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7Y1 -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7Y1
KR200200737Y1 KR2020000009472U KR20000009472U KR200200737Y1 KR 200200737 Y1 KR200200737 Y1 KR 200200737Y1 KR 2020000009472 U KR2020000009472 U KR 2020000009472U KR 20000009472 U KR20000009472 U KR 20000009472U KR 200200737 Y1 KR200200737 Y1 KR 200200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rod
conveyor
agri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서
Original Assignee
김연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서 filed Critical 김연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2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arranged side by side, e.g. for conveyance of flat articles in vertic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0Endless load-carriers consisting of a series of parallel ropes or bel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29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에 필요한 길이로 가변 되어 설치되게 하고, 물건의 하차 위치에 따라 회전되게 하는 한편, 이동차량의 이동시 도로변의 장애물을 피해 회전되게 하며, 상, 하차 작업을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여 최대의 작업량을 소화해 낼 수 있게 하는 이동차량(트럭, 경운기, 트랙터, 리어카, 우마차 등 농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모든 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CONVEYOR FOR FARMING}
본 고안은 모판, 수확물상자 등을 이동차량(트럭, 경운기, 트랙터, 리어카, 우마차 등 농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모든 차량)에서 또는 이동차량으로 상, 하차될 수 있게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에 필요한 길이로 가변 되어 설치되게 하고, 물건의 하차 위치에 따라 회전되게 하는 한편, 이동차량의 이동시 도로변의 장애물을 피해 회전되게 하며, 상, 하차 작업을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여 최 대의 작업량을 소화해 낼 수 있게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나란히 줄서서 모판 또는 수확물상자를 이동차량의 적재함에 또는 적재함에서 상, 하차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많은 인건비가 지출되는 한편,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의 농촌은 고령화 추세로 되고 있으며, 힘든 작업에 고령자를 동원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용역회사로부터 외지의 근로자를 알선 받아 작업에 투입하게 되는데, 이 또한 현지인 보다 더 비싼 인건비를 지출하게 되는 한편, 농사의 지식이 없어 성실하지 않게 작업이 진행되어 모 또는 수확물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원통롤러가 다수개 구비되는 한편, 일 측을 이동차량의 적재함에 거치 되게 하여서 되는 컨베이어가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물건의 자체 하중에 의해 롤러가 회전됨으로써, 물건의 하차 작업에는 일부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물건의 상차 작업시에는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되어 다시 여러 명의 작업자가 나란히 줄서서 상차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컨베이어 자체가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물건을 필요한 위치에 하차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하차된 물건을 다시 작업자가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차 작업후 이동시 여러 명의 작업자가 컨베이어를 들어서 적재함에 실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설치되는 길이가 한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에 필요한 길이로 가변 되어 설치되게 하고, 물건의 하차 위치에 따라 회전되게 하는 한편, 이동차량의 이동시 도로변의 장애물을 피해 회전되게 하며, 상, 하차 작업을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여 최대의 작업량을 소화해 낼 수 있게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로틀과 세로틀에 의해 일정한 길이를 지니게 되는 직사각의 틀체로 형성되고, 각각 한 쌍의 풀리가 구비되는 제 1 내지 제 3 축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틀에 직교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의 풀리 사이에 피동스프로킷이 설치되는 한편, 각각의 풀리에 구동벨트와 피동벨트가 설치되는 본체; 측면판에서 연장되는 협지판이 상기 본체의 가로틀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되고, 중앙에 수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가 상기 측면판 사이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회전틀; 측면판이 상기 본체의 가로틀에 설치되고, 한 쌍의 홀더가 구비되는 수평봉이 상기 측면판 사이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설치각도조정틀; 축에 모터스프로킷이 설치되고, 상기 피동스프로킷을 연동되게 하는 체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축에 근접하게 되는 세로틀에 탑재되는 모터; 이동차량의 적재함을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의 측면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일단부가 협지되어 고정되고, 회전틀의 끼움홈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입설봉이 타단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그 저면에 회전구를 갖는 홀더봉이 설치되는 빔; 상기 홀더봉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설치각도조정틀의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설치각도가 조정되게 하는 설치봉으로 구성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1b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1c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모터부의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의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축의 사시도,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 축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가 이동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b는 이동할 때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가 이동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컨베이어가 접힌 상태의 평면도,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컨베이어가 슬라이드 되면서 줄어든 상태의 평면도,
