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844A -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844A
KR20020074844A KR1020010014894A KR20010014894A KR20020074844A KR 20020074844 A KR20020074844 A KR 20020074844A KR 1020010014894 A KR1020010014894 A KR 1020010014894A KR 20010014894 A KR20010014894 A KR 20010014894A KR 20020074844 A KR20020074844 A KR 20020074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ifest
cargo
information
customs
im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1001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844A/ko
Publication of KR2002007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84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또는 선박에 실리는 수출화물이나 수입화물의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출입 화물의 총량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적하목록을 취합하여 세관으로 전송함으로써, 선사 및 항공사의 적하목록 취합 및 세관제출 업무를 대행하고 용선사 및 화물운송주선업자(포워더)의 적하목록 작성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을 취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적하목록 제출의무자인 선사 또는 항공사를 대리하여 세관에 전송하며, 수출입화물의 입출항 및 적하목록 제출부터 세관에서 결과를 받기까지의 각 단계별 화물이 통제 처리되는 상태정보를 DB에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적하목록 자료를 이용하여 보세운송사,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검수회사, 하역회사, 관세사, 은행, 화주 등의 사용자에게 필요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중계함으로써 수출입화물에 관련되는 모든 업무처리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시간 및 비용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TO CONSOLIDATE MANIFEST, AND MEDIA THAT CAN RECORD COMPUTER PROGRAM SOURCES ON THAT METHOD}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해 입출항되는 수출입화물의 적하목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을 취합하여 선사 또는 항공사를 대신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세관으로 전송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세관 전송문서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로 축적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보세운송사,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검수회사, 하역회사, 관세사, 은행, 화주 등의 다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하목록이란 수출입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나 항공기에 적재된 화물의 총괄목록으로서 하선(하기)의 각 단계별로 화물의 총량관리를 위하여 최초로 생성된 화물정보이며, 화물정보의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기까지 수출입화물관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중요문서이다.
이러한 적하목록은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며, 수출입화물 입항단계에서 통관단계에 이르기까지 최초의 수출입화물 총량이 중간과정에서 불법 유출됨이 없이 적법하게 통관되어 화주에게 인도되는지를 감시, 단속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세관에서 수출입화물에 대한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선박 또는 항공기 입항시 최초 수입화물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또 최초 확정된 화물총량이 하선, 운송, 보관, 통관의 절차로 이행될 때 화물에 대한 각 단계별 수량 및 중량 점검 및 그에 따른 상호총량을 비교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에서는 서류에 의한 B/L(선하증권)에 의존하는 관리체계로서, 하선단계 후의 화물관리가 선하증권(B/L)에 의한 개별화물정보(House B/L) 단위로 분산 처리되므로 이전단계의 화물총량과 현단계의 화물총량을 상호 비교하거나 확인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수출입화물이 최초 입항(출항)에서 최종 화주에 인도되기까지 각 단계별 처리과정이 다량의 서류에 의해 세관으로 신고되고 처리되므로 사람에 의한 육안 분류작업 및 확인작업 등으로 인해 정확한 화물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게다가 과거의 화물관리체계에 있어서는 밀수 및 우범의 우려가 있는 요주의 관리대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감시업무, 선별이 매우 어려웠으며, 화물의 수출입신고와 신고된 후의 선적확인이 불가능하였고, 화물의 하역작업 후 보세장치장, 보세운송사의 화물관리가 일련의 흐름속에 관리되지 않아 실물관리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종전의 세관 화물관리절차는 세관의 편의에 따라 법의 취지와는 다르게 운영되었으며 그 내용도 매우 복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을 취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적하목록 제출의무자인 선사 또는 항공사를 대리하여 세관에 전송하며, 수출입화물의 입출항 및 적하목록 제출부터 세관에서 결과를 받기까지의 각 단계별 화물이 통제 처리되는 상태정보를 DB에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적하목록 자료를 이용하여 보세운송사,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검수회사, 하역회사, 관세사, 은행, 화주 등의 사용자에게 필요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중계함으로써, 적하화물을 최초 입출항시부터 화주에 인도되기까지의 각 단계별로 정확하게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적하목록취합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 및 세관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전자문서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결과 및/또는 적하목록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적하목록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며 상기 적하목록 제출정보 및 세관에서 전송된 세관응답문서를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는 적하목록 취합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의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 및 세관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전자문서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결과 및/또는 적하목록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적하목록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며 상기 적하목록 제출정보 및 세관에서 전송된 세관응답문서를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는 적하목록 취합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 검색요청신호에 반응해서 상기 적하목록 DB 상에 등록된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제출상태정보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처리상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요청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의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은 상기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 간의 온라인 접속 및 메시지 송수신 및 문서변환을 지원하는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과,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항공화물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항공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과,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해상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해상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다가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수입화물 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 마스터 B/L 처리모듈과, 및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 하우스 B/L 처리모듈로 이루어지고, 게다가 상기 취합된 항공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항공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항공 적하목록을 판독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세관문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각 선사들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B/L정보에 대한 선사 전송 메시지 및 각 포워더들로부터 전송되는 하우스 B/L정보에 대한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해상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다가 상기 취합된 해상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선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해상 적하목록을 판독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해상세관문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정보 제공서버는,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추출하고,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로 관리대상 화물선별이 완료되는지를 체크하여 마스터/하우스 B/L 건별 화물정보 및 상기 추출된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상기 중계서버로 송신하여 해당 무역업체로의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하는 수입화물 도착통지 처리모듈과, 및/또는 보세운송업자에 의해 선택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에 대하여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정보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세관에서의 심사결과를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하는 보세운송 처리모듈과, 및/또는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화물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를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하는 보세구역 화물 반출입처리모듈과, 및/또는 화물의 이상유무 확인을 위해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요청 및 등록된 화물검수에 필요한 검수예정목록의 입항일자별 및 항구별 조회를 지원하고, 검수회사로부터 전송된 마스터/하우스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으로부터의 검수결과 접수통보정보에 따라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여 화물의 이상 유/무 검수를 위한 적하목록 정보 송수신을 지원하는 검수처리모듈과, 및/또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의 조회를 지원하는 하역처리모듈과, 및/또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화물정보를 조회 및 제공하는 입항전 수입신고 처리모듈과, 및/또는 무역업체(수출)의 어음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 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업무를 지원하는 무서류네고 처리모듈과, 및/또는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 제공하여 MFCS(적하목록취합시스템)로 조회를 위한 전송을 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하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 처리모듈을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중계서버는,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보세운송사 또는 보세장치장 또는 화주 또는 관세사들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로의 문서 전송 및/또는 자료 검색을 선택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유형별 온라인 접속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라 해당 온라인 접속모듈을 선택적으로 링크시키는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과, 선사나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의 취합 또는 세관전송문서의 송신 및 세관응답문서의 수신을 위해 일정한 포맷(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의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하는 메시지 중계모듈과,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에서 전송된 일정한 포맷의 문서를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필요로 하는 파일형태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전송된 파일을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역변환하는 문서 변환모듈과,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또는 다른 정보통신수단으로의 적하목록 정보의 전송을 인터페이스하는 팩스/이메일 전송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온-라인 접속 가능한 중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자문서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수출입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 또는 해상 수출입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적하목록 정보 생성주체로 송신하는 적하목록 취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의 적하목록 취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일 실시예로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라 적하목록 정보와 관련된 문서 전송 및/또는 자료 검색을 지원하는 다수의 사용자 유형별 온라인 처리모듈을 선택적으로 링크시키는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에서의 사용자 유형 판단 결과, 사용자 유형이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 임이 확인되면 상기 입출항 보고단계 또는 적하목록 취합단계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로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은,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에서의 사용자 유형 판단 결과, 사용자 유형이 보세운송사, 보세구역, 하역회사, 검수회사, 무역업체, 관세사, 은행 등 임이 확인되면, 보세운송사, 보세구역, 하역회사, 검수회사, 무역업체, 관세사, 은행 등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하목록 정보 검색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적하목록 DB를 검색하고, 상기 적하목록 DB 상에 등록된 각종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 제출상태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상태 검색결과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와, 및/또는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항공사나 선사 또는 그들을 보조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과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의 문서변환 및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각각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해 또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방법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해상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상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다수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실시예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단계를 각각 더 포함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방법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정보 제공단계는,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로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 관리대상 화물선별작업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된 해당 수입화물에 대해서는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해당 적하목록 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무역업체로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및/또는 보세운송업자에의해 선택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에 대하여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정보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세관에서의 심사결과를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하는 단계와, 및/또는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화물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를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검수회사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등록된 화물의 검수에 필요한 입항일자별 및 항구별 검수예정목록을 조회하고, 검수회사로부터 전송된 마스터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으로부터의 검수결과 접수통보정보에 따라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는 단계와, 및/또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의 조회를 지원하는 단계와, 및/또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정보를 조회 및 제공하는 단계와, 및/또는 무역업체(수출)의 어음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OPEN ACCOUNT)업무를 지원하는 단계와, 및/또는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 제공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 사이에서 처리하는 다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 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 입출항 보고문서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화물에 대한 마스터 B/L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사 쿼리에 의한 결과문서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화물에 대한 하우스 B/L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화물에 대한 하우스 B/L 배치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포워더 쿼리에 의한 결과문서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화물에 대한 세관 응답문서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화물에 대한 세관 전송문서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7c는 본 발명에서 지정된 시스템으로 세관전송문서를 전송하는 절차를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해상화물에 대한 제 1형식(MFCS 표준문서) 마스터/하우스 B/L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해상화물에 대한 제 2형식(UN/EDIFACT) 마스터/하우스 B/L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 수출화물 적하목록 처리절차를 예시한 흐름도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 수입화물 적하목록 처리절차를 예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통신 네트워크 100 :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10 : 적하목록 취합서버 111 :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
112 :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 113 :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
114 :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 120 : 정보제공서버
121 : 수입화물 도착통지 처리모듈 122 : 보세운송 처리모듈
123 : 보세구역 화물 반출입 처리모듈
124 : 검수 처리모듈 125 : 하역 처리모듈
126 : 입항전 수입신고 처리모듈 127 : 무서류네고 처리모듈
128 : L/G 및 D/O 업무 처리모듈 130 :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
131 : 항공 적하목록 DB 132 : 해상 적하목록 DB
140 : 중계서버 141 :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
142 : 메시지 중계모듈 143 : 문서 변환모듈
144 : 팩스/이메일 전송 인터페이스 모듈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제시될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Manifest Consolidate System; MFCS)은, 웹 문서의 편집 및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탑재한 하나 이상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본 발명의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탑재한 서버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 및 중계서버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안한다.
또, 상기 본 발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하목록 취합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짜여진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에 관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램)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다른 컴퓨터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써 저장될 수 있다.
또,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항공기나 선박을 통해 국내에 수입되거나 또는 국외로 수출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방법 및 그를 지원하도록 구현되는 시스템의 경우를 단지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육로를 이용하는 수출입화물의 적하목록에 대한 경우에서 본 발명이 제외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각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될 용어들을 미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적하록목"은 운송수단(선박, 항공기)에 적재된 수출입화물의 총괄목록으로서 하선, 운송, 보관, 통관의 각 단계별로 화물의 총량관리를 위하여 최초로 생성된 화물정보를 의미하고, "선사"는 정기적으로 정해진 항구와 항구간에 선박을 운항하고 운임을 받는 대가로 화물운송을 위한 선복(선박의 공간)을 제공해 주는 업체를 의미하고, "포워더"는 화물의 선적과정에서 화주와 선사(또는 항공사) 사이에서 화물의 주인을 대리하여 운송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화물운송 중개업자를 의미하고, "선하증권(B/L)"은 화물을 선적했다는 것 또는 선적을 위해 인수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양하시에 화물을 인도하기로 약정한 유가증권을 의미하고, "마스터(MASTER) B/L(또는 마스터 데이터)"은 항공사나 선사가 발행하는 B/L(또는 데이터)을 의미하고, "하우스(HOUSE) B/L(또는 하우스 데이터)"은 포워더가 발행하는 B/L(또는 데이터)을 의미하고, "보세구역"은 수입화물을 단속하기 위해 관세가 유보된 상태에서 세관당국이 감독하는 지역으로서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보세공장, 보세판매장, 보세건설장 등을 의미하고, "검수회사"는 화물을 선적하거나 양륙할 때 현장에 입회하여 화물의 개수, 형태 등을 검사 대조하여 증명하는 업체를 의미하고, "보세운송사"는 내륙항구와 항구간 또는 내륙 보세구역간에 보세화물을 운송하는 업체를 의미하고, "입력대행센터(또는 입력대행소)"는 적하목록의 제공의무가 있는 영세한 포워더를 대신하여 적하목록을 입력하는 대행센터를 의미하며, "메시지 중계모듈"은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취합시스템과 선사, 항공사, 포워더, 보세장치장, 보세운송사, 세관 등 사용자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돕기 위하여 구축된 메일 중계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 사이에서 처리하는 다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100)은 전체적으로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나 입력대행센터 등의 다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항공기 또는 선박의 운항정보 및 송수하인 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터 적하목록 및 하우스 적하목록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적하목록을 항공사나 선사를 대신하여 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형태로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40)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되는 응답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들이 요청하는 필요 정보들을 제공한다. 즉, 검수회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검수예정목록자료를, 하역업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분류작업지시서 및 하선신고서 자료를, 보세구역(보세장치장)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반입예정정보를, 보세운송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세운송예정목록자료를, 무역업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팩스 또는 이메일을 이용한 수입화물 도착통지자료를, 관세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물정보 조회자료를, 은행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신용장 정보 등을 각각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100)은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 및 세관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10)들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6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적하목록 취합서버(110)와 정보제공서버(120)와 적하목록 DB(130)와 중계서버(140)를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110)는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111)과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과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과 수입화물배정처리모듈(114)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적하목록 취합서버(110)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가 수신되면 적하목록 관리번호,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 하우스 B/L 일련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화물관리번호를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 각각에 해당 화물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하고, 상기 고유의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적하목록을 취합하여 적하목록 데이터 베이스(130)를 구축하여 항공화물 및 해상화물에 대한 자료를 축적한다. 그리고 상기 항공사 또는 선사들에 의한 적하목록 세관전송명령에 따라 그들을 대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상기 축적된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하며, 또는 세관에서 전송된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 및/또는 적하목록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적하목록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고, 상기 적하목록 제출정보 및 세관에서 전송된 세관응답문서를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130)에 축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130)는 항공 적하목록 DB(131)와 해상 적하목록 DB(132)로 각각 구출될 수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사용자 관리를 위한 DB와 수입화물 배정관리를 위한 DB와 장치장 등록을 위한 DB와 화주별 장치장등록 및 수입화물 도착통지를 위한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등록을 위한 DB를 더 포함하여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항공기 편명에 대하여 다수개의 항공 적하목록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갖고 상기 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하우스 데이터를 갖는다. 또한 특정일자의 유일한 편명에대한 관리를 위한 적하목록관리번호 테이블과, 항공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항공기 운항정보 테이블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 테이블과,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하우스 송/수하인정보 테이블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132)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 모선명에 대하여 다수개의 해상 적하목록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갖고 상기 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하우스 데이터를 갖는다. 또한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 모선명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해상수입 적하목록 공통정보 테이블과, 선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의 각 선사별 운항정보 전송 테이블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 테이블과,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하우스 송/수하인정보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111)은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한다.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은 항공 마스터 B/L 처리모듈과 항공 하우스 B/L 처리모듈과 항공세관문서 처리모듈(이들 다수의 세부 모듈들은 도면 표기를 생략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은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항공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40)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항공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항공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항공 적하목록 DB(131)를 구축한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은 해상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모듈과 해상세관문서 처리모듈(이들 세부모듈들은 도면 표기를 생략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은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해상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40)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해상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해상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해상 적하목록 DB(132)를 구축한다.
