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780A -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780A
KR20020075780A KR1020027008747A KR20027008747A KR20020075780A KR 20020075780 A KR20020075780 A KR 20020075780A KR 1020027008747 A KR1020027008747 A KR 1020027008747A KR 20027008747 A KR20027008747 A KR 20027008747A KR 20020075780 A KR20020075780 A KR 2002007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weight
composition
fermentabl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븐포트게리엠.
선볼드그레고리디.
레인하트그레고리에이.
헤이예크마이클지.
Original Assignee
디 아이암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아이암즈 캄파니 filed Critical 디 아이암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7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hydrolysates of wood or stra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5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od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조 단백질 약 10 내지 약 42중량%, 지방 약 4 내지 약 30중량%, 총 식이섬유 약 1 내지 약 25중량% 및 보충 섬유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고양이 및 토끼 등의 동물에게 공급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胃毛球; trichobezoar)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이 제공된다. 보충 섬유원은 총 보충 식이섬유를 약 1 내지 약 13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당해 동물은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동일한 식이로 유지된다.

Description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Process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ecal hair excretion and trichobezoar formation}
본 발명은 모구(hairball)를 형성하기 쉬운 고양이 및 토끼 등의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胃毛球; trichobezoar)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 및 토끼와 같이 끊임 없이 털을 핥는 동물은 정규적으로 다량의 털을 섭취한다. 통상적으로, 섭취된 털은 동물의 위장관을 지나 분변으로 배설된다. 그러나, 털의 다량 섭취로 인해, 털이 위 속에 축적되어 모구 또는 위모구를 형성할 수 있다. 모구는 전형적으로 털, 점액, 물, 음식 부스러기 및 미네랄 염으로 구성된다. 모구가 유문을 차단하고 소화물이 위장관을 따라 내려가는 것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소화 경로를 방해하는 경우, 모구는 동물에 유해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모구는 동물과 그 주인에게 있어 방해물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고양이는 구토 반사를 통해 위로부터 모구를 제거하려 할 것이다. 모구가 위를 지나 장 하부에 머무르게 될 경우, 변비를 일으켜 배변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모구는 옛부터 바셀린 젤리, 광유 및 기타 하제를 식이 처리물 및/또는 보충물에 다양한 형태로 함유시켜 사용하여 처리하여 왔다. 이들 하제 유형의 화합물이 모구 조절에 미치는 효능은 매우 다양하였다. 모구의 형성 및 발생을 조절하고자 시도된 대안으로서는 위장관을 통해 털을 통과시켜 차단 또는 변비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배변을 증가시키는 셀룰로즈 등의 비소화성(불용성) 섬유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식이 또는 식이 보충물의 사용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식이는 분변의 질을 떨어뜨리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는 위장의 건강을 개선시키지 못 한다.
섬유가 동물의 식이에 필요하지 않더라도, 연구된 바에 따르면, 식이내 적당량의 발효성 섬유는 위장관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한 조성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식이섬유는 일반적으로 수분 보유능을 증가시키고 위 공복을 조절하며, 장내 통과 시간을 연장시키고, 장 점막의 구조 형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다량의 고발효성 섬유원은 일반적으로 건식물, 단백질 및 지질의 소화능을 감소시키며, 특히 고양이에게 공급할 경우, 설사 형태의 분변을 일으킬 수 있다[참조: Sunvold G. D. et al., "Dietary fiber for cats: In vitro fermentation of selected fiber sources by cat fecal inoculum and in vivo utilization of diets containing selected fiber sources and their blends," J. Anim. Sci. (1995) 73:2329-2339]. 또한, 불용성 섬유원을 다량으로 공급받은 고양이에게서 변비, 과다한 분변 배설, 영양분 소화능 감퇴 등의 기타 가능한 부작용과 불량한 모피 외관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비트 펄프,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FOS), 감귤류 펄프 및 아라비아 고무와 같은 중간 정도의 발효성(소화성) 섬유원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단쇄 지방산의 생성, 결장 세포의 증식, 피부 및 외피의 질 및 분변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Sunvold G. D. et al(상기 문헌); Drackley J. K. et al, "Energetic substrates for intestinal cells," In: Reinhart G. A. and Carey D. P., eds., Recent Advances in Canine and Feline Nutrition: Volume 2. 1998 Iams Nutrition Symposium Proceedings, Wilmington, OH: Orange Frazer Press, (1998) 463-472; and Kelley, R. et al, "Effect of beet pulp on nutrient digestibility in the feline," J. Anim. Sci. (1998) 76 (Suppl 1): 174]. 그러나, 중간 정도의 발효성 섬유원이 모구 형성 및 분변내 털 배설량에 미치는 효과는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종래 기술의 단점을 나타내지 않는, 고양이 및 토끼 등의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이 당해 기술분야에 필요하다.
