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109A - 분비물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분비물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109A
KR20020071109A KR1020010011036A KR20010011036A KR20020071109A KR 20020071109 A KR20020071109 A KR 20020071109A KR 1020010011036 A KR1020010011036 A KR 1020010011036A KR 20010011036 A KR20010011036 A KR 20010011036A KR 20020071109 A KR20020071109 A KR 2002007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retion
suction
water
bucke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모
Original Assignee
임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모 filed Critical 임진모
Priority to KR102001001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109A/ko
Publication of KR2002007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비물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실내에서 용변을 해결하고자 할 때 실내에서 용변을 보고 그 분비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물통에서 나오는 온수를 엉덩이에 분사하고 분비물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한 후 분비물통에 저장하여 손쉽고 위생적으로 분비물을 처리하며, 환자에게 상쾌함을 주고 간병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비물 흡입장치{EXCRETION INHALATOR}
본 발명은 물통의 온수를 엉덩이에 분사한 후, 물과 분비물의 혼합물을 흡입하여 분비물통에 저장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분비물을 처리하는 분비물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용변을 볼 때 화장실까지 가기가 힘들기 때문에 실내에서 용변을 해결할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 환자의 분비물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용변, 즉 분비물을 처리할 때는 주로 큰 기저귀를 사용한다. 환자가 용변을 보고 난 후 간병인이 환자의 엉덩이에 묻은 분비물을 일차적으로 화장지로 닦아주고 물티슈로 마지막 처리를 하여 기저귀를 갈아준다. 그러나, 물티슈를 사용할 경우 분비물의 마지막 처리가 항상 위생적이지는 못하고, 엉덩이를 물로 씻는 것 만큼의 상쾌함을 주지 못한다.
또한, 간병인이 용변을 본 환자의 엉덩이를 물로 씻어주고자 하여도 온수를 직접 공급해 와야 하고 분비물을 직접 닦아 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수를 분사하고, 온수와 분비물을 흡입제거하여 쉽고 편리하게 분비물을 처리하므로 환자에게 상쾌함을 주고, 위생적인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을 본 환자의 엉덩이를 온수로 닦아줄 때 간병인이 직접 온수를 공급해 오고 분비물을 닦아낼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기의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흡입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물통부
110 : 물통 111 : 뚜껑
117 : 물수위 감지센서 120 : 물통삽입부
130 : 개폐부 131 : 개폐구
132 : 상판 133 : 하판
134 : 지지대 135 : 스프링
140: 온수기 141 : 온수통
142 : 히터 143 : 온수관
144 : 열선 145 : 온도 감지센서
150 : 수압펌프
200 : 분비물통부
210 : 분비물통 220 : 분비물통 삽입부
225 : 분비물흡입관개폐부 230 : 진공펌프
240 : 진공관 245 : 진공관개폐부
250 : 세척기 252 : 물공급관
253 : 잔여물 배수관
300 : 분사흡입부
310 : 제1분사노즐 320 : 분사구멍
330 : 흡입구멍 340 : 스위치
400 : 온수공급관 500 : 분비물흡입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의 일부에 천공된 개폐구를 갖는 물통과; 물통이 삽입되는 물통삽입부와; 물통의 물통삽입부에 삽입상태에 따라 물통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온수공급관이 관통하고, 물이 온수공급관을 통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수압펌프;를 포함하는 물통부와: 흡입된 분비물을 저장하는 분비물통과; 분비물통이 삽입되는 분비물통삽입부와; 분비물통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분비물통 삽입부 및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진공펌프에서 흡입한 공기의 이동통로인 진공관;을 포함하는 분비물통부와: 분비물흡입시 인체의 분비물 배설부에 직간접적으로 닿는 제1분사노즐과; 제1분사노즐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멍과; 