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243A -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243A
KR20020071243A KR1020010011249A KR20010011249A KR20020071243A KR 20020071243 A KR20020071243 A KR 20020071243A KR 1020010011249 A KR1020010011249 A KR 1020010011249A KR 20010011249 A KR20010011249 A KR 20010011249A KR 20020071243 A KR20020071243 A KR 20020071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
weight
extract
herbal medicine
pear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헌
Original Assignee
이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헌 filed Critical 이영헌
Priority to KR102001001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243A/ko
Publication of KR2002007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8Shaping by extrusion or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발명은 진주가루를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진주 또는 양식진주 중에서 상품가치가 없는 작은 알갱이 또는 가공하기가 곤란한 진주를 건조하여 800mesh 크기로 분쇄하여 얻은 진주가루(pearl powder) 3.0∼4.0부에, 피부에 좋은 한약재 추출물을 탈색 및 농축한 한방추출물(herb extracts) 0.7∼0.9부, 화장비누 베이스 93.0∼94.0부, 스쿠알렌 0.7∼0.9부, 알콕시글리세롤 0.3∼0.5부, 향료 0.4∼0.6부, 피부보습제 0.4∼0.6부, 정제수 적량(프로필렌글리콜 0∼2.0부, 글리세린 0∼2.0부, 젖산나트륨 0∼2.0부, 산화티탄 0.3∼1.5부)을 혼합한 조성물로부터 혼합 및 압출성형하여 진주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주비누는 진주의 탁월한 약리적 효능인 피부 및 모발의 영양보급, 미백효과 이외에 한방추출물과 함께 작용하여 우수한 미용비누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Beauty Soap Containing Pearl Powder and Method Thereof}
발명은 진주가루를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진주 또는 양식진주 중에서 상품가치가 없는 작은 알갱이 또는 가공하기가 곤란한 진주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비누 베이스, 알콕시글리세린, 스쿠알렌, 한방추출물, 향료, 피부보습제, 정제수로 구성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진주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주는 다이아몬드와 함께 옛날부터 왕실이나 귀족들에게 애용되어 인기있는 보석으로서 주로 천연진주를 가공하여 장신구로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 진주의 수요가 증가하여 양식진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식진주는 진주조개의 내부에 인공핵을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양식시켜 만든 것으로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서 진주 양식이 성행하고 있다.
옛날부터 진주는 탁월한 약리적 효과로 인하여 중국의 왕실에서 약제로 사용되어 왔는 데, 소화장애 치료효과, 심신안정, 중추신경조절, 눈병보호, 신진대사 촉진, 피부영양보급, 골격발육증강, 지력증진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동일한 선행기술은 없으나, 진주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한국특허공개 1994-9121(인조진주의 제조방법), 1995-25075(무독성 인조 진주의 제조방법), 1997-8199(무지개 빛을 띄는 인조진주 및 그의 제조방법) 등이 있으나 이들은 인조진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개 1997-58715(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수용성 진주액의 제조방법), 1999-73114(진주분을 함유하는 식품용 복합조미양념 조성물) 등이 있으나 이들은 진주부산물을 식용으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1996-37815(펄을 함유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과 장치)은 투명비누에 있어서 진주분을 비누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본 발명과는 기술적구성 및 방법이 다른 것들이다.
본 발명은 공지의 비누베이스에 알콕시글리세롤, 향료, 보습제 이외에 미세하게 분쇄된 진주가루, 스쿠알렌 및 한방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진주를 주성분으로 하는 진주비누에 관한 것으로 진주 및 한약재의 약리적효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새로운 타입의 비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진주분말의 제조단계,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단계 및 비누제조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 진주분말의 전처리단계
천연진주 또는 양식진주 중에서 색택이나 형태가 불량한 것 또는 보석으로서 상품가치가 없는 것 또는 보석으로 가공시 파생되는 파편이나 가루를 별도로 수집하여 최대한 수분을 제거한 후, 분쇄기로 마쇄하여 미세한 가루를 얻어 분급기로 진주분말의 입도가 800 메쉬(mesh) 이하의 크기만을 분리하여 원료로 사용한다.
