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594A - 전자파 검출 안경테 - Google Patents

전자파 검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594A
KR20020074594A KR1020010014446A KR20010014446A KR20020074594A KR 20020074594 A KR20020074594 A KR 20020074594A KR 1020010014446 A KR1020010014446 A KR 1020010014446A KR 20010014446 A KR20010014446 A KR 20010014446A KR 20020074594 A KR20020074594 A KR 2002007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pectacle frame
sensor
rich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목
Original Assignee
안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목 filed Critical 안재목
Priority to KR102001001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594A/ko
Publication of KR2002007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검출에 관한 것으로써, 전자파 노출 환경에서 전자파 피폭량을 안경테에 부착된 자기장 센서를 이용해서 안경 착용자에게 위험 수준을 알리는 전자파 검출 안경테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 안경테에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과, 나) 전자파 감지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서 증폭기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과, 다) 센서 작동에 의해 발광소자 및 부자를 작동하는 방법과, 라) 측정감도에 따라 센서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조절 방법과, 마) 측정감도는 안구나 뇌에 위험 수준의 자계 검출, 주의 수준의 자계 검출로 구분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유해 전자파 환경에 노출된 일반인들에게 전자파 피폭 지역을 경고함으로써 향후 있을 수 있는 전자파 피해를 최소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검출 안경테{Glass Beads for Electromagnetic field Detection}
본 발명은 전자파 측정 센서를 안경테에 부착하여 자기장 노출 세기에 의해 발광소자와 부자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자기장 세기에 따라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기에 의해 증폭하여 안경테에 부착한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것이다. 국제기준의 자기장 노출 한계이상으로 감지되면 발광소자와 부자를 작동하게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 졌다.
전자파는 전기적 요소와 자기적 요소로 이루어 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보다 유해한 자기적 요소만을 검출하는 것이다. 전자파 측정기로써는 국내외에서 개발된 전기적 요소와 자기적 요소를 동시에 검출하는 시스템이 많이 도입되어 있으며 상당한 정밀도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신체에 특히 주의를해야 할 뇌와 안구의 보호 측면에서 그 부위에 위험할 정도의 자계가 방출되는 자계의 양과 주의정도의 자계 세기를 감지하여 측정 감도 설정에 따라 센서를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전자파 측정 센서를 활용하여 전자파 위험 수위를 알리는 수준평가에 관한 제품은 출시되고 있으나 이 경우 항상 의식적으로 측정을 통해서만 전자파 위험수위를 알 수 있게 된다. 전자파의 노출은 인체에서 감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감지가 되었을 경우는 이미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입은 후이다. 따라서 사람은 언제 어디서든지 항상 전자파에 노출되어 있고 자신의 건강을 전자파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의식 무자각으로 전자파를 항상 감지하여 경고를 알려주려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발상은 현재까지 없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인들이 눈과 뇌의 보호와 시력 보호를 위해 안경테에 전자파 감지 센서와 발광소자를 부착하는 것을 제시하는 기술이다. 안경테를 이용한 전자파 검출에서는 전자파에 민감한 안구와 뇌를 보호한다는 의미가 있다. 국민의 30% 정도의 인구가 안경을 착용해서 일상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생활 공간 전자파 피폭의 위험지역을 안경테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장소와 시간의 구속 없이 무의식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측정감도에 따라 센서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상태도
*부호의 설명
1 : 안경테 2 : 전원 3 : 부자
4 : 자기장 센서 회로 5 : 발광소자 6 : 측정감지 조절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경테에 국제 기준의 전자파 노출 측정이 가능한 자기장 센서를 활용하고, 센서로부터 획득된 전기 신호를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해서 증폭기를 추가하였으며, 측정감도 조절에 따라 발광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변저항을 안경테에 부착하였다. 검출방법은 안경테에 발광소자 혹은 부자를 부착시키고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전자파가 발생되면 발광소자 혹은 부자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고안하였다. 발광소자가 작동되면 눈 앞에 번뜩이는 불빛으로 전자파의 위험 수위를 쉽게 경고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제1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단면 상태도인바, 전원은 1개 혹은 2개를 안경테의 귀쪽 부분에 부착하고(2), 여기로부터 전원 공급 전선이 안경테의 앞쪽으로 뻗어 증폭기를 포함한 자기장 센서를 안경테 가운데 부착하고(4), 발광소자는 눈 앞에서 번뜩이는 불빛이 쉽게 감지하는 위치에 놓아지고(5), 측정감지의 민감성 조절은 안경테 좌, 우측에 놓도록 하였다(6).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생활 공간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위험지역을 언제 어디서든지 무의식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건강을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전자파의 원리에 의하면 자기장은 장애물, 칸막이, 벽 등을 뚫고 지나감으로 거리를 멀리하는 것이 전자파 노출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언제 어디에서 전자파 피폭이 기준치 이상으로 방사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측정을 해야 한다. 이처럼 일반인들이 측정 장비를 휴대하여 전자파 노출을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개발된 전자파 검출 안경테를 착용하면 자신의 생활 환경에서 언제 어디에서 국제 권고 기준 이상의 전자파 세기가 감지되고 곧바로 센서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시각적/청각적 효과로 위험 지역을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유해 전자파로부터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10)

