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387A -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387A
KR20020072387A KR1020010012277A KR20010012277A KR20020072387A KR 20020072387 A KR20020072387 A KR 20020072387A KR 1020010012277 A KR1020010012277 A KR 1020010012277A KR 20010012277 A KR20010012277 A KR 20010012277A KR 20020072387 A KR20020072387 A KR 2002007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cd
crystal display
glass plate
pixel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660B1 (ko
Inventor
이석근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6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바디와 메인바디로 구성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메인바디에 면접하는 서브바디 일측면에 제1 액정표시창을 가지며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면에 제2 액정표시창을 가지는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의 픽셀어레이는 상기 제1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1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1 픽셀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2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2 픽셀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픽셀 매트릭스 및 상기 제2 픽셀 매트릭스의 픽셀들에 신호전압을 인가하는 하나의 액정표시 드라이버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FOR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바타입(bar type) 단말기와 접이형(foldable) 단말기로 구분된다. 바타입 단말기는 키패드가 본체에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접이형 단말기는 키패드부를 보호하기 위해 메인바디(main body)상에 서브바디(sub-body)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현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접이형 단말기는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단말기, 및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 상에 구비된 키패드를 보호하고 송화음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플립커버가 서브바디로서 역할을 한다. 플립 업 타입 단말기는 플립커버를 메인바디 상의 상측으로 개방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폴더 타입 단말기는 서브바디 상에 LCD모듈(LCD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이 구비되어 있다.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LCD는 예컨대, 수신전계강도를 나타내는 바 형태로 나타내는 아이콘, 현재시간, 통화권 이탈상태, 배터리 잔량, 각종 기능 설정 상태 등이 제어부의 제어 하에 표시된다. 그중 접이형 단말기중 폴더타입 단말기는 사용자가 서브바디를 접었을 경우에는 다른 기종의 단말기와는 달리 LCD창을 볼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요즈음에는 이를 개선하여 서브바디의 내측면과 외측면 양측에 모두 LCD창을 구비한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소비자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하지만 서브바디 양측면에 모두 LCD창을 구비시킨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2개의 LCD를 함께 사용함에 따라 단말기 비용 상승 및 단말기 무게 증가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바디 양측면에 모두 LCD창을 구비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개선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브바디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LCD창을 마련하면서도 LCD판넬의 두께가 하나의 LCD판넬의 두께 정도로 얇아지도록 하는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서브바디와 메인바디로 구성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메인바디에 면접하는 서브바디 일측면에 제1 액정표시창을 가지며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면에 제2 액정표시창을 가지는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의 픽셀어레이는 상기 제1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1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1 픽셀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2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2 픽셀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픽셀 매트릭스 및 상기 제2 픽셀 매트릭스의 픽셀들에 신호전압을 인가하는 하나의 액정표시 드라이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바디와 메인바디로 구성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메인바디에 면접하는 서브바디 일측면에 제1 액정표시창을 가지며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면에 제2 액정표시창을 가지는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의 픽셀어레이는 상기 제1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1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1 픽셀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2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2 픽셀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액정표시판넬은, 상부 글래스판과 하부 글래스판, 상기 상부글래스판과 하부 글래스판 사이에 액정층이 있으며, 상기 액정층내 상기 하부글래스판상에 제1 픽셀 매트릭스가 부착되고 상기 액정층내의 상기 상부 글래스판상에 제2 픽셀 매트릭스가 부착되며, 상기 제1 뷰잉영역에 대응된 상기 하부글래스판의 하부에 하부 반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뷰잉영역에 대응된 상기 상부 글래스판의 상부에 반사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회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CD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하나의 LCD의 픽셀 어레이에 2개의 픽셀 매트릭스가 구성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두 