*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단계
한약재로는 피부에 좋다고 알려진 배급, 백령, 석창포, 해조액시스, 백두편, 행인, 인삼, 애염, 수세미, 넝쿨초, 백장감, 금은화, 신이화, 만년장, 유근피, 박하를 깨끗이 세척한 후,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3 중량부를 넣고 100∼120℃의 고온에서 5∼10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한약재 추출물에 대하여 1∼3% 활성탄소분말을 넣고 30∼60℃에서 1∼3시간 동안 탈색시켜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하여 얻은 한약재 추출물을 진공감압농축기에 의하여 추출물의 부피를 40배로 농축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 진주비누의 제조단계
정제된 비누베이스(refined soapbase-coconut oil)에 진주분말(pearl power), 스쿠알렌, 한약재 추출물(herb extracts), 알콕시 글리세롤, 향료 및 보습제를 일정량씩 첨가하고 50∼70℃로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경화제를 첨가하고, 원하는 형태로 압축성형하여 절단한 후 포장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진주를 건조하여 수분을 0.5% 이하로 제거한 후, 분쇄기로 마쇄한 진주분말을 얻어 채별하여 입도가 800mesh 이하의 크기만을 분리한 진주가루와, 한약재로 배급, 백령, 석창포, 해조액기스, 백두편, 행인, 인삼, 애염, 수세미, 넝쿨초, 백장감, 금은화, 신이화, 만년장, 유근피 및 박하를 함께 넣고 110℃의 열수 중에서 8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얻은 한약재 추출물에 대하여 3% 활성탄소분말을 넣고 50℃에서 2시간 동안 탈색시켜 40배로 농축한 한약재 추출물과, 비누베이스(코코넛 오일)와, 스쿠알렌과, 알콕시 글리세롤과, 향료(허브 향), 피부보습제를 혼합하였다.
전기의 비누원료를 다음의 표 1과 같이 첨가하고 60℃로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압축성형 및 절단하여 진주비누를 제조하였다.
표 1. 진주비누 배합비(단위: 중량%)
성 분 함 유 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정제 비누베이스 93.0 92.0 97.0 98.0
진주분말 4.0 5.0 - -
스쿠알렌 0.8 0.8 0.8 0.5
한약재추출물 0.8 0.8 0.8 -
알콕시글리세린 0.4 0.4 0.4 0.5
향료 0.5 0.5 0.5 0.5
보습제 0.5 0.5 0.5 0.5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상기의 실시예 1∼4와 같이 제조된 진주비누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스-마일스(ross-miles)법으로 기포력과 기포안정성을 진주비누를 1% 수용액으로 만들어 200mm를 28℃의 온도로 90cm의 높이에서 30초간 수면 위에 낙하시켜 생성되는 기포의 높이를 기포력으로 하고, 그 5분 후의 높이를 기포안정도로 측정하여 다음의 표 2와 같이 나타냈다.
표 2. 5분 경과후의 기포 높이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초기 기포력(mm) 345 335 320 312
*기포 안정성(mm) 305 298 290 285
* 5분 경과후의 기포 높이
상기의 결과로부터 진주분말 및 한약재가 첨가된 진주비누가 기포력과 기포 안정성에 있어서 일반비누 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거품의 감촉 및 피부의 윤기는 잘 훈련된 패널리스트 20명에게 실시예1∼4의 진주비누를 테스트하였고, 피부보습효과는 패널리스트의 팔뚝 일정 부위에 비누를 수용액으로 만들어 약간의 마찰을 가하여 세척을 하고, 2시간 후, 테와미터(TEWA Meter)를 이용하여 20℃, 습도 45∼60%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냈다.
표 3. 감촉 및 보습효과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감 촉
보습효과
◎; 아주 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진주비누는 일반비누 보다도 감촉과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진주비누는 피부의 상피층에 쉽게 흡수되어 상피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므로 인하여 윤택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만들어 주고, 특히 미백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진주분말은 피부 지방갈색소의 성장을 억제하며, 주름 및 피부반점을 없애주고, 거품이 잘 일어나고 피부 및 모발에 영양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면도 또는 세발시 면도 거품이나 샴푸 등의 세발제가 불필요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한방추출물과 함께 작용하여 각종 피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진주를 건조하여 미세한 분말로 전처리하는 단계와, 세척한 한약재에 열수를 가하여 얻은 추출물을 탈색시킨 후 농축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비누베이스에 진주분말, 스쿠알렌, 한약재 추출액, 알콕시 글리세롤, 향료, 보습제를 첨가하고 용해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와, 이를 압축성형하여 진주비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진주의 수분은 0.1% 이하이고, 입도는 800 mes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한약재는 배급, 백령, 석창포, 해조액시스, 백두편, 행인, 인삼, 애염, 수세미, 넝쿨초, 백장감, 금은화, 신이화, 만년장, 유근피, 박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서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들을 각각 1∼3 중량부를 넣고 100∼120℃의 고온에서 5∼10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얻은 한약재 추출물에 대하여 1∼3%의 활성탄소분말을 넣고 30∼60℃에서 1∼3시간 동안 탈색시켜 한약재 추출물을 얻은 후 진공감압농축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4. 진주비누의 조성물은 비누베이스 90∼96 중량%, 진주분말 2∼6 중량%, 스쿠알렌 0.5∼1.0 중량%, 한약재 추출 농축액 0.5∼1.0 중량%, 알콕시 글리세롤 0.1∼1.0 중량%, 향료 0.1∼0.8 중량%, 보습제 0.1∼0.8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의 조성물