상기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은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수입화물 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각각 구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은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수신 적하목록의 보세창고 배정정보 유/무를 체크하여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된 적하목록에 대해서는 상기체크된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고,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하목록에 대해서는 수하인 코드값 및 항공 적하목록 DB(131)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항공 마스터 B/L 처리모듈은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항공사 전송 메시지는 각 메시지가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어 매 분리메시지마다 새로운 세션 개방에 의해 전송되며, 항공기의 운항정보(FFM)와 마스터 B/L정보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FWB, FSB, CIR)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항공 하우스 B/L 처리모듈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저장한다.
상기 항공 세관문서 처리모듈은 상기 취합된 항공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항공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저장된 항공 적하목록을 판독하여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상기 중계서버(140)로부터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저장한다.
상기 해상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모듈은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각 선사들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B/L정보에 대한 선사 전송 메시지, 및 각 포워더들로부터 전송되는 하우스 B/L정보에 대한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선사 전송 메시지는 각 메시지가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어 매 분리메시지마다 새로운 세션 개방에 의해 전송된다.
상기 해상 세관문서 처리모듈은 상기 취합된 해상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선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저장된 해상 적하목록을 판독하여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상기 중계서버(140)로부터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 제공서버(120)는 수입화물 도착통지 처리모듈(121)과 보세운송 처리모듈(122)과 보세구역 화물 반출입처리모듈(123)과 검수처리모듈(124)과 하역처리모듈(125)과 입항전 수입신고 처리모듈(126)과 무서류네고 처리모듈(127)과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 처리모듈(128)중의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정보 제공서버(120)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60)를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적하목록정보 검색요청신호에 반응해서 상기 적하목록 DB(130) 상에 등록된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제출상태정보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처리상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중계서버(14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60)로 송신하여 상기 검색 요청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수입화물 도착통지 처리모듈(121)은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추출하고,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로 관리대상 화물선별이 완료되는지를 체크하여 마스터/하우스 B/L 건별 화물정보 및 상기 추출된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해당 무역업체로 송신하여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한다.
상기 보세운송 처리모듈(122)은 보세운송업자의 요청에 따라 보세운송 예정목록자료를 제공하며, 상기 보세운송 예정목록자료중에서 보세운송업자에 의해 선택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에 대하여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정보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세관에서의 심사결과를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한다.
상기 보세구역 화물 반출입처리모듈(123)은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화물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를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한다.
상기 검수처리모듈(124)은 화물의 이상유무 확인을 위해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요청 및 등록된 화물검수에 필요한 검수예정목록의 입항일자별 및 항구별 조회를 지원하고, 검수회사로부터 전송된 마스터/하우스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으로부터의 검수결과 접수통보정보에 따라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여 화물의 이상 유/무 검수를 위한 적하목록 정보 송수신을 지원한다.
상기 하역처리모듈(125)은 하역업자의 요청에 따라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의 조회를 지원한다.
상기 입항전 수입신고 처리모듈(126)은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화물정보의 조회를 지원하고 해당 화물정보의 사전분류결과를 제공한다.
상기 무서류네고 처리모듈(127)은 무역업체(수출)의 신용장(L/G) 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의 조회를 지원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 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의 조회를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업무를 지원한다.
상기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 처리모듈(128)은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 제공하여 MFCS(적하목록취합시스템)로 조회를 위한 전송을 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한다. 이때 상기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 처리모듈은 해당화물 운송대금 지불조건이 선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실화주인 경우 즉시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고, 또는 선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은행인 경우 화물선취보증 확인 후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고, 또는 후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실화주인 경우 운임 회수 후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고, 또는 후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은행인 경우 화물선취보증 확인 및 운임 회수 후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한다.
상기 중계서버(140)는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141)과 메시지 중계모듈(142)과 문서 변환모듈(143)과 팩스/이메일 전송 인터페이스모듈(14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중계서버(140)는 항공사들에 대한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 또는 선사 및 포워더에 대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온라인 접속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메시지 송수신 중계 및 문서변환을 위한 수단들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항공사나 선사 또는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 간의 온라인 접속 및 메시지 송수신 및 문서변환을 지원한다.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141)은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보세운송사 또는 보세장치장 또는 화주 또는 관세사들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로의 문서 전송 및/또는 자료 검색을 선택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유형별 온라인 접속모듈(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용, 포워더용, 보세운송사용, 보세장치장용, 화주용, 관세사용 등)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한 후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접속모듈을 선택적으로 링크시킨다.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은 선사나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의 취합 또는 세관전송문서의 송신 및 세관응답문서의 수신을 위해 일정한 포맷(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의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한다.
상기 문서 변환모듈(143)은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에서 전송된 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를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필요로 하는 파일형태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전송된 파일을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역변환한다.
상기 팩스/이메일 전송 인터페이스모듈(144)은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또는 다른 정보통신수단으로의 적하목록 정보의 전송을 인터페이스한다.
도 3a에서 도 9b까지는 상기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적하목록 정보 취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세스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적하목록 정보와 관련된 문서 전송 및/또는 자료 검색을 지원하는 다수의 사용자 유형별 온라인 처리모듈을 선택적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링크시키는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접속된 외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 송신 처리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단계와, 상기 온라인 접속된 외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항공 수출입 화물 또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가 수신되면 적하목록 관리번호,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 하우스 B/L 일련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화물관리번호를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 각각에 해당 화물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하고 상기 고유의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적하목록을 각각 취합하여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130)를 구축하고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적하목록 정보 생성주체로 송신하는 적하목록 취합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접속된 외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보세운송사, 보세구역, 하역회사, 검수회사, 무역업체, 관세사, 은행 등에 관련된 적하목록 정보 검색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적하목록 DB(130)를 검색하고, 상기 적하목록 DB(130) 상에 등록된 각종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 제출상태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상태 검색결과를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와,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항공사나 선사 또는 그들을 보조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과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의 문서변환 및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단계 중에서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접속요청에 따라 우선 실행되는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도 3b참조)와, 사용자 식별정보 확인여부 및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출항 보고 처리단계(도 4참조) 및/또는 적하목록 취합단계(도 5a 내지 도 9b 참조) 또는 정보제공단계(도면에서는 표기를 생략함) 또는 인터페이스 처리단계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로서, 도 3b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는 통신 네트워크(PSDN, 또는 인터넷, 또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반이 되는 전용선)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311, S312)와,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S313, S314)와,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적하목록 정보와 관련된 문서 전송 및/또는 자료 검색을 지원하는 다수의 사용자 유형별 온라인 접속모듈을 선택적으로 링크시키는 단계(S3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은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에서의 사용자 유형 판단 결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사용자 임이 확인되면 상기 입출항 보고단계 및/또는 적하목록 취합단계를, 또는 그 외의 사용자 임이 확인되면 정보제공단계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방법에서의 항공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로서, 도 4에 의하면 상기 항공기에 대한 입출항 보고 처리단계는, 프로세스 기동과 함께 상기 항공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전송되는 항공기의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411, S412)와, 문서의 수신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된 문서를 하나의 문서로 재조합하여 파싱큐에 삽입하는 단계(S413)와, 상기 수신된 문서의 유형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파서를 기동하여 세관전송용 파일을 생성하여 중계서버의 문서 변환모듈 및 메시지 중계모듈을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S4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관으로부터 중계서버의 메시지 중계모듈 및 문서 변환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스캔하여 기 정의된 형식의 문서(도면에서는 MFCS GD 표준 응답문서를 예시하고 있음)로 변환하는 단계(S421, S422)와, 상기 변환된 세관응답문서를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도면상의 항공사)로의 송신 처리하는 단계(S423)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동작을 보면 상기 도 4의 프로세스 흐름도에서 항공 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것이 항공기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동작의 경우와 다르므로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 처리단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131)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항공 적하목록 취합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해상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상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132)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해상 적하목록 취합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5a 내지 도 9b에는 이러한 항공 적하목록 취합단계 및 해상 적하목록 취합단계의 각 처리단계별 상세한 프로세스 흐름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단계 및 해상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 수출화물 및 항공 수입화물 또는 해상 수출화물 및 해상 수입화물 각각에 대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단계 및 해상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 처리절차 및 쿼리(Query) 전송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도면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에서의 항공화물에 대한 마스터 B/L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의 항공 마스터 B/L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항공사 쿼리에 의한 결과문서 전송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상기 항공화물에 대한 마스터 B/L 처리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마스터 B/L정보 전송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마스터 B/L 정보 수신 프로세스를 기동하는 단계(S511, S512)와, 상기 기동된 프로세스에 의해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513)와, 상기 저장된 수신문서를 하나의 문서로 재조합하여 파싱큐에 삽입하는 단계(S514)와, 상기 재조합된 문서의 유형에 따라 해당 파서를 기동하여 문서를 파싱하고 파싱된 정보를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삽입하는 단계(S515, S516)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로써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131)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5a의 항공 마스터 B/L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항공사 쿼리의 처리는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로부터 쿼리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쿼리가 수신되면 항공 적하목록 DB(131)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쿼리에 대한 결과문서를 작성하는 단계(S521, S522)와, 상기 작성된 결과문서를 파싱큐에 삽입하여 상기 수신 쿼리를 띄운 해당 항공사로 결과문서를 전송하는 단계(S523, S52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 네트워크 및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 처리절차와배치전송 및 쿼리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도면으로서, 도 6a는 항공화물에 대한 하우스 B/L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6b는 항공화물에 대한 하우스 B/L 배치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서 포워더 쿼리에 의한 결과문서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상기 항공화물에 대한 하우스 B/L 처리는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포워더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우스 B/L정보 전송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하우스 B/L 정보 수신 프로세스를 기동하는 단계(S611, S612)와, 상기 기동된 프로세스에 의해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613)와, 상기 수신된 문서가 수출 하우스 B/L에 관한 것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문서를 복사하여 배치전송용 문서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배치전송용 문서를 해당 문서 저장위치에 저장하는 단계(S614, S615)와, 상기 저장된 수신문서를 송수신식별자(UNB)단위로 분리하여 파싱하는 단계(S616)와, 상기 파싱된 정보를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삽입하는 단계(S617)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로써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131)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6a의 항공 하우스 B/L 처리과정에서 생성된 배치 전송문서의 처리는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배치전송용 복사문서 저장위치를 스캔하여 상기 포워더가 대리하는 해당 항공사의 문서 형식으로 상기 배치전송용 복사문서를 변환하는 단계(S621, S622)와, 상기 포워더가 대리하는 해당 항공사의 배치전송문서 생성위치에 해당 문서를 저장하는 단계(S623)와,상기 포워더가 대리하는 해당 항공사 시스템으로 상기 문서를 배치전송하는 단계(S62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도 6a의 항공 하우스 B/L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포워더 쿼리의 처리는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워더가 대리하는 해당 항공사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쿼리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쿼리가 수신되면 항공 적하목록 DB(131)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쿼리에 대한 결과문서를 작성하는 단계(S631, S632)와, 상기 작성된 결과문서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수신 쿼리를 띄운 해당 항공사를 목적지로 하는 결과문서를 전송하는 단계(S633)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서 세관전송문서 또는 세관응답문서를 중계서버를 통해 송수신하는 절차 및 필요에 따라 미리 지정된 하나의 외부 시스템(도면에서는 한국통신으로 전송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음)으로 상기 세관전송문서를 전송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도면으로서, 도 7a는 세관응답문서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7b는 항공화물에 대한 세관전송문서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에서 지정된 시스템으로 세관전송문서를 전송하는 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상기 세관응답문서를 중계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절차는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서버의 메시지 중계모듈 및 문서변환모듈을 통해 세관응답문서의 전송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기 정의된 형식의 문서를 수신(도면에서는 SAM (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형식문서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하여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S711, S712)와, 상기 파일형태의 세관응답문서를 해당 문서 저장위치에 저장하는 단계(S713)와, 