도 8c는 도 8b의 상태에서 벨트의 장력이 조절된 상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00a ... 제 1 본체
100b ... 제 2 본체 100ab ... 경첩
101 ... 가로틀 101a ... 가이드
101b ... 나사봉 101c,101d ... 너트
102 ... 세로틀 110 ... 지지틀
120 ... 회전틀 121 ... 협지판
122 ... 측면판 123 ... 끼움부
124 ... 끼움홈 125 ... 지지봉
130 ... 설치각도조정틀 131 ... 측면판
132 ... 수평봉 133 ... 홀더
200 ... 모터 201 ... 모터스프로킷
202 ... 피동스프로킷 203 ... 체인
210 ... 제1축 211,211a,211b ... 풀리
212 ... 축받이 220 ... 제2축
230 ... 제3축 2223 ... 봉
2224 ... 홀더 231 ... 장력조절봉
231a ... 수평장력조절봉 231b,231c ... 너트
231d ... 로울러 231e ... 축
232 ... 너트 240 ... 구동벨트
241 ... 피동벨트 250 ... 브래킷
251 ... 볼트 260 ... 빔
261 ... 축 270 ... 입설봉
280 ... 설치봉 281 ... 회전구
282 ... 홀더봉 283 ... 구멍
300 ... 이동차량 301 ... 적재함
302 ... 사이드게이트 303 ... 프레임
304 ... 도로 305 ... 논
306 ... 모판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컨베이어는 본체(100)와, 회전틀(120)과, 설치각도조정틀(130)과, 유압모터(200)와, 브래킷(250)과, 빔(260)과, 입설봉(270) 및 설치봉(28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일정한 길이를 지니게 되는 한 쌍의 가로틀(101)과, 이 가로틀(101)의 양단부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세로틀(102)에 의해 직사각의 틀체로 형성되고, 세로틀(102)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틀(11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가로틀(101)이 시작 부분과 끝나는 부분 그리고 가운데 부분에는 제 1 및 제 2 그리고 제 3 축(210)(220)(23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틀(110)은 상기 가로틀(101)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고, 후술하게 되는 구동벨트(240)와 피동벨트(241)에 묻혀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110)에는 도 6 도시와 같이 로울러(231d)가 설치되어 구동벨트(240) 또는 피동벨트(241)가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 축(21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풀리(211)가 설치되고, 이 풀리(211)의 사이에 피동스프로킷(202)이 설치되며, 가로틀(10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축받이(212)에 축설된다. 상기 제 2 축(220)은 상기 구동벨트(240)와 피동벨트(241)가 동시에 설치될 수 있게 넓게 형성되고, 도 2c 도시와 같이 축(220)의 양단부에 직교하게 봉(2223)이 설치되며, 이 봉(2223)은 가로틀(101) 내측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홀 더(2224)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축(220)은 상기 봉(2223)이 홀더(2224)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됨으로써, 구동벨트(240) 및 피동벨트(241)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 3 축(230)은 도 2d 도시와 같이 한 쌍의 풀리(211c)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 2 축(220)과 같이 봉(2223)이 홀더(2224)의 내부에 설치되며, 장력조절봉(231)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장력조절봉(231)은 가로축(101)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면서 세로축(10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길이 조절을 위한 너트(232)에 조임 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봉(231)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동벨트(241) 및 구동벨트(2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틀(120)은 상기 본체(100)의 가로틀(101)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편, 좌,우로 이송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2b 도시와 같이 한 쌍의 협지판(121)이 가로틀(101)을 협지하게 되고, 이 협지판(121)에 연장되는 측면판(122)에 끼움부(123)가 협지되어 설치되며, 그 양 측으로 한 쌍의 지지봉(125)이 설치된다. 상기 끼움부(123)외 지지봉(125)은 상기 구동벨트(240)에 간섭되지 않게 설치되는 한편, 끼움부(123)의 정중앙 저면에는 수직으로 끼움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각도조정틀(130)은 가로틀(101)의 외측면에 측면판(131)이 각각 부착되고, 이 측면판(131)을 가로질러 수평봉(132)이 설치되며, 이 수평봉(132)의 중단부에 한 쌍의 홀더(133)가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홀더(133)에는 각각 구멍이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모터(200)는 상기 본체(100)의 제 1 축(210)에 근접하는 세로틀(102)에 설치되는데, 축상에 상기 피동스프로킷(202)과 대응하는 모터스프로킷(201)이 축설되고, 이 모터스프로킷(201)과 피동스프로킷(202)에는 체인(203)이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정역 구동하게 되거나 또는 전기에 의해 구동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250)은 도 4a 및 도 4b 도시와 같이 이동차량(트럭, 경운기, 트랙터, 리어카, 우마차 등 농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모든 차량)(300)의 적재함(301)을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303)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L'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한 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빔(260)은 도 4a 및 도 4b 도시와 같이 상기 브래킷(250)에 일단부가 협지되어 볼트(261)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의 상부에는 입설봉(270)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축(261)이 설치된다. 상기 축(261)에는 홀더봉(282)의 회전구(281)가 핀(261a)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설치봉(230)은 다수의 구멍(283)을 구비하게 되는 봉체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홀더봉(28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설치각도조정틀(130)의 홀더(133)에 핀(133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차량(300)에 탑재되는 상기 본체(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설치봉(230)은 유압에 의해 실린더로 부터 로드가 출몰되는 댐퍼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설치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컨베이어는 본체(100)가 제 1 본체(100a)와 제 2 본체(100b)로 양분되는 한편, 경첩(100ab)에 의해 연결되고, 이 경첩(100ab)을 중심으로 절첩된다.
