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334A - 조립식 수장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334A
KR20020074334A KR1020010014317A KR20010014317A KR20020074334A KR 20020074334 A KR20020074334 A KR 20020074334A KR 1020010014317 A KR1020010014317 A KR 1020010014317A KR 20010014317 A KR20010014317 A KR 20010014317A KR 20020074334 A KR20020074334 A KR 2002007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eces
piece
soccer ball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두환
Original Assignee
송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두환 filed Critical 송두환
Priority to KR102001001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334A/ko
Priority to PCT/KR2001/000655 priority patent/WO2002074127A1/en
Publication of KR2002007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3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8Desk-receptacles for holding writ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2Savings box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매로 나뉘어진 조립편을 상호 조립하여 축구공등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조립편들이 축구공 형태등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이를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필통이나 저금통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장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중심 조립편(1)의 각 변에 삽입편(2)을 각각 형성하고 이 중심 조립편(1)에 결합되는 육각과 오각의 각 조립편(3)들에는 일측에 삽입부(4)를 타측에는 삽입공(6)이 형성되는 날개(5)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각 조립편(3)들의 삽입부(4)를 다른 조립편(3)들에 형성된 날개(5)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조립편(3)들을 조립하여 축구공 형태로 조립하고 상기 조립편(3)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최상단에 상기 중심 조립편(1)을 조립시키도록 하며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편들을 3개가 한쌍이 되는 형태로 조립구(7)와, 상단조립구(10), 하단조립구(12)를 조립하여 수장구를 구성할 수 있고, 다수의 조각이 연결되는 형태의 중앙연결구(14)와, 바닥연결구(17), 뚜껑(18)을 조립시키도록 하고 상단에 상단연결구(19)를 조립하여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필기구등을 꽂는 필통과 저금통 및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수장구 {ASSEMBLY COLLECTOR}
본 발명은 여러 매로 나뉘어진 조립편을 상호 조립하여 축구공등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조립편들이 축구공 형태등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이를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필통이나 저금통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장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를 수장하는 필통등은 단순히 일방이 개방된 통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필기구들을 수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저금통등은 동물 형태등으로 형성하면서 일방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동전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통이나 저금통등은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가지의 기능만을 하도록 되어 있었고, 장식미 없이 탁상등에 단순히 올려 놓고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과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종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여러 매의 조립편을 상호 조립하여 축구공등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조립편들이 축구공 형태등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이의 꽂이부를 통하여 필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필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상기 조립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하여 저금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립품의 상부를 개방식으로 형성하여 통체내에 여러 가지 물건을 수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장구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용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중심 조립편 2,11,13 : 삽입편
3 : 조립편 4,15 : 삽입부
5 : 날개 6,9 : 삽입공
7 : 조립구 8 : 돌출편
10 : 상단조립구 12 : 하단조립구
14 : 중앙연결구 16 : 절결공
17 ; 바닥연결구 18 : 뚜껑
19 : 상단연결구 20 : 통공
21 : 투입구 22 : 고리
23 : 끈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중심 조립편(1)의 각 변에 삽입편(2)을 각각 형성하고 이 중심 조립편(1)에 결합되는 육각과 오각의 각 조립편(3)들에는 일측에 삽입부(4)를 타측에는 삽입공(6)이 형성되는 날개(5)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각 조립편(3)들의 삽입부(4)를 다른 조립편(3)들에 형성된 날개(5)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조립편(3)들을 조립하여 축구공 형태로 조립하고 상기 조립편(3)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최상단에 상기 중심 조립편(1)을 조립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편들을 3개가 한쌍이 되는 형태로 조립구(7)를 형성하고, 이들에는 각각의 돌출편(8)과 삽입공(9)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편(8)들과 상기 삽입공(9)들을 상호 조립하면서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조립구(7)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는 육면에 삽입편(11)(13)들이 형성된 상단조립구(10)와 하단조립구(12)를 조립하여 수장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축구공 형상을 이루는 수장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조각이 연결되는 형태의 중앙연결구(14)를 구비하여 이들의 외측에 