상기 제1분사노즐의 말단에 위치하여 인체의 분비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멍과; 분사 및 흡입을 작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분사흡입부와: 물통의 개폐구와 수압펌프를 연결하고, 수압펌프와 분사구멍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과: 흡입구멍과 분비물통을 연결하는 분비물흡입관:을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개폐부는, 개폐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름이 개폐구보다 큰 상판과; 개폐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름이 개폐구보다 큰 하판과;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지지대와; 일측은 하판에 부착되어 있고, 타측은 개폐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물통부는, 수압펌프 전후에 위치하며, 물통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시 저장하는 온수통과, 온수통 주위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온수통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또는 열선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온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분비물통부는, 세척할 제1분사노즐이 삽입되는 수납공간과; 수압펌프로부터 연결되어 수납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물공급관의 말단에 형성되어 제1분사노즐의 분비물 잔여물을 세척하는 제2분사노즐과; 분비물흡입관과 연결되어 잔여물을 분비물통으로 보내는 잔여물 배수관;을 갖는 세척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물통부는,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통에 물이 일정량보다 적을 경우 경보음이나 경보불빛을 내는 물수위 감지센서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물통부는, 물통을 덮는 뚜껑과; 뚜껑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뚜껑을 닫는 잠금장치;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분비물통부는, 분비물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분비물통에 분비물이 가득 찰 경우 경보음이나 경보불빛을 내는 잔여물수위 감지센서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분비물통부는, 분비물통을 덮는 뚜껑과; 뚜껑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뚜껑을 닫는 잠금장치;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비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분사흡입부는 분비물 흡입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비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를,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기의 구조도를,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를,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흡입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분비물 흡입장치(10)는 분사될 물을 공급하는 물통부(100)와, 흡입된 분비물을 저장하는 분비물통부(200)와, 온수를 분사하고 분비물을 흡입하는 분사흡입부(300)와, 온수공급관(400) 및 분비물흡입관(500)을 포함한다.
물통부(100)는 물통(110), 물통 삽입부(120), 개폐부(130) 및 수압모터(140) 를 포함한다.
물통(110)은 물통 삽입부(120)에 삽입되며, 분사흡입부(300)으로 공급할 물을 보관한다. 물통(110)에는 물통(110)을 덮는 뚜껑(111)이 있고, 뚜껑(111)의 모서리 하단에는 뚜껑(111)을 잠그는 잠금장치(113)가 있으며, 뚜껑(111)의 상면에는 물통(110)을 물통 삽입부(120)에서 꺼내기 쉽도록 손잡이(115)가 설치되어 있다. 물통(110)의 소정 위치에는 물수위 감지센서(117)가 있어서, 물의 양이 일정량보다 부족하게 되면 경보음이나 경보불빛을 내게 한다. 물통(110)의 바닥에는 천공된 개폐구(131)가 있다.
개폐부(130)는 물통 삽입부(120)의 바닥에 위치하며 물이 온수공급관(400)을 통해 내려갈 수 있도록 물통(110)과 연결된 온수공급관(40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2를 참조하면, 개폐부(130)에는 개폐구(131)의 상부에 상판(132)이 있으며, 개폐구(131)의 하부에 하판(133)이 있다. 상판(132)과 하판(133)의 지름은 개폐구(131)보다 크다.
상판(132)과 하판(133)은 개폐구(131)를 관통하는 지지대(134)로 연결된다. 지지대(134)에는 스프링(135)이 감겨 있고, 스프링(135)은 물통의 일부, 즉 스프링고정부(136)에 고정된다. 하판에는 개폐부(130)가 열렸을 때 물을 온수공급관(400)으로 내려보내기 위하여 천공된 물배출구(137)가 있다.
