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538A - 찬넬용 커버 - Google Patents

찬넬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538A
KR20020066538A KR1020010006778A KR20010006778A KR20020066538A KR 20020066538 A KR20020066538 A KR 20020066538A KR 1020010006778 A KR1020010006778 A KR 1020010006778A KR 20010006778 A KR20010006778 A KR 20010006778A KR 20020066538 A KR20020066538 A KR 2002006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ver
pipe
outer upper
chann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2992B1 (ko
Inventor
김영산
Original Assignee
김영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산 filed Critical 김영산
Priority to KR10-2001-000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9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배선 및 배관 할 때 사용되어지는 파이프 행거의 찬넬(Channel)용 커버(cover)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각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을 폐쇄되게 형성하고 타측 면은 개방되게 형성하며, 상·저면과 양측면에 장착공을 형성하되, 상면의 장착공에는 회동너트를 장착시켜서 된 것으로서, 찬넬의 양단에 삽입장착하고 지지봉을 이용하여 매달아 줌으로써 행거용 찬넬, 덕트, 배선 및 배관용 선반(turnery)을 설치할 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저면과 양측면에 뚫어진 장착공에는 한 쌍의 분할행거를 이용하여 파이프 또는 전선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찬넬용 커버{The cover for channel}
본 발명은 전선을 배선 및 배관 할 때 사용되어지는 파이프 행거의 찬넬(Channel)용 커버(cover)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각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을 폐쇄되게 형성하고 타측 면은 개방되게 형성하며, 상·저면과 양측면에 장착공을 형성하되, 상면의 장착공에는 회동너트를 장착시켜서 된 것으로서, 찬넬의 양단에 삽입장착하고 지지봉을 이용하여 매달아 줌으로써 행거용 찬넬, 덕트, 배선 및 배관용 선반(turnery)을 설치할 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저면과 양측면에 뚫어진 장착공에는 한 쌍의 분할행거를 이용하여 파이프 또는 전선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선 및 파이프 등을 건물의 천장이나 측 벽면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그 구성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빔(beam:20)을 천장이나 측 벽면에 고정시킨 다음 빔클램프(19)로 지지봉(17)을 빔(20)에 고정시키고, 지지봉(17)의 하단에 형성한 수나사부(18)에 찬넬(15)을 고정시키며, 찬넬(15)에는 파이프클립(16)을 삽입시키고 파이프클립(16)에 전선 또는 파이프(21) 등을 삽입시켜 배선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시공에 있어서, 배선 및 배관이 되어지는 파이프(21)의 수량 및 파이프(21)간의 간격에 따라 찬넬(15)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하게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적정한 길이로 절단되어진 찬넬(15)은 양단의 내측에 드릴작업으로 체결공(24)을 형성하고, 지지봉(17)의 하단부를 찬넬(15)의 체결공(24)에 삽입시켜 너트(22a)(22b)와 같은 수단으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즉, 지지봉(17)의 하단부에 형성한 수나사부(18)에 너트(22a)를 체결하고 와셔(23)를 끼워 넣은 다음 찬넬(15)의 체결공(24)에 수나사부(18)를 끼워 넣고 하단으로 노출되어진 수나사부(18)에 너트(22b)를 체결하여 찬넬(15)을 지지봉(17)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방법은 찬넬(15)을 현장에서 절단기 등으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절단면에 녹이 슬어 찬넬(15)의 양단부(25)가 부식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양단부(25)의 일측에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공(24)을 별도로 뚫어서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성이 복잡해져 시공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공(24)을 형성한 다음 지지봉(17)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8)에 너트(22a)와 와셔(23)를 삽입시키고, 재차 수나사부(18)를 찬넬(15)의 수나사부(18)에 삽입시키며, 하부로 노출되어진 수나사부(18)에 고정 너트(22b)를 체결하여 찬넬(15)을 지지봉(17)에 체결 결합시킴으로써 작업 공정이 복잡하여 배선 및 배관에 따른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찬넬용 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찬넬용 커버를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각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을 폐쇄되게 형성하고 타측면은 개방되게 형성하며, 상·저면과 양측면에는 장착공을 형성하되, 상면의 장착공에는 회동너트를장착시켜서 절단되어진 찬넬의 양단부에 찬넬용 커버의 개방부에 끼워 찬넬의 양단부가 대기 중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부식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고, 찬넬의 양단부를 커버를 씌워 마무리함으로써 배선 및 배관이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하여 