도 8a 및 도 8a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컨베이어는 본체(100)가 제 1 본체(100a)와 제 2 본체(100b)로 양분되는 한편, 제 2 본체(100b)가 제 1 본체(100a)내에 슬라이드되면서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본체(100b)의 가로틀(101)에는 도 8c 도시와 같이 수평장력조절봉(231a)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2 본체(100b)가 제 1 본체(100a)에 수납되면, 피동벨트(241)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수평장력조절봉(231a)은 가로틀(101)의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너트(231b)(231c)와 가로틀(10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는 축(231e)이 형성되며, 이 축(231e)에 로울러(231d)가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 가로틀(101)에는 가이드(101a)가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101a)는 도 5 도시와 같이 가로틀(101)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나사봉(101b)에 의해 거리가 조절되고, 이 나사봉(101b)은 가로틀(10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너트(101d)에 조임되며, 가이드(101a)의 외벽에 위치하게 되는 너트(101c)의 조임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구동벨트(240)와 피동벨트(241)에 의해 이송되는 모판(306) 또는 수확물상자가 본체(100)로 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3a 도시와 같이 이동차량(300)의 적재함(306)에 실린 모판(306)을 논(305)으로 직접 운반되게 하는 것이며, 이동차량(300)의 이동시 도로(304)변에 전봇대와 같은 장애물이 있을 시에는 도 3b 도시와 같이 본체(100)를 적재함(301)의 사이드게이트(302)로 이동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a)회전틀(120)을 움직여서 본체(100)의 적당한 위치에 놓이게 하고, 입설봉(270)에 연결한다. b)설치봉(280)의 일단부를 홀더봉(282)에 연결되게 하고, 타단부를 설치각도조정틀(130)의 홀더(133)에 연결되게 한다. c)유압모터(200)의 유압포트에 유압호스가 연결되게 하면 탑재 작업이 완료되고, 유압조절장치를 가동하면 유압모터(200)가 작동하게 되어 구동벨트(240) 및 피동벨트(241)가 움직이게 된다. 이어서 적재함(301)의 모판(306)을 구동벨트(240)위에 순차적으로 올려놓으면 모판(306)은 논(306)을 향해 이송되고, 논(306)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이를 받아 논(306)에 놓으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모판(306)의 상,하차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한편, 과실수에 의해 길이 협소한 과수원등에서 수확물을 편리하게 상차시킬 수 있게 되며, 농사에 필요한 어떠한 물품이더라도 필요한 위치에 상하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본체(100)에 회전틀(120)이 설치되어, 본체(100)가 회전틀(120)을 중심으로 길이가 가변 됨으로써, 작업에 필요한 길이로 가변 되게 할 수 있고, 둘째, 회전틀(120)이 적재함(301) 일 측의 입설봉(270)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놓을 수 있고, 셋째, 본체(100)가 제 1 본체(100a)와 제 2 본체(100b)로 양분되어 제 2 본체(100b)를 신장되게 함으로써,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넷째, 본체(100)가 제 1 본체(100a)와 제 2 본체(100b)로 양분되어 절첩됨으로써, 이동시 적은 부피로 적재함(301)에 실릴 수 있고, 넷째, 물건의 상차 및 하차의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고, 다섯째, 농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트럭, 경운기, 트랙터, 리어카, 우마차 등의 적재 함에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고, 여섯째, 최소의 인원으로 최대의 작업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일정한 길이를 지니게 되는 직사각의 틀체로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3 축(212)(220)(23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구동벨트(240)와 피동벨트(241)가 설치되는 본체(100);
    중앙에 수직의 끼움홈(124)이 형성되는 끼움부(123)가 측면판(122) 사이에 직교하게 설치되며, 상기 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틀(120);
    홀더(133)가 구비되는 수평봉(132)이 측면판(13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틀체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각도조정틀(130);
    유압 또는 전기에 의해 상기 제 1 축(212)을 구동하게 되는 모터(200);
    이동차량(300)의 적재함(301)을 지지하는 프레임(303)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래킷(250);
    상기 브래킷(250)의 사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회전틀(120)의 끼움홈(124)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입설봉(270)이 타단부에 입설되며, 그 저면에 회전구(281)를 갖는 홀더봉(282)이 설치되는 빔(260);
