)는 지문정보 입력부(110b),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b),지문정보 저장부(130b), 사용자 인터페이스(140b), 주제어부(150b) 및 보관함 개폐부(160b)로 구성되는데,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b), 지문정보 저장부(130b), 주제어부(150b) 및 보관함 개폐부(160b)는 전술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100a)와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100b)는 다수의 물품보관함(200)이 넓은 지역에 설치되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지문정보 입력부로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어려운 경우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b)와 지문정보 입력부(110b)를 다수개로 하여 전술환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100a)를 재구성한 것이다.
다수의 지문정보 입력부(110b)는 촬상된 지문정보를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120b)로 전송함에 있어서 해당 물품보관함 블럭 식별코드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물품보관함 블럭 식별코드란 다수개의 지문정보 입력부(110b) 중 개개의 지문정보 입력부(110b)에 할당된 물품보관함(200)들을 통틀어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의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지문정보 입력부(110b)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정보들을 주제어부(150b)가 혼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정보 저장부(130b)에는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와 물품보관함 블럭 식별코드가 함께 저장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b)는 사용자가 물품보관함(200)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 및 인증 지문 및 피인증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다수개로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에 분산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다.
분산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b)는 분산 디스플레이 환경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를 구비하여야 하고, 그래픽 카드의 지원아래 다수의 상이한 그래픽 화면을 여러 대의 모니터에 지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3실시예와 다수 물품보관함(200)들의 연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3실시예는 사람의 왕래가 많은 장소에 물품보관함(200)이 설치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중앙에 설치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으로 지문을 입력하고 해당 물품보관함(200)을 개방하면 물품 도난의 위험이 있으므로 각 물품보관함(200)에 지문정보 입력부(110b)를 설치한 경우이다.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지문정보 입력부(110b)가 보관함 개폐부(160b)와 하나의 보관함 안에 설치되며, 지문정보 입력부(110b)는 지문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보관함 블럭 식별코드 대신 지문정보 저장부(130b)에 저장되어 있는 개개의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 인용하는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은 제1실시예인 것으로 한다.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사용자가 물품보관함(200)을 선택하도록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될 물품보관함(200)을 선택받는다. 해당 물품보관함(200)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비교기준으로서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은 다음 보관함 개폐부(160a)의 잠금장치를 해제상태로 유지한다(S100). 이 때, 전술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100b) 및 제3실시예와 같이 보관함 개폐부, 지문정보 입력부는 다수로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들을 다루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조금씩 그 방법을 달리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중앙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물품보관함 선택명령과 지문정보를 입력하고 개방된 물품보관함을 사용하는 경우와 물품보관함 선택명령을 입력하고 물품보관함에 설치된 지문정보 입력부에 지문을 입력함으로써 개방되는 물품보관함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물품보관함의 잠금장치를 해제상태로 유지한 다음 시간 계산을 시작한다. 시간 계산과정은 물품보관함(200)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상의 각 구역에 시계형태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된 물품보관함(200)에 물품을 투입하고 보관함 개폐부(160a)의 잠금장치를 수동으로 동작시킨다(S200).
사용자가 물품보관함(200)을 개방하려면 인증용으로서의 지문(피인증 지문)정보를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으로 입력한다(S300).
주제어부(15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의 안내에 따라 입력된 피인증 지문정보를 지문정보 저장부(130a)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인증 지문) 정보와 비교하고(S400),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보관함 개폐부(160a)의 잠금장치를 해제한다(S500).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100a)은 사용자가 자신의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함 번호를 망각하는 경우를 위하여 물품보관함(200)의 검색을 위한 지문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와 이를 지문정보 저장부(130a)의 지문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문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응하는 물품보관함 번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로 전송하는 기능을 주제어부(150a)에 더 부여하여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부(150a)는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받아(S6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를 초기화하고 저장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를 삭제한다(S700).