본 발명은 고양이 및 토끼 등의 동물에 있어 효과적이고 위장 건강을 개선시키며 기타 위장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상기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관점에 따라, 당해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당해 방법은 조 단백질 약 10 내지 약 42중량%, 지방 약 4 내지 약 30중량%, 총 식이섬유 약 1 내지 약 25중량% 및 보충 섬유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당해 동물에게 공급함을 포함한다.
보충 섬유원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둘 이상의 발효성 섬유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셀룰로즈 에테르와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셀룰로즈 에테르 및 광유와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하나 이상의 비발효성 섬유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보충 섬유원은 총 보충 섬유원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1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2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발효성 섬유"란, 분변성 박테리아에 의해 24시간 동안 발효될 경우, 유기물 소실률이 약 15 내지 약 100%인 섬유원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발효성 섬유의 유기물 소실률은 20% 이상이다. 발효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비트 펄프, 아라비아 고무,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비발효성 섬유"란, 분변성 박테리아에 의해 24시간 동안 발효될 경우, 유기물 소실률이 약 15% 미만인 섬유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광유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와 셀룰로즈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약 6중량%, 아라비아 고무 약 2.0중량% 및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약 1.5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약 6중량%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약 1.5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약 6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약 1.5중량% 및 광유 약 2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약 6중량%와 셀룰로즈 약 6.5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약 12중량%를 포함한다.
당해 동물은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동일한 식이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고양이 및 토끼 등의 동물에 있어 효과적이고 위장 건강을 개선시키며 기타 위장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상기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기타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모구를 형성하기 쉬운 고양이 또는 토끼 등의 동물에게 공급되는 경우, 모구 형성 및 분변내 털 배설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함과 동시에 동물의 위장 건강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구내 단백질을 일부 용해시키거나 털을 장을 통해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파인애플 즙, 건초, 바셀린 및 광유를 사용하는 등의 종래의 모구 처리보다 향상되었다. 본 발명은 동물의 위장관으로부터 모구를 제거하기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피 세포 건강을 개선시키고 장내 박테리아 군락을 조절하는 단쇄 지방산을 생성시킬 수 있는 발효성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위장 건강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수행시 사용되는 발효성 섬유는 특정한 유기물 소실률을 나타낸다. 시험관내 분변성 박테리아에 의해 24시간 동안 발효될 경우, 발효성 섬유의 유기물 소실률(OMD)은 약 15 내지 약 100%이다. 즉, 원래 존재했던 총 유기물의약 15 내지 약 100%가 분변성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고 전환된다. 섬유의 유기물 소실률은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따라서, 시험관내 OMD 비율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1-(OM 잔여량-OM 블랭크/OM 초기량}×100
위의 수학식 1에서,
OM 잔여량은 24시간 발효 후에 회수된 유기물이고,
OM 블랭크는 상응하는 블랭크 튜브(즉, 기질은 없고 배지와 희석된 분변을 함유한 튜브)에서 회수된 유기물이고,
OM 초기량은 발효 이전에 튜브 속에 넣은 유기물이다.
당해 방법에 대한 추가의 세부사항은 문헌[참조: Sunvold et al, J. Anim. Sci. 1995, vol. 73:1099-1109]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발효성 섬유는 대사성 에너지(ME) 1000kcal당 단쇄 지방산(SCFA) 범위가 약 28 내지 약 85mmo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E 1000kcal당 SCFA 범위가 약 42 내지 약 71mmol인 단쇄 지방산을 생성한다. 이는 총 발효성 섬유 함량이 식이 1kg당 SCFA 약 100 내지 약 350mmol인 조성물에 해당한다.
