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587A -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587A
KR20020076587A KR1020010016561A KR20010016561A KR20020076587A KR 20020076587 A KR20020076587 A KR 20020076587A KR 1020010016561 A KR1020010016561 A KR 1020010016561A KR 20010016561 A KR20010016561 A KR 20010016561A KR 20020076587 A KR20020076587 A KR 2002007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shing
dry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034B1 (ko
Inventor
김재문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0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지막 헹굼행정에서 사용된 헹굼수를 별도의 저수조(72)에 모았다가 건조행정에서 응축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케이스(50)의 하부에는 저수조(72)를 설치하고, 터브(53)에서 배수되는 물이 배수연결관(70)을 통해 저수조(72)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72)의 물은 배수펌프(76)를 사용하여 재생수관로(77)로 전달하거나 배수관(78)으로 전달하여 응축덕트(86)로 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재생수관로(77)의 끝부분은 상기 응축덕트(86)의 상부와 연결되어 드럼(55) 내부를 유동된 후, 상기 응축덕트(86)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응축수와 응축된 물은 다시 상기 저수조(72)로 전달되어 사용된다.

Description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home appliances with dry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포나 식기류 등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전기기의 하나인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중 하나인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부케이스(1)가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1)의 내부에는 세탁시에 세탁수가 투입되는 터브(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터브(3)의 내부에는 세탁포가 투입되어 세탁이나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5)이 모터(7)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7)는 상기 터브(3)의 외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5)의 내부는 상기 외부케이스(1)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9)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3)의 내부로 세탁을 위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다음과 같다. 먼저 아웃케이스(1)의 일측에 세탁수밸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수밸브(11)와 연결되어 세탁수공급덕트(13)가 외부케이스(1)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세제통(15)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통(15)과 터브(3)를 연결하도록 급수덕트(17)가 설치되어 상기 세제통(15)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터브(3)의 내부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터브(3)와 드럼(5)의 내부에서 세탁, 헹굼 등을 마친 세탁수는 배수덕트(19)를 통해 터브(3)에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덕트(19)의 끝부분에는 배수펌프(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펌프(21)에는 배수관(23)이 상기 외부케이스(1)의 외부로 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3) 내의 세탁수를 상기 배수펌프(21)의 구동에 의해 배수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탁을 마친 세탁포를 건조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터브(3) 및 드럼(5)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20)이 아웃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팬(20)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터브(3) 및 드럼(5)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열풍덕트(22)가 구비된다. 상기 열풍덕트(22)는 상기 팬(20)과 상기 터브(3)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터브(3) 및 드럼(5)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드럼(5) 내부의 공기가 머금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덕트(26)가 상기 팬(20)과 상기 터브(3)를 연결하도록 상기 팬(20)을 향해 수직 상방으로 설치된다.
상기 응축덕트(26)의 내부로는 상기 공기가 머금고 있는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관(27)이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관(27)에는 상기 응축수관(27)을 통한 응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축수밸브(2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배수연결관(19)과 연결되게 수위센서호스(30)가 설치되고,상기 수위센서호스(30)의 상단에는 수위센서(32)가 설치되어, 상기 터브(3) 내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건조가 이루어진다.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동작된 후, 건조 모드가 되면, 상기 드럼(5)이 회전되면서 세탁포를 뒤집어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20)이 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히터(24)가 발열하여 상기 드럼(5)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열풍은 드럼(5)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팬(2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응축덕트(26)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26)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수관(27)을 통해 응축수가 공급되어 낙하되면서, 상기 팬(20)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덕트(26)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덕트(26)의 하부로 낙하되어 터브(3)를 통해 배수덕트(19)로 전달되어 배수펌프(21)에 의해 배수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상기 팬(20)을 통과하여 상기 히터(24)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다시 드럼(5)으로 공급되어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건조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응축수밸브(28)를 개방하여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깨끗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한 후 그대로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세탁기에서 세탁, 헹굼 및 탈수시에 상기 모터(7)의 회전에 의해 드럼(5)이 회전할 때,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전기기의 무게중심을 낮춰서 진동발생을 줄여주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드럼세탁기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럼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드럼세탁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동작순서를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외부케이스53: 터브
55: 드럼57: 모터
59: 도어61: 세탁수밸브
63: 세탁수공급덕트65: 세제통
67: 급수덕트70: 배수연결관
72: 저수조74: 배수덕트
76: 배수펌프77: 재생수관로
78: 배수관79: 배수밸브
80: 팬82: 열풍덕트
84: 히터86: 응축덕트
90: 수위센서호스92: 수위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정대상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세정이나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의 내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부와, 상기 세정부의 내부로 세정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세정부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상기 열풍공급부로 전달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상기 세정부에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응축부나 외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재생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생수공급부는 상기 저장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응축부를 연결하는 재생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생수관로는 상기 세정부로 연결되어 직접 응축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재생수관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응축부와 배수관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펌프는 상기 재생수관로와 상기 배수관을 사이에 구비되는 양방향펌프이다.
