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952A -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952A
KR20020075952A KR1020010015590A KR20010015590A KR20020075952A KR 20020075952 A KR20020075952 A KR 20020075952A KR 1020010015590 A KR1020010015590 A KR 1020010015590A KR 20010015590 A KR20010015590 A KR 20010015590A KR 20020075952 A KR20020075952 A KR 20020075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ing
ball
throwing
strik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화
Original Assignee
김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화 filed Critical 김미화
Priority to KR102001001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5952A/ko
Publication of KR2002007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6Mechanical mean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r en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는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지된 투구좌표신호를 제공하는 투구 감지기; 투구 감지기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strike)와 볼(ball)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하여 카운트 제어신호, 램프 제어신호, 음성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중앙 통제부;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하는 카운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램프;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전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이 투구한 투구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또한 자신이 투구한 결과를 수정하면서 투구함에 따라 투구의 정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APPARATUS FOR TRAINING A PITCH IN A BASEBALL PITCHER}
본 발명은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자(예로, 야구 투수) 자신 혼자서 공을 정확한 위치로 투척하는 투구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구 경기에서 야구 투수가 투구한 공은 포수가 받으며, 심판원이 판독하여 스트라이크(strike)인지 아니면, 볼(ball)인지를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또한, 야구 경기가 아닌 일부 오락실이나 유흥장에 설치되어 있는 투구 연습기는 공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물건을 떨어뜨려 원하는 상품을 얻을 수 있는 방식이거나, 이용자에 의해 투구된 공이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을 통과하는 총 횟수를 카운트하여 원하는 상품을 제공하는 수준이다. 이와 같이, 야구와 관련된 기존 투구 연습기는 원시적인 투구게임이거나, 단순한 반복 투구연습에 불과하여 투구 연습의 효과를 증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물 크기의 전자 투구판에서 감지되는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 영역 접촉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램프를 발광하거나,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이라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스트라이크 및 볼 횟수를 카운트를 실시간으로 이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는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지된 투구좌표신호를 제공하는 투구 감지기; 투구 감지기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strike)와 볼(ball)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하여 카운트 제어신호, 램프 제어신호, 음성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중앙 통제부;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하는 카운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램프;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투수의 투구 연습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투구 감지기(10)내 타자 및 포수 인쇄물(11)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투구 감지기(10)내 전자 투구판(12)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투구 감지기(10)내 철판(16)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투구 감지기(10)내 앵글(18)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중앙 통제부(20)의 실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라이크 및 볼 카운터(30, 35)의 실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녹색 및 적색 램프(40, 45)의 실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전달부(50)의 실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e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60)의 실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구 감지기 20 : 중앙 통제부
30, 35 : 스트라이크 및 볼 카운터 40, 45 : 녹색 및 적색 램프
50 : 음성 전달부 60 : 스피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투구 감지기(10)와, 중앙 통제부(20)와,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 카운터(30, 35)와, 녹색 및 적색 램프(40, 45)와, 음성 전달부(50)와, 스피커(60)를 포함한다.
투구 감지기(10)는 이용자(예로, 야구 투수)가 투구한 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블록으로서, 타수 및 포수 인쇄물(11)과, 전자 투구판(12)과, 충격 완화제(14)와, 투구 투구 철판(16)과, 투구 앵글(18)을 구비한다.
타자 및 포수 인쇄물(1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 배트를 들고 있는 타자 모습과, 글러브를 이용하여 야구공을 받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포수 모습을 인쇄한 방수 처리된 인쇄물이다. 여기서, 타자 및 포수 인쇄물(11)의 상단에는 녹색 및 적색램프, 스피커, 스트라이크 및 볼 카운터를 설치할 수 있는 자리를 구비한다.
전자 투구판(12)은 타자 및 포수 인쇄물(11)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900mm 세로 1150mm의 전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술한 전자판 중심에 가로 400mm 세로 650mm의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으로 이루어진 블록으로서, 이용자(예로, 야구 투수)가 투구한 공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지된 투구좌표신호를 중앙 통제부(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 투구판(12)내 위치에 대한 세부 사이즈(size)는 도 2b에 도시된 각 부분별 사이즈를 참조한다.
충격 완화제(14)는 전자 투구판(12) 뒷면에 스치로폴이나 스폰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설치한 것으로, 이용자(예로, 야구 투수)가 투구한 공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구 철판(16)은 충격 완화제(14)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900mm 세로 1150mm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용자(예로, 야구 투수)가 투구한 공의 충격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투구철판(16)내 세부 사이즈(size)는 도 2c에 도시된 각 부분별 사이즈를 참조한다.
투구 앵글(18)은 투구 철판(16)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1290mm 세로 2000mm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투구 감지기(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투구 앵글(18)내 세부 사이즈는 도 2d에 도시된 각 부분별 사이즈를 참조한다.
