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317A -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317A
KR20020071317A KR1020010011414A KR20010011414A KR20020071317A KR 20020071317 A KR20020071317 A KR 20020071317A KR 1020010011414 A KR1020010011414 A KR 1020010011414A KR 20010011414 A KR20010011414 A KR 20010011414A KR 20020071317 A KR20020071317 A KR 2002007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gps
war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307B1 (ko
Inventor
오창호
Original Assignee
김석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경 filed Critical 김석경
Priority to KR10-2001-001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3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은, 각종 차량의 운전 중 GPS 위성을 통하여 운행중인 위치를 수신하고 해당도로의 위험 정보를, 경고메세지나 차임 등으로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해 주는 안전운행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데이타 전파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부; 수신한 다수 위성데이터 전파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GPS 엔진부; 위험지역의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데이터부; 차량으로부터 운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운행정보입력부; 각 구성부들로부터 정보 및 조정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위험지역 전방에 설정되는 경고지점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수행하도록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그리고 각종 입력조종 및 출력전시를 위한 입력조종부와 출력전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빠른 데이터의 처리를 통하여 안전운행을 위한 각종 경고와 정보를 제공받으므로써 안전운행이 가능하여 교통사고의 방지와 안전운행을 실현할 수 있으며, 사회적 국가적으로 요구하는 안전운행 시스템에 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A safety navigation system of cars utilized GPS satellites}
본 발명은 안전운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각종 차량의 운전 중 GPS 위성을 통하여 운행중인 위치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도로의 위험 정보를 파악한 후, 경고 메세지나 차임 등의 안내를 통해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교통사고의 방지와 안전운행을 실현할 수 있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를 포함한 각종 차량은 현대인의 필수 생활수단이 되었으며, 특히 자동차는 생활의 향상만큼이나 도로가 비좁을 만큼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종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 또한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 발생률이 세계적이며 사고의 부상으로 인한 장애까지 포함하면 그 피해는 실로 엄청나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국가적으로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이러한 막대한 교통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과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운전자들의 안전운행을 위한 다양한 시책과 캠페인 등을 통하여,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이고도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산업계에서도 교통사고의 방지를 위한 다양한 안전운행 시스템의 결과물을 내놓고 있으며, 보다 안전한 차세대 운행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위성의 발달과 그로 인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위성을 이용한 안전운행 및 교통사고 방지 기술들이 부각되고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을 이용한 최첨단의 위치결정시스템은 지구 주위 약 2만km 고도로 지구상을 도는 몇몇 GPS위성들로부터 위치신호와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기본적인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지구상의 어느 지점에서도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첨단 시스템이다.
GPS 위성을 이용한 종래 시스템으로는 항법시스템(Navigation System)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법시스템은 지표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건물이나 위치 등에 대한 방대한 위치데이터로 운항을 위한 지도(map)를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서버나 대용량의 저장장치에 저장해 놓은 다음, 운전 중인 차량의 경우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불러 들여 확인함으로써 GPS 위성을 운전에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항법시스템은 지표상의 건물이나 특정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항법지도를 작성하는 데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이용할 경우 매우 큰 저장시스템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주변장치들이 필요하며, 운전중인 차량이외의 외부 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저장 장소와 교신 등 부수적인 많은 문제가 야기된다.
