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424A - 흡착식 브레지어 - Google Patents

흡착식 브레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424A
KR20020065424A KR1020020037826A KR20020037826A KR20020065424A KR 20020065424 A KR20020065424 A KR 20020065424A KR 1020020037826 A KR1020020037826 A KR 1020020037826A KR 20020037826 A KR20020037826 A KR 20020037826A KR 20020065424 A KR20020065424 A KR 2002006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air
cup
support
c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원
노경희
Original Assignee
김점원
노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원, 노경희 filed Critical 김점원
Priority to KR102002003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5424A/ko
Publication of KR2002006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6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 A41C3/065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e.g. by means of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식 브레지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여성의 좌우 유방을 각각 그 내부에 수용하며 가슴에 흡착 되는 것으로, 유방을 내부에 수용하되 그 테두리부는 가슴에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유방과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흡착컵과; 상기 흡착컵과 유방이 이루는 공간내의 공기를 빼내어 유방에 대해 흡착컵을 진공흡착 시키는 진공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흡착식 브레지어는, 가슴에 대해 브레지어 컵을 진공 흡착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브레지어에 어깨끈이나 착용끈이 필요없다. 따라서 상기 끈이 이루는 라인이 옷을 통해 비쳐보이거나 옷 위로 드러나보일 염려가 없으며 입거나 벗기가 훨씬 용이하고 착용한 상태로 활동이 자유롭다.

Description

흡착식 브레지어{Adsorbable brassiere}
본 발명은 흡착식 브레지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방과 브레지어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착식으로 착용할 수 있는 흡착식 브레지어에 관한 것이다.
브레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여성용언더웨어이다. 이러한 브레지어는 섬유산업과 디자인의 진보에 따라 그 기능 및 모양이 점차 편하고 세련되도록 발전하여 왔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브레지어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존의 브레지어(10)는 사용자의 유방을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컵(12)과, 상기 컵(12)에 연결된 상태로 옆구리를 둘러 사용자의 등부위에서 상호 결착하는 착용끈(16)과, 상기 컵(12)과 착용끈(16)에 양단이 고정되며 어깨에 거는 어깨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깨끈(14) 및 착용끈(16)은 컵(12)을 몸에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어깨끈(14) 및 착용끈(16)은 브레지어 위에 입은 옷 위로 그 라인이 비쳐보이거나 돌출되어 보인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두꺼운 외투를 입는 계절에는 상관이 없으나 여름철과 같이 얇은 옷 하나만 입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어깨끈이나 착용끈이 어깨위나 등뒤로 보이므로 언더웨어를 하나 더 입기도 하고 아주 더울 경우에는 아예 포기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어깨끈(14)은 어깨에 걸쳐지는 것이므로 예컨대 드레스나 파티복과 같이 어깨가 드러나는 옷을 입을 경우에 어깨끈이 외부로 보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착용끈(16)은 그 폭이 어느 정도 넓으므로 피부와의 사이에 땀이 차기가 쉬워 오랫동안 착용할 경우 피부가 짓무를 수 도 있었고 특히 대부분의 착용끈(16)의 결착부위는 사용자의 등 뒤에 위치하므로 브레지어를 입거나 벗기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가슴에 대해 브레지어 컵을 진공 흡착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브레지어에 어깨끈이나 착용끈이 필요없으므로 상기 끈이 이루는 라인이 옷을 통해 비쳐보이거나 옷 위로 드러나보일 염려가 없으며 입거나 벗기가 훨씬 용이하고 착용한 상태로 활동이 자유로운 흡착식 브레지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레지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배출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공기배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레지어 12:컵
14:어깨끈 16:착용끈
20:흡착식브레지어 22:흡착컵
24:공기배출기 26:튜브
28:공기통로 30:본체
32:장착구멍 34:배기튜브
36:개폐디스크 38:디스크홀더
40:배기구멍 42:관통구멍
44,54:흡착컵 46:외피
48:실리콘커버 52:실리콘띠
56:써포터 58:관통구멍
60,64:흡착컵 62,66:지지컵
68:유두삽입홈 70:흡기부
72:배기부 74:지지턱
76: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성의 좌우 유방을 각각 그 내부에 수용하며 가슴에 흡착 되는 것으로, 유방을 내부에 수용하되 그 테두리부는 가슴에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유방과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흡착컵과; 상기 흡착컵과 유방이 이루는 공간내의 공기를 빼내어 유방에 대해 흡착컵을 진공흡착 시키는 진공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컵은; 그 외측면에 각종 레이스가 장식될 수 있으며 섬유로 제작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면의 전체면에 밀착하되 그 테두리는 외피의 테두리부로부터 외부로 더욱 연장되어 가슴에 밀착하는 실리콘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커버의 내측면하부에는 유방을 상부로 받쳐 올려주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비어있고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써포터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커버 