중앙 통제부(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구 감지기(10)내 전자 투구판(12)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장치로서, 투구 감지기(10)내 전자 투구판(12)으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하여 스트라이크 및 볼 카운터(30, 35)를 동작시키기 위한 카운트 제어신호를 스트라이크 및 볼 카운터(30, 35)에 제공하고, 전자 투구판(12)으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하여 녹색 및 적색 램프(40, 45)를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 제어신호를 녹색 및 적색 램프(40, 45)에 제공하며, 전자 투구판(12)으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하여 음성 전달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제어신호를 음성 전달부(50)에 제공한다.
스트라이크(strike) 카운터(30)는 도 3b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strike) 숫자를 카운트하는 장치로서, 중앙 통제부(20)의 스트라이크(strike)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한다. 그리고, 볼(ball) 카운터(35)는 도 3b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ball) 숫자를 카운트하는 장치로서, 중앙 통제부(20)의 볼(ball)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한다.
녹색 램프(40)는 도 3c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빛을 발광하는 장치로서, 중앙 통제부(20)의 스트라이크(strike)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적색 램프(45)는 도 3c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빛을 발하는 장치로서, 중앙 통제부(20)의 볼(ball)이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 빛을 발광한다.
음성 전달부(5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는 장치로서, 중앙 통제부(20)의 스트라이크(strike)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녹음된 음성("스트라이크(strike)")을 스피커(60)에 제공하는 반면에, 음성 전달부(50)는 중앙 통제부(20)의 볼(ball)이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녹음된 음성("볼(ball)")을 스피커(60)에 제공한다. 그러면, 스피커(60)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음성 전달부(50)에서 제공되는 녹음된 음성("스트라이크(strike)" 또는 "볼(ball)")을 상기 이용자가 청취하도록 출력한다.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야구 배트를 들고 있는 타자 모습과, 글러브를 이용하여 야구공을 받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포수 모습을 방수 처리시켜 인쇄한 타자 및 포수 인쇄물(11)과, 상술한 타자 및 포수 인쇄물(11)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가로 900mm 세로 1150mm의 전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판 중심에 가로 400mm 세로650mm의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으로 이루어진 전자 투구판(12)과, 상술한 전자 투구판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 완화제(14)와, 상술한 충격 완화제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가로 900mm 세로 1150mm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충격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투구 철판(16)과, 상술한 투구 철판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가로 1290mm 세로 2000mm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투구 감지기를 지지하는 투구 앵글(18)을 포함하는 투구 감지기(10)를 설치한다(단계 401).
상술한 바와 같이, 투구 감지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용자(예로, 야구 투수)가 투구 감지기(10)를 향해 공을 투구한다(단계 402).
투구 감지기(10)내 전자 투구판(12)은 이용자가(예로, 야구 투수)가 투구한 공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지된 투구좌표신호를 중앙 통제부(20)에 제공한다(단계 403).
중앙 통제부(20)는 투구 감지기(10)내 전자 투구판(12)으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 및 볼 존(ball zone)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한다(단계 404).
상기 분석(404) 결과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에 접촉할 경우, 스트라이크 카운터(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카운트 제어신호를 스트라이크 카운터(30)에 제공하면(단계 405), 스트라이크(strike) 카운터(30)는 중앙 통제부(20)의 스트라이크(strike)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한다(단계 406).
이와 동시에, 중앙 통제부(20)는 상기 분석 결과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에 접촉할 경우, 녹색 램프(40)를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 제어신호를 녹색 램프(40)에 제공하면(단계 407), 녹색 램프(40)는 중앙 통제부(20)의 스트라이크(strike)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 빛을 발광한다(단계 408).
이와 동시에, 중앙 통제부(20)는 상기 분석 결과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에 접촉할 경우, 음성 전달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제어신호를 음성 전달부(50)에 제공하면(단계 409), 음성 전달부(50)는 중앙 통제부(20)의 스트라이크(strike)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녹음된 음성("스트라이크(strike)")을 스피커(60)를 통해 이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단계 410).
반면에, 상기 분석(404) 결과 볼 존(ball zone)에 접촉할 경우, 볼 카운터(35)를 동작시키기 위한 카운트 제어신호를 볼 카운터(35)에 제공하면(단계 411), 볼(ball) 카운터(35)는 중앙 통제부(20)의 볼(ball)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한다(단계 412).
이와 동시에, 중앙 통제부(20)는 상기 분석 결과 볼 존(ball zone)에 접촉할 경우, 적색 램프(45)를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 제어신호를 적색 램프(45)에 제공하면(단계 413), 적색 램프(45)는 중앙 통제부(20)의 볼(ball)이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 빛을 발광한다(단계 414).
이와 동시에, 중앙 통제부(20)는 상기 분석 결과 볼 존(ball zone)에 접촉할 경우, 음성 전달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제어신호를 음성 전달부(50)에 제공하면(단계 415), 음성 전달부(50)는 중앙 통제부(20)의 볼(ball)이라는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녹음된 음성("볼(ball)")을 스피커(60)를 통해 이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단계 416).
