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899A - 플레이트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899A
KR20020071899A KR1020027008148A KR20027008148A KR20020071899A KR 20020071899 A KR20020071899 A KR 20020071899A KR 1020027008148 A KR1020027008148 A KR 1020027008148A KR 20027008148 A KR20027008148 A KR 20027008148A KR 20020071899 A KR20020071899 A KR 2002007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exchange
plates
heat exchanger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뷜로우닐센폰투스
베름훌트롤프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퍼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퍼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퍼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2007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7Tap water 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교환기가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코어와 두 개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3, 4)를 포함하며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이 사이에 플레이트간 공간을 형성하는 둘 이상의 열 교환 유체를 위한 플레이트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 각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름과, 각각의 유체를 위해 플레이트 코어를 통과한 입구 채널(11) 및 출구 채널(12)의 일부인 네 개 이상의 포트 구멍(9, 10, 13, 14)이 제공된다. 제1 및 제2 유체 각각을 위한 입구 채널(11) 및 출구 채널(12)은 플레이트간 공간의 제1(17) 및 제2(18) 세트와 각각 유체 연통되어 있다. 플레이트 코어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상기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 중 적어도 두 개는 각각 하나 이상의 트로프형 섹션(19)을 구비하고, 각각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유체를 제외한 모든 유체에 대해 밀봉 공간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의 일부를 포트 구멍(9, 10, 13, 14)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트로프형 섹션(19)의 구멍 주연부 주위로 연장되는 플랜지형 에지(22)를 구비하여 만들어진다.

Description

플레이트 열 교환기 {Plate Heat Exchanger}
EP 0 905 453 A2호는 물 가열기를 보여 주는데,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1차 열 교환기에 더하여 2차 열 교환기 및 고온수 저장소를 포함한다. 고온수 저장소는 2차 열 교환기 내의 열 교환 플레이트들과 밀접하게 열 접촉하고 있고 2차 열 교환기와 함께 형성된다. 그러나, 열 전달, 강도, 재료 소비 등에 관한 한, 설명되어 있는 고온수 저장소의 실시예는 최적화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열 교환기가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사이에 플레이트간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열 교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코어와 두 개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열 교환 유체를 위한 플레이트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선A-A를 따라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선B-B를 따라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인 열 교환 플레이트의 제1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인 열 교환 플레이트의 제2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4 및 도5의 선C-C를 따라 도1의 플레이트 교환기의 일부분을 절단한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의 휴지기 이후에도 고온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출탕 시에 바로 고온수를 얻을 수 있는 종류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결과로서 임의의 편리한 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이와 같이 처리되는 유체가 장시간 이후에도 그러한 처리 유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얻어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동시에 플레이트 코어 내의 작동 유체들 사이의 열 전달은 모든 서비스 조건 하에서 양호하고, 강도 특성은 플레이트 코어 뿐만 아니라 단일 플레이트에 대해서도 양호하며, 재료 소비는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열 교환 유체를 위한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열 교환기는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열 교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코어와 두 개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열 교환 플레이트들은 사이에 플레이트간 공간을 형성한다.
열 교환 플레이트들 각각에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단부 플레이트 뿐만 아니라 모든 열 교환 플레이트와 대체로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제1 및 제2 평면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름이 제공된다. 열 교환 플레이트들 각각에는 각각의 유체를 위해 플레이트 코어를 통과한 입구 채널 및 출구 채널의 일부인 네 개 이상의 포트 구멍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는 복수의 포트 구멍을 갖고, 각각의 포트 구멍은 입구 채널들 중 하나 또는 출구 채널들 중 하나와 연통되며, 제1 및 제2 유체 각각도를 위한 입구 채널 및 출구 채널은 플레이트간 공간의 제1 및 제2 세트와 각각 유체 연통되어 있다.
플레이트 코어 내에서 서로에게 인접하여 위치된 상기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 중 적어도 두 개는 각각 하나 이상의 트로프형 섹션(19)을 구비하고, 각각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유체를 제외한 모든 유체에대해 밀봉 공간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의 일부를 포트 구멍(9, 10, 13, 14)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고, 트로프형 섹션(19)의 구멍 주연부 주위로 연장되는 플랜지형 에지(22)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에지는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및 섹션(19)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길이 중 적어도 주된 부분을 따라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상의 대응 에지(22)와 접촉한다.
복수의 상기 열 교환 플레이트 각각에는 각각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유체를 제외한 모든 유체에 대하여 밀봉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트로프형 섹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특징은 이하의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보다 면밀히 설명할 것이다.