정리 정돈되어지는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찬넬용 커버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찬넬용 커버를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측 평면부에 회동이 가능한 회동너트를 구비하여 찬넬 지지용 지지봉의 수나사부를 직접 체결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하지 않고도 보다 신속하게 찬넬을 지지봉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찬넬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찬넬용 커버를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하되 양측면과 저면에 장착공을 형성하고, 중첩되는 내·외측상면에는 장착공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공에 별도의 분할행거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분할행거에 파이프 또는 전선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찬넬용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측면의 상단 일측에 내향돌기를 형성하고, 저면의 상면에 논슬립돌기를 형성하며, 내·외측상면의 일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커버를 찬넬의 양단부에 삽입시킨 후에 내향돌기 및 논슬립돌기에 의해 찬넬에서 커버가 스스로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진동 또는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곳에서는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 등을 체결하여 보다 견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찬넬용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임의의 고정체의 상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지지봉의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체결하여서 지지봉에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일정한 두께의 사각 관체를 형성하되 전면 또는 배면 중에서 어느 일면을 개방부(2)로 형성하고 다른 일면을 폐쇄형으로 형성한 것과,
내·외측상면(3)(4), 저면(6) 및 양측면(5a)(5b)에는 장착공(8)(9a)(9b)(9c)을 형성하되 내·외측상면(3)(4)의 장착공(8)에는 회동너트(11)를 장착시키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짐으로써 일정한 길이로 현장에서 절단되어진 찬넬(15)의 양단부에 씌워지고, 내·외측상면(3)(4)에 구비된 회동너트(11)에 지지봉(17)을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양단부(25)의 절단면과 대기중의 산소가 접하는 것을 억제하여 최대한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며, 별도의 다수개의 너트와 볼트 등의 부속 부품이 없이 배관 및 배선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찬넬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배관하는 종래의 배관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를 금속판으로 성형시키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도 2a는 금속판의 일부를 전개시킨 상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로 성형시킨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써
파이프행거의 찬넬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상태도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써
파이프를 직접 설치할 때를 보인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를 덕트 또는 배관용 선반을
지지시킬 때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써
파이프행거의 찬넬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상태도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버2: 개방부
3: 외측상면4: 내측상면
5a, 5b: 측면6: 저면
7a, 7b, 7c, 7d: 날개8: 장착공
9a, 9b, 9c: 장착공10a, 10b: 내향돌기
11: 회동너트12: 단턱
13: 암나사부14: 너트머리부
15: 찬넬16: 파이프클립
17: 지지봉18: 수나사부
19: 빔클램프(beam_clamp)20: 빔(beam)
21: 파이프22a, 22b: 너트
23: 와셔24: 체결공
25: 단부26: 분할행거
32: 논슬립(non-slip)돌기33: 암나사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를 금속판으로 성형시키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도 2a는 금속판의 일부를 전개시킨 상태도이고,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로 성형시킨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써 파이프행거의 찬넬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상태도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써 파이프를 직접 설치할 때를 보인 예시도이다
첨부도면 도 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일정한 금속판을 사각 관체형상으로 절곡시키고, 상측면은 중첩시켜 내·외측상면을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사각 관체의 일측은 개방되어진 상태로 개방부(2)를 형성하고 타측은 각각의 모서리에 날개(7a)(7b)(7c)(7d)를 형성하며, 각각의 날개(7a)(7b)(7c)(7d)는 내측으로 절곡시켜 각각의 모서리부를 폐쇄시켰다.
상기 사각 관체의 상측에 형성된 내측상면(4)과 외측상면(3)의 중앙에는 장착공(8)을 중첩되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내·외측상면의 일측에는 암나사부(33)를 형성하였고, 상기 장착공(8)에는 회동너트(11)를 삽입시켜 장착시켰다.