상기 저장된 세관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항공 적하목록 DB(131)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저장하거나 또는 DB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1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관전송문서를 중계서버를 통해 송신하는 절차는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 또는 선사(도면에서는 항공사에 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로부터 세관전송키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세관으로 전송할 항공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의 수출 또는 수입 적하목록을 기정의된 형식의 문서로 생성(도면에서는 SAM 형식문서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하는 단계(S721, S722)와, 상기 생성된 기정의된 형식문서의 복사본을 생성하여 해당 복사본 저장위치에 저장하는 단계(S723)와, 상기 생성된 기정의된 형식문서를 세관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중계서버의 문서변환모듈 및 메시지 중계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72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관전송문서의 백업을 위해 필요에 따라 미리 지정된 하나의 외부 시스템(도면에서는 한국통신으로 전송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음)으로 상기 세관전송문서를 전송하는 절차는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세관전송문서 복사본 저장위치를 스캔하여 상기 해당 문서를 역파싱하고 그것을 외부 시스템에 지정된 문서형식에 맞게 재생성하는 단계(S731, S732)와, 상기 재생성된 문서를 외부 시스템 전송문서 저장위치에 저장하는 단계(S733)와, 상기 외부 시스템 전송문서 저장위치에 저장된 전송문서를 상기 외부시스템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73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a와 도 8b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제 1형식의 MFCS 표준문서 또는 제 2형식의 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의 선사 전송 메시지 또는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 처리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도면으로서, 도 8a는 제 1형식(MFCS 표준문서)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8b는 제 2형식(UN/EDIFACT문서)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동작을 예시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상기 제 1형식(MFCS 표준문서) 마스터/하우스 B/L 처리절차는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도면상의 제 1사용자)로부터 중계서버의 메시지 중계모듈을 통해 MFCS 표준문서 전송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문서 수신 프로세스 기동과 함께 메시지 중계모듈로부터 MFCS 표준문서를 수신하는 단계(S811, S812)와, 상기 수신된 문서를 UNB(송수신식별자) 단위로 분리하고 통합 적하목록문서와 그 이외의 문서로 구분하여 각각 파싱하는 단계(S813)와, 상기 파싱된 각각의 문서를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거나 또는 DB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81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MFCS 표준문서를 사용하는 선사나 포워더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화물의 마스터 B/L정보나 하우스 B/L정보를 수신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형식(UN/EDIFACT문서) 마스터/하우스 B/L 처리절차는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도면상의 제 2사용자)로부터 중계서버의 메시지 중계모듈 및 문서변환모듈을 통해 문서 전송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문서 수신 프로세스 기동과 함께 문서변환모듈로부터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문서를 수신하는 단계(S821, S822)와, 상기 수신된 문서를 UNB(송수신식별자) 단위로 분리하여 파싱하는 단계(S823)와, 상기 파싱된 문서를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저장하거나 또는 DB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82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를 사용하는 선사나 포워더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화물의 마스터 B/L정보나 하우스 B/L정보를 수신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항공 수출화물 및 항공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 및 그 처리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9a는 항공 수출화물 적하목록 처리절차를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9b는 항공 수입화물 적하목록 처리절차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항공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절차는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마스터 적하목록 및 하우스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마감단계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2차 전송 및 해당 전송데이터로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세관으로부터 상기 2차 전송 데이터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의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131)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 또는 해당 항공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접수통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항공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절차는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131)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취합된 수입화물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접수마감단계와, 상기 접수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1차 세관전송을 위한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해당 항공기 입항시까지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보완 요청되는 미취합된 적하목록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보완 입력분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보완 마감단계와, 상기 보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 2차 세관전송을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분류작업 및 코드화작업 완료된 보완 입력분의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및 그에 따른 작업 지시서 및 반입지시서)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131)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는 선별 마감단계와, 상기 선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창고배정 분류작업 완료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되면 해당 수입화물 화주(수입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화물 도착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분류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류 마감상태에서 화물의 하기 작업(화물을 운송수단으로부터 내리는 작업) 후 하기화물의 이상여부를 체크하여 하기 이상이 확인되면 하기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하기결과 이상보고에 대한 접수통보여부를 수신하여 하기결과 이상보고를 수정한 후 그 수정된 정보를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보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해상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절차는 도면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사에서 지정한 선박출항시간을 기준으로 세관 제출 기한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수정요청된 데이터를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제출중 단계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선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를 수신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 마감단계와, 상기 접수 마감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 수신된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거나 또는 해당 선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심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절차는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수하인 코드화 작업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 기준 일정시간 이전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단계와, 상기 수신 대기중에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1차 오류통보된 적하목록의 수정 데이터 또는 보완 입력분의 미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고, 해당 수입화물 화주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화물 도착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선별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공 및 해상 적하목록에 대한 수입화물 배정절차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수신 적하목록의 보세창고 배정정보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된 적하목록에 대해서 상기 체크된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고,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하목록에 대해서 수하인 코드값 및 항공 적하목록 DB(131)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온라인 접속되는 사용자 식별정보의 확인 결과에 따라 적하목록 DB의 취합 및 검색 요청된 정보 제공이 가능한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 도는 입력대행센터, 그리고 단지 적하목록 DB의 일부 검색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보세운송사,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검수회사, 하역회사, 관세사, 은행, 화주 등으로 분리되는 사용자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로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 관리대상 화물선별작업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된 해당 수입화물에 대해서는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해당 적하목록 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무역업체로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보세운송사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보세운송업자에 의해 선택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에 대하여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정보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세관에서의 심사결과를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 또는 보세구역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화물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를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검수회사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검수회사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등록된 화물의 검수에 필요한 입항일자별 및 항구별 검수예정목록을 조회하고, 검수회사로부터 전송된 마스터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으로부터의 검수결과 접수통보정보에 따라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하역업체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의 조회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관세사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정보를 조회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무역업체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무역업체(수출)의 어음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 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OPEN ACCOUNT)업무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인된 사용자 유형이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 발급은행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 제공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선사, 항공사, 포워더 등 정보생성 주체별로 분리하여 화물명세(적하목록)를 기재토록 하되, Master B/L 단위의 적하목록은 선사가 또는 항공사가 작성하고 House B/L 단위의 적하목록은 복합운송주선업체(포워더)가 작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작성된 적하목록은 적하목록관리번호(MRN), MASTER B/L일련번호(MSN), HOUSE B/L일련번호(HSN)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고유의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최종적으로 취합되어 적하목록 DB에 축적되고, 상기 축적된 적하목록을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가 선사 또는 항공사를 대신해 세관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는 선사, 항공사 및 포워더가 전송한 각각의 적하목록을 하나로 취합하여 운항 선사 또는 항공사의 처리(세관전송키를 입력하는 절차)에 의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적하목록을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세관 전송후 처리된 결과(세관응답문서)를 받아 적하목록 DB에 반영한다. 이에 따라 적하목록 DB의 축적 정보를 이용하여 적하목록 취합서버 및 정보제공서버가 적하목록의 제출상태, 세관의 처리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가 처리하는 기능들은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 각각의 적하목록을 취합하도록 구성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과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 각각 처리된다.
다음에서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에 의해 이루어지는 항공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 및 세관전송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항공사, 포워더, 입력센터(입력대행소)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을 수신하여 가공 처리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항공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데이터를 축적하며, 상기 축적된 항공 적하목록으로부터 세관 전송문서를 생성하여 세관에 전송하며, 세관에서의 처리결과(세관응답문서)를 역으로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반영함으로서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의 취합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항공 적하목록 DB에 축적되는 모든 적하목록 데이터는 항공사 전송 메시지와 포워더 전송 메시지 및 입력센터 전송 메시지에 의해 생성되며 항공사를 대신해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 세관으로 전송되어지고 다시 세관에서 처리된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축적된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에 반영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축적된 항공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는 이후 정보제공서버에 의해 보세운송사,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검수회사, 하역회사, 관세사, 은행, 화주 등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요 데이터로 제공된다.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항공 마스터 B/L 처리모듈과 항공 하우스 B/L 처리모듈을 통해 항공사 및 포워더가 항공기에 적재된 항공부문 수출입화물의 목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각각 취합하고 항공 세관문서 처리모듈을 통해 세관에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항공 적하목록 프로세스는 다시 항공 수출부문과 수입부문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항공 수출화물에 대한 프로세스(도 9a 참조)는 각 사용자의 작업과 취합 메시지의 세관제출, 세관통보문서 수신 등에 따라 여러 상태, 즉 취합중 상태와 접수 마감상태와 접수통보상태로 구분되어 처리된다.
제 1상태는 처음 항공사와 포워더가 적하목록 취합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인 취합중 상태로서, 항공사 및 포워더의 적하목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는 단계이다. 이 취합중 상태에서는 항공사와 포워더 모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며, 이 단계에서 항공사, 포워더는 항공기 출항익일 세관근무시간까지 적하목록을 제출할 수 있고, 적하목록 삭제 및 재전송이 가능하다. 단, 수출신고번호의 경우는 적하목록취합서버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제 2상태는 항공기 출항 전에 항공사에서 항공사 적하목록 접수를 마감시키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접수마감상태로서, 세관전송을 위한 정리작업을 하는 단계이다. 이 접수마감상태에서는 항공사와 입력대행센터(입력대행소)에서만 데이터의 수정이 가능하고, 포워더의 HOUSE 적하목록 제출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접수마감 상태에서는 세관전송키를 입력하여 상기 취합된 메시지를 세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3상태는 상기 접수마감상태에서 취합된 메시지를 세관으로 전송하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접수 통보상태로서, 세관에서는 적하목록을 접수하고 오류검증을 하여 오류사항이 있을 경우는 오류통보를, 없을 경우는 접수통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세관 전송후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받아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오류통보 또는 접수통보 상태에서는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통보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수정(적하목록의 삭제 또는 삽입)한 후 세관으로의 재전송이 가능하다. 수출신고번호는 적하목록취합서버에서 수정 가능하며, 이 상태에서 내용을 수정한 경우는 항공사로 연락하여 적하목록 세관 재전송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후는 세관에서의 승인통보 또는 정정통보를 받아 정정통보 또는 승인통보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항공 수입화물에 대한 프로세스(도 9b 참조)는 각 사용자의 작업과 취합 메시지의 세관제출, 세관통보문서 수신 등에 따라 여러 상태, 취합중 상태와 접수 마감상태와 1차 전송상태와 보완 마감상태와 2차 전송상태와 선별 마감상태와 분류 마감상태로 구분되어 처리된다.
제 1상태는 처음 항공사와 포워더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인 취합중 상태로서, 항공사 및 포워더의 적하목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는 단계이다. 이 취합중 상태에서는 항공사와 포워더 모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며, 이 단계에서 항공사 및 포워더는 항공기 입항전 까지 MASTER, HOUSE 적하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제 2상태는 항공기 출항 전에 항공사에서 항공사 적하목록 접수를 마감시키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접수마감상태로서, 세관전송을 위한 정리작업을 하는 단계이다. 이 접수마감상태에서는 항공사와 입력대행센터(입력대행소)에서만 데이터의 수정이 가능하고, 포워더의 HOUSE 적하목록 제출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접수마감 상태에서는 세관전송키를 입력하여 상기 취합된 메시지를 세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상태는 적하목록 정리작업을 위하여 항공사가 입항시 적하목록 접수를 마감시키면 설정되는 접수마감 상태로서, 취합 적하목록의 화물의 창고배정을 위한 분류작업을 하며, 수하인 코드화 작업을 하는 단계이다. 이 상태에서는 항공사와 입력센터에서만 데이터의 수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접수마감 상태에서는 상기 취합된 메시지를 세관으로 1차 전송 할 수 있다.
제 3상태는 상기 항공사에 의한 접수마감이 이루어진 후 1차 전송키를 항공사가 누르면 설정되는 1차 전송상태로서, 항공기 입항시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하며, 세관에서 1차 적하목록 제출건에 대한 오류검증을 하고 오류가 있으면 오류통보를, 없을 경우는 접수통보를 받는다. 이 상태에서는 항공사와 입력센터의 입력,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다.
제 4상태는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에서 입력대행센터 보완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보완 마감상태로서, 항공사 및 입력센터에서 입력,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에서 미취합건에 대한 입력센타 보완입력을 하고, 보완입력분의 분류작업 및 수하인코드화를 한다.
제 5상태는 상기 보완마감상태에서 2차 전송키를 누르면 설정되는 2차 전송상태로서, 보완입력분의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 상태는 수하인코드화 작업과 분류작업이 완전히 이루어진 이후에만 설정 가능하며, 세관에서 2차 적하목록 제출건에 대한 오류검증을 하고 오류가 있으면, 오류통보를, 없을 경우는 접수통보를 받게 된다.
제 6상태는 오류통보 및 2차 접수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반입지시서를 받은 선별 마감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세관에서 적하목록 심사(관리대상화물 선별)를 하고 그 심사결과에 따른 작업지시서를 세관으로부터 수신한다.
제 7상태는 상기 선별마감상태에서 항공사가 화물에 대한 창고배정 분류작업을 끝낸 후 분류마감키를 누르면 설정되는 분류 마감상태로서, 항공사가 분류마감키를 누를 때 자동으로 화물도착통지를 화주에게 FAX또는 e-mail로 도착 통지하는 단계이다.
제 8상태는 하기전송상태로서, 분류마감상태에서 화물의 하기작업후 하기결과 즉 하기한 화물에 대한 이상이 있을시 하기보고를 세관으로 전송한 상태이다.
제 9상태는 하기보고상태로서, 하기결과이상보고에 대한 접수통보를 세관으로부터 수신한 상태로서 하기결과이상보고를 수정한 후 다시 세관으로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다.