물품보관함 사용자가 보관함을 일시 개방하여 지문정보 삭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즉, 물품보관함을 잠시 개방하여 물품의 일부만을 꺼내고 다시 폐쇄하는 경우), 보관함이 수동으로 폐쇄되어 개방되기까지는 전술한 과정이 반복 실행될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a)는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받은 다음 시간 계산을 종료하고, 최종 계산결과를 시계로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공장소에 설치된 물품보관함의 사용에 있어서 열쇠, 비밀번호 등의 분실, 도용, 노출로 인한 물품 보관상의 위험을 제거하고, 공공장소에서만의 단순한 물품 제공기능뿐만 아니라 물품보관이 필요한 각종 서비스 시설에 물품보관함을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내장된 광원으로부터 투사된 빛이 손가락 표면에 반사되고, 손가락 표면의 지문을 반영한 상기 반사광을 촬상하는 지문정보 입력부;
    상기 촬상된 지문 정보를 신호처리 및 디지털 데이터 처리하는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
    상기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문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해당 물품보관함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고, 해당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를 기록하는 공간인 지문정보 저장부;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물품보관함을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인증 지문 및 피인증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처리 명령에 따라 상기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문데이터를 상기 지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지문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물품보관함의 개폐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지문정보 입력부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개폐신호를 수신하여 내장하고 있는 물품보관함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고, 잠금장치의 작동여부를 파악하여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신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보관함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정보 입력부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촬상된 지문정보를 상기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함에 있어서 해당 물품보관함 식별코드 또는 해당 물품보관함 블럭 식별코드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물품보관함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 및 인증 지문 및 피인증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다수개로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에 분산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물품보관함 번호의 검색을 위한 확인 지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검색된 물품보관함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지문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확인 지문 데이터를 전달받아 지문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들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문에 해당하는 물품보관함 번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버튼을 삽입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처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품보관함의 개폐상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물품보관함이 열려있으면 물품보관함 사용자에게 입력한 지문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삭제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지문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물품보관함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삭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품보관함 사용자에 의해 물품보관함 선택 명령 입력되어진 시점부터 지문정보 삭제 명령이 입력되어진 시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8.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을 선택받고, 인증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처리 후 보관함 개폐부의 잠금장치를 해제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b) 사용자에 의하여 보관함 개폐부의 잠금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c)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피인증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인증 지문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d)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보관함 개폐부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 및
    (e)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 저장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b)단계, (c)단계 및 (e) 단계를 반복한 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물품보관함의 잠금장치를 해제상태로 유지한 다음 시간 계산을 시작하고 시간 계산과정을 시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e) 단계는 물품보관함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삭제 명령을 입력받은 다음 상기 시간 계산을 종료하고, 최종 계산결과를 시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방법.
KR1020010016653A 2001-03-29 2001-03-29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6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53A KR20020076649A (ko) 2001-03-29 2001-03-29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53A KR20020076649A (ko) 2001-03-29 2001-03-29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649A true KR20020076649A (ko) 2002-10-11

Family

ID=2769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653A KR20020076649A (ko) 2001-03-29 2001-03-29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66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827A (ko) * 2001-10-09 2001-11-24 송홍덕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사물함 통제시스템
KR100707518B1 (ko) * 2005-05-09 2007-04-13 주식회사 더난포스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3194B1 (ko) * 2011-05-25 2013-09-30 (주)에스엠씨코리아 보안이 강화된 물품 보관함 장치
CN107977912A (zh) * 2016-10-21 2018-05-01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指纹复验的药品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167A (ja) * 1992-01-10 1993-07-27 Ee S I Kk 棚収納物の管理装置
JPH05233896A (ja) * 1992-02-24 1993-09-10 Yuuseidaijin 入退出管理装置
JP2002000363A (ja) * 2000-06-19 2002-01-08 Narasaki Sangyo Kk 荷保管設備および移動棚設備
KR20020007149A (ko) * 2000-07-13 2002-01-26 임병구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20007761A (ko) * 2000-07-19 2002-01-29 오종식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167A (ja) * 1992-01-10 1993-07-27 Ee S I Kk 棚収納物の管理装置
JPH05233896A (ja) * 1992-02-24 1993-09-10 Yuuseidaijin 入退出管理装置
JP2002000363A (ja) * 2000-06-19 2002-01-08 Narasaki Sangyo Kk 荷保管設備および移動棚設備
KR20020007149A (ko) * 2000-07-13 2002-01-26 임병구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20007761A (ko) * 2000-07-19 2002-01-29 오종식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827A (ko) * 2001-10-09 2001-11-24 송홍덕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사물함 통제시스템
KR100707518B1 (ko) * 2005-05-09 2007-04-13 주식회사 더난포스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3194B1 (ko) * 2011-05-25 2013-09-30 (주)에스엠씨코리아 보안이 강화된 물품 보관함 장치
CN107977912A (zh) * 2016-10-21 2018-05-01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指纹复验的药品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7067A1 (en) Identification card with bio-sensor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TW201528028A (zh) 身份驗證之裝置和方法
US61290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afe deposit box
JPH10295674A (ja) 個人識別装置,個人識別方法,及び個人識別システム
US20100332392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Communication Permission Thereof
KR100512764B1 (ko)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대여금고
KR102243963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JP2018124622A (ja) 入場受付端末、入場受付方法、入場受付プログラム、および入場受付システム
TWI745891B (zh) 認證系統、認證終端、使用者終端、認證方法、及程式產品
JP2007241501A (ja) 訪問者特定システムおよび訪問者特定方法
US11952827B1 (en) Portable locker and docking station system
US8749347B1 (en) Authorized custodian verification
CN111179487A (zh) 智能门锁及智能门锁系统
EP3843060A1 (en) Receiving terminal device
KR20020076649A (ko)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64063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41619A (ko) 출입 통제 시스템
JP3644378B2 (ja) 指紋照合を用いた貸金庫管理システム
JP2004211538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0722873B1 (ko) 관리자 인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JP4008626B2 (ja) 入退室・機器使用統合管理システム
Katalin The development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 Prisons
KR102454796B1 (ko)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스마트 콤비카드와 위치정보 시스템
KR102138659B1 (ko) 지문인식 스마트 신용카드 및 결제 시스템
KR100552985B1 (ko) 다수인의 다수 id데이터로 개폐하는 자동차의 금고시스템과 개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