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166A -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166A
KR20020065166A KR1020010005554A KR20010005554A KR20020065166A KR 20020065166 A KR20020065166 A KR 20020065166A KR 1020010005554 A KR1020010005554 A KR 1020010005554A KR 20010005554 A KR20010005554 A KR 20010005554A KR 20020065166 A KR20020065166 A KR 2002006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layer
disposed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062B1 (ko
Inventor
이재민
강건덕
Original Assignee
(주) 상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원이엔씨 filed Critical (주) 상원이엔씨
Priority to KR10-2001-000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0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 개선을 위하여 하천의 제외지(둔치)또는 제내지에 설치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은 하천수를 집수하기 위한 1차 집수조(7)와, 1차 집수조(7)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하천수를 저장하는 2차 집수조(9)와, 상기 2차 집수조(9)에 연결되며 하천수에 포함된 토사 등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사조(11)와, 상기 침사조(11)를 거친 오수를 입수관(15)으로 분배하기 위한 균등조(13)와, 상기 입수관(15), 입수관(15)에 연결되는 분배관로(17), 정화된 정화수를 포집하는 포집관로(19) 및 배수관(21)을 포함하는 정화지(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WATER FURIFIER OF RIVER USING PURIFICATORY PLANT}
본 발명은 산업장의 오·폐수 또는 생활하수로 인해 오염되는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 개선을 위한 정수식물을 이용한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영양화의 원인물질 제거가 월등하며 저농도의 유기오염물 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하천의 제외지(둔치) 또는 제내지에 설치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시스템은 자갈, 쇄석 또는 각종 여재로 충전된 접촉산화조 내에 하천수, 오수 등을 통과시켜 오염물의 침전, 흡착, 미생물의 의한 소화 등을 통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으로, 오염된 하천수 또는 저농도(BOD 80mg/l 이하)의 오수처리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질정화장치는 하천을 정화하기 위해 대단위 콘크리트 구축물을 조성해야 하고, 여름철 장마기간이나 강수량이 많을 경우 토사유출에 의해 매몰되거나 기질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대단위 콘크리트 구축물을 조성하지 않아도 되며, 별도로 대단위 콘크리트 구축물을 조성하지 않아도 되며, 여름철 장마기간이나 강수량이 많을 경우 토사유출에 의해 매몰되거나 기질이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공습지의 지표면하 흐름식(subsurface flow SF)을 이용해 유기오염물질 및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의 제거가 우수하며 시설 및 유지비가 저렴하고 완충능력과 여러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의 일례는 하천수를 집수하기 위한 1차 집수조와, 1차 집수조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하천수를 저장하는 2차 집수조와, 상기 2차 집수조에 연결되며 하천수에 포함된 토사 등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를 거친 오수를 입수관으로 분배하기 위한 균등조와, 상기 입수관, 입수관에 연결되는 분배관로, 정화된 정화수를 포집하는 포집관로 및 배수관을 포함하는 정화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관, 분배관로의 분배관, 포집관로의 포집관은 유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관로는 긴 직사각형 형태로 복수의 세로관 중간에 서로 적절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지는 지반층이 방수 시트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방수 시트상에 하부 자갈층, 모레층, 상부 자갈층 및 점토층이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점토층에 갈대 등과 같은 정수식물이 심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자갈층에 포집관로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자갈층에 분배관로가 배치되어, 분배관로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상기 상부 자갈층 하부에 배치된 모레층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모레층 하부의 하부 자갈층에 배치된 포집관로로 포집되는 하향류식으로 정수된 후 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하정 정화 시스템의 다른 예는 정화지의 상기 하부 자갈층에 분배관로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자갈층에 포집관로가 배치되어, 분배관로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상기 하부 자갈층 상부에 배치된 모레층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모레층 상부에 배치된 상부 자갈층의 포집관로로 포집되는 상향류식으로 정수된 후 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설명*
1, 50 :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3 : 하천
5 : 제외지 7 : 1차 집수조
9 : 2차 집수조 11 : 침사조
13 : 균등조 15 : 입수관
17, 52: 분배관로 19, 55 : 포집관로
21 : 배수관 31, 51 : 정화지
33 : 지반층 35 : 방수 시트
37 : 하부 자갈층 39 : 모레층
41 : 상부 자갈층 43 : 점토층
45 : 정수식물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1)은 하천(3)에 근접한 제외지(5)에 설치되며, 하천수를 집수하기 위한 1차 집수조(7)와, 1차 집수조(7)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하천수를 저장하는 2차 집수조(9)와, 상기 2차 집수조(9)에 연결되며 하천수에 포함된 토사 등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사조(11)와, 상기 침사조(11)를 거친 오수를 입수관(15)으로 분배하기 위한 균등조(13)와,상기 입수관(15), 입수관(15)에 연결되는 분배관로(17), 정화된 정화수를 포집하는 포집관로(19) 및 배수관(21)을 포함하는 정화지(31)로 구성된다.
상기 입수관(15), 분배관로(17)의 분배관, 포집관로(19)의 포집관은 유공관으로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물이 배출되거나 유입된다.
상기 분배관로(17)는 긴 직사각형 형태로 세로관(17b, 17c) 중간에 서로 적절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화지(31)는 지반층(33)이 방수 시트(35)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방수 시트(35)상에 하부 자갈층(37), 모레층(39), 상부 자갈층(41) 및 점토층(43)이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점토층(43)에 갈대 등과 같은 정수식물(45)이 심겨진다.
