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343A -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343A
KR20020071343A KR1020010011464A KR20010011464A KR20020071343A KR 20020071343 A KR20020071343 A KR 20020071343A KR 1020010011464 A KR1020010011464 A KR 1020010011464A KR 20010011464 A KR20010011464 A KR 20010011464A KR 20020071343 A KR20020071343 A KR 2002007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uction pipe
b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훈 filed Critical 신동훈
Priority to KR102001001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343A/ko
Publication of KR2002007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두차(Difference of Water Head)를 이용하여 하상의 저니를 끌어올림으로서 최소한의 동력사용으로 저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저비중 저니 준설에 필요한 안정적인 저압의 흡입력을 유지하면서, 설비규모를 줄일 수 있고, 수중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상에 띄워져 수두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조와; 수조 저부에 연결설치되고 하상바닥으로 연장되어 침전 저니가 유입되는 흡입관; 수조내로 빨아올려진 물과 저니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ediment}
본 발명은 호소, 저수지, 댐이나 하천 등의 바닥침전물(저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폐쇄수역의 저니중 저비중 저니를 제거하기 위한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역에 내린 강우는 지류를 통해 호소, 저수지, 댐이나 하천 등으로 흘러들게 된다. 이 경우에 지표면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과 토사등이 함께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일으키게 되며 입자상 물질은 하천 및 호소 바닥에 침전되는 데, 이들 침전물은 여러종류의 오염물질과 토사류, 중금속 및 질소, 인 등의 영양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폐쇄수역의 유속이 느린 곳이나 하천의 수중보 부근은 유기물과 토분이 침전하기 쉬우며, 침전물 중 비중이 적은 침전물은 원수내의 용존산소를 소모시키는 유기물로서 이는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질소와 인 등의 각종오염물을 함유하여 수질을 악화시키고, 부영양화로 조류 등이 이상 번식하여 생물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고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자정능력을 상실시켜 오염을 가속화시키게된다.
또한, 저비중 침전물은 침전물의 상부에 위치하여 침전되어 있다가 작은 외력에도 쉽게 수중에서 확산되어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는 주원인이 된다.
침전물을 제거하는 준설방법에는, 준설선에 설치된 크레인에 토사와 오염물질을 끌어올릴 수 있는 버켓을 장착하여, 이 버켓으로 호수바닥의 오염물질을 끌어올려 별도의 수집장에 오염물질을 버리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준설방법은 버켓으로 오염물질을 끌어올릴 때, 버켓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와류에 의해, 대부분 가벼운 부유물질로 이루어진 오염물질이 물 속에서 확산되어, 2차적인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레인이 설치된 준설선은 그자체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할 뿐 아니라, 준설작업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더우기, 담수능력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낮은 폐쇄수역의 경우 저니 전체를 준설하는 것보다는 유기물이 주성분인 상층의 저비중 저니를 선별 준설하는 것이 필요하나, 상기와 같은 준설방법으로는 이와같은 선별준설을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펌프를 이용하여 호숫물과 함께 호수바닥면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준설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준설방법은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서 작업하게 되므로 경제성과 안정성이 떨어지며, 호수바닥의 이물질이 펌프의 내부에 들어가면 모터에 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모터에 연결된 준설관의 흡입구에 그물망을 장착하게 되므로, 호수바닥에 널려있는 작은 쓰레기 등은 흡입하여 준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동력을 공급해야 할 뿐 아니라, 준설에 사용되는 펌프자체의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두차(Difference of Water Head)를 이용하여 하상의 저니를 끌어올림으로서 최소한의 동력사용으로 저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중 저니 준설에 필요한 안정적인 저압의 흡입력을 유지하면서, 설비규모를 줄일 수 있고, 수중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 바닥침전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저니의 처리설비가 구비된 바닥침전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처리설비의 일부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조 11 : 흡입관
12 : 이동관 13 : 구동모터
14 : 드럼 15 : 체인
16 : 수심측정기 17 : 컨트롤러
18 : 배출관 20 : 회전축
21 : 회전판 22 : 스크류
30 : 부상조 31 : 흡입펌프
32 : 세척수조 33 : 가압부상설비
34 : 부상슬러지제거기 35 : 집적조
36 : 침전조 37 : 배수설비