상기 저장부와 펌프를 연결하는 배수덕트에는 수위센서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호스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정이나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정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부에 임시저장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하거나 응축부로 재급수하도록 된 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건조과정이 수행될 때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응축부로 전달하여 응축수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부로 전달되어 응축을 수행한 응축수를 상기 저장부로 전달하고, 상기 응축부로 재급수하는 과정을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헹굼이나 탈수시에 발생되는 세정수를 사용하여 건조과정에서 응축수로 사용하므로 건조과정을 위한 별도의 응축수공급이 필요없게 되어 상대적으로 물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가전기기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드럼세탁기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외부케이스(50)가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5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5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터브(53)는 드럼세탁기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5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터브(53)의 내부에는 드럼(55)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55)의 내벽에는 드럼(55)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브(53) 내의 물이 드럼(55)의 내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럼(55)은 상기 터브(53)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57)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된다. 상기 드럼(55)의 내부는 상기 외부케이스(50)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5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59)는 상기 드럼(55)의 내부에서 세탁과정이 진행될 때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터브(53)와 드럼(55)을 포함하는 부분이 세탁포의 세정을 위한 구성을 이루게 되고, 특히 상기 드럼(55)의 내부에 세탁포가 투입되어 세탁이나 아래에서 설명될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터브(53)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외부케이스(50)의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게 세탁수밸브(61)가 설치된다. 상기 세탁수밸브(61)와 연결되어 외부케이스(50)의 내부에는 세탁수공급덕트(63)가 설치된다. 상기 세탁수공급덕트(63)는 외부케이스(50) 내부 상부 일측에 설치된 세제통(65)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통(65)과 상기 터브(53)의 사이를 급수덕트(67)가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세탁수밸브(61)를 통해 상기 세탁수공급덕트(63), 세제통(65) 및 급수덕트(67)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터브(53)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터브(53) 내부의 세탁수나 건조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터브(53)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터브(53)의 하부에 배수연결관(7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연결관(70)은 저수조(72)와 연결된다. 상기 저수조(72)는 그 내부에 상기 터브(53)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임시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저수조(72)는 상기 외부케이스(5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외부케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72)를 외부케이스(50)의 하부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저수조(72)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무게에 의해 전체적으로 세탁기의 무게중심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저수조(72)의 일측에는 저수조(72)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덕트(74)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덕트(74)에는 배수펌프(76)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펌프(76)는 상기 저수조(72)의 물을 배출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배수펌프(76)와 연결되어서는 재생수관로(77)가 설치되는데, 상기 재생수관로(77)는 아래에서 설명될 응축덕트(86)의 내부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재생수관로(77)가 상기 터브(53)로 직접 연결되어 저수조(72)의 물을 터브(53)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수관로(77)의 일측에는 배수관(78)이 분지되어 있다. 상기 재생수관로(77)와 배수관(78)의 사이에는 배수밸브(79)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재생수관로(77)를 통과하는 물을 상기 배수관(78)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펌프(76)로서 양방향펌프를 채용하고 상기 양방향펌프에 재생수관로(77)와 배수관(78)을 연결하면 상기 배수밸브(79)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저수조(72)의 물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55)의 내부에서 세탁포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드럼(55)의 내외부로 유동되는 기류를 팬(80)이 형성한다. 상기 팬(80)은 상기 드럼(55)과 연통된 열풍덕트(82)와 연통되어 상기 열풍덕트(82)의 내부로 기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덕트(82)의 내부에는 상기 기류를 열풍으로 바꾸기 위해 열을 공급하는 히터(8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열풍덕트(82)를 통과하면서 만들어진 열풍은 상기 드럼(55)의 내부로 공급되어 드럼(55) 내부의 세탁포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55)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배출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응축덕트(86)가 상기 터브(53)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응축덕트(86)의 타측은 상기 팬(8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86)는 상기 터브(53)와 연결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팬(80)과 연결된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응축덕트(86)의 내부로는 상기 재생수관로(77)가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72)의 물을 응축덕트(86)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재생수관로(77)를 나온 응축수는 상기 응축덕트(86)의 내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면서 상기 드럼(55)에서 나온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저수조(72)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덕트(74)에는 수위센서호스(90)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호스(90)에는 수위센서(92)가 설치되어 세탁기의 구동중에 상기 터브(53)내부의 수위와 저수조(7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세탁,헹굼,탈수,건조의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단계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먼저 세탁행정(100)이 시작된다. 