사회적, 국가적으로는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운행시스템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차량의 운전 중 GPS 위성을 통하여 운행중인 위치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도로의 위험 정보를 파악한 후, 경고 메세지나 차임 등의 안내를 통해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교통사고의 방지와 안전운행을 실현할 수 있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나날이 증가하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국가 및 사회적인 교통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일반 운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개발된 산물이다. 이를 위해서는 GPS 위성을 통한 다양한 정보의 수신, 각종 위험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data base)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정확한 처리기술들이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안전운행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행시스템의 작동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위치부101 : 전원스위치
102 : 음성선택스위치103 : 지역선택스위치
104 : 충전스위치105 : 개방통화스위치
106 : 개인통화스위치20 : 전시부
201 : 안테나아이콘202 : 통화아이콘
203 : 서행아이콘204 : 안개아이콘
205 : 급커브아이콘206 : 터널아이콘
30 : 마이크40 : 볼륨
50 : 톤조정스위치601 : GPS 안테나부
602 : GPS 엔진부603 : 저장데이터부
604 : 운행정보입력부605 : 입력조종부
606 : 중앙처리부607 : 출력전시부
70 : 차량75 : 터널
71S,72S,73S : GPS 위성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데이타 전파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부; GPS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다수 위성데이터 전파의 변환 및 공차의 보상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GPS 엔진부; 위험지역의 데이터와 자체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데이터부; 차량으로부터 현재 차량이 운전되고 있는 상태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운행정보입력부; 전반적인 작동 상황의 입력 및 출력형태를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핸즈프리통화상태를 설정하는 입력조종부; 각 구성부들로부터 정보 및 조정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위험지역 전방에 설정되는 경고지점에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수행하도록,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및, 중앙처리부에서 수행된 연산 및 제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고 운전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전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안전운행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자동차 안전운행 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작동을 조정하는 스위치부(10)와 작동을 전시하기 위한 다수의 아이콘들로 구성되는 전시부(20)가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10)및 전시부(20)와 더불어 본 시스템에는, 스위치부(10) 중앙에 마이크(30)와 그 측면에 볼륨(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시부(20)의 하단에는 톤조정스위치(50)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행 시스템의 전면 조정부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운행 시스템에서 설명하는 위험지역이라 함은, 차량의 운전에 위험을 주는 지역임을 폭넓게 의미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위험지역으로 사고다발지역, 안개지역, 급커브 지역 그리고 터널지역을 예로 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운전에 위험을 주는 지역은 추가적으로 설정하여 본 안전운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10)에는 전원스위치(101, power), 음성선택스위치(102, voice), 지역선택스위치(103, local), 충전스위치(104, charge) 그리고 개방통화스위치(105) 및 개인통화스위치(106)가 포함되어 있다.
전원스위치(101, power)는 본 교통안전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전원스위치이고, 음성선택스위치(102, voice)는 각종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형태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음성이나 차임(chime) 그리고 음성/차임 동시선택 등 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출력형태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지역선택스위치(103, local)는 각종 사고위험지역의 표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로, 이를 통하여 전시부(20)에 전시되는 사고위험지역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충전스위치(104, charge)는 개인휴대폰 등을 충전할 경우 이를 조정하여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 온 경우 통화의 상태를 조정하는 스위치로는 개방통화스위치(105)와 개인통화스위치(106)가 있으며, 개방통화스위치(105)는 차량에 동승하고 있는 사람이 통화의 내용을 들어도 무방한 경우 선택하는 것이고, 개인통화스위치(106)는 혼자만 통화할 경우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본 안전운행 시스템의 전시부(20)에는 안테나아이콘(201), 통화아이콘(202), 서행아이콘(203), 안개아이콘(204), 급커브아이콘(205), 그리고 터널아이콘(206)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안테나아이콘(201)은 GPS 위성을 통한 전파 수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전시하는 것으로, 위성 수신불가인 경우 아이콘이 켜져 수신불가한 상태를 경고하게 된다. 통화아이콘(202)은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리는 아이콘이다.
그리고 서행아이콘(203)은 사고다발지역이므로 천천히 운전할 것을, 안개아이콘(204)은 안개지역을, 급커브아이콘(205)은 급커브 지역을, 터널아이콘(206)은 터널지역을 각각 경고하는 아이콘이다. 이들 아이콘(203∼206)은 각각 해당지역의 진입 수백 또는 수천 m 전에 경고형태로 점등되며, 진입전 경고 설정거리는 최초 설정된 상태나 자동적으로 정해진 상황과 차량속도 그리고 해당지역의 정보 등이 종합적으로 파악되어 결정된다.
이외에도 스위치부(10) 중앙의 마이크(30)는 통화시 음성이 입력되는 부분이고, 측면의 볼륨(40)은 경고메시지나 경고차임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전시부(20) 하단의 톤조정스위치(50)는 핸즈프리(hands free)상태로 통화시 송신 음성의 톤(tone)을 조정하는 스위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전 운행 시스템은 GPS 안테나부(601), GPS 엔진부(602), 저장데이터부(603), 운행정보입력부(604), 입력조종부(605), 중앙처리부(606) 그리고 출력전시부(607)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GPS 안테나부(601)는 다수 약 10채널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데이타 전파를 수신하는 구성부로, 수신한 데이터 전파신호는 후단의 GPS 엔진부(602)로 인가된다. GPS위성을 이용한 통신에는 통상 Ghz대의 높은 주파수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높은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수신회로보다 감도가 높은 수신안테나와 회로가 채택되어 있다.