및 써포터에는 유방과 접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흡착컵은; 그 외측면에 각종 레이스가 장식될 수 있으며 섬유로 제작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면의 전체면에 밀착하며 외피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컵과, 상기 지지컵의 내측 테두리부에 밀착하되 그 테두리는 지지컵의 테두리로부터 외부로 더욱 연장되어 가슴에 밀착하는 일정폭의 실리콘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컵의 내측면하부에는 유방을 상부로 받쳐 올려주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비어있고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써포터가 더 마련되고, 상기 지지컵 및 써포터에는 유방과 접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컵의 내주면에는 유두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유두삽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제공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흡착컵의 내부와 연통하며 흡착컵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튜브와, 상기 공기튜브와 연결되며 반복적으로 수축 및 복원함에 따라 상기 흡착컵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빼내어 흡착컵과 유방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배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20)는, 사용자의 양쪽유방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호 연결되어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흡착컵(22)과, 상기 흡착컵(22)의 내부공간에 연결된 튜브(26)를 통해 흡착컵(22)내의 공기를 외부로 뽑아내는 공기배출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배출기(24)는 양흡착컵(2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흡착컵(22)은 유방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공지의 브레지어 컵과 같이 유방을 커버하되 유방과의 사이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흡착컵(22)의 테두리는 일단 가슴에 기밀하게 밀착하여야 한다. 상기 흡착컵(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튜브(26)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나 비닐로 제작된 공기관으로서 양단부가 양측의 흡착컵(22)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중앙부는 공기배출기(24)와 연통한다. 따라서 공기배출기(24)가 동작하면 양쪽 흡착컵(22)은 동시에 흡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기(24)는 공지의 산모용 유축기에 사용하는 수동식 유축기펌프를 응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기(24)는 속이 빈 고무로 제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렸다가 다시 복원되는 힘으로 흡착컵(22)내의 공기를 빼낸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배출기(24)를 납작한 원통형으로 제작하였지만 공기를 빼낼 수 있는 한 그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하튼 상기 공기배출기(24)는 양측의 흡착컵(22) 사이에 위치하여 흡착컵(22)과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흡착식 브레지어(20)에 계속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흡착식 브레지어(20)를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는 중 유방과 흡착컵(22) 사이의 진공력이 저하할 경우 남몰래 상기 공기배출기(24)를 눌러흡착컵(22)내부에 진공력을 보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배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공기배출기(24)는, 납작한 원통의 형태를 가지며 속이 빈 고무로 제작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흡기부(70) 및 배기부(7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0)는 속이 빈 고무원통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눌려 내부공간이 수축되었다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다시 팽창하며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인한다.
상기 공기배출기(24)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흡기부(70)는 상기 튜브(26)가 그 외주에 끼워져 연결되는 부위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의 공기통로(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28)가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배기부(72)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기튜브(34)와 개폐디스크(36) 및 디스크홀더(38)로 이루어진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부(70)의 반대측 측면에 장착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구멍(32)의 내부에 배기튜브(34)와 개폐디스크(36) 및 디스크홀더(38)가 끼워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배기튜브(34)는 마치 공지의 기계요소인 스페이서와 같은 형태를 취하여 중앙에 관통구멍을 가지며 장착구멍(32)의 내주면에 압입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홀더(38)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배기구멍(40)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배기구멍(40) 내부에 개폐디스크(36)를 수용한 상태로 장착구멍(32)에 압입되며 상기 배기튜브(34)와 접한다.
상기 디스크홀더(38)의 외측단부에는 개폐디스크(36)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지지턱(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74)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는 톱니형 턱으로서 지지턱(74)의 뿌리부를 연결하는 원의 직경(d)은 개폐디스크(36)보다 크다.