도1의 플레이트 열 교환기는 도면에 도면부호 2로 표시되는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의 코어와 단부 플레이트(3, 4)를 포함한다. 두 가지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연결부(5, 6, 7, 8)가 존재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부(5, 6)는 각각 제1 및 제2 열 교환 유체의 입구를 구성하고, 연결부(7, 8)는 각각 제1 및 제2 열 교환 유체의 출구를 구성한다.
도2의 단면도로부터, 모든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내의 포트 구멍(9, 10)이 어떻게 단부에서 플레이트의 코어를 통과한 두 개의 포트 채널(11, 12)을 형성하는 지 명백하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트 채널(11)은 제1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입구 채널을 구성하고, 포트 채널(12)은 제2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출구 채널을 구성한다. 이와 대응되는 방식으로, 모든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내에 플레이트의 코어의 제2 단부(도1의 플레이트 코어의 더 가까운 쪽 단부) 내에 보충적인 포트 구멍(13, 14)이 존재하고, 포트 구멍은 제2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입구 채널과 제1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출구 채널을 각각 형성한다. 제1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입구 채널과 출구 채널이 제1 세트의 플레이트간 공간(17)과 유체 연통되고, 제2 열 교환 유체를 위한 입구 채널 및 출구 채널은 제2 세트의 플레이트간 공간(18)과 유체 연통되어 있다.
도3의 단면도로부터,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각각에 어떻게 트로프형 섹션(19)이 제공되는 지 명백하다. (플레이트 코어 내에 두 개의 트로프형 섹션(19)이 구비되는 것은 충분히 진보성 있는 사상이다.) 트로프형 섹션(19)은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단부 플레이트(3, 4) 뿐만 아니라 모든 트로프형 섹션(19) 및 열 교환 플레이트(2a, 2b)과 대체로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제3 및 제4 평면 각각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름(20)을 보여준다. 주름(20)은,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의 나머지 부분 상에 존재하며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평행한 제1 및 제2 평면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름으로 오해되어서는 안된다.
트로프형 섹션(19)은 또한, 유체들 중 하나를 위한 플레이트의 코어를 통과한 입구 채널(11, 15) 또는 출구 채널(12, 16)의 일부인 포트 구멍(9, 10, 13, 14)으로 오해되어서는 안되는 몇 개의 관통 구멍(21)을 보여준다 (단부 플레이트(3, 4)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플레이트(2a, 2b) 또는 단독으로 그러한 단부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는 해당되지 않고, 아울러 플레이트(2b) 및 플레이트(2a)는 단부 플레이트 다음에 위치되거나 단독으로 그러한 단부 플레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트로프형 섹션(19)은 섹션(19)의 전체 주연부 주위로 연장되는 플랜지형 에지(22)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에지는 섹션(19) 및 플레이트(2a, 2b)의 주된 연장 평면과 각도를 이루며 플레이트 코어 내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상의 대응 에지(22) 상에 맞닿는다.
이와 대응되는 방식으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각각은 플레이트의 전체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형 에지(23)를 구비하여 만들어지고, 에지는 플레이트(2a, 2b)의 주된 연장 평면과 각도를 이루며 플레이트 코어 내의 인접한 열 교환플레이트(2a, 2b) 상의 대응 에지(23) 상에 맞닿는다.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은 서로 맞닿으면 트로프형 섹션(19)의 안팎에서 각각의 주름이 서로 맞닿는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상의 다수의 지점에서 뿐만 아니라 에지(22) 길이의 적어도 주된 부분을 따라 에지(22)를 따른 트로프형 섹션(19) 주위에서, 두 개 이상의 포트 구멍(9, 10, 13, 14) 주위에서, 에지(23)를 따라 결합된다. 플레이트의 코어는 대개 납땜 또는 경납땜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합되지만, 용접 또는 접착과 같은 영구적 결합을 위한 다른 임의의 알려진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4에서 플레이트 코어 내의 모든 다른 열 교환 플레이트(2a)는 제1 종류이고, 도5에서 플레이트 코어 내의 나머지 열 교환 플레이트(2b)는 제2 종류이다.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역전되거나 뒤집히지 않고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제 열 교환 유체가 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방식을 보다 면밀히 설명할 것이다. 본원에서는 고온수인 상기 제1 유체는 상기 연결부/입구(5)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포트 구멍(9) 및 포트 채널(11)을 통해 유동하여 제1 세트의 플레이트간 공간(17) 내로 유출된다. 트로프형 섹션(19)의 각각은 상기 플랜지형 에지(22)가 맞닿아서 에지(22)의 구멍 길이를 따라 플레이트간 공간 내의 인접한 플레이트(2) 상의 대응 에지(22)와 기밀 결합되는 플루이둠(fluidum)을 이루며 만들어지므로, 각각의 플레이트간 공간(17) 내의 통로 상에서 제1 유체는 인접한 트로프형 섹션(19)들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충전하지 못하고 상기 트로프형 섹션(19)의양 측면 상을 지나간다. 제1 유체는 상기 포트 구멍(14), 상기 포트 채널 및 상기 연결부/출구(7)를 통해 각각의 플레이트간 공간(17)를 떠난다.