GPS 엔진부(602)는 GPS 안테나부(601)에서 수신한 다수의 위성 데이터 전파를 변환(conversion)하여 본 안전 운행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부분이다.
위성을 이용한 종래의 항법시스템에서는 통상 3∼4채널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3∼4개의 위성이 관여한다. 위성을 이용한 기술에 있어서 위치 등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약 10채널 이상이 사용되므로 많은 수의 GPS위성으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따라서 이상과 같이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가속적으로 이를 처리해 주는 부분이 필요하고, 이를 담당하는 부분이 본 GPS 엔진부(602)이다. 아울러 이러한 GPS 엔진부(602)는 수신한 위성데이타 전파로부터 지구의 자전 및 공전 그리고 각종 자기적인 힘에 따른 공차를 보상하여, 각종 데이터를 추출한다.
저장데이터부(603)는 위험지역의 데이터와, 본 안전운행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후단의 중앙처리부(606)로 인가한다. 아울러 도로는 계속 건설되기도 하고 사용되지 않는 경우 등 그 변화가 다양하다. 본 저장데이터부(603)에는 이러한 변화된 도로상황을 새롭게 추가하고 지우는 것이 가능하다.
위험지역 데이터는 해당지역의 위치에 대한 것과, 기타 부수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 터널지역의 경우 터널이 시작되는 지점의 위도 및 경도에 대한 데이터가 있으며, 여기에 해당 터널의 끝지점, 터널에 진입하는 길의 경사도, 터널의 안전 등급 등을 포함한 각종 부수적인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자체 데이터는 안내 음성, 차임종류별 데이터 등이 있으며, 기타 본 안전운행 시스템의 조정 및 전시를 위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운행정보입력부(604)는 현재 차량이 운전되고 있는 상태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부로,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현재속도, 도로의 떨림 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러한 차량의 운행정보는 후단의 중앙처리부(606)로 인가되고, 여기서 위험지역의 경고지점 및 해당 위험지역의 통과여부 등을 결정하는 기초 정보로 이용된다.
입력조종부(605)는 각종 입력 및 출력형태를 조정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입력조종부(605)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상황을 조정하고, 저장데이타부(603)에 저장되는 위험지역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 과정 및, 출력전시부(607)의 출력상태 등을 조종한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조종부(605)는 스위치부(10)의 각종 스위치와, 마이크(30), 측면의 볼륨(40), 그리고 톤조정스위치(50)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입력조종부(605)에서는 운전중 통화시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안전운행시스템을 핸즈프리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핸즈프리의 사용여부, 핸즈프리의 음성크기 등을 조정한다.
중앙처리부(60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행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부로, 각종 데이터의 연산, 입력조정상태에 따른 전시,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의 실행 등을 수행한다.
이 중앙처리부(606)에서는 데이터저장부(604)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지역의 자료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여기에 속력 등 차량의 현재 작동상태에 대한 데이터와, 저장데이타부에 저장된 정보를 입력받아 다음 위험지역까지의 위치, 거리 그리고 시간 등을 계산한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하여 다음 위험지역 전방의 경고지점에서 경고메세지 및 경고차임을 울리고, 그리고 각종 전시상황을 조정한다. 또한 입력조종부(605)의 조정상태에 따라 동작하도록 관련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중앙처리부(606)에서 계산한 결과 및 각종 제어상태는 후단의 출력전시부(607)에 인가된다. 출력전시부(607)는 인가받은 각종 제어정보에 따라 경고메세지 및 경고차임을 울리고 전시부(20)상의 각종 아이콘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각종 위험 상황을 전달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행시스템의 작동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안전운행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터널을 통과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안전운행시스템에는 경고지점에 대한 거리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거리는 안전운행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또는 운전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경고지점까지의 거리가 700m로 설정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차량(70)이 진행하고 있는 전방에는 터널이 있다. 이후 차량(70)이 계속 진행하여 터널(75) 전방 700m에 도달하면, 본 안전운행시스템에서 "터널, 터널 지역입니다. 선글라스를 벗으십시오."와 같은 안내 메세지가 나온다. 이 후 "삐- 삐-" 등의 선택한 경고 차임이 지정한 대로, 일 예로 약 3초간 지속된다.