39 : 기포발생기 40 : 기포공급파이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상 바닥 침전물 제거방법은, 하상의 띄워지는 수조 내부의 수면을 하상의 수면보다 낮게 유지하여 수두차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발생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저니층으로 연장된 흡입관을 통해 하상 침전물을 끌어올리는 단계, 끌어올려진 침전물과 물을 수조로부터 배출하여 수두차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하상을 따라 수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와 하상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치에 따라 흡입관의 길이를 가변시켜 흡입관의 하단을 저니층에 위치시키기 위한 흡입관 길이 가변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저니를 처리하기 위한 후처리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제거방법에 따른 제거장치를 살펴보면, 하상에 띄워져 수두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조, 수조 저부에 연결설치되고 하상바닥으로 연장되어 침전 저니가 유입되는 흡입관, 수조내로 빨아올려진 물과 저니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관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수단을 더욱 포함함으로서, 수면에서 바닥에 이르는 거리의 변화에 관계없이 흡입관의 끝단이 항상 저니층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가변수단은 흡입관 내부에 밀착되어 흡입관 하단을 통해 유통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관과, 이동관을 승하강시키기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구동수단은 수조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드럼, 드럼에 감겨지고 이동관 상단에 연결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변수단은 수조와 하상 바닥과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구동모터를 제어작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제어수단은 수조 하부에 설치되어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심측정기와, 측정기의 신호를 인가받아 연산된 수치에 따라 구동모터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저니를 연속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강상바닥을 따라 수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이동수단은 엔진 등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서 흡입관 내부에 날개차를 설치하여 수두차에 의해 흡입관 내부로 끌어올려지는 수류력을 이용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 바닥퇴적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상에 띄워져 외부의 수면보다 낮은 수면을 유지함으로서 수두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조(10), 수조 저부에 연결설치되고 하상바닥으로 연장되어 침전 저니가 유입되는 흡입관(11), 흡입관 내부에 밀착되고 흡입관(11) 하단을 통해 유통가능하게 설치되어 끝단이 저니층에 위치하도록 된 이동관(12), 이동관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수조에 설치되어 수조와 저니층과의 높이차에 따라 구동수단을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 수조내로 빨아올려진 물과 저니를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8) 및, 강상바닥을 따라 수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0)는 내부가 빈 용기형태로 수면에 띄워져 자중에 의해 일정 깊이로 가라앉는 구조로 되어 있고, 수조의 저면이 강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함으로서 수조의 저면과 강의 수면과의 수두차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11)은 수조 저면에 연통설치되는 원통형 관으로, 상단은 수조내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고, 하단에는 텔레스코픽형태를 이루는 이동관(11)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동관은 흡입관 내면에 밀착되는 원통형 관으로 흡입관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흡입관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수조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드럼(14), 드럼에 감겨지고 이동관 상단에 연결되는 체인(15)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체인에 연결된 이동관이 흡입관 하단을 통해 상하로 유통하게 되어 흡입관과 이동관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모터(13)는 흡입관(11) 바로 위쪽에 설치함으로서 드럼(14)으로부터 감기고 풀리는 체인(15)과 흡입관(11)의 마찰발생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수조(10) 하부에 설치되어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심측정기(16)와,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심측정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 수심측정기의 신호를 인가받아 연산된 수치에 따라 구동모터(13)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컨트롤러(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타이머에 의해 수심측정기(16)의 측정치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보정되며, 컨트롤러(17)는 보정된 신호에 따라 계속 구동모터(13)를 제어작동하여 수조(10)의 이동에 관계없이 이동관(12) 끝단을 저니층에 최적의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수심측정기로는 음파로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음향측심기, 또는 현재 깊이의 압력으로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심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1)에 수평방향으로 축결합되는 회전축(20)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흡입관 내부에서 수류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회전판(21), 흡입관 외측에서 회전축의 연장축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스크류(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축(20)은 흡입관(11)의 중심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데, 이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흡입관(11)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을 형성하여, 회전축(20)에 설치되는 회전판(21)이 흡입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흡입관(11)을 따라 끌어올려지는 수류력에 의해 회전판(21)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20)에 설치된 스크류(22)가 회전하면서 수조(10)를 이동시키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9)은 배출관 일측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10)의 수두차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흡입관(11)을 통해 연속적으로 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저니가 수조로부터 배출처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제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에 연결되는 저니처리설비를 더욱 포함한다.