도 4는 상기 공기배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구멍(32)의 내부에 배기튜브(34) 및 디스크홀더(38)가 차례로 압입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홀더(38)의 내부에는 개폐디스크(36)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홀더(38)의 바깥쪽 단부에는 개폐디스크(36)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지지턱(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디스크(36)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판으로서 디스크홀더(38)의 내부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기튜브(34)의 관통구멍(42)의 내경은 디스크홀더(38)의 내경보다 작다. 또한 상기 배기튜브(34)와 지지턱(74)간의 거리는 개폐디스크(36)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개폐디스크(36)는 상기 디스크홀더(38)내에서 넘어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배기튜브(34)와 지지턱(74) 사이를 왕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개배출기(24)에 있어서, 본체(30)를 화살표 F방향으로 누르면 본체(30)내의 공간이 축소되며 공간내의 공기가 관통구멍(42)과 배기구멍(40) 및 지지턱(74) 사이의 공간을 통해 빠져나간다. 이 때 상기 개폐디스크(36)는 지지턱(74)측으로 밀림은 물론이다.
상기 흡기부(70)는 튜브(26)에 결합하여 있고 튜브(26)는 흡착컵(22)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흡기부(70)의 공기통로(28)는 그 직경이 매우 좁으므로 상기 공기통로(28)를 통해서는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는다.
상기 화살표 F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본체(30)의 복원력에 의해 눌려있던 부분이 상승하며 본체(30)내의 공간이 확장되고 튜브(26) 및 공기통로(28)를 통해 흡착컵(22)내부에 있던 공기가 화살표 m방향으로 빨려 들어가 유방과 흡착컵(22) 사이에 진공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개폐디스크(36)는 배기튜브(34)측으로 이동하여 관통구멍(42)을 막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흡착컵(44)은, 섬유로 제조된 외피(46)와, 상기 외피(46)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실리콘커버(48)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피(46)는 공지의 브레지어컵과 같은 디자인을 가지며 내부에 유방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외피(46)에는 각종 레이스나 기타 여러 장식을 부가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리콘커버(48)는 상기 외피(46)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그 테두리부는 외피(46)의 테두리부 외부로 연장되며 외측으로 벌어져 있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실리콘은 말랑말랑한 물성을 가지므로 얇게 가공된 상기 실리콘커버(48)의 테두리부는 가슴과 기밀하게 밀착하며 가슴과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커버(48)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돌기(7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76)는 실리콘커버(48)의 내측면에 대해 유방이 달라붙지 않도록 마련한 것이다. 상기 돌기(76)로 인하여 실리콘커버(48)와 유방사이에 땀이 차는 일이 없다.
아울러 상기 실리콘커버(48)는 그 자체가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유방과 외피(46) 사이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외피(46)는 섬유로 제작되므로 공기를 통과시켜 유방과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할 수 없지만 상기 실리콘커버(48)가 외피(46)의 전체면을 커버하므로 실리콘커버(48)와 유방과의 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기(24)를 반복적으로 눌러주면 실리콘커버(48)와 유방 사이의 공기는 튜브(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결국 흡착컵(44)은 가슴에 대해 흡착 고정되어 브레지어의 착용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실리콘커버(48)의 내벽면 하측부에 써포터(56)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써포터(56)는 공지의 ABS수지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며 실리콘커버(48)의 내측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써포터(56)는 흡착컵(54)내의 유방을 위로 받쳐 올려줌으로서 가슴을 보다 볼륨감있게 나타내 보이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써포터(56)의 유방을 지지하는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5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에는 튜브(26)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기(24)를 작동하면 실리콘커버(48)와 유방 사이의 공기는 상기 관통구멍(58)을 통하여 일단 써포터(56)의 내부로 이동한 후 튜브(26)를 거쳐 배출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커버(48) 및 써포터(56)에는 다수의 돌기(7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76)는 실리콘커버(48)와 써포터(56)에 