상기 회동너트(11)는 하단부에 단턱(12)을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는 암나사부(13)를 형성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장착공(8)에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삽입시킨 후 프레스 가공 등으로 압착하여 회동너트(11)의 상단부에 육각형 형상의 너트머리부(1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사각 관체의 양측면(5a)(5b)과 저면(6)에는 장착공(9a)(9b)(9c)을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분할행거(26)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양측면(5a)(5b)의 상단 일측에는 내향돌기(10a)(10b)를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여 찬넬(15)의 양단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고정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저면(6)의 상면에는 논슬립돌기(32)를 다수 개 형성하되 개방부(2)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배선/배관의 사용용도 및 전선/파이프의 무게 및 개수에 따라 찬넬(15a)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으로 찬넬(15)의 단면 모양의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형상을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찬넬(15)의 단면 외형과 동일한 크기로 폭(W)과 높이(H)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1a)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방부의 폭(w)과 높이(h)로 형성하며 이에 따라 타측에 형성되는 날개는 후방이 폐쇄되도록 절곡시켜 형성하였다
이하 사용방법 및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전선 및 파이프를 건물의 천장 또는 측 벽면에 설치함 있어서 지지봉(17)은 종래의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빔(20)을 천장 또는 측 벽면에 설치하고 빔(20)의 날개 부에 빔클램프(19)를 장착하여 지지봉(17)을 파지하도록 하며, 지지봉(17)의 하단부에는 찬넬(15)을 장착하되 찬넬(15)은 고정되어지는 파이프(21) 또는 전선의 개수 및 각 전선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찬넬(15)의 내측에는 분할 배선되어질 전선 및 파이프(21)의 개수만큼의 파이프클립(16)을 삽입시켜서 지지봉(17)에 찬넬(15)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찬넬(15)을 지지봉(17)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찬넬(15)의 양단부(25)에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를 씌우는 것으로 커버(1)의 개방부(2)를 양단부(25)에 씌우게 되면 양단부(25)는 커버(1)의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날개(7a)(7b)(7c)(7d)에 닿게되어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이 차단되고 부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씌워진 커버(1)는 측면(5a)(5b)에 형성된 내향돌기(10a)(10b)가 찬넬(15)의 상단 양측을 눌러서 압착 고정되는 것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한 스스로 벗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찬넬(15)에 커버(1)를 씌운 상태에서 지지봉(17)의 수나사부(18)에 커버(1)의 회동너트(11)를 체결하고 조여서 커버(1)를 지지봉(17)에 체결 고정시키면 결국 찬넬(15)은 지지봉(17)에 매달려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찬넬(15)을 지지봉(17)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파이프클립(16)에 전선 또는 파이프(21)를 삽입시켜 고정하게 되면 전선의 배선 및 파이프(21)의 배관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저면(6)에 형성되어진 논슬립돌기(32)에 의해 커버(1)에 찬넬(15)은 미끄러지거나 스스로 벗겨지지 않는 것이며, 또한, 진동이나 바람 등의외력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배관/배선을 실시할 때에는 보다 견고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내·외측상면(3)(4)의 일측에 형성한 암나사부(33)에 볼트(34)를 체결하여 조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파이프를 직접 설치할 때를 보인 예시도이다.
