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795A -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795A
KR20020074795A KR1020010014806A KR20010014806A KR20020074795A KR 20020074795 A KR20020074795 A KR 20020074795A KR 1020010014806 A KR1020010014806 A KR 1020010014806A KR 20010014806 A KR20010014806 A KR 20010014806A KR 20020074795 A KR20020074795 A KR 2002007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display device
cabinet
slit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795A/ko
Publication of KR2002007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모니터 스크린이 장착되는 캐비넷 부재, 이 캐비넷 부재의 후면에 상기 모니터 스크린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도록 신호 처리를 위한 회로 모듈을 장착한 메인 프레임 부재 및 이 메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보호하는 백 커버 부재를 상호 체결 조립한 영상 표시 기기의 체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부재와 메인 프레임 부재의 상호 체결을 위해, 캐비넷 부재 상부의 돌출형 리브, 이 돌출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여 체결시 상기 돌출형 리브가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의 삽입 구멍, 캐비넷 부재 양측부의 슬릿형 리브, 이 슬릿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여 체결시 상기 슬릿형 리브에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 부재의 돌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 부재와 후방 백 커버 부재의 상호 체결을 위해, 캐비넷 부재의 상하좌우측의 래치 홈, 이 래치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고 체결시 상기 래치 홈에 끼워지는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AN INTERFERENCE-FITTD VIDEO DISPLAY APPLIANCE ASSEMBLY}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체결 조립체,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기기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캐비넷 부재, 이 캐비넷 부재에 설치되고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 및 이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넷 부재와 메인 프레임을 보호하도록 캐비넷 부재에 장착되는 백 커버 부재를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체결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상 표시 기기의 캐비넷 부재, 메인 프레임 및 백 커버 부재는 나사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이어서, 캐비넷 부재에 메인 프레임과 백 커버 부재를 각각 상호 체결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의 주요 고정점에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과 삽입된 나사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보스부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여 이러한 고정 요소 사이로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가 도 1 및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는 전방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캐비넷 부재(1)와, 모니터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회로 모듈을 장착한 메인 프레임(2) 및 이들 캐비넷 부재와 메인 프레임을 후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캐비넷 부재에 장착되는 백 커버 부재(4)를 구비하며, 이들 요소들은 상호 대응하는 주요 고정 위치에 나사 삽입 구멍과 나사 수용 보스부를 두고 이들 체결 요소 사이로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있다. 모듈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2)은 캐비넷 부재(1)에 나사로 고정되며, 다시 이 캐비넷(1)은 백 커버 부재(4)와 나사로 상호 고정된다. 캐비넷 부재와 백 커버 부재간의 체결은 각 모서리 위치를 고정점으로 하여 나사로 체결하고 있으며, 메인 프레임과 캐비넷 부재간의 체결은 상기 고정점을 피하여 모서리와 모서리 중간 위치를 고정점으로 하여 나사 체결하는데, 이러한 고정점(원으로 표시된 부분)에서의 나사 체결 구조가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2)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나사 삽입 구멍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의 나사 고정부(5)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한 캐비넷 부재의 나사 삽입용 보스부(6) 사이로 나사(3)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캐비넷 부재에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체결 구조는 나사를 사용한 구조이므로, 제품의 조립과 분해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보수 관리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나사 체결 방식은 분해 조립시 나사를 분실할 염려가 있고 나사 체결시 플라스틱류의 보스부가 손상을 입거나 파손되어 나사 체결부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영상 표시 기기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에서 메인 프레임이 캐비넷 부재에 장착되는 고정점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메인 프레임을 캐비넷 부재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부분과 체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캐비넷 부재의 상부 슬릿에 메인 프레임의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캐비넷 부재의 체결부의 위치와 백 커버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래치 홈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캐비넷 부재의 상부에 메인 프레임을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돌출 리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백커버 부재의 체결부인 래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을 하부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백 커버 부재의 지지용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비넷 부재의 상부 돌출 리브
20: 캐비넷 부재의 측부 슬릿형 리브
30: 캐비넷 부재의 래치 홈
100: 캐비넷 부재
110: 캐비넷 부재의 상부
120,130: 캐비넷 부재의 측부
140: 캐비넷 부재의 하부
200: 메인 프레임
210: 메인 프레임의 상부의 삽입 구멍
220: 메인 프레임의 측부의 슬라이드 돌기
300: 백 커버 부재
330: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