ME 1000kcal당 SCFA(mmol)는 먼저 당해 조성물 1kg당 주어진 식이 조성물의 대사성 에너지의 총 칼로리를 계산함으로써 산출된다. ME 1000kcal당 g수를 1차 계산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이어서, 당해 조성물의 발효성 섬유 성분의 g과 이에 따른 mmol을 계산할 수 있다.
발효성 섬유는 동물에 존재하는 장내 박테리아가 상당량의 SCFA를 생성시키기 위해 발효시킬 수 있는 임의의 섬유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당량"의 SCFA는 24시간 동안 기질 1g당 총 SCFA가 0.5mmol 이상인 양이다. 바람직한 섬유는 비트 펄프, 아라비아 고무, 탈하검, 쌀겨, 구주콩 검, 감귤류 펄프, 감귤류 펙틴,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만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발효성 섬유는 셀룰로즈와 셀룰로즈 에테르와 같은 다른 비소화성 섬유 또는 바셀린 젤리 또는 광유와 같은 하제와 혼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발효성 섬유는 비트 펄프, 아라비아 고무,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셀룰로즈 에테르와의 혼합물은 비트 펄프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셀룰로즈 에테르 및 광유와의 혼합물은 비트 펄프,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광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하나 이상의 비발효성 섬유와의 혼합물은 비트 펄프와 셀룰로즈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충 섬유원은 비트 펄프 6중량%, 아라비아 고무 2.0중량% 및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1.5중량%; 비트 펄프 6중량%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 1.5중량%; 비프 펄트 6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즈 1.5중량% 및 광유 2중량%; 비트 펄트 6중량%와 셀룰로즈 6.5중량%; 및 비트 펄프 12중량%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발효성 섬유는 애완동물 사료 조성물 중에 총 보충 식이섬유를 약 1 내지 약 13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1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2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총 보충 식이섬유"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우선 "총 식이섬유"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총 식이섬유"는 동물의 소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에 내성인 식물성 음식물의 잔여량으로서 정의된다. 총 식이섬유의 주 성분은 셀룰로즈, 헤미셀룰로즈, 펙틴, 리그닌 및 검이다(셀룰로즈 및 리그닌의 일부 형태만을 함유하는 "조 섬유"와는 상반됨). "총 보충 식이섬유"는 식품의 기타 성분 중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임의의 식이섬유 이외에 식품 속에 첨가되는 식이섬유이다. 또한, "섬유원"은 주로 섬유로 구성될 경우의 것을 가리킨다.
당해 동물에게는 상기된 총 보충 식이섬유 약 1 내지 약 13중량%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조 단백질 약 10 내지 약 42중량%, 지방 약 4 내지 약 30중량% 및 총 식이섬유 약 1 내지 약 25중량%를 포함하는 식이가 공급된다. 또한, 기타 비타민, 미네랄 및 영양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발효성 섬유원의 사용은 섭취된 털의 위 및 장내 통과와 이후의 동물 분변을 통한 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모구를 조절하는 데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특정한 이론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증가된 통과율 및 분변 배설량은 털이 동물의 위장관 속에 축적되어 모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발효성 섬유 단독 또는 기타 섬유와의 혼합물과 같은 점성 섬유원은 섭취된 털을 음식물의 입상 물질에 포획하거나 결합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증가된 섬유 수준은 위의 공복을 증가시켜 털이 동물의 분변을 통해 보다 빈번하게 배설되도록 한다. 이렇게 증가된 통과 빈도는 위내 털 축적 및 모구의 만성적인 형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보충 발효성 섬유원의 추가적인 이점은 소화에 적절한 시간을 보장하여 어떠한 영양 결핍도 방지함으로써 전체 소화를 증대시키는 데 있다. 이에 반해, 고양이 식이 중의 유일한 섬유원으로서 불용성 섬유를 사용하면, 영영분 소화능 및 분변 질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공급될 경우에는 피부 및 외피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 실시예를 참조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함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실시예 1
다수의 식이 조성물이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장관에서의 모구 형성 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시험한다. 분변내 털 배설량과 탈모 정도를 평가하여, 식이섬유원이 모구 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잠재적인 효능을 평가한다. 섬유원을 치킨, 가금류 곡물, 분쇄된 옥수수, 사탕수수 알갱이, 계란, 어분, 가금류 지방,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한 각종 식이 매트릭스 속으로 혼입시켜 섬유원을 평가한다. 평가된 섬유원 및/또는 혼합물은 (1) 비트 펄프 6중량%, 아라비아 고무 2.0중량% 및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FOS) 1.5중량%; (2) 비트 펄프 6중량%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 1.5중량%; (3) 비트 펄프 6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즈 1.5중량% 및 광유 2중량%;(4) 비트 펄프 6중량%와 셀룰로즈 6.5중량%; 및 (5) 비트 펄프 12중량%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조군 식이는, 섬유원으로서 첨가된 셀룰로즈 13중량%를 함유한 식이 매트릭스와 비트 펄프 약 4중량%를 함유한 시판 중인 고양이 사료를 포함한다.