저니 처리설비는 일측에 수조(10)가 연결설치되고 수면상에 장비를 부상시키기 위한 부상선(30)과, 부상선 상부에 설치되고 수조 내부로 설치된 배출관에 연결되어 배출관을 통해 수조 내부의 저니와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펌프(31),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저니와 물이 담겨지는 세척수조(32), 상기 세척수조내에 설치되는 기포공급파이프를 갖춰 세척수조내의 저니에 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처리수를 활성화시키는 가압부상설비(33), 세척수조의 후단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면상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하는 부상슬러지제거기(34)와 부상슬러지 집적조(35), 세척수조 후단에 연결되어 잔류 저니를 침전처리하기 위한 침전조(36), 침전조를 거친 처리수를 방류하기 위한 배수설비(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상설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32)로 연결되는 배출관의 분기라인(38)에 연결되어 처리수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포발생기(39)와, 기포발생기의 출측에 연결되고 세척조 내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기포가 발생된 처리수를 세척조로 투입시키기 위한 기포공급파이프(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저니가 포함된 처리수는 세척조로 유입되면서 일부는 분기라인을 통해 기포발생기에서 기포화처리되어 기포공급파이프를 통해 세척조 내부로 투입된다.
이러한 연속과정에서 처리수가 활성화되면서 기포에 의해 슬러지가 부상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침전물 제거방법은 수조의 수면을 하상의 수면보다 낮게 유지하여 수두차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수조와 하상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치에 따라 흡입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단계, 발생된 수두차를 이용하여저니층으로 연장된 흡입관을 통해 하상 침전물을 끌어올리는 단계, 끌어올려진 침전물과 물을 수조로부터 배출하여 수두차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 하상을 따라 수조를 이동시키는 단계,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저니를 처리하기 위한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상기한 침전물 제거장치의 작용에 대해 제거방법의 각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수두차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부상선(30)을 강상에 띄움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부상선(30)에 연결설치된 수조(10)는 강상에 띄워지면서 부상선(30) 또는 수조(10)의 자중에 의해 수면 아래로 일정깊이 내려가게 되고, 따라서 수조(10)의 저면과 강상의 수면과의 높이차에 의해 수조(10) 내부에 수두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거리측정과 측정된 거리만큼 흡입관(11)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단계로, 강상에 띄워진 수조(10)와 부상선(30)이 안정화되면 수조(10) 저면에 설치된 수심측정기(16)는 수조(10) 밑면과 저니층과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게 된다.
수심측정기(16)에 의해 측정된 신호는 컨트롤러(17)에 인가되고 컨트롤러 (17)는 신호에 따른 수치를 연산하여 이동관(12) 선단과 저니층과의 거리차를 계산하고 해당 거리만큼 이동관(12)을 내리기 위해 구동모터(13)를 제어작동시키게 된다.
컨트롤러(17)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3)가 역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13)의 회전축(20)에 설치된 드럼(14)이 돌아가면서 체인(15)을 풀게 되고, 체인(15) 끝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관(12)이 자중에 의해 흡입관(11)을 따라 내려가게 된다.
흡입관(11) 끝단을 통해 인출되는 이동관(12)이 하상 바닥의 저니층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13)는 작동을 멈춰 현 위치에 이동관(12)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동관(12)이 저니층에 도달함에 따라 수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두차에 의해 하상 바닥의 저니가 이동관(12)과 흡입관(11)을 따라 수조(10) 내부로 빨려올라오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두차에 의해 저니를 준설할 수 있게 되며, 준설된 저니는 수조(10) 내부로 설치된 배출관(18)을 통해 부상조로 보내지게 된다.