본원에서는 가열될 수도물인 상기 제2 유체는 상기 연결부/입구(6)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포트 구멍(13) 및 포트 채널을 통해 유동하여 플레이트간 공간(18)의 내로 유출된다. 각각의 플레이트간 공간(17) 내의 통로 상에서, 제2 유체는 우선 한편으로 상기 트로프형 섹션(19)과 다른 한편으로 플레이트(2a, 2b)의 긴 제1 측면 상의 외부 에지(23) 사이에서 그들과 나란히 위치된 제1 통로 내로 유동하고, 그 후 제2 유체는 트로프형 섹션(19)의 제1 단부 내의 플레이트(2a, 2b)의 가압 패턴 내에 존재하는 제1 불균일부(24a, 24b)로 인해 인접한 트로프형 섹션(19)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진입하여 유동하고, 그 후 트로프형 섹션(19)의 제2 단부 내에서 플레이트(2a, 2b)의 가압 패턴 내에 존재하는 제2 불균일부(25a, 25b)로 인해 다시 한번 인접한 트로프형 섹션(19)들 사이의 공간을 떠나서 트로프형 섹션(19)과 다른 한편으로 플레이트(2a, 2b)의 긴 제2 측면 상의 외부 에지(23) 사이에서 그들과 나란히 위치된 제2 통로 내에서 계속 유동한다. 제2 유체는 상기 포트 구멍(10), 상기 포트 채널(12) 및 상기 연결부/출구(8)를 통해 각각의 플레이트간 공간(18)을 떠한다.
제1 종류의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상의 상기 불균일부(24a, 25a) 뿐만 아니라 제2 종류의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b) 상의 상기 불균일부(24b, 25b)는 제1 종류의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a)에 대하여 제2 플레이트간 공간(18) 내의 트로프형 섹션(19) 주위의 에지(22)가 주연부의 주된 부분, 즉 주연부의 절반이상을 구성하는 주연부의 두 개의 연속적인 부분 이외에는 단지 여덟 개의 플레이트(2a, 2b)만이 도시된 도6을 참조하면 인접한 플레이트(2b) 상의 트로프형 섹션(19)의 구멍 주연부 주위의 대응 에지(22) 상에 맞닿아서 이에 대해 밀봉할 수 없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국부적인 통로는 각각 제2 플레이트간 공간(18)들 중 하나 내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를 위한 중간 에지(22)를 갖는 트로프형 섹션(19)에 의해 한정되는 제2 트로프 공간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제2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각각의 국부적인 통로는 각각의 에지(22)를 따른 일정한 연장부를 갖고, 이에 의하여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불균일부(24a, 24b)에 의한 제1 통로는 에지(22) 내에서 접힘부(27)로부터 접힘부(28)까지 연장되고 제2 불균일부(25a, 25b)에 의한 제2 통로는 에지(22) 내에서 접힘부(29)로부터 접힘부(30)까지 연장된다. 통로는 에지(22)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평탄해진 플랭크 각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플레이트(2a, 2b) 상의 통로 외부의 에지(22)는 대응하는 섹션 에지가 국부적 통로들 중 하나를 위한 영역에서 만드는 것보다 플레이트의 평면에 대하여 더 큰 각도를 만든다.