상기 5가지 실험 식이와 2가지 대조군 식이를 10주간의 공급 연구 동안 고양이 80마리에게 공급하여 평가한다. 당해 연구는 6주간의 기준선 기간과 4주간의 실험 기간으로 구성된다. 기준선 기간 동안 고양이에게 시판 중인 고양이 사료를 공급하여, 개개 고양이의 기준선 탈모율 및 분변내 털 배설률을 설정한다. 이들 결과를 사용하여 고양이를 8가지 식이에 할당하여, 8가지 식이에 대해 탈모 및 분변내 털 배설량을 표준화한다. 각종 섬유원 및/또는 혼합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은 주관적인 분변 점수(4.0점이 이상적임), 탈모 지수, 습식형 분변, 분변 함수량, 건식형 분변 및 1일 분변내 털 배설량을 토대로 한 것이다.
실험 기간 동안 매주 각각의 고양이로부터 분변 배설물을 수집하여 분변내 털 함량을 평가한다. 각각의 고양이에 대해 혼성된 1주당 샘플을 동결 건조시키고 분쇄한 다음, 일련의 스크린 및 기계식 탭핑을 사용하여 털 성분을 정량적으로 분리한다. 표준화 브러슁 프로토콜을 수행한 후에 생성된 털을 수집하고 중량을 재어 각 고양이의 탈모 지수를 정한다.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1 내지 표 6에 기록되어 있다.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식이 3번을 섭취한 고양이는 4주째까지 탈모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치킨, 가금류용 곡물 가루, 분쇄된 옥수수, 사탕수수 알갱이, 계란, 어분, 가금류 지방, 비타민 및 미네랄을함유한 식이 매트릭스 속에 혼입된 비트 펄프 6%와 셀룰로즈 6%와의 섬유 혼합물에 대해 2차 연구를 실시한다. 비트 펄프를 약 4% 함유한 시판 중인 고양이 사료가 대조군으로 포함된다.
이 결과는 다음의 표 7 내지 표 12에 기록되어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트 펄프 6%와 셀룰로즈 6%를 함유한 식이를 섭취한 고양이는 털 배설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특정한 대표 양태 및 세부사항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며,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수단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2)

  1. 조 단백질 약 10 내지 약 42중량%, 지방 약 4 내지 약 30중량%, 총 식이섬유 약 1 내지 약 25중량% 및 보충 섬유원을 포함하는,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胃毛球; trichobezoar) 형성을 조절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총 보충 식이섬유를 약 1 내지 약 13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총 보충 식이섬유를 약 6 내지 약 12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총 보충 식이섬유를 약 10 내지 약 12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둘 이상의 발효성 섬유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셀룰로즈 에테르와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셀룰로즈 에테르 및 광유와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하나 이상의 비발효성 섬유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발효성 섬유가 비트 펄프, 아라비아 고무,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발효성 섬유의 유기물 소실률이 20% 이상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광유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와 셀룰로즈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약 6중량%, 아라비아 고무 약 2.0중량% 및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약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약 6중량%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약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약 6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약 1.5중량% 및 광유 약 2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약 6중량%와 셀룰로즈 약 6.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약 12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조 단백질 약 10 내지 약 42중량%, 지방 약 4 내지 약 30중량%, 총 식이섬유 약 1 내지 약 25중량% 및 보충 섬유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동물에게 공급함을 포함하는, 동물에서의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총 보충 식이섬유를 약 1 내지 약 13중량%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둘 이상의 발효성 섬유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셀룰로즈 에테르와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 셀룰로즈 에테르 및 광유와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발효성 섬유와 하나 이상의 비발효성 섬유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발효성 섬유가 비트 펄프, 아라비아 고무,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발효성 섬유원이 비트 펄프와 카복시메틸셀룰로즈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광유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보충 섬유원이 비트 펄프와 셀룰로즈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27008747A 2000-01-07 2001-01-05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조성물 KR20020075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9500P 2000-01-07 2000-01-07
US60/175,095 2000-01-07
PCT/US2001/000305 WO2001050881A2 (en) 2000-01-07 2001-01-05 Process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ecal hair excretion and trichobezoar 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80A true KR20020075780A (ko) 2002-10-05

Family