여기서 1차 전송을 하지 않고 바로 보완마감키를 누른 후 보완마감 상태에서 2차 전송도 가능하다. 1차 전송이후에는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받아 1차 접수 또는 1차 오류상태가 된다. 1차 접수 및 1차 오류 상태에서 수정된 데이터는 보완마감이후 세관으로 2차 전송을 할 수 있다. 2차 전송이후에는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수정이 불가능하다. 세관에서는 2차 전송에 관한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전송한 후 관리대상화물들을 선별하여 반입지시서를 전송한다. 반입지시서를 받은 본 발명(적하목록취합서버)에서는 선별마감 상태로 변경되며, 이 상태에서 항공사는 분류마감을 시킨다. 항공사에서는 분류마감 이후 하기결과 이상보고를 할 수 있다.
상기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를 이루는 여러 가지 전송 메시지와 이를 토대로 구축되는 항공 데이터베이스(테이블)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항공사 전송 메시지의 경우를 보면, 이 메시지는 항공기의 운항정보(FFM)와 송수하인 정보(FWB, FSB, CIR)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망(ARINC)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적하목록 메시지나, 국내 항공사 전용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적하목록 메시지가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 수신되어 가공 및 축적된다.
이때 이들의 메시지는 IATA(국제항공운송협회)에서 규정한 문서형태(CARGO_IMP 형태)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약조건을 가진다. 첫째, 모든 메시지는 기정의된 프로토콜(BATAP 프로토콜)에 적용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어야 하고, 둘째, 1개의 메시지가 지정된 글자수(1600자)를 초과할 경우 메시지가 다수개의 블록 메시지로 분리되어 전송되어야 하며, 셋째 분리된 매 블록 메시지들은 분리 메시지 1개당 하나의 세션을 열어 전송되며, 이들 메시지들간의 순서는 임의로 정해진다.
포워더(복합운송주선업체) 또는 입력센터 전송 메시지의 경우를 보면, 이 메시지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소가 전송하는 메시지로서, 이들 전송된 메시지는 중계서버(140)의 메시지 중계모듈(142)을 경유하여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취합된다.
세관 전송 메시지의 경우를 보면, 이 메시지는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으로부터 응답문서를 수신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로서, 세관 전송문서 및 세관 응답문서는 UN/EDIFACT에 근거한 EDI 표준 전자문서의 형태가 메시지 중계모듈 및 문서 변환모듈을 경유하게 되면서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인식 가능한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송수신된다.
상기와 같은 전송 메시지에 의해 축적되는 데이터베이스(테이블)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서 항공사의 적하목록을 의미하는 마스터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데이터의 하부 데이터 개념으로서 포워더의 적하목록을 의미하는 HOUSE 데이터로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가 포맷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항공기 편명에 대하여 여러 개의 마스터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서도 여러 개의 하우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형태로 포맷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적하목록 관리번호 테이블에 의해 특정일자의 유일한 편명에 대한 관리정보를, 운항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항공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수하인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수하인에 대한 관리정보를, 하우스 적하목록 테이블을 이용하여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정보를 축적한다.
다음에서는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에 의해 이루어지는 해상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 및 세관전송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선사, 포워더, 입력센터(입력대행소)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을 수신하여 가공 처리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해상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데이터를 축적하며, 상기 축적된 해상 적하목록으로부터 세관 전송문서를 생성하여 세관에 전송하며, 세관에서의 처리결과(세관응답문서)를 역으로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반영함으로서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의 취합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해상 적하목록 DB(132)에 축적되는 모든 해상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데이터는 선사 전송 메시지와 포워더 전송 메시지 및 입력센터 전송 메시지에 의해 생성되고, 선사를 대신해서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 세관으로 전송되어지고 다시 세관에서 처리된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축적된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에 반영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축적된 해상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는 이후 정보제공서버에 의해 보세운송사,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검수회사, 하역회사, 관세사, 은행, 화주 등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요 데이터로 제공된다.
이러한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해상 마스터 B/L과 해상 하우스 B/L을 동시에 처리하는 해상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모듈을 통해 선사 및 포워더가 선박에 적재된 해상 수출입화물의 목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각각 취합하고 해상 세관문서 처리모듈을 통해 세관에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해상 적하목록 프로세스는 다시 해상 수출부문과 수입부문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해상 수출화물에 대한 프로세스는 각 사용자의 작업과 취합 메시지의 세관제출, 세관통보문서 수신 등에 따라 여러 상태로 구분되어 처리된다.
제 1상태는 처음 선사와 포워더가 적하목록 취합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시점인 취합중 상태로서, 선사 및 포워더의 적하목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는 단계이다. 이 취합중 상태에서는 선사와 포워더 모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며, 이 단계에서 선사, 포워더는 선박 출항익일 세관근무시간까지 적하목록을 제출할 수 있고, 적하목록 삭제 및 재전송이 가능하다. 단, 수출신고번호의 경우는 적하목록취합서버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제 2상태는 선사가 세관전송키를 눌러 세관으로 적하목록을 전송하는 전송중 상태이다.
제 3상태는 세관에서 출항 적하목록을 접수하고 오류검증을 하여 오류사항이 있을 경우는 오류통보를, 없을 경우는 접수통보를 전송받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접수 통보상태로서, 세관에서는 적하목록을 접수하고 오류검증을 하여 오류사항이 있을 경우는 오류통보를, 없을 경우는 접수통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세관 전송후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받아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오류통보 또는 접수통보 상태에서는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수정(적하목록의 삭제 또는 삽입)한 후 세관으로의 재전송이 가능하다. 수출신고번호는 적하목록취합서버에서 수정 가능하며, 이 상태에서 내용을 수정한 경우는 선사로 연락하여 적하목록 세관 재전송을 요구한다.
제 4상태는 선사에서 적하목록 취합을 마감하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최종마감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적하목록 데이터의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하다.
제 5상태는 선사에서 마감 전송키를 누르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마감전송상태이다.
제 6상태는 세관에서 상기 마감 전송된 적하목록을 접수하고 오류검증을 하여 오류사항이 있을 경우는 오류통보를, 없을 경우는 마감통보를 전송받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마감접수 및 오류통보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적하목록 데이터의 수정, 삭제, 재전송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후에는 상기 마감접수된 적하목록 데이터에 오류가 있거나 세관에서 통관정보와 적하목록정보를 연계 확인하여 통관내용과 선적내용이 틀리면 정정통보가 있을 경우 설정되는 정정통보상태 및 승인통보상태가 더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프로세스는 각 사용자의 작업과 취합 메시지의 세관제출, 세관통보문서 수신 등에 따라 여러 상태로 구분되어 처리된다.
제 1상태는 처음 선사와 포워더가 선박 입항 일정시간(수입항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가까운 항로일 경우는 선박 입항전까지도 설정 가능함)전까지 적하목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취합중 상태로서, 선사 및 포워더가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하여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 2상태는 선사에서 세관전송키를 누르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1차 전송중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선박 입항 일정시간 전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하는 상태이다.
제 3상태는 세관에서 전송되는 세관응답문서에 따라 설정되는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상태로서, 상기 1차 전송된 적하목록 제출정보에 대해 세관에서 오류 검증한 결과에 따라 설정되며, 1차 오류통보 상태에서는 데이터의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다.
제 4상태는 선사에서 보완입력분의 적하목록에 대해 세관전송키를 누르는 절차에 의해 설정되는 2차 전송중 상태이다.
제 5상태는 세관에서 전송되는 세관응답문서에 따라 설정되는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상태로서, 2차 적하목록 제출건에 대해 세관에서 오류 검증한 결과에 따라 설정된다.
제 6상태는 세관에서 전송되는 세관응답문서에 따라 설정되는 선별마감상태로서, 세관에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를 이루는 여러 가지 전송 메시지와 이를 토대로 구축되는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테이블)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선사 전송 메시지의 경우를 보면, 이 메시지는 선박 운항정보와 송수하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각 선사들로부터 전송되는 적하목록 메시지 메시지가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 수신되어 가공 및 축적된다.
포워더(복합운송주선업체) 또는 입력센터 전송메시지의 경우를 보면, 이 메시지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소가 전송하는 메시지로서, 이들 전송된 메시지는 중계서버(140)의 메시지 중계모듈(142)을 경유하여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취합된다.
세관전송 메시지의 경우를 보면, 이 메시지는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으로부터 응답문서를 수신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로서, 세관 전송문서 및 세관 응답문서는 UN/EDIFACT에 근거한 EDI 표준 전자문서의 형태가 메시지 중계모듈 및 문서 변환모듈을 경유하게 되면서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인식 가능한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송수신된다.
상기와 같은 전송 메시지에 의해 축적되는 데이터베이스(테이블)는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의해서 선사의 적하목록을 의미하는 마스터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데이터의 하부 데이터 개념으로서 포워더의 적하목록을 의미하는 HOUSE 데이터로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가 포맷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명에 대하여 여러 개의 해상 마스터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해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서도 여러 개의 하우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형태로 포맷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항공 수입화물 및 해상 수입화물의 보관장소 배정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사, 항공사, 포워더 등은 화주의 요청을 반영하여 수입되는 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장치장 등 보세구역에 대한 화물의 보관장소를 배정해야 하고 이를 세관에 신고하여야 한다. 즉 입항 후 하역(하기)에 따른 화물의 이동장소를 결정하여 세관에 신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 또는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이 각각 항공 적하목록 또는 해상 적하목록을 취합할 때 해당 수입화물의 보관장소(창고)배정을 위한 정보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전송받아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로 전달하고, 이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은 항공 적하목록 DB(131)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132)와 연계하여 화물의 보관장소를 배정하고 해당 배정정보를 세관에 전달함으로서 항공 수입화물 또는 해상 수입화물의 창고 배정처리가 완료된다. 이로써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은 국내에 도착(입항)한 항공 수입화물 또는 해상 수입화물의 보세구역 지정을 배정하기 위하여 화물의 창고배정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정하여 처리하고 이에 따라 화물위치추적과 세관의 관리대상화물 선별유무를 사전에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에 의해 이루어지는 항공 수입화물의 배정처리절차는, 먼저 포워더에 의해 수하인코드 기재란에 사업자등록부호가 등재된 형태의 항공 적하목록(화주의 요청에 따라 임의배정을 원할 경우에는 해당 장치장의 배정부호를 보세창고 기재란에 등재한 후 전송할 수도 있음)이 전송되고, 이어서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은 상기 포워더에 의해 전송된 적하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의 보세창고(WAREHOUSE) 배정자리에 배정기호가 등재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배정기호가 등재된 경우에는 해당 값을 반입장소로 설정하고, 배정기호가 등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하인코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131)의 배정 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장치장의 배정기호를 결정한다. 이때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항공사 분류담당으로 하여금 미배정화물에 대한 보완배정을 화면에서 시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114)에 의해 이루어지는 해상 수입화물의 배정처리절차는, 먼저 화주요청에 의해 마스터 B/L단위로 또는 하우스 B/L 단위로 배정내역이 등재된 적하목록(마스터 단위로 배정장소를 기재하여 선사가 전송한 적하목록, 또는 하우스 단위로 배정장소를 기재하여 포워더가 전송한 적하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의 보세창고 배정자리에 등재된 배정기호에 따라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132)의 배정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화물의 반입장소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배정장소의 입력 및 정정은 선사 및 포워더에 의해 가능하다. 특히 선사에 의해 배정장소의 입력 및 정정이 가능한 것은 마스터 B/L 단위의 것과, 하우스 B/L 단위의 것 중에서 포워더가 배정을 선사에 위임한 것만 가능하고, 포워더에 의해 배정장소의 입력 및 정정이 가능한 것은 포워더가 전송한 모든 하우스 B/L 단위의 것에 대해 가능하며, 배정장소를 선사에 위임한 하우스 B/L에 대해서는 포워더가 재배정 불가능하다. 이때 선사는 적하목록(MRN) 별로 배정 마감할 수 있으며, 모든 화물이 배정이 되어야만 배정 마감할 수 있다.
다음은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의 온라인 접속 프로세스(도 3a 및 도 3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사용자가 PSDN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로의 접속요청을 하게 되면, 이때 중계서버(140)의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141)이 먼저 기동되어 로그인 화면이 제공되며, 해당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ID),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2)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그인 결과 사용자 식별정보로 구별되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서 해당 온라인 접속모듈이 실행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접속모듈은 항공사(또는 입력대행센터) 사용자용, 포워더 사용자용, 보세운송사 사용자용, 보세장치장 사용자용, 화주 사용자용, 관세사 사용자용 프로세스 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프로세스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들은 이후 제공되는 해당 사용자 화면에 의해 이후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용자별로 부여된 권한에 의해서 조회가능여부가 한정되어 자료에 대한 보안기능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다. 상기 입력대행센터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입력대행 프로세스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항공사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수출 적하목록 관리기능(마스터 적하목록 입력, 하우스 적하목록 입력, 적하목록 조회/출력, 항공기 출항 스케줄, 항공사 코드 조회, 항공기 출항 스케줄 관리, 항공사 정보 관리, 출항/취합정보 조회, HOUSE 적하목록 접수, 세관 오류통보 조회 등)과 수입 적하목록 관리기능(마스터 적하목록 입력, 하우스 적하목록 입력, 적하목록 조회/출력, 항공기 입항 스케줄, 항공사 코드 조회, 항공기 입항 스케줄 관리, 항공사 정보 관리, 입항/취합정보 조회, 하우스 적하목록 접수, 세관 오류통보 조회, 팩스 확정 통지 서비스 등), 및 부가 서비스기능(배정 DB 조회, 수출입 신고수리정보 및 장치확인정보 안내, 수출 통관 내역 조회, 수출신고번호 관리 등)이 부여된다.
상기 포워더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수출 적하목록 관리기능(출항정보 조회, 적하목록 조회, 전송현황/상태, 세관오류 조회 등)과 수입 적하목록 관리기능(입항정보 조회, 적하목록 조회, 전송현황/상태, 세관오류 조회, 하기결과 조회 등), 및 부가 서비스기능(배정관리, 은행 D/O 조회(외환은행), 배정 DB 조회, 화물추적정보 조회, 화물예약 서비스, 입력대행내역 조회, 수출입 신고수리정보 및 장치확인정보 안내, 수출통관내역 조회, 수출신고번호 관리 등)이 부여된다.