개로 구성된 픽셀 매트릭스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LCD의 뷰잉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c)는 LCD 판넬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LCD를 사용하여 서브바디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LCD창을 구비토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 예인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징(aspect)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 LCD창(150) 및 제2 LCD창(180)이 하나의 LCD로 구현된다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단말기(10)는 키패드(160)가 구비된 메인 바디(110)와, 키패드 보호 등을 위한 서브바디(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바디(110)의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 장치(130)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바디(110)의 키패드(160) 측면과 접하는 서브바디(120)의 내측면상에는 이어피스부(140)가 위치하게 되며, 이어피스부(140)의 하측으로는 주 디스플레이장치인 제1 LCD창(15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바디(120)의 외측면의 하측부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인 제2 LCD창(180)이 구비되어 있다. 메인바디(110)상에 구비된 키패드(160)의 하부측에는 마이크장치(170)가 위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개략적인 회로 블록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02)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무선부(20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02)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06)는 도 1b의 키패드(160)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들및 기능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센서(208)는 서브바디(120)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LCD드라이버(210) 및 LCD(212)는 표시부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LCD드라이버(210)와 하나의 LCD(212)로서 표시부가 구현된다. 상기 하나의 LCD(212)는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LCD창(150, 180)을 구성한다.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214)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LCD(212)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20)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LCD창(150, 180)이 구비되어 있는(즉 2개의 LCD창(150, 180)으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CD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하나의 LCD(212)의 픽셀 어레이(pixel array)는 2개로 구분된 픽셀 매트릭스(300,302)가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두 개로 구분되어 구성된 픽셀 매트릭스(300,302)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LCD판넬(310)의 뷰잉 영역(312,314)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c)는 LCD 판넬(31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LCD(212)를 사용하는데, LCD(212)의 픽셀 어레이는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R1,R2,...,Rj의 행라인들과 C1,C2,...,Cn의열라인들로 이루어진 제1 픽셀 매트릭스(300)와, Rk,...,Rm의 행라인들과 C1,C2,...,Cn의 열라인들로 이루어진 제2 픽셀 매트릭스(30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픽셀 매트릭스(300)와 제2 픽셀 매트릭스(302)의 행라인들과 열라인들에 각각 대응된 픽셀들은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하나의 LCD드라이버(210)의 구동에 의해서 픽셀 화상이 표시된다. 즉 LCD드라이버(2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1 및 제2 픽셀 매트릭스(300,302)의 픽셀들에 신호전압을 인가한다. 도 3의 (a)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제1 픽셀 매트릭스(300)와 제2 픽셀 매트릭스(302) 간에는 소정 구간 이격이 되었으며(이격이 되지 않을 수도 있음), 이격된 영역에는 행 라인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픽셀 매트릭스(300)에 대응된 LCD판넬(310)상의 영역(312)과 제2 픽셀 매트릭스(302)에 대응된 LCD판넬(310)상의 영역(314) 각각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 뷰잉영역(viewing area)(312) 및 제2 뷰잉영역(314)이 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 픽셀 매트릭스(300)와 제2 픽셀 매트릭스(302)간의 이격된 영역에는 픽셀들이 없다. LCD드라이버(210)가 픽셀 어레이 128x160(열x행)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면, 예컨대, 도 3의 (a)에 도시된 제1 픽셀 매트릭스(300)는 128x128(열x행), 제2 픽셀 매트릭스(302)는 예컨대, 128x32(열x행)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제1 픽셀 매트릭스(3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LCD판넬(310)의 제1 뷰잉영역(312)에 대응되고, 도 3의 (a)에 도시된 제2 픽셀 매트릭스(302)는 도 3의 (b)에 도시된 LCD판넬(310)의 제2 뷰잉영역(314)에 대응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LCD판넬(310)의 제1 뷰잉영역(312)은 도 1b에 도시된 제1LCD창(150)이 되고, 상기 LCD판넬(310)의 제2 뷰잉영역(314)은 도 1a에 도시된 제2 LCD창(180)이 된다.
도 3의 (c)에서는 LCD판넬(310)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두 개의 글래스판 즉 상부 글래스판(upper glass plate)(320)과 하부 글래스판(lower glass plate)(324) 사이에는 액정이 주입된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322)이 있다. 상기 액정층(322)내 하부 글래스판(326)상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의 제1 픽셀 매트릭스(30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층(322)내 상부 글래스판(320)상에는 상기 픽셀 어레이의 제2 픽셀 매트릭스(302)가 부착되어 있다.