    상기 홀더봉(28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설치각도조정틀(130)의 홀더(133)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설치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설치봉(28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제 1 본체(100a)와 제 2 본체(100b)로 양분되어 절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제 1 본체(100a)와 제 2 본체(100b)로 양분되어 제 2 본체(100b)가 제 1 본체(100a)내로 수납되거나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100b)의 가로틀에는 수직으로 수평장력조절봉(231a)이 설치되어 피동벨트(241)의 장력이 조절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각각의 가로틀(101)에 가이드(101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축(230)에 장력조절봉(231)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봉(280)은 댐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KR2020000009472U 2000-04-03 2000-04-03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KR2002007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16A KR100367971B1 (ko) 2000-04-03 2000-04-03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16A Division KR100367971B1 (ko) 2000-04-03 2000-04-03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7Y1 true KR200200737Y1 (ko) 2000-10-16

Family

ID=19661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16A KR100367971B1 (ko) 2000-04-03 2000-04-03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KR2020000009472U KR200200737Y1 (ko) 2000-04-03 2000-04-03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16A KR100367971B1 (ko) 2000-04-03 2000-04-03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7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17B1 (ko) * 2001-04-11 2004-11-03 김향옥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CN106697725A (zh) * 2016-11-30 2017-05-24 恩平市华昌陶瓷有限公司 一种陶瓷砖紧固接驳输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10B1 (ko) * 2009-10-14 2012-01-05 한국특장차주식회사 길이가 가변되는 틸팅 트레일러
WO2013016833A1 (de) * 2011-07-29 2013-02-07 Wrh Walter Reist Holding Ag Fördereinrichtung mit einem flächig ausgedehnten förderorgan
CN112573086B (zh) * 2020-12-02 2022-08-30 中国计量大学 堆垛整理翻转机构及方法
CN113847088B (zh) * 2021-09-03 2023-08-18 太原科技大学 一种煤矿采空区矸石回填输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17B1 (ko) * 2001-04-11 2004-11-03 김향옥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CN106697725A (zh) * 2016-11-30 2017-05-24 恩平市华昌陶瓷有限公司 一种陶瓷砖紧固接驳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47A (ko) 2001-10-31
KR100367971B1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7449B2 (en) Surface mount slide-out system
US4491452A (en) Load transporting apparatus
US6419072B2 (en) Belt transfer system
CA2114885C (en) Powered flexible conveyor
US6095320A (en) Conveyor deployment system
KR200200737Y1 (ko) 이동차량에 탑재되어 농업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BRPI0518470B1 (pt) Dryer
US3887061A (en) Portable modular materials distribution system
JP6138580B2 (ja) 圃場内利用ローラコンベア搬送装置
JP2020016015A (ja) 延伸ベルトコンベヤ
US6193123B1 (en) Flat goods clamp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6364601B1 (en) Straddle type container lifting device
AU2008203343B2 (en) Steerable conveyor with height adjustable wheels
US7191874B2 (en) Carrying apparatus
CN115158953B (zh) 一种硅棒仓储出料输送装置及其输送方法
JPH09156741A (ja) コンベアベルト支持装置
US10077158B2 (en) Cargo transport system including motorized pallet
KR200336343Y1 (ko) 이송 카트
KR102101386B1 (ko) 다단식 컨베이어시스템
CN217436770U (zh) 一种物料传送装置
CN216104570U (zh) 一种上浮式自动掉头设备
CN214568839U (zh) 一种低损耗传送带换道设备
JPH0664757A (ja) 貨物自動車の荷積み荷下ろし装置
KR100454817B1 (ko)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KR200353877Y1 (ko)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