상기 보세운송사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수입 적하목록 관리기능(입항정보 조회 및 적하목록 출력, 적하목록 조회, 특별관리대상 조회 등)과 부가 서비스기능(배정 DB 조회 등)이 부여된다.
상기 보세장치장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항공 적하목록 관리기능(입항정보 조회, 적하목록 조회, 화물추적 정보, 배정 DB 조회, 반출입 관리, 은행 D/O 조회 (외환은행), 일자별 배정화물 등)이 부여된다.
상기 화주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항공 적하목록 관리기능(입항정보 조회, 적하목록 조회, 화물추적 정보, 배정 DB 조회, 일자별 배정화물 등)이 부여된다.
상기 관세사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항공 적하목록 관리기능(입항정보 조회, 적하목록 조회, 화물추적 정보, 배정 DB 조회 등)이 부여된다.
그밖에도 고객지원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항공사 문제 해결기능(항공사 입항일 입력 문제 해결, 항공사가 보낸 파일을 DB에 재입력, 항공 입출항보고/자격변경, 파워 적하목록 상태 수정, 수출적하목록이 세관에 반영이 안된 경우, 5X 편명/출항일자 수정, 항공사 적하목록 상태 수정, 적재 유형 수정, 입항예정정보 팩스 재통지, 수하인명으로 마스터 적하목록 검색, 항공사 데이터의 삭제로그 검색 등)과 포워더 문제 해결기능(포워더 데이터가 안 보일 때, 포워더가 보낸 파일 조회, 파워 포워더코드 변경,수출적하목록이 세관에 반영이 안된 경우, DB 입력시 오류가 난 경우 로그 확인, 포워더 데이터 삭제된 로그 확인 등)과 보세운송사 문제 해결기능(보세운송사 출력 문제 해결)과 항공 적하목록 모니터링 기능(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의 프로세스상태, 파일 시스템 상태 등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과 전자자료교환(EDI) 문서 조회/재입력 기능(세관송신문서 조회/재파싱, 사전분류문서 조회/재파싱, EDI 문서 파싱 오류 로그 파일 조회)과 전송중 상태 모니터링기능(세관전송중인 문서의 현재 상태 조회 기능)과 적하목록 DB 테이블 조회기능(수입 적하목록 테이블, 수입 운항정보 테이블, 수입 하우스 적하목록 테이블, 수출 적하목록 테이블, 수출 운항정보 테이블, 수출 하우스 적하목록 테이블 등)과 오류통보 삭제기능(세관에서 전송한 오류내역중 이미 수정이 되었으나 오류내역이 남아있는 경우 삭제 처리하는 기능)이 부여된다
또 사용자DB 관리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내부시스템 사용자중 관리자만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 사용자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등록/수정/삭제/조회 기능이 지원된다.
또 배정DB 관리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항공배정 DB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내부시스템 사용자중 관리자만 사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장치장 등록 및 화주별 지정장치장 등록 및 수입화물 도착통지를 위한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등록하는 기능이 부여된다.
다음은 항공기 입출항보고 프로세스(도 4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입출항보고문서는 국내공항에서 출항하거나 국내공항으로 입항하는 모든 항공기는 반드시 제출해야하는 문서로서, 각 항공사에서 전송하는 입출항보고 문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의 입출항 표준문서 형식을 따르며, 생성된 문서는 국제항공통신망(ARINC)을 경유하여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된다.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지정된 문서 수신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ARINC에서 전송하는 항공사 입출항보고 문서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는 ARINC를 경유하게 되므로 X.25 프로토콜을 통해서 일정 바이트(1600 bytes) 단위의 메시지 블록으로 나뉘어 전송이 되며 이는 BATAP 프로토콜의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입출항 보고문서가 여러 개의 메시지 블록으로 나뉘어 전송될 경우 각 메시지블록은 독립된 세션(Session)을 열어 전송되며 전송순서대로 수신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수신 측에서 순서대로 재조합 하여야 한다. 따라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문서 저장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한 메시지 블록을 DB에 저장한다. 이후 모든 메시지 블록이 수신 완료되면 상기 문서저장 프로세스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순서대로 읽어서 하나의 문서로 재조합한다. 이때 재조합된 문서명을 파싱 큐에 넣은 것으로 수신과정은 완료가 된다. 상기 파싱 큐는 문서 스캔 프로세스에 의해서 스캔되어지며, 수신된 문서유형(GDR, GDI, GDM, GXR)에 따라서 각각의 파서를 기동하여 세관전송을 위한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SAM형식 문서는 rcp(remote copy)에 의해서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달되고, 이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송된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는 다시 UN/EDIFACT문서로 변환되어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전송된다.
이후 세관은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에 수신된 UN/EDIFACT문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신해 가며, 상기 수신된 문서에 대한 접수/오류통보 전자문서를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수신된 문서에 대한 심사결과/승인통보 등을 다시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에 수신된 세관에서 전송한 UN/EDIFACT문서(세관응답문서)들은 다시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송되어지고,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로 변환되어 rcp에 의해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 전달되어 진다.
상기 수신된 세관 응답문서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의 문서 스캔 프로세스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60초)마다 스캔되어지며, 문서 변환 프로세스에 의해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의 입출항 보고 표준응답문서 형식으로 변환되어 진다. 상기 변환된 표준응답문서는 문서 전송 프로세스에 의해서 ARINC를 경유하여 입출항보고문서를 제출한 항공사로 전달된다.
다음에서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 프로세스(도 5a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프로세스를 통해 온라인 접속된 항공사의 경우는 항공기의 실제 출항, 입항시 운항정보를 송신하게 되며 이는 운항정보(FFM), 송수하인정보(FWB/FSB/CIR)로 구분된다. 이때의 전송 문서 형식은 기정의된 형식(IATA CARGO-IMP Message형식)을 지키며 전송선로는 국제항공 통신망(SITA 또는 ARINC) 또는 전용선을 통하여 전송된다. 국적항공사의 경우 전용선을 사용하여기정의된 형식의 프로토콜(BATAP Protocol)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국적항공사의 경우도 국외에서는 국제항공통신망(SITA)을 사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먼저, 상기 국제항공 통신망(SITA 또는 ARINC)을 통해 문서를 전송하는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항공사가 마스터 B/L 문서(FFM/FWB/FSB/CIR 문서)를 SITA(ARINC)로 전송하면 해당 문서는 ARINC망을 거쳐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된다. 이때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상기 로그온 프로세스에 의해 이미 마스터 B/L 수신 프로세스가 기동되어 연결중인 상태로 대기중에 있다. 상기 항공사에서는 해당 전송문서(CARGO-IMP 문서 형식의 FFM/FWB/FSB/CIR)를 X.25 프로토콜을 통해서 일정 바이트(1600 bytes) 단위의 메시지로 나누어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메시지로 나뉘어 전송될 경우 각 메시지는 독립된 세션(Session)을 열어 전송되며 전송순서대로 수신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수신측에서는 순서대로 재조합 하여야 한다. 따라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지정된 문서 저장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저장한다. 이후 모든 메시지를 수신 완료하면 상기 저장된 메시지들을 순서대로 읽어서 하나의 문서로 재조합한 후 재조합된 문서명을 파싱 큐(Queue)에 넣은 것으로 수신과정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지정된 프로세스에는 최근에 전송된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는 오류를 막기 위해서 이전에 수신되어 조합이 완료된 내역을 삭제하지 않고 1주전 ~ 현재까지의 수신내역을 보관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서 기수신된 운항정보가 수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파싱 큐는 다시 지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스캔되며, 수신된 문서명이 큐에 입력이 되면 문서유형(FFM, FWB/FSB, CIR)에 따라서 파서를 기동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파싱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입력되어지는 정보는 MRN정보, 마스터 B/L 정보, 마스터 송수하인 정보들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용선을 통해 문서를 전송하는 경우 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는 SITA(ARINC)망을 거쳐서 전송하는 경우와 동일하며 단지 전송되는 라인을 국제항공 통신망이 아닌 사설전용선을 사용한 것이 다르다. 사용하는 항공사는 국적항공사(우리 나라의 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에 한정되어 있으며, 상기 국적항공사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의 마스터 B/L정보 전송과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적하목록 정보 조회 서비스도 전용선을 통하여 제공받고 있다.
상기 마스터 B/L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상기 로그온 프로세스에 의해 이미 마스터 B/L 수신 프로세스가 기동되어 연결중인 상태로 대기중에 있다. 상기 항공사에서 해당 전송문서(CARGO-IMP 문서 형식의 FFM/FWB/FSB/CIR)를 X.25 프로토콜을 통해서 일정 바이트(1600 bytes) 단위의 메시지로 나누어 전송하게 되면 수신 측의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지정된 문서 저장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저장한다. 이후 모든 메시지를 수신 완료하면 상기 저장된 메시지들을 순서대로 읽어서 하나의 문서로 재조합한 후 재조합된 문서명을 파싱 큐(Queue)에 넣은 것으로 수신과정은 완료된다. 상기 파싱 큐는 다시 지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스캔되며, 수신된 문서명이 큐에 입력이 되면 문서유형(FFM, FWB/FSB, CIR)에 따라서 파서를 기동하여 항공 적하목록DB에 파싱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다음은 항공사 쿼리 전송 프로세스(도 5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국적 항공사(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사)의 경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자사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특정조건에 따라서 검색후 해당 결과를 전송받아 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적하목록 쿼리전송 프로세스이다.
항공사는 필요한 정보에 대한 쿼리를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되며, 전송한 쿼리 메시지는 지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수신되어 항공 적하목록 DB(131) 검색을 통하여 결과문서가 생성된다. 이 결과문서가 생성되면 생성된 문서명을 메시지 큐에 입력하여 대기중인 문서 전송 프로세스가 해당 결과문서를 쿼리메시지를 전송한 해당 항공사 시스템으로 결과문서를 전송한다.
다음은 포워더 하우스 B/L 프로세스(도 6a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스 B/L 전송의 경우, 포워더는 본 발명에서 기 정의한 문서형식에 따라서 하우스 B/L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포워더 사용자는 중계서버의 메시지 중계모듈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ftp 전송을 하게 되며, 메시지 중계모듈은 수신된 문서를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이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로부터 문서전송요청이 오면 문서 수신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문서를 수신하게 된다. 이 문서 수신 프로세스는 문서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문서를 UNB(송수신식별자)단위로 분리하여 각 문서를 파싱하게 된다. 상기 문서 파싱동작은 지정된 문서 파싱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파싱처리를 하며 파싱된 B/L정보를 항공 적하목록 DB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문서 파싱 도중 또는 DB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로그에 기록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다음은 수출 하우스 B/L 배치(Batch) 전송 프로세스(도 6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국적 항공사의 경우 상대국 세관으로 수출 적하목록을 전송하기 위하여 포워더가 전송한 하우스 B/L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항공사의 요청에 의해서 포워더가 보내온 원본 하우스 B/L 중 수출 적하목록에 대해서만 항공사와 약정한 문서형식으로 변환하여 배치 전송 처리한다.
즉, 상기 문서 수신 프로세스에서는 해당 문서를 파싱하기 직전에 배치전송을 위해서 수신문서를 하나 더 복사해주게 되며, 이렇게 복사된 하우스 B/L은 지정된 문서스캔 프로세스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마다 스캔되어 진다. 상기 스캔결과 복사된 문서가 존재하는 경우 문서 변환 프로세스가 기동되어 상기 하우스 B/L 문서를 항공사 전송문서 형식으로 변환하여 하우스 B/L에 기재된 편명에 의해서 해당 항공사 전송문서 생성 위치에 문서를 생성 및 저장한다.
생성된 수출 하우스 B/L 문서는 다시 해당 항공사에 대응하는 문서 스캔 프로세스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마다 스캔되어 지고, 상기 스캔결과 전송할 문서가 생성되어 있으면 문서 전송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해당 항공사 시스템으로 배치 전송한다.
다음은 항공 적하목록 포워더 쿼리 전송 프로세스(도 6c)에 대해 설명한다.
국적 항공사의 경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자사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특정조건에 따라서 검색 후 해당 결과를 전송받아 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적하목록 포워더 쿼리전송 프로세스이다. 이것은 통신 네트워크가 TCP/IP로 만들어진 시스템(예를 들어 영종도 신공항의 경우)에 확장 서비스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세스이다.
항공사는 필요한 정보에 대한 쿼리를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전송한 쿼리 메시지는 지정된 문서 수신 프로세스에 의해 수신되어 DB 검색을 통하여 결과문서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결과문서는 상기 쿼리 메시지를 전송한 항공사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다음은 세관전송 및 세관응답 프로세스(도 7a 및 도 7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취합된 적하목록 또는 다른 전자문서를 세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세관 전송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로 전송자료를 생성하게 되며 이를 중계서버의 문서 변환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적하목록의 경우 항공사가 사용하는 수입/수출 적하목록 취합화면에서 항공사 담당자가 세관전송키를 누르게 되면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문서는 문서전송 프로세스에 의해서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송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대국 세관으로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정된 시스템(우리 나라의 경우는 한국통신)으로 동시 전송을 위하여 복사본도 생성된다.
이후 상기 문서 변환모듈로 전송된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는 다시 UN/EDIFACT문서로 변환되어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전송되며, 세관은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에 수신된 UN/EDIFACT문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신해 가며 수신된 문서에 대한 접수/오류통보 전자문서를 다시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수신된 문서에 대한 심사결과/승인통보 등을 다시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에 수신된 세관에서 전송한 UN/EDIFACT문서들은 다시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송되어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문서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의 지정된 문서 수신 프로세스에 의해 수신된 후 파일로 생성된다.