해당 위험지역의 전방 경고지점까지의 거리는 본 안전운행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운전자가 조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고지점의 거리는 운행속도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터널지역인 경우 고속운행상태에서는 경고지점에서 실제 터널시작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으므로 700m보다 먼 지점에서 경고메세지와 경고차임이 울리며, 저속인 경우에는 보다 짧은 거리에서 울리게 된다.
경고메세지와 경고차임은 터널 이외에도 안개지역, 사고다발지역, 급커브 지역 등 해당 위험지역 전방 지정된 경고지점에 도달하면 각각의 위험지역에 맞는 내용으로 울리며, 이러한 경고형태 역시 운전자가 취향에 맞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안전운행시스템의 저장데이타부(603)에 저장된 데이터에는 경고지점, 위험지역 시작지점, 위험지역 끝지점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중 경고지점의 데이터에는 해당 위험지역에 대해 가상적으로 설정해 놓은 경고지점에 대한 위치데이타가 포함되어 있으며, 본 안전운행시스템에서는 최초 저장된 경고지점의 데이터에 맞도록 기본 설정되어 경고메세지 및 경고차임 등이 울린다. 그리고 운전자가 이러한 기본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기본 경고지점에 대한 위치데이타를 이용하여 변경된 경고지점을 계산하고, 변경된 경고지점을 바탕으로 경고메세지 및 경고차임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경고지점, 위험지역 시작지점, 위험지역 끝지점 등에 대한 정보는 각 지점들을 확인하는 데 서로 이용되기도 한다. 즉 위험지역 시작지점으로부터 차량의 속도, 해당 도로의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경고지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이를 확인하기 위한 계산을 다시 실시한 후 일치한 경우에만 경고메세지와 경고차임을 울리게 된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에는 도로의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운행중에도 차량이 도로에 적합하도록 운행되고 있는 지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리고 있는 고속도로의 최고제한속도가 시속 100㎞일 경우 차량의 속도가 80㎞에 도달하면 최고제한속도에 근접하고 있음을 알리는 경고메세지와 경고차임이 울리게 된다. 또한 안개지역을 달리고 있는 경우 전조등을 켜지 않은 상태라면, 이에 대한 경고메세지와 경고차임이 울리게 된다.
본 안전운행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채널, 약 10개 내외(9∼12)의 채널을 사용하여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원리를 취하고 있으며, 이는 종래 위성을 이용한 항법시스템이 3∼4개의 위성을 이용하는 방식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다수의 채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안전운행시스템의 구성부에 다수의 위치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GPS 엔진부(602)가 포함되어, 각 GPS 위성들(71S, 72S, 73S)로부터의 위치정보들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위치데이타는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본 안전운행시스템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각종 위험지역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안전하게 운행하므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도시한 본 안전운행 시스템은 하나의 실시예다. 따라서, 제시된 기능이외에도 편리성 등을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될 수 있으며, 그 형태로 보다 다양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위험지역들을 경고하는 경고메세지 및 경고차임들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울리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전방의 설정거리 또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기본적으로 다수 약 10채널 정도의 GPS 위성을 이용하지만, 기상악화 또는 특수지형 등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몇몇의 위성신호만으로도 신호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차량의 운전 중 GPS 위성을 통하여 운행중인 위치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도로의 위험 정보를 파악한 후, 경고 메세지나 차임 등의 안내를 통해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교통사고의 방지와 안전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써 수신시 발생되는 위성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정확성을 기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종래 위성을 이용한 일반적인 항법시스템이 갖는 방대한 데이터에 비해 극히 작은 데이터만으로도 안전운행이 가능하며, 저장된 데이터의 수정 및 추가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빠른 데이터의 처리를 통하여 안전운행을 위한 각종 경고와 정보를 제공받으므로써 안전운행이 가능하며, 사회적 국가적으로 요구하는 안전운행 시스템에 부흥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9)

  1.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데이타 전파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부;
    상기 GPS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다수 위성데이터 전파의 변환 및 공차의 보상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GPS 엔진부;
    위험지역의 데이터와 자체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데이터부;
    상기 차량으로부터 현재 차량이 운전되고 있는 상태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운행정보입력부;
    전반적인 작동 상황의 입력 및 출력형태를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핸즈프리통화상태를 설정하는 입력조종부;
    상기 각 구성부들로부터 정보 및 조정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위험지역 전방에 설정되는 경고지점에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수행하도록,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수행된 연산 및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고 운전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전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9∼12채널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데이타 전파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역은
    상기 차량의 운전에 위험을 주는 지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역은
    사고다발지역, 안개지역, 급커브 지역 그리고 터널지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위험지역 전방에 임의로 설정한 경고지점, 위험지역 시작지점, 위험지역 끝지점에 대한 정보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지점은