LCD판넬(310)의 제1 뷰잉영역(312)에 대응된 하부글래스판(324)의 하부에는 하부 백라이트판 및 반사판(326)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 열린상태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S1로 표시) 제1 LCD창(150)이 제공되게 한다. 상기 백라이트판은 선택사양이다. 상기 백라이트판은 EL(Electric Luminescence) 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LCD판넬(310)의 제2 뷰잉영역(314)에 대응된 상부글래스판(324)의 상부에는 상부 백라이트판 및 반사판(328)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S2로 표시) 제2 LCD창(180)이 제공되게 한다. 상기 백라이트판은 선택사양이다. 상기 백라이트판은 EL(Electric Luminescence) 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부 글래스판(320)의 상부층에는 상부 편광판(upper polarizing plate)이 있고 하부 글래스판(324)의 하부층에는 하부 편광판(lower polarizing plate)이 있는데, 도 3의 (c)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하고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센서(208)로부터 서브바디(120)의 열림과 닫힘 감지에 대응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LCD드라이버(210)를 제어하여 제1 픽셀 매트릭스(300) 및 제2 픽셀 매트릭스(302)를 선택적으로(또는 모두) 액티브 픽셀영역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픽셀 매트릭스(300) 및 제2 픽셀 매트릭스(302)를 선택적으로 액티브 픽셀영역으로 활성화시키는 일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센서(208)로부터 서브바디(120)의 열림에 대응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LCD드라이버(210)를 제어하여 제1 픽셀 매트릭스(300)를 액티브 픽셀영역으로 활성화시키고, 센서(208)로부터 서브바디(120)의 닫힘에 대응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LCD드라이버(210)를 제어하여 제2 픽셀 매트릭스(302)를 액티브 픽셀영역으로 활성화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LCD를 사용하여 서브바디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LCD창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단말기 비용 상승 및 단말기 무게 증가 없이도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서브바디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LCD창을 마련하면서도 LCD판넬의 두께가 하나의 LCD판넬의 두께 정도로 얇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LCD드라이버를 사용하면서도 서브바디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구비된 LCD창들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Claims (3)

  1. 서브바디와 메인바디로 구성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메인바디에 면접하는 서브바디 일측면에 제1 액정표시창을 가지며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면에 제2 액정표시창을 가지는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의 픽셀어레이는 상기 제1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1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1 픽셀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2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2 픽셀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픽셀 매트릭스 및 상기 제2 픽셀 매트릭스의 픽셀들에 신호전압을 인가하는 하나의 액정표시 드라이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판넬은, 상부 글래스판과 하부 글래스판, 상기 상부글래스판과 하부 글래스판 사이의 액정층이 있으며, 상기 제1 뷰잉영역에 대응된 상기 하부글래스판의 하부에 하부 백라이트판 및 반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뷰잉영역에 대응된 상기 상부 글래스판의 상부에 상부 백라이트판 및 반사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3. 서브바디와 메인바디로 구성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메인바디에 면접하는 서브바디 일측면에 제1 액정표시창을 가지며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면에 제2 액정표시창을 가지는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액정표시판넬의 픽셀어레이는 상기 제1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1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1 픽셀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액정표시창에 대응된 제2 뷰잉영역으로 제공되는 제2 픽셀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액정표시판넬은, 상부 글래스판과 하부 글래스판, 상기 상부글래스판과 하부 글래스판 사이에 액정층이 있으며, 상기 액정층내 상기 하부글래스판상에 제1 픽셀 매트릭스가 부착되고 상기 액정층내의 상기 상부 글래스판상에 제2 픽셀 매트릭스가 부착되며, 상기 제1 뷰잉영역에 대응된 상기 하부글래스판의 하부에 하부 반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뷰잉영역에 대응된 상기 상부 글래스판의 상부에 반사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KR1020010012277A 2001-03-09 2001-03-09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KR10076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277A KR100762660B1 (ko) 2001-03-09 2001-03-09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277A KR100762660B1 (ko) 2001-03-09 2001-03-09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387A true KR20020072387A (ko) 2002-09-16
KR100762660B1 KR100762660B1 (ko) 2007-10-01

Family

ID=2769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277A KR100762660B1 (ko) 2001-03-09 2001-03-09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3473B2 (en) 2004-12-14 2009-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4658B (fi) * 1997-05-26 2000-03-15 Nokia Mobile Phones Ltd Kahden näytön näyttöjärjestely ja päätelaite
JP2001051251A (ja) * 1999-08-12 2001-02-2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574487B1 (en) * 2000-02-23 2003-06-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ual-side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21605B1 (ko) * 2000-03-14 2004-03-10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테크 양면 엘시디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3473B2 (en) 2004-12-14 2009-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10788692B2 (en) 2004-12-14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660B1 (ko)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292B1 (en) Dual si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444694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US81157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irror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100381139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53088B1 (ko) 액정표시장치
JPWO2006098140A1 (ja) 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20107319A (ja) 電子機器
GB2343324A (en) Folder-type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double-panel lcd
US20110285607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JP2001298519A (ja) 両面液晶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通信装置
JP2004118125A (ja) 表示ユニット及び該表示ユニ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327996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端末機器
KR100703275B1 (ko) 외부 듀얼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1186226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189533A (ja) 携帯型の電子機器
KR100762660B1 (ko)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표시장치
KR100409409B1 (ko) 절첩식 휴대전화기
US2007013292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dual displa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415780B1 (ko) 투과형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JP2001215475A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
US7221559B1 (en) Multipurpose bumper system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KR20120116291A (ko) 이동 단말기
JP420265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KR100349916B1 (ko) 휴대용 표시 장치
KR200317077Y1 (ko)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