각각의 삽입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5)들에는 절결공(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15)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중앙연결구(14)들의 상하에는 바닥연결구(17)와 뚜껑을 이루는 뚜껑(18)을 조립시키도록 하고 상단에 상단연결구(19)를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18)에는 여러개의 통공(20)을 형성하여 필기구등을 꽂아 필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중심 조립편(1), 상단조립구(10) 및 상단연결구(19)들에는 투입구(2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조립된 수장구를 저금통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이들에 고리(22)를 형성하며 이 고리(22)에는 끈(23)을 연결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 지시선이 없는 부호는 조립순서를 위한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중심 조립편(1)의 각 변에 형성한 삽입편(2)을 육각과 오각으로 형성된 각각의 조립편(3)들에 형성한 삽입부(4)와 날개(5)의 삽입공(6)을 통하여 조립순서에 따라 상호 조립하도록 하므로써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중심 조립편(1)에 투입구(21)를 형성하여 저금통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중심 조립편(1)에 고리(22)와 끈(23)을 설치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편들을 3개가 한쌍이 되는 형태로 조립구(7)를 형성하고, 이들의 돌출편(8)과 삽입공(9)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면서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조립구(7)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는 육면에 삽입편(11)(13)들이 형성된 상단조립구(10)와 하단조립구(12)를 조립하여 수장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조각이 연결되는 형태의 중앙연결구(14)를 구비하여 이들의 외측에 각각의 삽입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5)들에는 절결공(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15)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중앙연결구(14)들의 상하에는 바닥연결구(17)와 뚜껑을 이루는 뚜껑(18)을 조립시키도록 하고 상단에 상단연결구(19)를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뚜껑(18)에는 여러개의 통공(20)을 형성하여 필기구등을 꽂아 필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 상단조립구(10) 및 상단연결구(19)들에는 투입구(2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조립된 수장구를 저금통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이들에 고리(22)를 형성하며 이 고리(22)에는 끈(23)을 연결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각 조립되는 부품들은 부품들에 형성한 번호에 따라 순서적으로 조립하여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이재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조각을 형성하고 이 조각들을 순서에 조립하도록 하므로써 공의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공의 형태로 된 수장구를 필기구등을 수장하는 필통이나 저금통 및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이의 사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유아즐이 상기 조립순서에 따라 조립하면서 공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흥미를 돋굴수 있으면서 지능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고, 상기 제품을 종이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므로써 파손율을 낮추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6)

  1.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중심 조립편(1)의 각 변에 삽입편(2)을 각각 형성하고 이 중심 조립편(1)에 결합되는 육각과 오각의 각 조립편(3)들에는 일측에 삽입부(4)를 타측에는 삽입공(6)이 형성되는 날개(5)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각 조립편(3)들의 삽입부(4)를 다른 조립편(3)들에 형성된 날개(5)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조립편(3)들을 조립하여 축구공 형태로 조립하고 상기 조립편(3)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최상단에 상기 중심 조립편(1)을 조립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장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편들을 3개가 한쌍이 되는 형태로 조립구(7)를 형성하고, 이들에는 각각의 돌출편(8)과 삽입공(9)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편(8)들과 상기 삽입공(9)들을 상호 조립하면서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조립구(7)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는 육면에 삽입편(11)(13)들이 형성된 상단조립구(10)와 하단조립구(12)를 조립하여 수장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장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구공 형상을 이루는 수장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조각이 연결되는 형태의 중앙연결구(14)를 구비하여 이들의 외측에 각각의삽입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5)들에는 절결공(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15)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중앙연결구(14)들의 상하에는 바닥연결구(17)와 뚜껑을 이루는 뚜껑(18)을 조립시키도록 하고 상단에 상단연결구(19)를 조립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장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구공 형태의 수장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18)에는 여러개의 통공(20)을 형성하여 필기구등을 꽂아 필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장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조립편(1), 상단조립구(10) 및 상단연결구(19)들에는 투입구(2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조립된 수장구를 저금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장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조립편(1), 상단조립구(10) 및 상단연결구(19)들에 고리(22)를 형성하며 이 고리(22)에는 끈(23)을 연결하여 장신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장구.