물통(110)이 물통 삽입부(120)에 삽입되기 전에는 스프링(135)의 미는 힘에의해 상판(132)이 물통 삽입부(120)의 바닥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하판(133)은 물통 삽입부(120)의 바닥 외측에 일정 공간을 두고 떠 있게 되므로 개폐구(131)는 닫힌다. 그런데, 물통(110)이 물통 삽입부(120)에 삽입되면, 하판(133)이 물통 삽입부(120)의 바닥 외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판(132)은 물통 삽입부(120)의 바닥 내측에 일정 공간을 두고 떠 있게 되므로 개폐구(131)가 열려, 온수공급관(400)에서 내려온 온수는 하판(133)에 천공된 물배출구(13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물통부(100)에는 물통(110)에서 내려온 물을 가열하여 데우는 온수기(140)가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온수기(140)에는 온수공급관(400)과 연결되어 물통(110)에서 내려온 물을 일시 저장하는 온수통(141)이 있고, 온수통(141)을 히터(142)가 둘러싸고 있다. 온수통(141)의 바닥에는 온수관(143)이 있어서 온수관(143)에 열선(144)이 감긴다. 온수통(141)의 소정 위치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45)가 있다. 물통(110)에서 내려온 물은 온수통(141)에 일시 저장되고 히터(142)에 의해 일차적으로 가열되며 온수관(143)으로 내려오면서 열선(144)에 의해 순간가열된다. 열선(144)은 순간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물통부(100)는 물통(110)에서 내려와 온수기(140)에서 순간가열된 온수가 온수공급관(400)을 통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수압펌프(150)를 갖는다. 수압펌프(150)에 의해 펌핑된 온수는 온수공급관(400)을 통하여 분사흡입부(300)까지 전달된다.
분사흡입부(300)에서는 온수를 환자의 엉덩이에 분사하여 온수와 분비물을 흡입하여 분비물통부(200)로 보낸다 .
분비물통부(200)는 분비물통(210), 분비물통 삽입부(220), 진공펌프(230), 진공관(240) 및 세척기(250)를 포함한다.
분비물통(210)은 분비물통 삽입부(220)에 삽입되며, 흡입된 분비물을 저장한다. 분비물통(210)에는 분비물통(210)을 덮는 뚜껑(211)이 있고, 뚜껑(211)의 모서리 하단에는 뚜껑(211)을 잠그는 잠금장치(213)가 있으며, 뚜껑(211)의 상면에는 분비물통(210)을 분비물통 삽입부(220)에서 꺼내기 쉽도록 손잡이(215)가 설치되어 있다. 분비물통 삽입부(220)와 연결된 분비물흡입관(500)의 말단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 분비물통(210)이 삽입될 경우 분비물흡입관(500)에서 흡입한 분비물이 분비물통(210)에 저장될 수 있다. 분비물통(210)의 소정 위치에는 저장된 분비물의 양이 일정량을 초과할 경우 경보음이나 경보불빛을 내는 잔여물수위 감지센서(217)가 있다. 또한, 분비물통(210)에는 저장된 분비물로 인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정화장치가 추가될 수 있고, 약품을 처리하여 분비물로 인한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다.
진공펌프(230)는 분비물통(210) 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비물통(210)의 압력을 낮춘다. 분비물통(210)의 압력이 분비물흡입관(500)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면 흡입된 분비물이 쉽게 분비물통(210) 속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게 된다.
진공관(240)은 분비물통 삽입부(220) 및 진공펌프(230)와 연결되어, 진공펌프(230)에서 흡입한 공기가 진공관(240)을 통해 이동한다. 분비물통 삽입부(220)와 연결되는 진공관(240)의 말단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 분비물통(210)이 삽입될 경우진공관(240)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세척기(250)는 분사흡입부(300)의 분비물 또는 오염물을 세척한다.
세척기(250)는 수납공간(251), 물공급관(252), 제2분사노즐(도면상 미도시) 및 잔여물 배수관(2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공간(251)에는 세척할 분사흡입부(300)가 수납되고, 물공급관(251)은 수압펌프(150)에서 연결되어 물통(11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로 분사흡입부(300)를 세척한다. 물공급관(251)의 말단에는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이 있다. 분사흡입부(300)를 세척하고 남은 잔여물은 분비물흡입관(500)과 연결된 잔여물 배수관(253)을 통해 분비물통(210)으로 들어가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분사흡입부(300)는 제1분사노즐(310), 분사구멍(320), 흡입구멍(330) 및 스위치(340)를 포함한다.