제2 유체가 제2 트로프 공간 내에서 유동할 때, 유동은 동일한 플레이트간 공간 내의 제2 트로프 공간 외부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트로프 구멍(21)은 제2 트로프 공간이 또한 플레이트 코어 내의 각각의 제1 플레이트간 공간(17) 내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을 위한 중간 에지(22)를 갖는 트로프형 섹션(19)에 의해 한정되는 제1 트로프 공간과 유체 연통되어 있다는것을 의미한다. 단부 플레이트에 가장 가까운 플레이트(2a, 2b)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플레이트 코어 내에서 스스로 단부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것들을 제외한 플레이트 코어 내의 모든 트로프형 섹션(19)이 관통 구멍(21)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플레이트(2a, 2b)들 사이의 모든 트로프 공간은 서로 유체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열 교환기는 연속 작동 시에 비교적 정상적으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작동 중단 후에 고온수가 요구되면 다시 고온의 수도물이 요구되는 경우에 드러난다. 휴지기 동안, 즉 고온수가 출탕되지 않을 때 고온수가 여전히 주된 측면으로 간헐적으로 제공된다면, 트로프 공간 내에 수납된 물의 용적은 따뜻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가열된 물의 용적은 출탕이 다시 개시될 때 열 교환기로부터 거의 순간적으로 나올 것이고, 용적은 미리 저장된 물이 다 소비되기 전에 열 교환기가 연속적인 작동 성능에 도달하도록 맞추어져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해 볼 때, 구멍(21)이 존재하고 있기는 하나 본 발명의 트로프형 섹션(19)은 연속적이라는 분명 유리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트로프형 섹션은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코어의 강도에 상당한 정도로 기여하는 특정 형태의 바닥을 구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경우보다 더 얇은 재료가 동일한 강도 및 안정성을 요구하는 플레이트에 사용될 수 있다. 바닥은 또한 본원에서 가열될 수도 물을 제외한 모든 유체에 대해 밀봉하는 트로프 공간 내로 또는 그로부터의 탁월한 열전달에 기여한다.
플레이트는 종종 0.20 - 0.35mm의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만들어지나, 예를 들면 티타늄과 같은 다른 재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는종종 얇고 단부 플레이트(3, 4)는 두꺼우나, 또한 다른 실시 형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두껍지 않고 도면의 것들과는 다르지만 대신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본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에 따른 외관을 갖지만 연결부의 장착이 요구되는 곳에서만 포트 구멍이 존재한다는 차이점을 갖는 단부 플레이트(3, 4)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플레이트 코어의 각각의 단부에서 동일한 외관 또는 다른 외관을 갖는 몇 개의 단부 플레이트(3, 4) 또는 본 플레이트 코어의 다른 단부에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단부 플레이트(3, 4)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는 커플링 부품들의 최종 집합체 등, 즉 소위 블록에 오링(O-ring)을 통하여 연결하기 위해 평평할 수도 있고 완전히 연결부가 없을 수도 있다.
주름(20) 및 구멍(21)은 크기 및 형태 뿐만 아니라 개수가 변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 코어를 경납땜할 때, 구리 경납땜과, 니켈 경납땜 또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경납땜이 이용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이용할 때, 하나 또는 복수의 유체는 물 이외의 다른 유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오일과 물 사이의 열 교환을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항에 따라 변형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열 교환기가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코어와 두 개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3, 4)를 포함하며 열 교환 플레이트들이 사이에 플레이트간 공간을 형성하고,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 각각에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단부 플레이트(3, 4) 뿐만 아니라 모든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와 대체로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제1 및 제2 평면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름이 제공되고,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 각각에는 각각의 유체를 위해 플레이트 코어를 통과한 입구 채널(11, 15) 및 출구 채널(12, 16)의 일부인 네 개 이상의 포트 구멍(9, 10, 13, 14)이 제공되고,
    하나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3, 4)는 복수의 포트 구멍을 갖고, 각각의 포트 구멍은 입구 채널(11, 15)들 중 하나 또는 출구 채널(12, 16)들 중 하나와 연통되며,
    제1 및 제2 유체 각각을 위한 입구 채널(11, 15) 및 출구 채널(12, 16)은 플레이트간 공간의 제1(17) 및 제2(18) 세트와 각각 유체 연통되어 있는 둘 이상의 열 교환 유체를 위한 플레이트 열 교환기에 있어서,
    본 플레이트 코어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상기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 중 적어도 두 개는,
    각각 하나 이상의 트로프형 섹션(19)을 구비하고,
    각각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유체를 제외한 모든 유체에 대해 밀봉 공간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의 일부를 포트 구멍(9, 10, 13, 14)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트로프형 섹션(19)의 구멍 주연부 주위로 연장되는 플랜지형 에지(22)를 구비하여,