    상기 데이터에 지정된 상기 위험지역 전방의 임의지점을 기본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운전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그 거리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그 전면에,
    상기 시스템의 작동을 조정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시스템의 작동을 전시하기 위한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전시부;
    통화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경고메시지 및/또는 경고차임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볼륨; 및,
    핸즈프리상태로 통화시 송신 음성의 톤을 조정하는 스톤조정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전원스위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형태를 선택하는 음성선택스위치;
    각 위험지역의 표시를 선택하는 지역선택스위치;
    상기 차량 운전자 통화수단을 충전하는 충전스위치;
    상기 차량의 동승자에 상관없이 통화할 경우 선택하기 위한 개방통화스위치; 및,
    상기 운전자만이 통화하기 위해 선택하기 위한 개인통화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는
    상기 GPS 위성을 통한 전파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경고하는 안테나아이콘;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리는 통화아이콘;
    사고다발 지역에서 천천히 운행할 것을 전시하는 서행아이콘;
    안개지역임을 경고하는 안개아이콘;
    급커브 지역임을 경고하는 급커브아이콘; 및,
    터널지역임을 경고하는 터널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차량 안전운행 시스템.
KR10-2001-0011414A 2001-03-06 2001-03-06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045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14A KR100455307B1 (ko) 2001-03-06 2001-03-06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14A KR100455307B1 (ko) 2001-03-06 2001-03-06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099U Division KR200233199Y1 (ko) 2001-03-07 2001-03-07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317A true KR20020071317A (ko) 2002-09-12
KR100455307B1 KR100455307B1 (ko) 2004-11-08

Family

ID=2769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14A KR100455307B1 (ko) 2001-03-06 2001-03-06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10B1 (ko) * 2002-10-01 2005-06-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경로안내방법
KR100798464B1 (ko) * 2006-10-12 2008-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67A (ko) 2015-03-20 2016-09-28 김차동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578A (ko) * 1997-03-06 1998-11-05 김영귀 차량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사고다발지역 음성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40005A (ko) * 1998-12-17 2000-07-05 박원일 운전자 경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10B1 (ko) * 2002-10-01 2005-06-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경로안내방법
KR100798464B1 (ko) * 2006-10-12 2008-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307B1 (ko) 2004-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condition detection
US815936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 emergency vehicle alert
US6895332B2 (en) GPS-based vehicle warning and location system and method
US685690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erts to a navigation device
KR20160140055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동적 지도 제공 방법
JP2008171314A (ja) 速度警報機能付カーナビ装置
JP2011237217A (ja) 車載用情報端末
KR100455307B1 (ko)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JP2012178127A (ja)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装置
KR200233199Y1 (ko)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JP2005062060A (ja) 事故防止装置、存在報知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1624630B2 (en) Using augmented reality to present vehicle navigation requirements
JP2014202707A (ja) 車載器
KR20030068681A (ko) 차량 항법 장치의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294988Y1 (ko) Gps를 이용한 안전 운전 시스템
JP327833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1326181B (zh) 在车辆中控制多媒体播放的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US20210323407A1 (en) Vehicle integrated safety system generating map points and audible, visual warning
KR100525727B1 (ko) 차량용 도로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구현 방법
KR200400670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7052460A (ja) Hudシステム、hud装置およびhud表示情報生成方法
JP202310177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12959A (ko)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과속 경고 방법
KR20070016372A (ko) 전용근거리통신을 적용한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하여 지능형 교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JP2005216267A (ja) 緊急車両接近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07

Effective date: 200607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215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07

Effective date: 200607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