유방이 달라붙지 않도록 양자간을 상호 이격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피(46)의 내측면에 실리콘커버를 대신하여 지지컵(6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컵(62)의 내측부에는 써포터(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컵(62)의 내측 테두리부에는 일정폭의 실리콘띠(5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컵(62) 및 써포터(56)는 ABS수지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컵(62)은 섬유로 제작된 외피(46)를 컵의 형태로 지지하며 또한 유방과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는 비통기성 벽면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컵(62) 및 써포터(56)의 내측면에는 상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수의 돌기(7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띠(52)는 흡착컵(60)을 가슴에 기밀하게 밀착하도록 적용한 것으로 일정폭을 가지며 그 외측 테두리부는 바깥쪽으로 벌어여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컵(60)내에 유방을 위치시키되 상기 실리콘띠(52)를 가슴에 밀착시키고 상기 공기배출기(24)를 반복적으로 누르면 지지컵(62)과 유방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며 흡착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브레지어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컵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흡착컵(64)의 내측면에 유두삽입홈(68)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유두삽입홈(68)은 유두를 그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게 하는 공간으로서 지지컵(66)을 성형할 때 같이 성형한다. 상기 유두삽입홈(68)이 외부로 표시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외피(46)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착컵의 내부에 별도의 면소재천을 구비하여 유방을 보다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흡착식 브레지어는, 가슴에 대해 브레지어 컵을 진공 흡착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브레지어에 어깨끈이나 착용끈이 필요없다. 따라서 상기 끈이 이루는 라인이 옷을 통해 비쳐보이거나 옷 위로 드러나보일 염려가 없으며 입거나 벗기가 훨씬 용이하고 착용한 상태로 활동이 자유롭다.

Claims (7)

  1. 여성의 좌우 유방을 각각 그 내부에 수용하며 가슴에 흡착 되는 것으로,
    유방을 내부에 수용하되 그 테두리부는 가슴에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유방과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흡착컵(44,54,60,64)과;
    상기 흡착컵(44,54,60,64)과 유방이 이루는 공간내의 공기를 빼내어 유방에 대해 흡착컵(44,54,60,64)을 진공흡착 시키는 진공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컵(44,54)은;
    그 외측면에 각종 레이스가 장식될 수 있으며 섬유로 제작된 외피(46)와,
    상기 외피(46)의 내측면의 전체면에 밀착하되 그 테두리는 외피의 테두리부로부터 외부로 더욱 연장되어 가슴에 밀착하는 실리콘커버(4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커버(48)의 내측면하부에는 유방을 상부로 받쳐 올려주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비어있고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관통구멍(58)이 형성되어 있는 써포터(56)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커버(48) 및 써포터(56)에는 유방과 접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컵(60,64)은;
    그 외측면에 각종 레이스가 장식될 수 있으며 섬유로 제작되는 외피(46)와,
    상기 외피(46)의 내측면의 전체면에 밀착하며 외피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컵(62,66)과,
    상기 지지컵(62,66)의 내측 테두리부에 밀착하되 그 테두리는 지지컵의 테두리로부터 외부로 더욱 연장되어 가슴에 밀착하는 일정폭의 실리콘띠(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컵(62,66)의 내측면하부에는 유방을 상부로 받쳐 올려주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비어있고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관통구멍(58)이 형성되어 있는 써포터(56)가 더 마련되고, 상기 지지컵(62,66) 및 써포터(56)에는 유방과 접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컵(66)의 내주면에는 유두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유두삽입홈(68)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제공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흡착컵의 내부와 연통하며 흡착컵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튜브(26)와,
    상기 공기튜브(26)와 연결되며 반복적으로 수축 및 복원함에 따라 상기 흡착컵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빼내어 흡착컵과 유방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공기배출기(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브레지어.