제1분사노즐(310)은 분비물 흡입시 인체의 분비물 배설부에 직간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며, 온수공급관(400) 및 분비물흡입관(500)과 연결되고 말단이 샤워기 모양으로 확장된다.
제1분사노즐(310)의 말단에는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멍(320)과, 분비물을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흡입구멍(330)이 있다. 흡입구멍(330)은 분사구멍(320)보다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고, 개수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흡입부(300)에는 스위치(340)가 있어 분사 및 흡입을 작동한다. 스위치(340)를 작동하면, 분사구멍(320)은 온수공급관(400)으로부터 공급받은 온수를 환자의 엉덩이에 분사하고, 흡입구멍(330)은 온수와 분비물을 흡입하여 흡입구멍(330)과 연결된 분비물흡입관(500)을 통해 분비물통(210)으로 보내게 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분비물 흡입장치(10)는 물통부(100)에서 연결되어 물통(110)으로부터 온수를 분사흡입부(300)까지 공급하는 온수공급관(400)을 포함한다. 온수공급관(400)은 물통(110)의 바닥에서 시작하여 온수기(140) 및 수압펌프(150)를 관통하여 분사흡입부(300)까지 연결된다.
분비물 흡입장치(10)는 분비물통부(200)와 연결되어 분사흡입부(300)에서 분비물을 흡입하여 분비물통(210)까지 수송하는 분비물흡입관(500)을 포함한다. 분비물통부(200)와 연결된 분비물흡입관(500)의 말단은 분비물이 아래에서부터 쌓일 수 있도록 분비물통(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비물 흡입장치(10)의 바닥의 각 모서리에는 바퀴(15)가 있어서 분비물 흡입장치(10)를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물통(110)에서 내려온 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는 온수기(140)가 있었으나, 물통(110)에 직접 온수를 부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온수가 금방 식지 않도록 물통(110)에 단열재를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오염된 분사흡입부(300)를 세척하는 세척기(250)를 따로 두지 않고 분사흡입부(300)가 분비물 흡입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여, 분리된 분사흡입부(300)만을 따로 세척할 수도 있다. 즉, 분사흡입부(300)는 분비물 흡입장치(100) 밖으로 나와 있는 온수공급관(400) 및 분비물흡입관(500)이 묶여진통합관(도면부호 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온수기(140)가 수압펌프(150)와 물통삽입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압펌프(150)와 분사흡입부(30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분비물통 삽입부(220)와 연결된 분비물흡입관(500)의 말단에는 분비물흡입관개폐부(도면상 미도시)를 추가할 수 있다. 분비물흡입관개폐부는 분비물 삽입부(220)의 소정 위치와 분비물흡입관(500)의 말단의 접촉부에 위치하며, 분비물통(210)을 분비물 삽입부(220)에서 제거하였을 때는 닫혀 있고, 분비물통(210)을 분비물 삽입부(220)에 삽입하였을 때는 열려 분비물흡입관(500)에서 흡입한 분비물이 분비물통(210)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비물통 삽입부(220)와 연결된 진공관(240)의 말단에는 진공관개폐부(도면상 미도시)를 추가할 수 있다. 진공관개폐부는 분비물통 삽입부(220)의 소정 위치와 진공관(240)의 말단의 접촉부에 위치하며, 분비물통(210)을 분비물 삽입부(220)에서 제거하였을 때는 닫혀 있고, 분비물통(210)을 분비물 삽입부(220)에 삽입하였을 때는 열려 진공펌프(230)가 흡입한 공기가 진공관(240)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분비물흡입관개폐부와 진공관개폐부는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자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를 분사하고, 온수와 분비물을 흡입제거하여 쉽고 편리하게 분비물을 처리하므로 환자에게 상쾌함을 주고,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변을 본 환자의 엉덩이를 온수로 닦아줄 때 간병인이 직접 온수를 공급해 오고 분비물을 닦아낼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바닥의 일부에 천공된 개폐구를 갖는 물통과;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물통삽입부와; 상기 물통의 상기 물통삽입부에 삽입상태에 따라 상기 물통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수압펌프;를 포함하는 물통부와:
    흡입된 분비물을 저장하는 분비물통과; 상기 분비물통이 삽입되는 분비물통삽입부와; 상기 분비물통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분비물통 삽입부 및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에서 흡입한 공기의 이동통로인 진공관;을 포함하는 분비물통부와:
    분비물 흡입시 인체의 분비물 배설부에 직간접적으로 닿는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분사노즐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멍과; 상기 제1분사노즐의 말단에 위치하여 인체의 분비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멍과; 분사 및 흡입을 작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분사흡입부와:
    상기 물통의 개폐구와 상기 수압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수압펌프와 상기 분사구멍을 연결하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흡입구멍과 상기 분비물통을 연결하는 분비물흡입관:을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름이 상기 개폐구보다 큰 상판과;
    상기 개폐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름이 상기 개폐구보다 큰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지지대와;