ID=2263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747A KR20020075780A (ko) 2000-01-07 2001-01-05 분변내 털 배설량 및 위모구 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및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4) US6383529B2 (ko)
JP (2) JP2003519639A (ko)
KR (1) KR20020075780A (ko)
CN (1) CN1254191C (ko)
AR (1) AR027508A1 (ko)
AU (1) AU784325B2 (ko)
BR (1) BR0107453B1 (ko)
CA (1) CA2396093C (ko)
EG (1) EG22683A (ko)
HU (1) HUP0204309A3 (ko)
IL (1) IL150598A0 (ko)
MX (1) MXPA02006669A (ko)
NZ (1) NZ520435A (ko)
PL (1) PL356799A1 (ko)
RU (1) RU2250776C2 (ko)
WO (1) WO2001050881A2 (ko)
ZA (1) ZA20020626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38Y1 (ko) * 2008-06-25 2011-06-07 배기성 높이 및 각도가 가변되는 키보드받침대가 결합 된 의자.
KR20210119253A (ko) 2020-03-24 2021-10-05 (주)에이앤바이오 고양이 헤어볼 배출 및 위장관 질환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96093C (en) * 2000-01-07 2009-10-13 The Iams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ecal hair excretion and trichobezoar formation
EP1409711A4 (en) * 2001-03-02 2005-08-10 Iams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AMINO ACID ABSORPTION OF MAMMALS
US20030170371A1 (en) * 2002-01-10 2003-09-11 Cargill, Inc. High fat/fiber composition
US20040097427A1 (en) * 2002-08-13 2004-05-20 The Iams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hairballs
US6841179B2 (en) 2002-11-14 2005-01-11 The Meow Mix Company Pet food compositions comprising electrostatically charged gelatin
US6899904B2 (en) 2002-11-14 2005-05-31 The Meow Mix Company Pet food compositions having electrostatically charged ingredient
US8128956B2 (en) * 2003-09-12 2012-03-06 Mars, Inc. Food product for hairball treatment
MXPA06003073A (es) * 2003-11-03 2006-05-31 Hills Pet Nutrition Inc Composicion de alimento para mascotas recubierto.
US20050118234A1 (en) * 2003-12-01 2005-06-02 The Iams Company Methods and kits related to administration of a fructooligosaccharide
US20050118299A1 (en) * 2003-12-01 2005-06-02 The Iams Company Companion animal compositions comprising short chain oligofructose
WO2007096839A1 (en) * 2006-02-27 2007-08-30 The Iams Company Process for promoting overall health of an animal
AT504440B1 (de) * 2006-11-13 2012-03-15 Neufeld Klaus Ballaststoff
US8047771B2 (en) * 2008-11-17 2011-1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ine nozz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996842B2 (ja) * 2010-08-31 2016-09-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フード
CN104869843A (zh) * 2012-11-15 2015-08-26 希尔氏宠物营养品公司 通过膳食矿物质限制的毛球控制
CA2926752A1 (en) * 2013-10-11 2015-04-16 Unicharm Corporation Pet food
WO2016130981A1 (en) * 2015-02-13 2016-08-18 Mars, Incorporated Pet food feeding system
GB201522304D0 (en) 2015-12-17 2016-02-03 Mars Inc Food product for reducing muscle breakdown
CN111493234A (zh) * 2020-05-09 2020-08-07 乖宝宠物食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促进毛球排除、促进益生菌生长的发酵膳食纤维、制备方法及应用
CN113768057A (zh) * 2021-08-04 2021-12-10 深圳市红瑞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猫用化毛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6569A (en) * 1994-03-28 1997-04-01 The Iams Company Pet food product containing fermentable fibers and process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5656312A (en) * 1994-09-02 1997-08-12 Erasmus; Udo Dietary food supplement and method of preparing
US5965175A (en) * 1997-03-27 1999-10-12 The Iams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partitioning nitrogen and increasing colonic blood flow in dogs to promote intestinal health
US6039952A (en) * 1997-10-22 2000-03-21 The Iams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linical signs in animals with renal disease
US5932258A (en) * 1998-04-06 1999-08-03 The Iams Company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mproving glucose metabolism in companion animals
US6080403A (en) * 1998-06-18 2000-06-27 Star-Kist Foods, Inc. Protease containing hairball remedy and use thereof
CA2396093C (en) * 2000-01-07 2009-10-13 The Iams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ecal hair excretion and trichobezoar 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38Y1 (ko) * 2008-06-25 2011-06-07 배기성 높이 및 각도가 가변되는 키보드받침대가 결합 된 의자.