333: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의 슬릿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모니터 스크린이 장착되는 캐비넷 부재, 이 캐비넷 부재의 후면에 상기 모니터 스크린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도록 신호 처리를 위한 회로 모듈을 장착한 메인 프레임 부재 및 이 메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보호하는 백 커버 부재를 상호 체결 조립한 영상 표시 기기의 체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부재와 메인 프레임 부재의 상호 체결을 위해, 캐비넷부재 상부의 돌출형 리브, 이 돌출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여 체결시 상기 돌출형 리브가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의 삽입 구멍, 캐비넷 부재 양측부의 슬릿형 리브, 이 슬릿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여 체결시 상기 슬릿형 리브에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 부재의 돌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 부재와 후방 백 커버 부재의 상호 체결을 위해, 캐비넷 부재의 상하좌우측의 래치 홈, 이 래치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고 체결시 상기 래치 홈에 끼워지는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넷 부재와 메인 프레임간의 체결시, 메인 프레임을 캐비넷 부재에 대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캐비넷 부재의 상부의 돌출형 리브가 메인 프레임의 삽입 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캐비넷 부재의 양측부의 슬릿형 리브에 메인 프레임의 돌출 리브가 슬라이드 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넷 양측부의 슬릿형 리브는 상하로 2단 슬릿 구조를 가지며, 터치 패널식 영상 표시 기기에 적용시 상단 슬릿을 체결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넷 부재의 래치 홈은 2단 홈 구조를 가지며, 터치 패널식 영상 표시 기기 적용시 상단 홈을 체결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 커버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캐비넷 부재에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리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는 래치부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단을 구비하며, 캐비넷 부재에 장착된 백 커버 부재의 분리시, 이 슬릿단을 통해 분리 기구를 삽입하여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는 전방으로 모니터가 장착되는 캐비넷 부재(100)와, 이 캐비넷 부재 후방으로 모니터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을 장착한 메인 프레임(200) 및 이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 및 캐비넷 부재를 보호하는 백 커버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각 요소들은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조립되는데, 메인 프레임(200)은 캐비넷 부재(100)의 측부(120,130)에 있는 체결부(A로 표시됨)와, 상부(110)에 있는 체결부(도시 생략)에 의해 캐비넷 부재에 장착되며,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백 커버 부재(300)의 체결부(C로 표시됨)에 의해 캐비넷 부재(100)에 장착된다. 구체적인 체결 구조는 후술된다.
도 4는 메인 프레임을 캐비넷 부재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메인 프레임(200)은 캐비넷 부재(100)의 상부(110)에 있는 체결부(B로 표시됨)에 의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도 5는 도 1의 A부분과 체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200)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억지끼움식 체결부를 이용하여 캐비넷 부재(100)에 장착된다. 도시된 부분은 캐비넷 부재의 측부(120)에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억지 끼움식 체결부는 캐비넷 부재(100)의 측부에 있는 돌출 슬릿형 리브(20)와 이 돌출 슬릿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고 상기 돌출 슬릿형 리브(20)의 슬릿에 슬라이드 되어 끼워지는 메인 프레임의 슬라이드 돌기(220)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넷 부재(100)의 측부(120)의 돌출 슬릿형 리브(20)는 십자형의 벽부를 구비하고 그중 하나의 벽부에 상하로 이중 슬릿(22,23)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캐비넷 부재의 하부 슬릿(23)에 메인 프레임(200)의 슬라이드 돌기(220)가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캐비넷 부재(100)의 상부 슬릿(22)에 메인 프레임(200)의 슬라이드 돌기(220)가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이중 슬릿 구조를 취하는 것은 영상 표시 기기를 터치 패널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한 경우, 영상 신호 처리 모듈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의 두께도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두께 증가분을 고려하여 메인 프레임을 캐비넷 부재(1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5는 일반적인 영상 표시 기기에서 메인 프레임을 설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터치 패널식 영상 표시 기기에서 메인 프레임을 설치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캐비넷 부재(100)의 체결부의 위치와 백 커버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래치 홈(30)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 있지만,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의 메인 프레임(200)과 백 커버 부재(300)는 모두 캐비넷 부재(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캐비넷 부재에는 여러가지 체결부가 자리한다. 캐비넷 부재(100)에는 메인 프레임과의 체결을 위해, 3개의 돌출 리브(10)를 캐비넷 부재의 상부(110)에, 그리고 2개의 돌출 슬릿형 리브(20)를 양측부(120,130)에 각각 구비한다. 캐비넷 부재(100)의 상하좌우측부(110,120,130,140)에는 백 커버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6개의 래치홈(30)을 구비한다. 이 래치홈(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을 적용한 영상 표시 기기의 경우 두꺼워진 메인 프레임을 덮는 백 커버 부재의 설치 높이를 고려하여 이중 슬릿(31,3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백 커버 부재와의 설치 방식은 후술한다.
도 8은 캐비넷 부재의 상부에 메인 프레임을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캐비넷 부재(10)의 상부(110)에 돌출 리브(10)가 설치되며, 이 돌출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인 프레임(200)의 삽입 구멍(210)을 설치하여, 메인 프레임을 캐비넷 부재(100)에 대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밀어넣으면, 메인 프레임의 삽입 구멍(210)에 캐비넷 부재의 돌출 리브(10)가 억지 끼워맞춤되어 양 요소가 결합된다.