즉, 흡입관(11)을 통해 끌어올려진 저니와 물을 배출관(18)을 통해 계속 배출시킴으로서 수조(10) 내부의 수두차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조(10)내 수두차는 배출관(18)을 통해 배출되는 양과 흡입관(11)을 통해 수조(10)내로 유입되는 양의 균형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수조(10)내 수면이 높아져 수두차가 줄어들게 되면, 흡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 저니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배출관(18)으로는 출측에 설치된 펌프(31)를 통해 일정?? 양의 물과 저니가 계속 배출됨으로서, 유입되는 양보다 배출되는 양이 많아짐에 따라 수조(10)내 수면은 다시 낮춰져 수두차를 높이게 된다. 또한, 수조(10)내 수면이 낮아져 수두차가 커지게 되면, 흡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저니와 물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수조(10)내 수두차를 줄이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수두차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흡입관(11)을 통해 저니와 물이 빨려올라옴에 따라 수조(10)는 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데, 흡입관(1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는 저니와 물이 흡입관(11) 내부에 설치된 회전판(21)에 부딪치면서 회전판(21)이 설치된 회전축 (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흡입관(11) 외측에서 회전축(20)에 설치된 스크류(22)가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강상을 따라 수조(10)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수조(10)가 이동함에 따라 새로운 저니층으로 이동관(12) 선단이 옮겨져 저니의 흡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조(10)가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동관(12) 끝단과 바닥 저니층과의 거리차는 타이머 작동에 따라 일정시간간격으로 작동되는 수심측정기(16)에 의해 새롭게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러(17)는 다시 구동모터(13)를 제어작동하여 거리차를 보정하게 된다.
한편, 수조(10)로 유입된 저니의 후처리단계는 다음과 같다.
부상선(30)에 설치된 흡입펌프(31)가 작동함에 따라 배출관(18)을 통해 수조 (10)내의 저니와 물이 세척수조(32)로 옮겨지게 된다.
세척수조(32)로 유입된 배출수에 초미세기포를 분사시켜 배출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를 수면으로 부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초미세기포는 물, 공기(산소) 및 약품(응집제)를 혼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상이 실시되면, 부상슬러지는 수면상으로 부상되고, 수면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는 부상슬러지 제거기(34)에 의해 수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집적된다.
또한, 배출수는 오버플로우되어 침전조(36)로 넘어가게 되고 침전조(36)에서 미세 침전슬러지가 저면에 침전되며, 침전된 침전슬러지는 침전슬러지 배플에 의해 집적된다.
상기 집적된 부상슬러지는 부상슬러지 집적조(35)에서 탈수 및 건조단계를 거쳐 부상슬러지에 배어있는 침출수는 탈수되어 자연건조등에 의해 탈수된 부상슬러지는 건조하고, 건조된 부상슬러지는 소각, 매립 또는 퇴비로 재활용된다.