KR1020020037826A 2002-07-02 2002-07-02 흡착식 브레지어 KR20020065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826A KR20020065424A (ko) 2002-07-02 2002-07-02 흡착식 브레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826A KR20020065424A (ko) 2002-07-02 2002-07-02 흡착식 브레지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772U Division KR200289553Y1 (ko) 2002-07-02 2002-07-02 흡착식 브레지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424A true KR20020065424A (ko) 2002-08-13

Family

ID=2772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826A KR20020065424A (ko) 2002-07-02 2002-07-02 흡착식 브레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54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7744A1 (en) * 2004-01-19 2005-07-28 Bio-Medical All For Brassiere using vacuum suction
JP2008121171A (ja) * 2006-11-08 2008-05-29 Shinsaku Yamazaki 減圧室付吸付きブラジャー
KR100968600B1 (ko) * 2007-11-30 2010-07-08 이명규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CN105559167A (zh) * 2016-02-03 2016-05-11 东莞市魔丽身段服装有限公司 一种分离式透气文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901U (ko) * 1992-09-04 1994-04-12 최현정 착탈식 에어튜브를 갖는 브레지어
US5833515A (en) * 1997-08-22 1998-11-10 Shahbazian; Khachik Inflatable breast pads for a brassierie
JPH11247006A (ja) * 1998-03-03 1999-09-14 Kazuya Koishikawa 形状補正ブラジャー
KR20000073326A (ko) * 1999-05-10 2000-12-05 우종걸 의류에 내장되는 공기주머니의 공기주입 및 배출기
KR200224690Y1 (ko) * 2000-11-18 2001-05-15 신용구 보조팩이 구비된 브래지어
KR20010084986A (ko) * 2001-07-02 2001-09-07 최영근 브래지어
KR200243522Y1 (ko) * 1999-06-24 2001-09-25 최용훈 가슴교정용 패드
KR20020030870A (ko) * 2000-10-18 2002-04-26 임기표 진공흡착력을 이용한 끈없는 브래지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901U (ko) * 1992-09-04 1994-04-12 최현정 착탈식 에어튜브를 갖는 브레지어
US5833515A (en) * 1997-08-22 1998-11-10 Shahbazian; Khachik Inflatable breast pads for a brassierie
JPH11247006A (ja) * 1998-03-03 1999-09-14 Kazuya Koishikawa 形状補正ブラジャー
KR20000073326A (ko) * 1999-05-10 2000-12-05 우종걸 의류에 내장되는 공기주머니의 공기주입 및 배출기
KR200243522Y1 (ko) * 1999-06-24 2001-09-25 최용훈 가슴교정용 패드
KR20020030870A (ko) * 2000-10-18 2002-04-26 임기표 진공흡착력을 이용한 끈없는 브래지어
KR200224690Y1 (ko) * 2000-11-18 2001-05-15 신용구 보조팩이 구비된 브래지어
KR20010084986A (ko) * 2001-07-02 2001-09-07 최영근 브래지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7744A1 (en) * 2004-01-19 2005-07-28 Bio-Medical All For Brassiere using vacuum suction
JP2008121171A (ja) * 2006-11-08 2008-05-29 Shinsaku Yamazaki 減圧室付吸付きブラジャー
KR100968600B1 (ko) * 2007-11-30 2010-07-08 이명규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CN105559167A (zh) * 2016-02-03 2016-05-11 东莞市魔丽身段服装有限公司 一种分离式透气文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6681B1 (en) Attachable breast form enhancement system
US7278899B2 (en) Adhesive enhancing support bra
CN109641088A (zh) 吸乳罩
US20110009816A1 (en) Device for Treatment of Breast Conditions
CA2961802A1 (en) Hands free pumping garment
KR20020065424A (ko) 흡착식 브레지어
KR101957931B1 (ko) 탄성력 및 통기성을 갖는 브래지어
KR200289553Y1 (ko) 흡착식 브레지어
KR101957930B1 (ko) 브래지어 제조방법
KR200346503Y1 (ko) 브래지어
US20240108082A1 (en) Improved brassiere cup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nderwear containing the same
KR200386582Y1 (ko) 모유 흐름 방지용 패드
GB2357434A (en) Breast shield
KR200252448Y1 (ko) 브래지어 일체형 속셔츠
KR20090001729U (ko) 의류용 패드
KR200364260Y1 (ko) 유두 함몰 방지와 통기성을 갖는 고정구를 구비한유두커버용 건강브레지어
KR200230458Y1 (ko) 브래지어
KR200252439Y1 (ko) 브래지어 패드
KR200433417Y1 (ko) 볼륨업 캐미솔
JP2003221706A (ja) パッド及び胸当て部を有する衣類
KR200486387Y1 (ko) 브래지어용 몰드컵
KR20090006381U (ko) 이중 컵이 형성된 분리형 브래지어
KR200326341Y1 (ko) 브래지어
KR200248181Y1 (ko)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는 부라자
JP2008121171A (ja) 減圧室付吸付きブラ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