도 9는 도 8의 돌출 리브(1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돌출 리브(10)는 스텝형을 취하며, 메인 프레임의 삽입 구멍(210)에 삽입되었을 때, 메인 프레임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 스토퍼(12)와 메인 프레임 내의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스토퍼(11)를 구비한다.
도 10은 백커버 부재의 체결부인 래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백 커버 부재(300)는 캐비넷 부재(100)에 메인 프레임(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이들 체결체를 보호하기 위해 백 커버 부재(300)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백 커버 부재(300)에는 래치부(330)가 구비되며, 이 래치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넷 부재(100)의 래치 홈(30)에 체결된다. 따라서, 래치부(330)는 전술한 래치 홈(3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하좌우측부에 각각 2개씩 자리한다. 장착시, 백 커버 부재(300)의 래치부(330)는 도 7에 도시된 캐비넷 부재(100)의 래치 홈(30)의 이중 슬릿(31,32)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다.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백 커버 부재를 캐비넷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래치부(330)에는 래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슬릿단(333)을 구비하며, 이 슬릿단을 통해 스틸자와 같은 분리 수단을 삽입하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래치부(30)를 내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백 커버 부재(300)의 래치부(330)는 캐비넷 부재(100)의 래치 홈(30)의 슬릿(31 또는 32)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이에 따라 백 커버 부재를 캐비넷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래치부(330)의 상부를 모따기 한 경사부(331)를 형성하여,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을 하부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백 커버 부재의 지지용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지지용 돌기(322)는 백 커버 부재(300)의 하부(320)에 설치되며, 백커버 부재를 캐비넷 부재에 장착시, 캐비넷 부재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을 하부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영상 표시 기기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5)

  1. 전방에 모니터 스크린이 장착되는 캐비넷 부재, 이 캐비넷 부재의 후면에 상기 모니터 스크린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도록 신호 처리를 위한 회로 모듈을 장착한 메인 프레임 부재 및 이 메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보호하는 백 커버 부재를 상호 체결 조립한 영상 표시 기기의 체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부재와 메인 프레임 부재의 상호 체결을 위해, 캐비넷 부재 상부의 돌출형 리브, 이 돌출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여 체결시 상기 돌출형 리브가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의 삽입 구멍, 캐비넷 부재 양측부의 슬릿형 리브, 이 슬릿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여 체결시 상기 슬릿형 리브에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 부재의 돌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 부재와 후방 백 커버 부재의 상호 체결을 위해, 캐비넷 부재의 상하좌우측의 래치 홈, 이 래치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하고 체결시 상기 래치 홈에 끼워지는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부재 양측부의 슬릿형 리브는 상하로 2단 슬릿 구조를 가지며, 터치 패널식 영상 표시 기기에 적용시 상단 슬릿을 체결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부재의 래치 홈은 2단 홈 구조를 가지며, 터치패널식 영상 표시 기기 적용시 상단 홈을 체결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캐비넷 부재에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리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 부재의 래치부는 래치부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단을 구비하며, 캐비넷 부재에 장착된 백 커버 부재의 분리시, 이 슬릿단을 통해 분리 기구를 삽입하여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KR1020010014806A 2001-03-22 2001-03-22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KR2002007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06A KR20020074795A (ko) 2001-03-22 2001-03-22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06A KR20020074795A (ko) 2001-03-22 2001-03-22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795A true KR20020074795A (ko) 2002-10-04

Family

ID=2769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06A KR20020074795A (ko) 2001-03-22 2001-03-22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7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7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EP1069459B1 (en) Mounting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modules
US6905103B2 (en) Display apparatus
KR20030095132A (ko) 디스플레이장치
US6536855B2 (en) Front cabinet and television set
KR100346711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KR20020074795A (ko) 무나사 체결 방식의 영상 표시 기기 체결 조립체
KR100710152B1 (ko)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고정구조
KR100484140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장치
KR100463728B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판넬체결장치
JPH06326905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200142984Y1 (ko) 모니터용 조정놉 케이스 결합구조
KR20030052152A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KR100360878B1 (ko) 평판형 영상 표시기기의 스피커 착탈장치
KR100221406B1 (ko) 개선된 피씨비 프레임을 구비하는 티브이씨알 결합 구조물
KR200324709Y1 (ko) 전면판고정장치
KR200500601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 캐비넷과 백커버의체결 구조
KR101029128B1 (ko) 카메라
KR200175683Y1 (ko) 커넥터의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모니터
JP2000132116A (ja) 映像機器用前面板の取付構造
KR200158595Y1 (ko) 모니터 메인기판 샤시프레임 구조
JPS584373Y2 (ja) コントロ−ル板取付機構
KR200303247Y1 (ko) 모니터의 스피커 고정장치
KR19990009184U (ko) 모니터의 프론트마스크와 브라켓 pcb의 결합구조
KR20030055959A (ko) Lcd 모니터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