상기 공정을 거쳐 저니가 제거된 최종 처리수는 배수설비(37)를 통해 방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에 의하면, 동력 사용과 수중작업을 최소화함으로서 저니 준설에 따른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상 바닥의 지형 변동에 관계없이 저니층만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 바닥에서 저니만을 취사 준설함으로서 준설설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고, 취수된 오탁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상의 띄워지는 수조 내부의 수면을 하상의 수면보다 낮게 유지하여 수두차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발생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저니층으로 연장된 흡입관을 통해 하상 침전물을 끌어올리는 단계;
    끌어올려진 침전물과 물을 수조로부터 배출하여 수두차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상을 따라 수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조와 하상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치에 따라 흡입관의 길이를 가변시켜 흡입관의 하단을 저니층에 위치시키기 위한 흡입관 길이 가변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저니를 처리하기 위한 후처리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5. 하상에 띄워져 수두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조와;
    수조 저부에 연결설치되고 하상바닥으로 연장되어 침전 저니가 유입되는 흡입관;
    수조내로 빨아올려진 물과 저니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을 포함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 수평방향으로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흡입관 내부에서 수류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회전판, 흡입관 외측에서 회전축의 연장축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수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내부에 밀착되어 흡입관 하단을 통해 유통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관과, 수조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드럼, 드럼에 감겨지고 이동관 상단에 연결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흡입관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하부에 설치되어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심측정기와,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심측정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타이머, 측정기의 신호를 인가받아 연산된 수치에 따라 구동모터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동관 끝단을 하상 저니층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일측에 수조가 연결설치되고 수면상에 장비를 부상시키기 위한 부상선과, 부상선 상부에 설치되고 수조 내부로 설치된 배출관에 연결되어 배출관을 통해 수조 내부의 저니와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펌프,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저니와 물이 담겨지는 세척수조, 상기 세척수조내에 설치되는 기포공급파이프를 갖춰 세척수조내의 저니에 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처리수를 활성화시키는 가압부상설비, 세척수조의 후단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면상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하는 부상슬러지제거기와 부상슬러지 집적조, 세척수조 후단에 연결되어 잔류 저니를 침전처리하기 위한 침전조, 침전조를 거친 처리수를 방류하기 위한 배수설비를 포함하여, 수집된 저니를 처리하기 위한 저니처리설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KR1020010011464A 2001-03-06 2001-03-06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KR20020071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64A KR20020071343A (ko) 2001-03-06 2001-03-06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64A KR20020071343A (ko) 2001-03-06 2001-03-06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968U Division KR200233363Y1 (ko) 2001-03-06 2001-03-06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343A true KR20020071343A (ko) 2002-09-12

Family

ID=2769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64A KR20020071343A (ko) 2001-03-06 2001-03-06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3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35B1 (ko) * 2011-08-12 2013-11-14 (주)써포텍 플랜트 취수로 혹은 배수로의 침전물 제거 장치
CN110512674A (zh) * 2019-08-07 2019-11-29 袁晓宇 河道疏浚筛分清淤方法及设备
WO2021045283A1 (ko) * 2019-09-03 2021-03-11 홍성탁 유산균 분사 장치를 갖는 수상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35B1 (ko) * 2011-08-12 2013-11-14 (주)써포텍 플랜트 취수로 혹은 배수로의 침전물 제거 장치
CN110512674A (zh) * 2019-08-07 2019-11-29 袁晓宇 河道疏浚筛分清淤方法及设备
CN110512674B (zh) * 2019-08-07 2024-04-12 袁晓宇 河道疏浚筛分清淤方法及设备
WO2021045283A1 (ko) * 2019-09-03 2021-03-11 홍성탁 유산균 분사 장치를 갖는 수상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0046A (ko) 호소 침전물 처리장치
KR102291227B1 (ko)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WO1998020208A1 (fr) Procede de dragage et appareil de dragage
CN112673135B (zh) 用于从湿地的底部清除污泥和/或沙子的装置
US8522459B2 (en) Submergible densification cell, sediment separator and sediment densification method
MXPA03005839A (es) Metodo para dragado hidraulico submarino.
KR200233363Y1 (ko)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KR100954151B1 (ko) 기저퇴적물 제거장치 및 그 준설방법
KR20020071343A (ko)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KR100334742B1 (ko)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30786B1 (ko)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
KR101925607B1 (ko) 하천, 호소의 퇴적오니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오니 처리 공법
KR100292426B1 (ko) 이동식 수질 정화장치
JP4741347B2 (ja) 水域の浄化設備
JP2006207372A (ja) 水底物の浚渫装置
KR20200093902A (ko) 침투형 고압분사관을 구비한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CN201338960Y (zh) 多功能废水处理机
JP2006082005A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濁水処理方法
KR102237084B1 (ko) 밀폐성이 향상된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KR101202195B1 (ko)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JP4675061B2 (ja) 堆積物の吸引流送設備
JP2005282155A (ja) 水底有害物除去装置
CN212039138U (zh) 一种生活污水污泥脱水装置
JPS6073920A (ja) 沈澱泥土浚渫船
JP3909460B2 (ja) 干満差を利用した堆積浮泥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