KR1020010011249A 2001-03-05 2001-03-05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71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249A KR20020071243A (ko) 2001-03-05 2001-03-05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249A KR20020071243A (ko) 2001-03-05 2001-03-05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243A true KR20020071243A (ko) 2002-09-12

Family

ID=2769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249A KR20020071243A (ko) 2001-03-05 2001-03-05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2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24B1 (ko) * 2007-06-05 2008-09-18 (주)그린주의 제오라이트 4a에 진주 분말이 담지된 진주비누 제조방법및 이에 의한 진주비누
KR101127419B1 (ko) * 2009-10-29 2012-03-22 서범구 백토, 초유 및 발효한방활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7718B1 (ko) * 2013-05-07 2013-09-11 황지수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512A (en) * 1980-03-19 1981-10-15 Kanebo Keshohin Kk Scrubbing skin cleaner
JPH0368253A (ja) * 1989-08-07 1991-03-25 Ricoh Co Ltd 複合デジタル複写機
KR920012412A (ko) * 1990-12-01 1992-07-27 조희숙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JPH0776698A (ja) * 1993-09-08 1995-03-20 Mikimoto Pharmaceut Co Ltd 石 鹸
KR970007575A (ko) * 1995-07-27 1997-02-21 문정환 모니터 온/오프 컨트롤 장치
KR19990083850A (ko) * 1999-08-19 1999-12-06 변성진 천연 미용물질이 함유된 미용화장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83931A (ko) * 1999-09-01 1999-12-06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47893B1 (ko) * 2008-06-26 2013-03-26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일회용 화장제 패키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512A (en) * 1980-03-19 1981-10-15 Kanebo Keshohin Kk Scrubbing skin cleaner
JPH0368253A (ja) * 1989-08-07 1991-03-25 Ricoh Co Ltd 複合デジタル複写機
KR920012412A (ko) * 1990-12-01 1992-07-27 조희숙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JPH0776698A (ja) * 1993-09-08 1995-03-20 Mikimoto Pharmaceut Co Ltd 石 鹸
KR970007575A (ko) * 1995-07-27 1997-02-21 문정환 모니터 온/오프 컨트롤 장치
KR19990083850A (ko) * 1999-08-19 1999-12-06 변성진 천연 미용물질이 함유된 미용화장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83931A (ko) * 1999-09-01 1999-12-06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47893B1 (ko) * 2008-06-26 2013-03-26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일회용 화장제 패키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24B1 (ko) * 2007-06-05 2008-09-18 (주)그린주의 제오라이트 4a에 진주 분말이 담지된 진주비누 제조방법및 이에 의한 진주비누
KR101127419B1 (ko) * 2009-10-29 2012-03-22 서범구 백토, 초유 및 발효한방활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7718B1 (ko) * 2013-05-07 2013-09-11 황지수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US20150182443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with whitening skin-care function adn its preparation method
CN103989614B (zh) 一种美白洁面护肤面膜及其制备方法
CN108186502A (zh) 一种含望春花提取物的美白保湿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101272375B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
CN109007163A (zh) 一种荷叶袋泡减肥花茶及其制作方法
CN109223686A (zh) 一种具有滋润护肤功能的清爽型沐浴露配方
CN109646370A (zh) 一种纯天然植物刨花水的制备方法
CN106265266B (zh) 一种含有叶绿素的舒敏沐浴露
CN105902475B (zh) 一种玫瑰花蛋清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674789A (zh) 一种具有活肤功效的冷制皂及其制作方法
KR20020071243A (ko) 진주분말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971567A (zh) 一种中药美容香皂及其制备方法
CN105796409A (zh) 一种洗浴用盐及制备方法
CN104013549A (zh) 一种含中华金丝提取物的护肤品
CN106675859A (zh) 中药皂
CN105662999A (zh) 一种香茅草精油面膜
CN106137913A (zh) 茉莉花香水瓜藤汁面膜
KR20030061725A (ko) 미백작용, 피부정화 및 보호에 효과적인 비누의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080092703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27447B1 (ko) 전복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53097A (zh) 一种自发热型美容面膜
CN109260104A (zh) 具有舒适润滑的护发组合物及其应用
KR20200060567A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