즉, 상기 드럼(55)의 내부에 세탁포가 투입되고, 세탁이 시작되면 상기 세탁수밸브(61)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세탁수공급덕트(63)를 통해 세제통(65)으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상기 세제통(65)을 지난 세탁수는 세제와 함께 상기 급수덕트(67)를 통해 상기 터브(53)의 내부로 전달된다.
세탁수가 설정된 수위만큼 공급되면 이를 상기 수위센서(92)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57)가 구동되고, 상기 드럼(55)이 회전되면서 세탁이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53)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이 끝나면 상기 배수연결관(70)을 통해 상기 저수조(72)로 전달된다. 상기 저수조(72)로 전달된 물은 상기 배수펌프(76)의 구동에 의해 재생수관로(77)를 거쳐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세탁행정(100)이완료된다.
한편, 헹굼행정(200)은 상기 세탁행정(100)과 동일하게 헹굼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지막 헹굼행정에서 상기 저수조(72)의 도 3의 B수위가 되도록 배수펌프(76)를 구동하여 배수를 실시한다. (단계202)
배수를 실시하여 저수조(72)의 수위가 B선으로 되면(단계204), 배수펌프(7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206)
그리고 탈수행정(300)으로 들어간다. 즉 상기 모터(57)를 구동하여 상기 드럼(55)을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세탁포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낸다.(단계302) 이때에도 상기 저수조(72)의 수위가 B선인지를 계속 감시하여(단계304), B수위보다 높으면 배수펌프(76)를 구동하게 된다.(단계306) 만약 B수위를 유지하면, 배수펌프(76)의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308), 선택된 시간만큼의 탈수가 완료되면 모터(57)의 구동을 정지시켜 드럼(55)을 정지시킨다.(단계310) 이와 같이 하면 탈수가 종료된다(312)
다음으로 건조행정(400)이 선택되면, 상기 배수밸브(79)가 상기 배수관(78)을 폐쇄하도록 한다.(단계402)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86)로 상기 재생수관로(77)를 통해 상기 저수조(72)의 물이 공급되게 한다.(단계404)
그리고 상기 모터(57)를 구동시켜 드럼(55)의 회전시켜 세탁포가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팬(80)과 히터(84)를 구동시켜 상기 팬(8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열풍으로 되어 상기 열풍덕트(82)를 통해 터브(53)의 내부로 전달되게 한다.(단계406) 이때 상기 히터(84)는 드럼(55) 내부의 온도가 일정이상되면 정지되고,일정 온도 이하이면 구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드럼(55)의 내부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세탁포가 드럼(5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중에 상기 열풍덕트(82)를 통해 열풍을 드럼(55)의 내부로 공급한다. 즉 상기 팬(80)이 구동되고 상기 히터(84)가 온되면 팬(8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히터(84)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열풍으로 바뀌어 드럼(55)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드럼(55)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세탁포의 수분을 증발시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8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응축덕트(86)로 유동된다. 상기 드럼(55)을 빠져나와 상기 응축덕트(86)로 전달된 공기는 응축덕트(86)의 하부에서 상부로 팬(80)의 흡입력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86)로 상기 재생수관로(77)를 통해 응축수가 공급되고,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덕트(86)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면서 상기 공기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와 공기에서 응축된 물은 상기 응축덕트(86)의 하부에서 상기 터브(53)의 하부로 유동되고, 상기 배수연결관(70)으로 전달된다. 상기 배수연결관으로 전달된 응축수 등은 상기 저수조(72)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배수펌프(76)는 일정 시간 주기로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상기 저수조(72)의 물을 상기 응축덕트(86)로 공급한다.(단계408) 그리고 건조행정의 설정시간이 지나거나, 건조완료를 감시하다가(단계410), 건조완료시점에서 상기 모터(57), 팬(80) 및 히터(84)를 모두 정지시키고(단계412), 건조를 종료한다.(단계414)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드럼세탁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일반세탁기, 식기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 등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에서는 마지막 헹굼과정에서 사용된 물을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건조과정에서 사용하므로 가전기기에서의 물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저수조를 가전기기의 하단에 설치함으로 인해 가전기기의 무게중심이 낮아져서 사용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가전기기의 설치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구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전기기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8)

  1. 세정대상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세정이나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의 내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부와,
    상기 세정부의 내부로 세정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세정부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상기 열풍공급부로 전달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상기 세정부에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응축부나 외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재생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공급부는