KR20210119253A (ko) 2020-03-24 2021-10-05 (주)에이앤바이오 고양이 헤어볼 배출 및 위장관 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204309A3 (en) 2003-06-30
AR027508A1 (es) 2003-04-02
JP2003519639A (ja) 2003-06-24
EG22683A (en) 2003-06-30
HU0204309D0 (en) 2003-01-28
US7501137B2 (en) 2009-03-10
BR0107453A (pt) 2002-09-03
US20030091668A1 (en) 2003-05-15
US20020012709A1 (en) 2002-01-31
US7425343B2 (en) 2008-09-16
US20060062828A1 (en) 2006-03-23
WO2001050881A3 (en) 2002-01-10
US20040120987A1 (en) 2004-06-24
NZ520435A (en) 2004-02-27
RU2002120921A (ru) 2004-03-20
WO2001050881A2 (en) 2001-07-19
US6383529B2 (en) 2002-05-07
BR0107453B1 (pt) 2013-12-03
ZA200206267B (en) 2003-11-06
JP2007169289A (ja) 2007-07-05
MXPA02006669A (es) 2003-02-10
HUP0204309A2 (hu) 2003-04-28
JP4932514B2 (ja) 2012-05-16
AU784325B2 (en) 2006-03-09
CA2396093C (en) 2009-10-13
CN1254191C (zh) 2006-05-03
CN1575133A (zh) 2005-02-02
CA2396093A1 (en) 2001-07-19
PL356799A1 (en) 2004-07-12
AU2762801A (en) 2001-07-24
IL150598A0 (en) 2003-02-12
RU2250776C2 (ru)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514B2 (ja) ふん便中の体毛排泄および毛球生成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JP2860264B2 (ja) 発酵性繊維を含むペット動物用飼料及び胃腸障害の治療方法
Wenk The role of dietary fibre in the digestive physiology of the pig
Onifade et al. Comparison of the utilisation of palm kernel meal, brewers' dried grains and maize offal by broiler chicks
US20070202211A1 (en) Anim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nut shell
CN113768057A (zh) 一种猫用化毛膏
US20070202154A1 (en) Process for promoting overall health of an animal
US5958898A (en) Process for altering the function and composition of gut associated lymphoid tissue in an animal
EP1696735B2 (en) Anti-diarrhea composition containing glutamine
Mateos et al. Chapter 3 The importance of the fibre fraction of the feed in non-ruminant diets
Ru et al. Feeding dry sows ad libitum with high fibre diets
Taiwo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use of four protein supplements by West African dwarf (WAD) sheep.
JPH05219896A (ja) 食物繊維入り幼畜用飼料
CN112335792A (zh) 一种可以显著提升仔猪成活率的母猪饲料
Michaiowski Rumen protozoa in the growing domestic ruminant
Aderolu et al. Nutrient digestibility and egg production of laying hens fed graded levels of biodegraded palm kernel meal
Lewis et al. Nonstarch Poly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in Swine Nutrition
Zhu Evaluation of the energetic contribution from gut fermentation in growing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