  1. 안경테에 전자파 측정 감지 센서를 부착하는 특징.
  2. 안경테에 전자파 센서의 측정 감지목적으로 발광소자를 부착함.
  3. 안경테에 전자파 센서의 측정 감지목적으로 부자를 부착함.
  4. 제1항에 있어서, 전자파 측정 감지 센서의 선택 기준은 국제 기준 권고안에 제시한 자기장 세기를 충분히 커버하는 센서 사용에 특징
  5. 제2항에 있어서, 발광소자의 위치는 매우 작은 세기의 불빛으로도 쉽게 감지가 가능하도록 발광소자의 방향이 눈으로 향하도록 안경테에 부착하는 특징.
  6. 제3항에 있어서, 부자의 위치는 귀에 가깝게 센서를 놓아야 함으로 안경테 귀에 걸리는 부분의 끝에 부자를 부착하여 작은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특징.
  7. 측정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안경테 옆으로 초소형 가변저항을 부착하여 전류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
  8. 발광소자와 부자의 작동은 안경테 귀쪽 부분에 위치한 배터리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증폭기는 안경테 어느 곳에도 부착이 가능한 것이 특징.
  9. 제7항에 있어서, 전자파 고노출 직업군에 속한 자, 일반인들, 개인에 따른 자계 민감성을 고려해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
  10. 제7항에 있어서, 고 위험 수준의 자기장 노출, 주의 수준의 자기장 노출로 구분 지어 발광소자와 부자를 구동할 수 있도록 감지조절기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특징.
KR1020010014446A 2001-03-20 2001-03-20 전자파 검출 안경테 KR20020074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46A KR20020074594A (ko) 2001-03-20 2001-03-20 전자파 검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46A KR20020074594A (ko) 2001-03-20 2001-03-20 전자파 검출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94A true KR20020074594A (ko) 2002-10-04

Family

ID=2769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46A KR20020074594A (ko) 2001-03-20 2001-03-20 전자파 검출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5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61B1 (ko) * 2008-10-20 2011-01-13 두지산업 주식회사 장식 부착형 머리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612A (ko) * 1998-12-29 2000-07-15 허문영 눈부심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37723A (ja) * 1999-05-24 2001-02-13 Ricoh Co Ltd 入射検出装置
KR200235964Y1 (ko) * 2001-02-14 2001-09-29 최영근 전자파측정기 겸용 리모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612A (ko) * 1998-12-29 2000-07-15 허문영 눈부심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37723A (ja) * 1999-05-24 2001-02-13 Ricoh Co Ltd 入射検出装置
KR200235964Y1 (ko) * 2001-02-14 2001-09-29 최영근 전자파측정기 겸용 리모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61B1 (ko) * 2008-10-20 2011-01-13 두지산업 주식회사 장식 부착형 머리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4477A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for use by blind comprising plural ranging channels mounted on spectacle frames
US20080111073A1 (en) Dynamic emergency radiation monitor
PL373350A1 (en) Scattered-light smoke detector
US20180137749A1 (en) Personal Traffic Hazard Warning System
US10948287B1 (en) Wearable device for spacing awareness
WO2019077478A1 (en) PROTECTIVE DEVICE FOR EYE PROTECTION
KR101596270B1 (ko)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74594A (ko) 전자파 검출 안경테
KR20120025288A (ko) 졸음 및 음주 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8656B1 (ko) 안전점검 및 공사용 보안경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101175650B1 (ko) 휴대용 자외선 측정기
US20210335120A1 (en) Social distancing reminder device
KR10239915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ATE205070T1 (de) Ultraschallbrille für blinde und sehbehinderte
KR102036853B1 (ko) 발광형 음향 안내장치
KR20210058044A (ko) 시각장애인 전용 스마트 블루투스 안경
KR20160135470A (ko) 웨어러블 졸음방지장치
JP2008188391A (ja) 障害物検出装置
KR200200807Y1 (ko) 자외선 감지장치가 장착된 핸드폰
JPH02220627A (ja) 眼球運動検出方法及び居眠り検出・防止装置
KR20010068151A (ko) 안전거리 정보제공 휴대용 전자파 측정기
JP2005128225A (ja) 眼鏡
KR101624114B1 (ko)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KR200268660Y1 (ko) 유해파 검출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