상기 수신된 세관 응답문서는 지정된 문서 스캔 프로세스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예; 60초)마다 스캔되어지며, 상기 스캔결과 수신문서가 존재하는 경우 세관응답문서를 파싱하기 위해 지정된 파싱 프로세스를 기동한다. 상기 파싱 프로세스는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DB에 갱신/삽입한다. 상기 변경된 DB 정보에 의해 외부 사용자는 해당 적하목록의 처리상태의 변경을 알 수 있으며, 처리상태에 따라서 세관에서의 진행상황과 현재까지의 처리결과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대국 세관으로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정된 시스템(도 7c 참조; 도면에서는 한국통신의 경우가 예시되어 있음)으로의 문서전송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문서전송 프로세스에 의해 전송되는 문서는 적하목록에 한정된다. 상기전송을 위한 문서는 세관전송시 복사해놓은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를 문서 역파싱 프로세스와 문서 변환 프로세스를 각각 사용하여 상기 문서를 역파싱하여 한국통신 전송을 위한 문서형식에 맞게 재생성한다. 이후 지정된 문서 스캔 프로세스는 상기 복사되어지는 문서가 있는지를 계속 스캔하게 되며, 상기 스캔결과 복사된 문서가 존재하는 경우 한국통신 시스템에 맞는 문서로 파싱하도록 지정된 문서 파싱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문서를 파싱하여 전송을 위한 문서를 다시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문서는 문서 전송 프로세스에 의해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송된다. 이때 문서 변환모듈에서는 상기 수신된 문서에 대해서 어떠한 가공도 하지 않고 한국통신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변환시스템은 MFCS와 한국통신시스템간의 중계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은 인터페이스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한국통신 전송을 위해 생성된 문서를 지정된 문서 전송프로세스에 의해서 문서 변환모듈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문서 변환모듈에서는 문서 수신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상기 전송해오는 문서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된 문서는 다시 문서 전송 프로세스에 의해 한국통신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한국통신시스템으로의 전송이 완료된다.
상기 수입화물도착통지(Arrival Notice)처리모듈에서는 적하목록의 상태가 분류마감상태로 변경이 되면 해당 적하목록에 대한 팩스 전송정보 문서와 이메일 전송정보 문서가 생성된다. 이때 팩스 전송정보 문서는 생성된 후 팩스 전송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이메일 전송정보 문서는 문서 변환모듈의 문서 수신 프로세스에의해서 수신된다. 이때 수신된 문서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전송된 문서와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전송된 문서가 서로 다른 각각의 문서 변환 프로세스에 의해 이메일 전송 파일로 변환 및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이메일 파일은 이메일 전용 서버를 통하여 수신처로 배달되어 진다.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영종도 신공항 거점정보 시스템)으로의 적하목록 전송서비스 확장을 위해 별도의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통해 신공항거점정보 시스템으로도 적하목록 세관전송시점에 적하목록 자료가 전송이 된다.
다음은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의 온라인 접속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사용자가 PSDN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로의 접속요청을 하게 되면, 이때 중계서버(140)의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141)이 먼저 기동되어 로그인 화면이 제공되며, 해당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ID),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113)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그인 결과, 사용자 식별정보로 구별되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서 해당 온라인 접속모듈이 실행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접속모듈은 입력대행센터 및 고객지원팀을 제외한 모든 사용자용, 입력대행센터 사용자용, 그리고 고객지원을 위해 내부관리자들이 관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객지원팀 사용자용 프로세스 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프로세스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들은 이후 제공되는 해당 사용자 화면에 의해 이후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용자별로 부여된 권한에 의해서 조회가능여부가 한정되어 자료에 대한 보안기능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다. 상기 입력대행센터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입력대행 프로세스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입력대행센터 및 고객지원팀을 제외한 모든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선사정보, 포워더 정보, 하선/보세관련사정보, 세관정보, 사용자 정보, 적하목록 관련코드 정보 등을 입력/수정/삭제/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된다.
상기 선사정보에 대해서는 수입 적하목록 관리기능(운항선사용 적하목록 제출, 적하목록 취합/제출 현황 조회, 적하목록 전송 목록 조회, 적하목록 전송 현황 조회, 적하목록 내역 관리, 포워더 제출 현황 조회, 적하목록/혼재목록 정정대상 조회, 적하목록 오류 조회, 적하목록 세관 오류통보 조회, 적하목록 배정 관리, 사업자등록번호 기재 관리)과, 수출 적하목록 관리기능(운항선사용 적하목록 제출, 적하목록 취합/제출 현황 조회, 적하목록 전송 목록 조회, 적하목록 전송 현황 조회, 적하목록 내역 관리, 포워더 제출 현황 조회, 적하목록/혼재목록 정정대상 조회, 적하목록 오류 조회, 적하목록 세관 오류통보 조회, 수출신고 정정대상 내역 조회, 수출근거번호 선적관리, 수출통관내역 조회)과, 하선 신고 관리기능(하선 신고서 관리, 하선 신고서 세관 오류통보 조회, 하선결과 상이 내역 조회), 및 부가 서비스 기능 등이 부여된다.
상기 포워더 정보에 대해서는 적하목록 취합/제출 현황 조회기능(혼재화물적하목록 전송 목록 조회, 혼재화물 적하목록 전송 현황 조회, HOUSE B/L 목록 관리, 혼재화물 적하목록 오류 조회, 혼재화물 적하목록 세관 오류통보, 혼재화물 적하목록 배정 관리, MRN 조회, MSN 조회, 하선 장소 조회, 사업자등록번호 기재 관리)과, 적하목록 취합/제출 현황 조회기능(혼재화물 적하목록 전송 목록 조회, 혼재화물 적하목록 전송 현황 조회, 하우스 B/L 목록 관리, 혼재화물 적하목록 오류 조회, 혼재화물 적하목록 세관 오류통보, 수출신고 정정대상 내역 조회, MRN 조회, 마스터 B/L 번호 조회, 수출근거번호 선적관리, 수출통관내역 조회, 하우스 B/L 번호 중복체크, 수출 신고정보 조회)이 부여된다.
상기 하선/보세 관련사 정보에 대해서는 하역회사 조회기능(하선 신고서 목록 조회, 하선 신고서 내역 조회)과, 하선장소 조회기능(하선장소별 반입예정 목록 조회, 하선장소별 반입예정 내역 조회, 하선장소별 반입예정 미수신 목록 조회)과, 보세운송 조회기능(보세운송예정 목록 조회, 보세운송예정 내역 조회)과, 보세장치장 조회기능(보세장치장별 반입예정 목록 조회, 보세장치장별 반입예정 내역 조회), 및 검수회사 조회기능(적하목록 검수예정 목록 조회, 하선결과 상이 내역 관리, 하선결과 상이 내역 세관 오류통보 조회)이 부여된다.
상기 세관 정보에 대해서는 위험물품 선별용 수입 적하목록 전송 목록 조회기능이 부여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정보 변경 또는 비밀번호 변경기능, 월별 요금 청구내역 조회기능, 월별 요금 청구내역 상세 조회(적하)기능, 월별 요금 청구내역 상세 조회(통합)기능이 부여된다.
상기 적하목록 관련코드 정보에 대해서는 세관 코드 검색기능, 국가 코드 검색기능, 포장단위 코드 검색기능, 선사/포워더 코드 검색기능, 항구 코드 검색기능, 보세장치장 코드 검색기능, 부두 코드 검색기능, 하역회사 코드 검색기능, 수송방법 코드 검색기능, 국내 부두밖 콘테이너야드 코드 검색기능, 항구별 세관 코드 검색기능이 부여된다.
상기 입력대행센터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복합운송업체 정보관리 및 조회기능(수출 혼재화물 적하목록 관리, 수입 혼재화물 적하목록 관리, 수출 MRN(적하목록관리번호) 조회, 수출 마스터 B/L 번호 조회, 수입 MRN(적하목록관리번호) 조회, 수입 MSN(마스터 B/L번호)조회, 수출 혼재화물 적하목록 오류 조회, 수입 혼재화물 적하목록 오류 조회)과 선사 정보 조회기능(수출 적하목록 관리, 수입 적하목록 관리, 수출 적하목록 오류 조회, 수입 적하목록 오류 조회, 하선 신고서 입력, 하선 신고서 오류 조회)이 부여된다.
상기 고객지원팀 사용자용 온라인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는 선사 정보, 포워더 정보, 하선/보세 관련사 정보, 세관 정보, 사용자 정보, 적하목록 관련 코드 정보, 고객 지원정보, 사용자 ID 관리기능 (사용자 ID 검색, 사용자 ID 내역 관리), 수입 배정 관리기능(수입 하우스 B/L 미배정 관리), LOG 관리기능{사용자 액션 로그 검색, 사용자 다운로드 로그 검색, 파싱 로그(PARSING LOG) 검색 (EDI 표준), 파싱 로그 검색 (MFCS 표준)}, 모니터링 기능(통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로킹 확인), 오류통보기능(세관오류 정정 만기예정 목록 조회) 등이 부여된다.
다음은 선사/포워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선사는 마스터 B/L 자료를 전송해주고, 포워더는 하우스 B/L 자료를 전송하게 되며 이를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 수신하여 하나의 적하목록으로 취합하게 된다. 선사/포워더는 MFCS 표준문서로 B/L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도 8a에서 제 1사용자로 표기)들과 전용선을 경유하여 UN/EDIFACT 문서로 B/L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도 8b에서 제 2사용자로 표기)들로 구분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FCS 표준문서를 사용하는 선사 및 포워더(제 1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에서 기정의된 문서형식에 따라서 B/L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는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ID/패스워드를 사용하여 ftp 전송을 하게되며,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은 수신된 문서를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메시지 중계모듈(142)에서 문서 전송요청이 오면 지정된 문서 수신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에서 전송하는 문서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문서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문서를 UNB(송수신식별자)단위로 분리하여 각 문서를 파싱하게 된다. 이때 통합적하목록의 경우와 그 외의 경우 각각의 문서파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파싱처리를 하며 파싱된 B/L정보를 DB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문서파싱도중 또는 DB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로그에 기록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N/EDIFACT문서를 사용하는 선사 및 포워더(제2사용자)는 전용선을 경유하여 B/L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전용선에서는 B/L정보를 UN/EDIFACT 형식 문서로 생성하여 메시지 중계모듈(142)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ID/패스워드를 사용하여 ftp 전송을 하게 되며,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142)은 수신된 문서를 문서 변환모듈(143)로 전송하게 된다. 이 문서 변환모듈(143)에서는 상기 수신된 UN/EDIFACT문서를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 문서로 변환하여 다시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에서는 상기 문서 변환모듈에서 전송요청이 오면 지정된 문서 수신프로세스를 기동하여 상기 문서 변환모듈에서 전송하는 SAM(MFCS DB에 입력하기 위한 파일형식) 형식문서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문서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문서를 UNB(송수신식별자)단위로 분리하여 각 문서를 파싱하게 된다. 이때 지정된 문서 파싱 프로세스가 파싱처리를 하며 상기 파싱된 B/L정보를 DB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문서 파싱 도중 또는 DB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로그에 기록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오류중 DB 록(LOCK)과 같이 이후에 다시 파싱을 시행하면 입력이 가능한 문서는 파싱 오류 테이블에 기록된다. 상기 파싱 오류 테이블은 지정된 수집 프로세스에 의해서 일정시간(5분)마다 스캔되며 재파싱할 문서가 있으면 상기 수집프로세스는 상기 문서파싱 프로세스를 기동하여 해당 문서를 재파싱하게 된다.