공지의 분할 행거(26)를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1)의 체결공(9a)(9b)(9c)에 삽입시킨 것으로 양측면(5a)(5b) 및 저면(6) 중 어느 한쪽 면에만 삽입시키거나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할 행거(26)는 반원 형상의 몸체에 원주 방향으로 그루브(groove)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외측으로 절곡시킨 삽입부(27)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체결공(28)을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할 행거(26)를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1)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찬넬용 커버(1)의 내·외측상면(3)(4)에 구비되어진 회동너트(11)에 지지봉(17)의 수나사부(18)를 체결하고 상기 분할 행거(26)는 2개가 1조를 이루어 행거로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상기 분할 행거(26) 1조를 만곡 요홈부(29)가 대향되게 하여 삽입부(27)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1)의 장착공(9a)(9b)(9c)에 삽입시키고 요홈부(29)에 파이프(21) 또는 전선 등을 삽입시킨 다음 체결공(28)에 볼트(30)와 너트(31) 등으로 체결하여 파이프(21) 또는 전선을 찬넬용 커버(1)의 외측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전선케이블 배선용 덕트(Duct)를 지지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건물 내부에 전선케이블을 배선하도록 하는 덕트(35)를 지지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에 2열로 지지봉(17)을 고정설치하고 지지봉(17)의 하단에 형성한 수나사부(18)에 커버(1)를 체결하며 양측에 체결된 커버(1)의 사이에 찬넬(15) 또는 지지부재를 삽입시켜 찬넬(15) 또는 지지부재의 상측에 덕트를 얹혀서 덕트(35)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전선 지지용 선반(turnery)을 지지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전선 지지용 선반(37)은 전선케이블을 직접 묶어서 고정하지 않고 배선하는 것으로 ‘[ ’형상의 프레임(38)을 마주보도록 하고 내측 하단에 간격 유지용 지지파이프(39)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선지지용 선반(37)의 고정은 천장 또는 건물의 벽면에 2열로 지지봉(17)을 체결 고정하고, 지지봉(17)의 하단에 형성한 수나사부(18)에 커버(1)를 체결하며 양측에 체결된 커버(1)의 사이에 전선지지용 선반(37)을 삽입시킨 다음 양 커버(1)에 찬넬(15) 또는 지지부재의 삽입시키고 커버(1)에 고정 볼트 등을 체결하여 커버(1)를 찬넬(15) 또는 지지부재에 고정시키셔 걸침대를 형성하도록 하여 전선지지용 선반(37)을 받쳐서 지지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써 파이프행거의 찬넬에 파이프를 고정시키면서 또한 파이프를 찬넬용 커버에 직접 설치할 때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를 복합적으로 보인 것이다
즉, 빔(20)을 천장에 설치하고 빔(20)의 날개 부에 빔클램프(19)를 장착하여 지지봉(17)을 파지하도록 하며, 지지봉(17)의 하단부에는 찬넬(15)을 장착하고, 찬넬(15)의 내측에는 분할 배선되어질 전선 및 파이프(21)의 개수만큼의 파이프클립(16)을 삽입시켜서 지지봉(17)에 찬넬(15)을 고정시키게 되며, 찬넬(15)의 양단부(25)에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1)를 씌우고 지지봉(17)의 수나사부(18)에 커버(1)의 회동너트(11)를 체결하고 조여서 커버(1)를 지지봉(17)에 체결 고정시키면 결국 찬넬(15)은 지지봉(17)에 매달려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찬넬(15)을 지지봉(17)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파이프클립(16)에 전선 또는 파이프(21)를 삽입시켜 고정하게 되면 전선의 배선 및 파이프(21)의 메인 라인 배관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라인의 전선 또는 파이프를 배선 하고자 할 때에는 메인 라인에서 1개 내지 2개의 파이프 또는 전선을 절곡시켜 각각 배선 및 배관하게 된다.