    일측은 상기 하판에 부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개폐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는,
    상기 수압펌프 전후에 위치하며, 상기 물통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시 저장하는 온수통과, 상기 온수통 주위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통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또는 열선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온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물통부는,
    세척할 제1분사노즐이 삽입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압펌프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사노즐의 분비물 잔여물을 세척하는 제2분사노즐과;
    상기 분비물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잔여물을 상기 분비물통으로 보내는 잔여물 배수관;을 갖는 세척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비물 흡입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는,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통에 물이 일정량보다 적을 경우 경보음이나 경보불빛을 내는 물수위 감지센서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는,
    물통을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뚜껑을 닫는 잠금장치;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물통부는,
    상기 분비물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분비물통에 분비물이 가득 찰 경우 경보음이나 경보불빛을 내는 잔여물수위 감지센서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물통부는,
    분비물통을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뚜껑을 닫는 잠금장치;를 추가로 갖는 분비물 흡입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흡입부는 상기 분비물 흡입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비물 흡입장치.
KR1020010011036A 2001-03-03 2001-03-03 분비물 흡입장치 KR20020071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36A KR20020071109A (ko) 2001-03-03 2001-03-03 분비물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36A KR20020071109A (ko) 2001-03-03 2001-03-03 분비물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09A true KR20020071109A (ko) 2002-09-12

Family

ID=2769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036A KR20020071109A (ko) 2001-03-03 2001-03-03 분비물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1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85A (ko) * 2001-04-24 2002-11-01 이재당 자동 인 분뇨 처리기
KR100897538B1 (ko) * 2007-09-14 2009-05-15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바퀴구조
CN110946691A (zh) * 2019-11-29 2020-04-03 浙江医院 人工肛门冲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85A (ko) * 2001-04-24 2002-11-01 이재당 자동 인 분뇨 처리기
KR100897538B1 (ko) * 2007-09-14 2009-05-15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바퀴구조
CN110946691A (zh) * 2019-11-29 2020-04-03 浙江医院 人工肛门冲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61B1 (ko) 배설물 자동세정기
US9427368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eating excre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20020071109A (ko) 분비물 흡입장치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WO2008128288A1 (en) Body washing machine
KR20070113855A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JP2002165821A (ja) 排泄物処理装置
JP3812322B2 (ja) 手乾燥装置及び手乾燥装置用消毒装置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JP6472071B2 (ja) 洗浄装置
CN2662851Y (zh) 手感应喷雾洗淋风干于一体式消毒箱
JP5669368B2 (ja) 身体洗浄装置
KR101516646B1 (ko) 양변기
KR200311836Y1 (ko) 스팀살균 좌변기 커버
KR100977612B1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51528A (ja) 液噴射吸引用部材及び液噴射吸引装置
JP2007301013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200281597Y1 (ko) 약탕장치가 구비된 비데
JPH0751326A (ja) 排泄物処理方法及び装置
WO1995004513A1 (fr) Procede et appareil d'elimination des excrements
JP3725679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001269365A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0442227Y1 (ko) 피톤치드 휘산기가 부설된 티슈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