상기 해상 적하목록에 대한 세관전송 및 세관응답 프로세스 및 팩스/이메일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세스, 그리고 상대국 세관으로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정된 시스템으로의 문서전송 프로세스는 이미 기술된 항공 적하목록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의 해상 적하목록과 관련된 다수의 프로세스들은 해당 프로세스가 탑재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에 따라, 또는 해상의 선박을 연결하는 해상 통신 네트워크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항공통신 네트워크의 특성이 다른 점을 감안하면, 해상 적하목록에 관련된 프로세스가 항공 적하목록에 관련된 프로세스로부터 약간의 변형이 있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비록 일부 변형이 있는 상태로 실시된다 할지라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각 실시예들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선하증권(B/L)에 의한 서류 관리체계를 벗어나 적하목록에 의한 전산 관리체제로 항공 또는 해상 수출입 화물관리체계를 전환할 수 있게 하여 적하목록과 대사(비교), 확인후 반출하는 형태로 관리체계를 전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입항전 신고물품은 항만이나 공항에서 대사 확인후 즉시 반출 가능토록 전환하고, 또한 입항후 수입신고물품은 적하목록에 의한 화물이동 단계별 추적관리를 위해 입항, 하선(기), 입항지 보세구역 반출입, 보세운송, 내륙지 보세구역 반출입 등의 제반 각 단계를 화물관리번호에 의해 추적 관리하여 최대한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항공사, 선사 등과 같은 적하목록 세관제출의무자가 처리해야 하는 하우스 적하목록 취합업무(화물운송주선업체가 작성한 적하목록을 취합하는 업무)를 중계망 내에서 대행하게 될 때 선박 및 항공기 입항전(수출은 출항후)에 모선 단위로 선적 내용물의 적하목록 신고를 취합하여 세관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적하목록을 기준으로 세관에서 모든 수출입화물에 대한 비교, 확인을 가능케 하여 수출입화물의 보세구역 화물반출입 및 통제는 물론 통관단계에 이르기까지 정확한화물의 총량관리를 가능케 한다.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취합된 적하목록을 토대로 보세운송, 보세장지창, 하역회사, 검수회사, 관세사, 은행 등에 기초정보를 제공하여 해당기관의 업무처리 효율성을 높여주고, 입출항시 취합된 적하목록의 화물관리번호를 근거로 입항, 하선, 보세운송, 보세구역입고와 연계하여 화물추적 관리를 가능케 하는 부문으로서, 관세사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지원하고, 보세운송사의 보세운송 예정목록을 수신케 하여 이중작업을 방지한다. 보세장치장 등 보세구역에서는 반입예정정보를 수신케 하여 주고, 검수회사의 검수예정목록을 수신케 한다. 무역업체의 수입화물도착통지를 지원하고 선적조회를 가능케 함으로서 무서류네고를 지원한다. 은행의 수입화물선취보증(L/G)에 관한 업무와 항공사, 선사, 포워더의 화물인도지시(D/O)에 관한 업무를 지원한다. 또한 하역회사에 하선신고서 및 분류작업지시서의 내용을 수신케 하여 빠른 하역업무를 지원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적하목록 제출에 따른 선사, 항공사, 포워더의 업무적 마찰관계를 극복하여 적하목록 신고 업무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사용자의 업무환경과 세관의 업무환경을 모두 수용함으로서 세관업무와 민간 물류업무에 따른 마찰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우리나라 수출입화물 및 수출입통관관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제할 수 있는 세관에서의 제 1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선사 및 항공사는 적하목록 취합 및 제출자로서의 신고의무를 전산환경에서 성실히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선박 입출항 관련 서류를 복사하거나 전달하는데에 소요되는 복사비, 교통비, 통신비 등의 절약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선사별 또는 항공사별 적하목록취합시스템 구축시 발생하는 중복투자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동배선 서비스를 하는 선박회사들 간의 영업적 비밀을 보장하고, 항공화물의 적하목록 자동취합기능으로 편명 및 입출항일자에 관계없이 적하목록 사전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항공사 또는 선사에서의 제 2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포워더의 적하목록 제출작업이 용이하고, 전산환경이 열악한 적하목록 신고업체(포워더)를 대상으로 입력대행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영세한 입력대행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포워더 정보화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포워더에서의 제 3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보세창고, 보세운송사, 검수회사 등이 화물내역 정보를 조회 또는 수신하여 자체 시스템에 자동등록 처리함으로써 화물정보 입력에 따른 인력, 시간,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화물정보의 입력오류를 최소화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보세창고, 보세운송사, 검수 회사에서의 제 4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수입화물도착통지를 무역업체에게 제공함으로서 무역업체로 하여금 신속한 통관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적하목록취합시스템을 통하여 수출화물의 통관 및 선적이행에 대한 사실확인이 가능함으로서 은행과의 서류없는 대금결제(네고)를 가능케 하는 무역업체에서의 제 5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3)

  1.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 및 세관 등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전자문서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결과 및/또는 적하목록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및/또는 적하목록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며, 상기 적하목록 제출정보 및 세관에서 전송된 세관응답문서로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적하목록 취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 검색요청신호에 반응해서 상기 적하목록 DB 상에 등록된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제출상태정보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처리상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요청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항공사들에 대한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 또는 선사 및 포워더에 대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온라인 접속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메시지 송수신 중계 및 문서변환을 위한 수단들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 등의 업무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 간의 온라인 접속 및 메시지 송수신 및 문서변환을 지원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하목록 관리번호,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 하우스 B/L 일련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된 고유의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상기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하목록 관리번호,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 하우스 B/L 일련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된 고유의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상기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항공기 편명에 대하여 다수개의 항공 적하목록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갖고, 상기 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하우스 데이터를 갖는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편명에 대한 관리를 위한 적하목록관리번호 테이블과, 항공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항공기 운항정보 테이블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 테이블과,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하우스 송/수하인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항공기 편명에 대하여 다수개의 항공 적하목록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갖고, 상기 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하우스 데이터를 갖는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편명에 대한 관리를 위한 적하목록관리번호 테이블과, 항공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항공기 운항정보 테이블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 테이블과,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하우스 송/수하인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 모선명에 대하여 다수개의 해상 적하목록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갖고, 상기 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하우스 데이터를 갖는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 모선명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해상수입 적하목록 공통정보 테이블과, 선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데이터의 각 선사별 운항정보 전송 테이블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 테이블과,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하우스 송/수하인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 모선명에 대하여 다수개의 해상 적하목록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갖고, 상기 각 마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하우스 데이터를 갖는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일자의 유일한 선박 모선명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해상수입 적하목록 공통정보 테이블과, 선사를 주체로 한 마스터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데이터의 각 선사별 운항정보 전송 테이블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 테이블과, 포워더를 주체로 한 하우스 B/L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하우스 송/수하인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항공기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에서 전송된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과;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항공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항공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수입화물 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항공기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에서 전송된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과;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항공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항공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수입화물 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과;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해상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해상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수입화물 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에서 전송된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모듈과;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적하목록 생성주체로 전송하며, 해상화물 총량관리를 위해 상기 해상 적하목록 및 세관에서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 처리결과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업무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수입화물 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에 각각 구분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2. 제 15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19항 또는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배정처리모듈은,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수신 적하목록의 보세창고 배정정보 유/무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된 적하목록에 대해서는 상기 체크된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고,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하목록에 대해서는 수하인 코드값 및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의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 마스터 B/L 처리모듈과;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 하우스 B/L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상기 취합된 항공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항공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항공 적하목록으로부터 세관전송문서를 작성하여 세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세관으로부터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세관문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 전송 메시지는,
    각 메시지가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분된 각 데이터 블록의 메시지들은 매 분리 메시지마다 새로운 세션을 개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 전송 메시지는,
    항공기의 운항정보(FFM)와 마스터 B/L정보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FWB, FSB, CIR)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7.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 마스터 B/L 처리모듈과;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 하우스 B/L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상기 취합된 항공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항공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항공 적하목록으로부터 세관전송문서를 생성하여 세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세관에서 전송된 항공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항공세관문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 전송 메시지는,
    각 메시지가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구분된 각 데이터 블록의 메시지들은 매 분리 메시지마다 새로운 세션을 개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 전송 메시지는,
    항공기의 운항정보(FFM)와 마스터 B/L정보 및 마스터 송수하인정보(FWB, FSB, CIR)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각 선사들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B/L정보에 대한 선사 전송 메시지 및 각 포워더들로부터 전송되는 하우스 B/L정보에 대한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해상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상기 취합된 해상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선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해상 적하목록으로부터 세관전송문서를 생성하여 세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해상세관문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취합시스템.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 전송 메시지는,
    각 메시지가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분된 각 데이터 블록의 메시지들은 매 분리 메시지마다 새로운 세션을 개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4.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각 선사들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B/L정보에 대한 선사 전송 메시지 및 각 포워더들로부터 전송되는 하우스 B/L정보에 대한 포워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 문서를 조합하고 해당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해상 마스터/하우스 B/L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취합처리모듈은,
    상기 취합된 해상 마스터/하우스 적하목록에 대해 해당 선사로부터 세관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해상 적하목록으로부터 세관전송문서를 생성하여 세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해상 적하목록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파일로 생성하고, 해당 응답문서를 파싱하여 해상 적하목록DB에 저장하는 해상세관문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 전송 메시지는,
    각 메시지가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분된 각 데이터 블록의 메시지들은 매 분리 메시지마다 새로운 세션을 개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보세운송사 또는 보세장치장 또는 화주 또는 관세사 등에 의한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로의 문서 전송 및/또는 자료 검색을 사용자 유형에 따라 지원하는 다수의 사용자 유형별 온라인 접속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해당하는 온라인 접속모듈을 외부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링크시키는 사용자별 로그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선사나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의 취합 또는 세관전송문서의 송신 및 세관응답문서의 수신을 위해 일정한 포맷(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의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하는 메시지 중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에서 전송된 일정한 포맷(국제 표준 규격 UN/EDIFACT에 근거한 전자자료교환 표준전자문서)의 문서를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필요로 하는 파일형태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에서 전송된 파일을 상기 메시지 중계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역변환하는 문서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또는 다른 정보통신수단으로의 적하목록 정보의 전송을 인터페이스하는 팩스/이메일 전송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DB로부터 추출하고,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로 관리대상 화물선별이 완료되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해당 수입화물의 마스터/하우스 B/L 건별 화물정보를 상기 추출된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무역업체로 전송하여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하는 수입화물 도착통지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보세 운송사에 의해 신고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의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신고대상화물의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승인신고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심사결과에 대한 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하고 상기 적하목록 DB의 해당 화물 보세운송정보를 수정하여 등록하는 보세운송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 의해 신고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화물의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에 대한 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하고 상기 적하목록 DB의 해당 화물 반출입정보를 수정하여 등록하는 보세구역 화물 반출입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에 의해 등록된 화물의 이상유무 확인을 위해 검수회사로부터 요청된 화물의 검수예정목록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DB에서 조회하여 화물 입항일자별로 및/또는 항구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해당 검수회사에서 전송된 마스터/하우스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화물 검수결과 접수통보에 대한 응답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적하목록 DB의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여 화물의 이상 유/무 검수를 위한 적하목록 정보 송수신을 지원하는 검수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DB에서 조회하여 하역처리업체로 제공하는 하역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화물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DB에서 조회하여 관세사로 제공하는 입항전 수입신고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무역업체(수출)의 어음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DB에서 조회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 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업무를 지원하는 무서류네고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서버는,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취합서버로부터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하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 처리모듈은,
    상기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이 선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실화주인 경우 즉시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고, 또는 선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은행인 경우 화물선취보증 확인 후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고, 또는 후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실화주인 경우 운임 회수 후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고, 또는 후불운임조건이면서 수하인이 은행인 경우 화물선취보증 확인 및 운임 회수 후 화물인도승낙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시스템.
  50.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온-라인 접속가능한 중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자문서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수출입 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세관에서 전송된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삽입 및/또는 갱신하고 해당 적하목록 정보 생성주체로 송신하는 적하목록 취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화물이 실린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2.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하목록 정보 검색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적하목록 DB를 검색하고, 상기 적하목록 DB 상에 등록된 각종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 제출상태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상태 검색결과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3.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른 로그인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에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사용자 유형이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사용자 중의 어느 하나 임이 확인되면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 및/또는 입출항 보고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4. 제 53항에 있어서,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된 하나 이상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과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및 메시지 등의 송수신 동작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5.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른 로그인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단계에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사용자 유형이 보세운송사 또는 보세구역 또는 하역회사 또는 검수회사 또는 무역업체 또는 관세사 또는 은행의 사용자 중의 어느 하나 임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제공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6. 제 55항에 있어서,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된 하나 이상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과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및 메시지 등의 송수신 동작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7.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하목록 관리번호에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와 하우스 B/L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구성한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8.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하목록 관리번호에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와 하우스 B/L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구성한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59.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1.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3. 제 50항 또는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해상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상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수입화물 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5.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해상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상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7.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에서,
    항공 수출화물과 항공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항공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항공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마감단계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2차 전송 및 해당 전송데이터로 항공 적하목록 DB에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세관으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의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 또는 해당 항공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접수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69.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취합된 수입화물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접수마감단계와;
    상기 접수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1차 세관전송을 위한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해당 항공기 입항시까지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보완 요청되는 미취합된 적하목록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보완 입력분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보완 마감단계와;
    상기 보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 2차 세관전송을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분류작업 및 코드화작업 완료된 보완 입력분의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및 그에 따른 작업 지시서 및 반입지시서)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반영하는 선별 마감단계와;
    상기 선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창고배정 분류작업 완료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되면 해당 수입화물 화주(수입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화물 도착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분류 마감단계와;
    상기 분류 마감상태에서 화물의 하기 작업 후 하기화물의 이상여부를 체크하여 하기 이상이 확인되면 하기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하기결과 이상보고에 대한 접수통보여부를 수신하여 하기결과 이상보고를 수정한 후 그 수정된 정보를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보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0. 제 60항 내지 제 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에서,
    항공 수출화물과 항공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항공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항공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1.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마감단계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2차 전송 및 해당 전송데이터로 항공 적하목록 DB에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세관으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의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 또는 해당 항공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접수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2.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취합된 수입화물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접수마감단계와;
    상기 접수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1차 세관전송을 위한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해당 항공기 입항시까지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보완 요청되는 미취합된 적하목록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보완 입력분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보완 마감단계와;
    상기 보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 2차 세관전송을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분류작업 및 코드화작업 완료된 보완 입력분의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및 그에 따른 작업 지시서 및 반입지시서)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는 선별 마감단계와;
    상기 선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창고배정 분류작업 완료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되면 해당 수입화물 화주(수입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화물 도착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분류 마감단계와;
    상기 분류 마감상태에서 화물의 하기 작업 후 하기화물의 이상여부를 체크하여 하기 이상이 확인되면 하기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하기결과 이상보고에 대한 접수통보여부를 수신하여 하기결과 이상보고를 수정한 후 그 수정된 정보를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보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3.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에서,
    해상 수출화물과 해상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해상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해상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선사에서 지정한 선박출항시간을 기준으로 세관 제출 기한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수정요청된 데이터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제출중 단계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선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를 수신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 마감단계와;
    상기 접수 마감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 수신된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거나 또는 해당 선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심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5.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수하인 코드화 작업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 기준 일정시간 이전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단계와;
    상기 수신 대기중에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1차 오류통보된 적하목록의 수정 데이터 또는 보완 입력분의 미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고, 해당 수입화물 화주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화물 도착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선별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6. 제 64항 내지 제 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에서,
    해상 수출화물과 해상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해상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해상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7.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선사에서 지정한 선박출항시간을 기준으로 세관 제출 기한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수정요청된 데이터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제출중 단계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선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를 수신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 마감단계와;
    상기 접수 마감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 수신된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거나 또는 해당 선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심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8.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단계는,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수하인 코드화 작업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단계와;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 기준 일정시간 이전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단계와;
    상기 수신 대기중에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1차 오류통보된 적하목록의 수정 데이터 또는 보완 입력분의 미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단계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고, 해당 수입화물 화주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화물 도착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선별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79.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0. 제 60항 내지 제 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1.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각 선사들로부터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선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2. 제 64항 내지 제 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각 선사들로부터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선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취합방법.