또한, 상기 하부 자갈층(37)에 포집관로(19)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자갈층(41)에 분배관로(17)가 배치되어, 분배관로(19)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상기 상부 자갈층(41) 하부에 배치된 모레층(39)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모레층(39) 하부의 하부 자갈층(37)에 배치된 포집관로(19)로 포집된 후 배수관(21)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차 집수조(7)에서 하천으로부터 하천수를 집수하며 협잡물을 제거하여 2차 집수조(9)로 하천수를 수송하고, 2차 집수조(9)에 상기 2차 집수조(9)에 연결된 침사조(11)에서 하천수에 포함된 토사 등을 침전시켜 토사가 정화지(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균등조(13) 및 입수관(15)을 통해 하천수가 상부 자갈층(41)에 배치된 분배관로(17)로 유입되고, 상기 분배관로(17)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하천수가 배출되며, 상부 자갈층(41) 하부에 배치된 모레층(39)에서 하천수를 여과하고 또한 정수식물(39) 및 미생물이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하천수를 정화하고, 이와같이 정화된 정화수가 하부 자갈층(37)에 배치된 포집관(19)을 통해 포집되는 하향류식으로 정수된 후, 배수관(21)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정화 시스템(50)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화지(51)는 상기 하부 자갈층(37)에 분배관로(52)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자갈층(41)에 포집관로(55)가 배치되어, 분배관로(52)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상기 하부 자갈층(37) 상부에 배치된 모레층(39)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모레층(39) 상부에 배치된 상부 자갈층(41)의 포집관로(55)로 포집되는 상향류식으로 정수된 후 배수관(57)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은 대단위 콘크리트 구축물을 조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 및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들며, 여름철 장마기간이나 강수량이 많을 경우에도 토사에 의해 매몰되거나 기질이 막히지 않고, 정수식물 정화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벗어남없이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하천수를 집수하기 위한 1차 집수조(7)와, 1차 집수조(7)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하천수를 저장하는 2차 집수조(9)와, 상기 2차 집수조(9)에 연결되며 하천수에 포함된 토사 등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사조(11)와, 상기 침사조(11)를 거친 오수를 입수관(15)으로 분배하기 위한 균등조(13)와, 상기 입수관(15), 입수관(15)에 연결되는 분배관로(17), 정화된 정화수를 포집하는 포집관로(19) 및 배수관(21)을 포함하는 정화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15), 분배관로(17)의 분배관, 포집관로(19)의 포집관은 유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로(17)는 긴 직사각형 형태로 세로관(17b, 17c) 중간에 서로 적절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지는 지반층(33)이 방수 시트(35)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방수 시트(35)상에 하부 자갈층(37), 모레층(39), 상부 자갈층(41) 및 점토층(43)이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점토층(43)에 갈대 등과 같은 정수식물(45)이 심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자갈층(37)에 포집관로(19)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자갈층(41)에 분배관로(17)가 배치되어, 분배관로(19)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상기 상부 자갈층(41) 하부에 배치된 모레층(39)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모레층(39) 하부의 하부 자갈층(37)에 배치된 포집관로(19)로 포집되는 하향류식으로 정수된 후 배수관(21)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자갈층(37)에 분배관로(52)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자갈층(41)에 포집관로(55)가 배치되어, 분배관로(52)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상기 하부 자갈층(37) 상부에 배치된 모레층(39)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모레층(39) 상부에 배치된 상부 자갈층(41)의 포집관로(55)로 포집되는 하향류식으로 정수된 후 배수관(57)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KR10-2001-0005554A 2001-02-06 2001-02-06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KR10046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554A KR100463062B1 (ko) 2001-02-06 2001-02-06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554A KR100463062B1 (ko) 2001-02-06 2001-02-06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764U Division KR200244260Y1 (ko) 2001-02-06 2001-02-06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166A true KR20020065166A (ko) 2002-08-13
KR100463062B1 KR100463062B1 (ko) 2004-12-29

Family

ID=2769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554A KR100463062B1 (ko) 2001-02-06 2001-02-06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30B1 (ko) * 2001-02-06 2004-11-20 (주) 상원이엔씨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266B1 (ko) 2015-04-02 2015-12-11 한국그린자원(주) 환경정화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752B2 (ja) * 1991-10-21 1998-05-13 株式会社大林組 排水の浄化処理構造
JP3190828B2 (ja) * 1996-07-08 2001-07-23 あすか汽船有限会社 水質浄化方法
JP2942757B1 (ja) * 1998-04-28 1999-08-30 建設省土木研究所長 ウェットランド併用による水質浄化方法
JP4299382B2 (ja) * 1998-06-19 2009-07-22 株式会社フジタ 水処理用人工湿地
KR100409108B1 (ko) * 2000-12-30 2003-12-11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물리적 정수기법을 이용한 인공연못
KR100457730B1 (ko) * 2001-02-06 2004-11-20 (주) 상원이엔씨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30B1 (ko) * 2001-02-06 2004-11-20 (주) 상원이엔씨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062B1 (ko)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787149B1 (ko) 수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23662B1 (ko)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 수질 정화 설비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1815246B1 (ko)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KR200452222Y1 (ko) 비점 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958326B1 (ko)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44122B1 (ko) 강우유출수 및 평상시 기저유량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인공습지
KR101179566B1 (ko) 습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 및 하천유지수 공급 시스템
FI97128C (fi) Vedenpuhdistuslaitos
KR100561171B1 (ko) 무동력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를 이용한 자연형하천정화공법
KR200467781Y1 (ko) 점·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식물포트 여과 시스템
KR100463062B1 (ko)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KR200244260Y1 (ko)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KR20080015136A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연결수로
KR20030069936A (ko)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시스템
KR100988864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457730B1 (ko)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CN212713180U (zh) 一种净化污水的生态处理系统
KR100424289B1 (ko)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설비
RU2137884C1 (ru) Система отвода и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тока
KR101598684B1 (ko)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KR200244259Y1 (ko)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