KR1020010014317A 2001-03-20 2001-03-20 조립식 수장구 KR20020074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317A KR20020074334A (ko) 2001-03-20 2001-03-20 조립식 수장구
PCT/KR2001/000655 WO2002074127A1 (en) 2001-03-20 2001-04-20 Assembly type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317A KR20020074334A (ko) 2001-03-20 2001-03-20 조립식 수장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94U Division KR200236555Y1 (ko) 2001-03-20 2001-03-20 조립식 수장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334A true KR20020074334A (ko) 2002-09-30

Family

ID=1970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317A KR20020074334A (ko) 2001-03-20 2001-03-20 조립식 수장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74334A (ko)
WO (1) WO20020741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3696A1 (en) * 2002-02-26 2003-09-04 Netpia.Com, Inc. System for intercepting network access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5321A (zh) * 2013-07-24 2013-11-20 南昌大学 奶酪笔座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0645U (ko) * 1975-03-04 1976-09-07
JPH0633517U (ja) * 1992-10-07 1994-05-06 株式会社富士商会 球形の組立式貯金箱
KR970011926U (ko) * 1995-09-25 1997-04-25 주식회사 일오삼테크 절첩식 장치용 장식물
KR19980019162U (ko) * 1998-04-09 1998-07-06 신찬수 오각편과 육각편의 조립이 용이한 축구공저금통
KR20000000045U (ko) * 1998-06-01 2000-01-15 안동립 저금통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지구본
KR20000016050U (ko) * 1999-01-22 2000-08-16 신찬수 축구공형 필기구 보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13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취침 모드 기능을 갖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0167652Y1 (ko) * 1999-05-11 2000-02-15 권오국 장식용 축구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0645U (ko) * 1975-03-04 1976-09-07
JPH0633517U (ja) * 1992-10-07 1994-05-06 株式会社富士商会 球形の組立式貯金箱
KR970011926U (ko) * 1995-09-25 1997-04-25 주식회사 일오삼테크 절첩식 장치용 장식물
KR19980019162U (ko) * 1998-04-09 1998-07-06 신찬수 오각편과 육각편의 조립이 용이한 축구공저금통
KR20000000045U (ko) * 1998-06-01 2000-01-15 안동립 저금통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지구본
KR20000016050U (ko) * 1999-01-22 2000-08-16 신찬수 축구공형 필기구 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3696A1 (en) * 2002-02-26 2003-09-04 Netpia.Com, Inc. System for intercepting network acces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4127A1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40032A (ru) Сборная зубная щетка
CA104361S (en) Manipulable puzzle cube
US6575803B1 (en) Built-up card holder
KR20020074334A (ko) 조립식 수장구
KR200236555Y1 (ko) 조립식 수장구
US6432005B1 (en) Racket with lengthened longitudinal strings
US6439953B1 (en) Three-dimensional built-up toy with freely connectable bases
US20050174759A1 (en) Transformable flashlight apparatus
US6119850A (en) Air freshener container
US6364732B1 (en) Pinwheel
USD435330S (en) Ball cap with tassel and removable button
KR200291949Y1 (ko) 블록 완구로의 조립이 가능한 케이스
USD490482S1 (en) Spherical jigsaw puzzle
USD497398S1 (en) Spherical jigsaw puzzle
WO2004067129A2 (en) Toy assembly
CA103509S (en) Writing instrument
CA103998S (en) Tennis ball head pet toy
US5401217A (en) Portable bowling game and carrying case
CA103997S (en) Football head pet toy
KR200287077Y1 (ko) 카드케이스
KR920001411Y1 (ko) 상장 케이스
KR0138304Y1 (ko) 다용도 필기구
KR200308095Y1 (ko) 착탈 가능한 완구를 갖는 오뚜기 저금통
KR200287232Y1 (ko) 공형상의 시디 케이스
JPS627521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