보조라인으로 배선하고 할 때에는 분할 행거(26) 1조를 찬넬용 커버(1)의 장착공(9a)(9b)(9c)에 삽입시켜 장착하고 요홈부(29)에 파이프(21) 또는 전선 등을 삽입시킨 다음 체결공(28)에 볼트(30)와 너트(31) 등으로 체결하여 파이프(21) 또는 전선을 찬넬용 커버(1)의 외측에 고정시키며 찬넬용 커버(1)는 지지봉(17)에 의해 천장에 직접 장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는 찬넬(15)의 절단면에 씌워져 절단면에 대기의 공기와 접하지 못하도록 함에 따라 부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며, 종래의 찬넬(15) 고정방법에 있어서, 지지봉(17)에 너트(22a)(22b) 및 와셔(23) 등을 삽입시키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진 찬넬(15)의 양단부 일측으로 체결공(24)을 형성하고, 체결공(24)에 지지봉(17)의 수나사부(18)를 삽입시킨 다음 하측으로 노출되어진 수나사부(18)에 고정 너트(22b)를 체결하여서 복잡하고 비능률적으로 시공하지 않고서도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를 찬넬(15)의 양단부(25)에 씌운 다음 지지봉(17)의 수나사부(18)를 회동너트(11)에 체결하여 배관/배선 시공을 완료하여 보다 신속하게 배관 및 배선 작업을 실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1개 내지 3개 정도의 수량이 적은 파이프(21) 및 전선을 배관 및 배선할 때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찬넬용 커버(1)에 형성된 장착공(9a)(9b)(9c)에 분할 행거(26)를 삽입시켜 파이프(21) 및 전선을 지지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배관 및 배선 작업을 실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임의의 고정체의 상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지지봉의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체결하여서 지지봉에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일정한 두께의 사각 관체를 형성하되 전면 또는 배면 중에서 어느 일면을 개방부(2)로 형성하고 다른 일면을 폐쇄형으로 형성한 것과,
    내·외측상면(3)(4), 저면(6) 및 양측면(5a)(5b)에는 장착공(8)(9a)(9b)(9c)을 형성하되 내·외측상면(3)(4)의 장착공(8)에는 회동너트(11)를 장착시키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각 관체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각 관체의 폐쇄면은 외측상면(3), 양측면(5a)(5b), 저면(6)에 날개(7a)(7b)(7c)(7d)를 형성하여 내향으로 절곡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5a)과 측면(5b)에는 내향돌기(10a)(10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용 커버.
KR10-2001-0006778A 2001-02-12 2001-02-12 찬넬용 커버 KR10039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78A KR100392992B1 (ko) 2001-02-12 2001-02-12 찬넬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78A KR100392992B1 (ko) 2001-02-12 2001-02-12 찬넬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38A true KR20020066538A (ko) 2002-08-19
KR100392992B1 KR100392992B1 (ko) 2003-07-31

Family

ID=2769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78A KR100392992B1 (ko) 2001-02-12 2001-02-12 찬넬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20B1 (ko) * 2017-09-11 2018-07-10 김성철 천정 전선관 정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59B1 (ko) * 2018-11-30 2020-05-20 조용호 설치가 손쉬우며 케이블 트레이의 추가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20B1 (ko) * 2017-09-11 2018-07-10 김성철 천정 전선관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2992B1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088A (en) Plastic box assembly for ceiling fixture support
US5234119A (en) Plastic box for ceiling fan support
US5405111A (en) Bracket for anchoring apparatus between wall studs
AU2014240619B2 (en) Channel framing with additional functional side and fittings therefor
US4408262A (en) Plaster frame for recessed lighting
CA2218962A1 (en) Adjustable hanger assembly
US4717101A (en) Adjustable backing board bracket
CA2515273A1 (en) Surface mounted support assembly
US6291768B1 (en) Electrical boxes with auxiliary supports for carrying fixtures
US3804359A (en) Channel clips
KR100392992B1 (ko) 찬넬용 커버
JP5096243B2 (ja) 配設体の支持具
KR200402039Y1 (ko) 랙 행거
KR200303213Y1 (ko) 케이블 트레이나 닥터를 구성하는 본체 및 덮개의체결고정장치
JP3213878B2 (ja) 軽量間柱用長尺ボルト支持具
US20020011345A1 (en) Electrical box with auxiliary cavities and, fixture support having fitted portion
KR102576413B1 (ko) 배선박스를 원터치로 배선박스설치대에 조립하는 배선용박스 고정판넬
JPS61240809A (ja) ケ−ブルラツク用連結金具
JPS5846163Y2 (ja) パネル取付装置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KR940000103Y1 (ko) 개량형 케이블 고정구
JPH0321144Y2 (ko)
CA2039429C (en) Plastic box for ceiling fan support
JPH0214248Y2 (ko)
JPH03344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