  83. 제 60항 또는 제 62항 또는 64항 또는 제 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배정단계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수신 적하목록의 보세창고 배정정보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된 적하목록에 대해서 상기 체크된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고,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하목록에 대해서 수하인 코드값 및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의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4.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로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 관리대상 화물선별작업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된 해당 수입화물에 대해서는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해당 적하목록 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무역업체로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5.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보세운송업자에 의해 선택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에 대하여 보세운송신고 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정보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세관에서의 심사결과를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6.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화물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를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7.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검수회사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등록된 화물의 검수에 필요한 입항일자별 및 항구별 검수예정목록을 조회하고, 검수회사로부터 전송된 마스터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으로부터의 검수결과 접수통보정보에 따라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8.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의 조회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89.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정보를 조회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90.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무역업체(수출)의 어음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 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OPEN ACCOUNT)업무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91.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 제공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92.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항공사나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온-라인 접속 가능한 중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자문서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엑세스 가능하도록 부호화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또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세관에서 전송된 적하목록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적하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삽입 및/또는 갱신하고 해당 적하목록 정보 생성주체로송신하는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3.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화물이 실린 항공기 또는 선박에 대한 입출항 보고문서를 수신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세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출항 보고문서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세관응답문서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항 보고문서 생성주체로의 송신 처리를 중계하는 입출항 보고 처리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4. 제 92항 또는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하목록 정보 검색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적하목록 DB를 검색하고, 상기 적하목록 DB 상에 등록된 각종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정보 제출상태 및 세관에서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상태 검색결과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5. 제 92항 또는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른 로그인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프로세스에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사용자 유형이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사용자 중의 어느 하나 임이 확인되면 상기 적하목록 취합 및/또는 입출항 보고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6. 제 95항에 있어서,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된 하나 이상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과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및 메시지 등의 송수신 동작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7.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접속 요청하는 외부 사용자에 대해 초기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 유형에 따른 로그인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프로세스에서 외부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사용자 유형이 보세운송사 또는 보세구역 또는 하역회사 또는 검수회사 또는 무역업체 또는 관세사 또는 은행의 사용자 중의 어느 하나 임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8. 제 97항에 있어서,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 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별 로그인 처리된 하나 이상의 외부 사용자 단말기 및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과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팩스 전송문서 또는 이메일 전송파일 및 메시지 등의 송수신 동작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99. 제 92항 또는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하목록 관리번호에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와 하우스 B/L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구성한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0.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상기 항공 수출입 화물 및 해상 수출입 화물의 적하목록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하목록 관리번호에 마스터 B/L(선하증권) 일련번호와 하우스 B/L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구성한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하여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1. 제 92항 또는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2. 제 10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3.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항공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 수출입 화물의 항공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항공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4.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5. 제 92항 또는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해상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상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6.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 수입화물 배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7.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선사 또는 운송을 주선하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해상 수출입 화물의 해상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중계서버를 통해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상 수출입 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세관에서 전송된 해당 적하목록 정보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의 해당 적하목록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8. 제 107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화주(무역업체)의 요청에 따른 보세창고, 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화물관리번호를 토대로 취합하여 세관의 수출입화물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보관장소 배정정보를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에 저장하는수입화물 배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09. 제 10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에서,
    항공 수출화물과 항공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항공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항공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0. 제 109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2차 전송 및 해당 전송데이터로 항공 적하목록 DB에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세관으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의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 또는 해당 항공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접수통보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1. 제 109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취합된 수입화물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접수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접수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1차 세관전송을 위한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해당 항공기 입항시까지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보완 요청되는 미취합된 적하목록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보완 입력분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보완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보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 2차 세관전송을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분류작업 및 코드화작업 완료된 보완 입력분의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및 그에 따른 작업 지시서 및 반입지시서)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는 선별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선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창고배정 분류작업 완료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되면 해당 수입화물 화주(수입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화물 도착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분류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분류 마감상태에서 화물의 하기 작업 후 하기화물의 이상여부를 체크하여 하기 이상이 확인되면 하기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하기결과 이상보고에 대한 접수통보여부를 수신하여 하기결과 이상보고를 수정한 후 그 수정된 정보를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보고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2. 제 102항 내지 제 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에서,
    항공 수출화물과 항공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항공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항공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항공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
  113. 제 1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2차 전송 및 해당 전송데이터로 항공 적하목록 DB에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세관으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의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 또는 해당 항공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접수통보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4. 제 1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항공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항공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항공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 마감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취합된 수입화물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접수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접수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1차 세관전송을 위한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해당 항공기 입항시까지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항공사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보완 요청되는 미취합된 적하목록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보완 입력분의 창고배정을 위한 배정작업 및 수하인 코드화작업을 실시하는 보완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보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 2차 세관전송을 정보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분류작업 및 코드화작업 완료된 보완 입력분의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및 그에 따른 작업 지시서 및 반입지시서)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항공 적하목록 DB의 기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는 선별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선별 마감상태에서 항공사로부터의 창고배정 분류작업 완료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되면 해당 수입화물 화주(수입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화물 도착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분류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분류 마감상태에서 화물의 하기 작업 후 하기화물의 이상여부를 체크하여 하기 이상이 확인되면 하기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하기결과 이상보고에 대한 접수통보여부를 수신하여 하기결과 이상보고를 수정한 후 그 수정된 정보를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는 하기보고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5.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에서,
    해상 수출화물과 해상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해상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해상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6. 제 115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선사에서 지정한 선박출항시간을 기준으로 세관 제출 기한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수정요청된 데이터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제출중 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선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를 수신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접수 마감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 수신된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거나 또는 해당 선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심사결과 통보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7. 제 115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수하인 코드화 작업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 기준 일정시간 이전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프로세스와;
    상기 수신 대기중에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1차 오류통보된 적하목록의 수정 데이터 또는 보완 입력분의 미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고, 해당 수입화물 화주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화물 도착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선별 마감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8. 제 106항 내지 제 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에서,
    해상 수출화물과 해상 수입화물 각각에 대한 적하목록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해상 수출화물 총량관리 및 해상 수입화물 총량관리를 위한 해상 적하목록 DB를 각각 구분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19. 제 1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출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선사에서 지정한 선박출항시간을 기준으로 세관 제출 기한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상기 취합된 적하목록 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결과를 수신 대기하며, 그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될 때까지 선사 또는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로부터의 수정 요청되는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세관으로 전송하고 그 수정요청된 데이터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제출중 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의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를 수신하면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 상태로 설정하고, 선사로부터 적하목록 접수마감정보를 수신하면 적하목록 접수마감상태로 설정하는 접수 마감프로세스와;
    상기 접수 마감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승인 또는 보완 또는 승인취소)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세관으로부터 수신된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거나 또는 해당 선사로의 적하목록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심사결과 통보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0. 제 1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취합프로세스는,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전에 선사 또는 포워더가 전송하는 수하인 코드화 작업된 적하목록 정보를 취합하여 해상 적하목록 DB에 등록 및 저장하는 취합중 프로세스와;
    선사로부터 지정된 선박 입항 예정시간 기준 일정시간 이전까지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1차 전송 및 그 1차 전송결과(1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1차 전송프로세스와;
    상기 수신 대기중에 세관으로부터 1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1차 오류통보된 적하목록의 수정 데이터 또는 보완 입력분의 미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으로 2차 전송 및 그 2차 전송결과(2차 접수통보 또는 오류통보)를 수신 대기하는 2차 전송프로세스와;
    세관으로부터 2차 접수통보(또는 오류통보)여부가 확인된 상태에서 세관으로부터 심사결과(관리대상화물 선별)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심사결과를 해상 적하목록 DB의 기 등록된 해당 화물정보에 반영하고, 해당 수입화물 화주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화물 도착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선별 마감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1. 제 10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는,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2. 제 102항 내지 제 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는,
    각 항공사들로부터 국제항공통신네트워크(SITA 또는 ARINC) 또는 항공사 전용 통신네트워크(BATAP 프로토콜)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국제항공운송협회 IATA에서 규정한 CARGO_IMP 형태)의 항공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항공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3.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는,
    각 선사들로부터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선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4. 제 106항 내지 제 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적하목록 DB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는,
    각 선사들로부터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선사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마스터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각 포워더 또는 입력대행센터들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일정한 포맷(MFCS 표준문서)의 포워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에 대한 하우스 적하목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5. 제 102항 또는 제 104항 또는 106항 또는 제 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배정프로세스는,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수신 적하목록의 보세창고 배정정보 유/무를 체크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체크결과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된 적하목록에 대해서 상기 체크된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고, 보세창고 배정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하목록에 대해서 수하인 코드값 및 항공 적하목록 DB 또는 해상 적하목록 DB의 배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입화물 반입장소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6.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수신 및 취합된 항공 또는 해상 수입화물에 대한 마스터/하우스 B/L 건별로 세관으로부터 모선/편명별 관리대상 화물선별작업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완료여부가 확인된 해당 수입화물에 대해서는 해당 무역업체의 팩스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정보를 해당 적하목록 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무역업체로 수입화물 도착여부를 자동으로 통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7.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보세운송업자에 의해 선택된 보세운송 신고대상 화물에 대하여 보세운송신고또는 보세운송 승인신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정보 접수완료 통보 또는 접수오류 통보여부 또는 세관에서의 심사결과를 해당 보세운송사로 통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8.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보세창고, 보세장치장(보세구역)등에서 수입화물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반출통고목록 및 반송물품 또는 반입보고를 위한 화물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고, 세관으로부터의 해당 화물 수입신고 접수완료 또는 접수오류 또는 반출입 승인여부를 해당 보세창고 또는 보세장치장(구역)으로 통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29.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검수회사의 요청에 따라 항공사 또는 선사 또는 포워더로부터 등록된 화물의 검수에 필요한 입항일자별 및 항구별 검수예정목록을 조회하고, 검수회사로부터 전송된 마스터 B/L건별 또는 컨테이너별 화물 검수결과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정보를 세관으로 전송하며, 세관으로부터의 검수결과 접수통보정보에 따라 해당 화물의 컨테이너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30.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하역작업 및 분류작업을 위해 하역업체로부터 요청된 하선신고서 및 작업지시서 관련 정보의 조회를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31.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항공 또는 해상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를 위해 관세사로부터 요청된 해당 화물의 입항전 수입신고시 필요한 정보를 조회 및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32.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무역업체(수출)의 어음매입 신청에 따라 매입은행(수출대금결제은행)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무역업체의 수출통관이행사실 및 수출물품 선적이행사실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고, 매입은행에서 발급된 매입응답서 및 계산서 및 입금내역통지서를 수신하여 해당 무역업체(수출)에 전송하며, 상대 무역업체(수입)로부터 해당국 은행 및 국제은행망을 경유하여 입금된 수입대금에 대한 상기 매입은행으로의 대금결제 확인정보를 조회 지원하여, 은행과 무역업체간의 무서류네고(OPEN ACCOUNT)업무를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133.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프로세스는,
    무역업체(화주)에 의해 신청된 수입대금 결제 또는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발급 정보를 은행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 제공하고, 해당 선사 또는 항공사 또는 운송대리점으로부터의 화물인도승낙서(D/O) 발급 요청에 의해 수출입통관정보를 검색하여 화물인도승낙서(D/O)를 발급하고, 해당 화물의 운송대금 지불조건 및 수하인 조건에 따라 해당 화물 반입장소의 보세구역으로 화물인도승낙서(D/O)를 전송하여 보세구역내의 화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화물선취보증용 신용장(L/G) 및 화물인도승낙(D/O)업무를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목록 취합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10014894A 2001-03-22 2001-03-22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20074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94A KR20020074844A (ko) 2001-03-22 2001-03-22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94A KR20020074844A (ko) 2001-03-22 2001-03-22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844A true KR20020074844A (ko) 2002-10-04

Family

ID=2769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94A KR20020074844A (ko) 2001-03-22 2001-03-22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8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73B1 (ko) * 2007-12-03 2010-04-30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적하목록관리번호의 관리에 의한 항공 적하목록취합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84799B1 (ko) * 2007-12-06 2010-10-04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05392B2 (en) 2008-07-30 2011-03-15 Upc Konsultointi Oy Code collection in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73B1 (ko) * 2007-12-03 2010-04-30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적하목록관리번호의 관리에 의한 항공 적하목록취합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84799B1 (ko) * 2007-12-06 2010-10-04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05392B2 (en) 2008-07-30 2011-03-15 Upc Konsultointi Oy Code collection in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028B2 (en) Blockchain-based logistics systems
US20170316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shipment and insurance for an item
US7617133B1 (en) Dynamic determination of item returns during transit
US5758329A (e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7058596B1 (e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US7536321B2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systems and methods
US77254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national shipping and brokerage operations support processing
CN106815702A (zh) 一种智能公路运输调度管理方法
CN112997205A (zh) 用于实时在线货运管理的方法、系统、设备及程序
US20030171962A1 (en) Supply chain fulfillment coordination
US200501199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national integrated trade and logistics and processes for efficient, timely, and compliant movement of goods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JP2007522585A (ja) クレジットライン又は要求払預金口座などの与信枠から国際取引を決済するための承認をサポー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3875672B2 (ja) 共同配送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984799B1 (ko)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1594B1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출입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관리 시스템
JP2006244196A (ja) 国際輸送リスク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CN113971506A (zh) 基于大数据的整车物流信息智能管理平台
JP3997067B2 (ja) 在庫管理方法、および、在庫管理システム
KR100955273B1 (ko) 적하목록관리번호의 관리에 의한 항공 적하목록취합시스템및 그 방법
KR20020074844A (ko) 적하목록 취합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JP2003002443A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装置
KR20050117320A (ko) 통신망을 이용한 항만 물류 협업을 위한 정보 공유 및통합 방법 및 시스템
WO2003075195A2 (en) Supply chain fulfillment coordination
JP2002163337A (ja) 国際輸送サービス選択システム
KR20240021508A (ko) 해외 수출입 물류 중개서비스 및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