    상기 저장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응축부를 연결하는 재생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관로는 상기 세정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관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응축부와 배수관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재생수관로와 상기 배수관을 사이에 구비되는 양방향펌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펌프를 연결하는 배수덕트에는 수위센서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호스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7. 세정이나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정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부에 임시저장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하거나 응축부로 재급수하도록 된 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건조과정이 수행될 때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응축부로 전달하여 응축수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로 전달되어 응축을 수행한 응축수를 상기 저장부로 전달하고, 상기 응축부로 재급수하는 과정을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함
    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10016561A 2001-03-29 2001-03-29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6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561A KR100766034B1 (ko) 2001-03-29 2001-03-29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561A KR100766034B1 (ko) 2001-03-29 2001-03-29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87A true KR20020076587A (ko) 2002-10-11
KR100766034B1 KR100766034B1 (ko) 2007-10-11

Family

ID=2769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561A KR100766034B1 (ko) 2001-03-29 2001-03-29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0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260A (ko) * 2003-11-1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KR100617110B1 (ko) * 2004-04-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0715997B1 (ko) * 2005-10-11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153442B (zh) * 2006-09-30 2011-05-25 海尔集团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节水方法及其洗衣机
CN111455608A (zh) * 2020-04-08 2020-07-28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衣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398A (ja) * 1993-03-30 1994-10-04 Hitachi Ltd 水冷式除湿型衣類乾燥機からの排水の再利用方法
KR0126946Y1 (ko) * 1995-09-06 1998-12-15 김광호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절감장치
KR0172877B1 (ko) * 1995-12-11 1999-05-01 구자홍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9990011193U (ko) * 1997-08-30 1999-03-25 전주범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9990027771A (ko) * 1997-09-30 1999-04-15 전주범 세탁기의 급수절약장치 및 방법
KR19990041217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260A (ko) * 2003-11-1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KR100617110B1 (ko) * 2004-04-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0715997B1 (ko) * 2005-10-11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153442B (zh) * 2006-09-30 2011-05-25 海尔集团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节水方法及其洗衣机
CN111455608A (zh) * 2020-04-08 2020-07-28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衣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455608B (zh) * 2020-04-08 2022-07-05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衣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034B1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3177B2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9985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1645674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854152B2 (en) Steam generator for washing machine
US790889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57342A1 (en) Washing machine
EP1666656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7142657B (zh) 一种洗衣机及其工作方法
CN107523959A (zh) 一种洗衣干衣一体机
EP1831447B1 (en) Control method for a drum washing machine
US20080178397A1 (en) Method for removing odor of laundry in washing machine
WO2004072354A1 (en) Improved washer method and apparatus
KR20020057119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766034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671917B2 (ja) 洗濯乾燥機
KR100766015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398720C (zh) 具有烘干功能的家电产品
CN109629168B (zh) 洗涤干燥机
KR101287537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CN100360732C (zh) 具有烘干功能的家电产品以及其控制方法
KR100766045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KR100224452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제어방법
CN107523961A (zh) 一种洗衣干衣一体机及其控制方法
KR100542075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 방법
KR101015873B1 (ko) 드럼 세탁기용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