    에지는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및 섹션(19)의 여러 주된 연장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길이 중 적어도 주된 부분을 따라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상의 본 대응 에지(22) 상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각각에는 각각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유체를 제외한 모든 유체에 대하여 밀봉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트로프형 섹션(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는 유사한 디자인의 외부 에지를 갖고, 서로 맞닿으면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들은 각각의 주름이 서로 맞닿는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상의 다수의 지점에서 뿐만 아니라 에지(22) 길이의 적어도 주된 부분을 따라 상기 에지(22)를 따른 트로프형 섹션(19)주위에서, 두 개 이상의 포트 구멍(9, 10, 13, 14) 주위에서, 외부 에지에서 함께 경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는 납땜 또는 경납땜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각각은 플레이트의 구멍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형 에지(23)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에지는 플레이트(2a, 2b)의 주된 연장 평면과 각도를 이루며 본 플레이트 코어 내의 인접한 열 교환 플레이트(2a, 2b) 상의 대응 에지(23) 상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트로프형 섹션(19)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트로프형 섹션(19)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트로프형 섹션(19) 각각에는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관통 구멍(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트로프형 섹션(19)에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플레이트 열 교환기의 단부 플레이트(3, 4) 뿐만 아니라 모든 트로프형 섹션(19) 및 열 교환 플레이트(2a, 2b)와 대체로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제3 및 제4 평면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2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KR1020027008148A 1999-12-23 2000-12-22 플레이트 열 교환기 KR20020071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4786-2 1999-12-23
SE9904786A SE515467C2 (sv) 1999-12-23 1999-12-23 Plattvärmeväxlare med minst en platta försedd med ett trågformat parti för bildande av ett avtätat utrymme.
PCT/SE2000/002683 WO2001048433A1 (en) 1999-12-23 2000-12-22 Plate heat ex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99A true KR20020071899A (ko) 2002-09-13

Family

ID=2041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148A KR20020071899A (ko) 1999-12-23 2000-12-22 플레이트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40469B1 (ko)
KR (1) KR20020071899A (ko)
AT (1) ATE293239T1 (ko)
AU (1) AU2570901A (ko)
DE (1) DE60019456T2 (ko)
SE (1) SE515467C2 (ko)
WO (1) WO2001048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1472C2 (sv) * 2005-12-22 2009-04-14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e med värmeöverföringsplatta med jämn lastfördelning på kontaktpunkter vid portområden
SE529769E (sv) 2006-04-04 2013-12-19 Alfa Laval Corp Ab Plattvärmeväxlare vilken innefattar åtminstone en förstärkningsplatta vilken är anordnad utanför en av de yttre värmeväxlarplattorna
EP3047224B1 (en) * 2013-09-17 2020-10-28 SWEP International AB A plate heat exchanger having reinforcing mea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6243A (en) * 1957-11-29 1963-10-08 Danske Mejeriers Maskinfabrik Plate for holding section in a plate heat exchanger
DE19742075A1 (de) * 1997-09-24 1999-03-25 Bosch Gmbh Robert Brauchwasserbere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8433A1 (en) 2001-07-05
EP1240469B1 (en) 2005-04-13
SE9904786D0 (sv) 1999-12-23
DE60019456T2 (de) 2006-05-11
SE9904786L (sv) 2001-06-24
EP1240469A1 (en) 2002-09-18
ATE293239T1 (de) 2005-04-15
SE515467C2 (sv) 2001-08-13
AU2570901A (en) 2001-07-09
DE60019456D1 (de)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9574B1 (en) Plate heat exchanger
KR101292362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US6142221A (en) Three-circuit plate heat exchanger
EP0857288B1 (en) A plate heat exchanger
AU686184B2 (en) Plate heat exchanger
RU2445564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двойной пластиной
KR100390235B1 (ko) 열교환기
EP0943884B1 (en) Heat exchanger
JP2002506196A (ja) 3回路プレート熱交換器
EP0470996A1 (en) Heat exchangers
EP0094954A1 (en) HEAT EXCHANGER PLATE.
EP1206674A1 (en) Plate heat exchanger
EP1702193A1 (en) A plate heat exchanger
CN100522463C (zh) 板式换热器
KR20020071899A (ko) 플레이트 열 교환기
JP4194938B2 (ja) 伝熱プレート、プレートパック及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
CA2861234C (en)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strength in port area
WO1985002670A1 (en) Heat exchanger plate
EP1066493A1 (en) Heat exchanger installation
EP1087851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plate heat exchanger; and a plate heat exchanger
JPH10300371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H11142073A (ja) アルミニューム製オイルクーラ内蔵のラジエータタンク
CN116263308A (zh) 堆叠板式热交换器
KR20020061580A (ko)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IL148749A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