따라서, 전자 투구판(12)에서 감지되는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 영역 접촉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램프를 발광하거나,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이라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스트라이크 및 볼 횟수를 카운트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이 투구한 투구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자신이 투구한 결과를 수정하면서 투구함에 따라 투구의 정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실물 크기의 전자 투구판에서 감지되는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 영역 접촉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여 램프를 발광하거나, 스트라이크(strike) 및 볼(ball)이라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스트라이크 및 볼 횟수를 카운트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이 투구한 투구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또한 자신이 투구한 결과를 수정하면서 투구함에 따라 투구의 정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용자의 공 투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지된 투구좌표신호를 제공하는 투구 감지기;
    상기 투구 감지기로부터 제공되는 투구좌표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strike)와 볼(ball)의 투구판정결과를 분석하여 카운트 제어신호, 램프 제어신호, 음성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중앙 통제부;
    상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카운트(count)하는 카운터;
    상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램프;
    상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중앙 통제부의 스트라이크(strike)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스트라이크 횟수를 카운트(count)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의 볼(ball)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볼 횟수를 카운트(coun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중앙 통제부의 스트라이크(strike)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 빛을 발광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의 볼(ball) 투구판정결과에 대응하는 램프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전달부는,
    상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가 스트라이크(strike)일 경우, 녹음된 스트라이크(strike)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의 투구판정결과가 볼(ball)일 경우, 녹음된 볼(ball)이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구 감지기는,
    야구 배트를 들고 있는 타자 모습과, 글러브를 이용하여 야구공을 받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포수 모습을 방수 처리시켜 인쇄한 타자 및 포수 인쇄물과;
    상기 타자 및 포수 인쇄물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가로 900mm 세로 1150mm의 전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자판 중심에 가로 400mm 세로 650mm의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으로 이루어진 전자 투구판과;
    상기 전자 투구판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충격을완화시키는 충격 완화제와;
    상기 충격 완화제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가로 900mm 세로 1150mm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이용자가 투구한 공의 충격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투구 철판과;
    상기 투구 철판 뒷면에 설치된 것으로, 가로 1290mm 세로 2000mm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투구 감지기를 지지하는 투구 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KR1020010015590A 2001-03-26 2001-03-26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KR20020075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90A KR20020075952A (ko) 2001-03-26 2001-03-26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90A KR20020075952A (ko) 2001-03-26 2001-03-26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952A true KR20020075952A (ko) 2002-10-09

Family

ID=276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590A KR20020075952A (ko) 2001-03-26 2001-03-26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595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2250A (ko) * 1987-04-30 1988-11-26 도시미쓰 하나부사 포구(捕球) 장치
JPH02257970A (ja) * 1988-12-16 1990-10-18 Pennwalt Corp 衝撃領域検出装置
JPH1147334A (ja) * 1997-07-30 1999-02-23 Taiwan Rita Kofun Yugenkoshi 投球練習装置
KR20010001129U (ko) * 1999-06-25 2001-01-15 신태순 야구연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2250A (ko) * 1987-04-30 1988-11-26 도시미쓰 하나부사 포구(捕球) 장치
JPH02257970A (ja) * 1988-12-16 1990-10-18 Pennwalt Corp 衝撃領域検出装置
JPH1147334A (ja) * 1997-07-30 1999-02-23 Taiwan Rita Kofun Yugenkoshi 投球練習装置
KR20010001129U (ko) * 1999-06-25 2001-01-15 신태순 야구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5384A (en) Player adaptive sports training system
US9061194B2 (en) Mobile, portable, and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9345929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US7094164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US20070105664A1 (en) Racquet with Entertainment and Performance Feedback
EP1926535B1 (en) Training Device
EP3183041B1 (en) Football training apparatus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8979548B2 (en) Training device for ball players and method for the training of different sequences of movement
US20080102991A1 (en) Athlete Reaction Training System
US20050162257A1 (en) System of electronic devices that is designed to assist a football referee
KR101148162B1 (ko) 타격상태 출력 기능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89750A1 (en) Instructing actions of athletes using data from peripherals
WO2005110555A3 (en) Ball with internal impact detector and an indicator to indicate impact
HU222643B1 (hu) Berendezés labdajátékok edzésének, gyakorlásának elżsegítésére
JP2008539847A (ja) パッティング練習補助具
KR20170073123A (ko) 야구 연습 장치,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볼 피칭 제어 방법
CN108159664B (zh) 一种训练用的网球拍
US5069450A (en) Automatic umpire for slow pitch softball
WO2007091416A1 (ja) 不正行為防止機能付きゲーム装置、ゲーム中の不正行為防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20075952A (ko) 야구투수의 투구 연습장치
CN115337622A (zh) 一种用于拳击设备的方法、控制器和系统
KR200278786Y1 (ko) 휴대형 골프스윙 분석장치
US11253769B2 (en) Batting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140162803A1 (en) Training device for ball striking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