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939A - Cup-type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Cup-type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939A
KR20020063939A KR1020010004429A KR20010004429A KR20020063939A KR 20020063939 A KR20020063939 A KR 20020063939A KR 1020010004429 A KR1020010004429 A KR 1020010004429A KR 20010004429 A KR20010004429 A KR 20010004429A KR 20020063939 A KR20020063939 A KR 2002006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up
cup
vending machin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76077B1 (en
Inventor
우자와다까시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0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077B1/en
Publication of KR2002006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07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PURPOSE: A cup type vending machine is provided, which has good clearing and detection accuracy of the existence of syrup, and simplifies a configuration of a syrup supply system. CONSTITUTION: A cup type vending machine mixes a syrup of a beverage and a drinking water and a carbonic water which are supplied to a supply nozzle(28) via a supply tube from a syrup storing part(15) storing the syrup, and then sells it as a cup type beverage. A syrup detection part(22) detecting the existence of the syrup is arranged on a position of the supply tube, and the supply tube has a syrup capacity according to selling amount as much as at least one cup via the supply nozzle from the syrup detection part.

Description

컵식 자동 판매기{CUP-TYPE VENDING MACHINE}Cup Vending Machine {CUP-TYP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컵식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럽 교환에 수반하는 작업을 경감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vending machine which can reduce the work involved in syrup exchange and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종래, 원료로서의 음료의 시럽과, 음료수 혹은 탄산수를 혼합하여 컵식 음료를 제조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가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there are cup type vending machines that produce a cup type beverage by mixing a syrup of beverage as a raw material and a drink or carbonated water.

도7은 종래의 컵식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계를 도시하고, 시럽을 저장하는 시럽 탱크(15)와, 시럽 탱크(15)로부터 배관(21)을 거쳐서 공급되는 시럽의 유무를 검출하는 품절 케이스(22)와, 품절 케이스(22)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냉각수조(7)에 저수되는 냉각수(W)에 침지(浸漬)되는 냉각 코일(23)과, 냉각 코일(23)에 접속되어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기(12)와, 유량 조절기(12)와 배관(24)을 거쳐서 접속되어 시럽의 공급 동작에 의거하여 개폐하는 전자 밸브(13)를 갖는다.7 shows a syrup supply system of a conventional cup vending machine, and a sold-out cas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yrup supplied from a syrup tank 15 through a pipe 21 from a syrup tank 15 storing a syrup ( 22, a cooling coil 23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old-out case 22 and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W stored in the cooling water tank 7, and a cooling coil 23 connected to the cooling coil 23 It has a flow regulator 12 which adjusts flow volume, and the solenoid valve 13 connected through the flow regulator 12 and the piping 24, and opens and closes based on the supply operation of a syrup.

시럽 탱크(15)는 탄산 가스를 저장한 가스 봄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가스 도입부(15A)와, 탄산 가스의 가스압에 의거하여 시럽을 송출하는 시럽 송출부(15B)를 갖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시럽 공급 지령에 의거하여 전자 밸브(13)를 개방함으로써 시럽 송출부(15B)에 접속되는 배관(21)으로 시럽이 송출된다.The syrup tank 15 has a gas introduction part 15A connected to a gas cylinder (not shown) which stored carbon dioxide gas, and the syrup sending part 15B which sends a syrup based on the gas pressure of carbon dioxide gas, and is not shown in figure. The syrup is sent out to the pipe 21 connected to the syrup sending section 15B by opening the solenoid valve 13 based on the syrup supply command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도8은 종래의 품절 케이스(22)를 도시하고,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배관 접속 부재(22K)에 접속되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시럽을 케이스 내로 도입하는 도입부(22L)와,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22M)와,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내에 저장되는 시럽을 사이펀 튜브(22N)를 거쳐서 송출하는 송출부(220)와, 송출부(220)에 장착되어 케이스 내의 시럽의 유무를 검출하는 시럽 센서(22P)와, 송출부(220)에 나사 결합되는 가스 방출부(22Q)를 갖고, 케이스에는 70cc(컵 1잔의 판매시에 필요한 양)의 시럽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 품절 케이스(22)는 컵식 음료의 판매 동작시에 케이스 내로 도입되는 시럽을 유로(22R)에 의해 케이스 상부로 유도하고, 케이스 하부로부터 사이펀 튜브(22N)을 거쳐서 시럽을 송출부(220)로부터 송출하는 선입출(先入出) 구조를 갖는다. 도입부(22L), 케이스 본체(22M) 및 송출부(220)의 접합부에는 액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22S)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스 방출부(22Q)와 송출부(220) 사이에는 기밀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22T)가 장착되어 있다. 시럽 센서(22P)는 케이스 내의 시럽에 침지되는 한쌍의 전극이며, 시럽의 액면이 저하하여 전극이 노출되면 비통전이 되는 것에 의거하여 시럽의 품절을 검출한다. 가스 방출부(22Q)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단부(22U)와 송출부(22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에 의거하여 케이스 내와 가스 배기부(22V)가 연통하여 케이스 내에 저장된 탄산 가스를 외부로 배기한다.Fig. 8 shows a conventional sold-out case 22, an introduction portion 22L for introducing a syrup into a case from a pipe (not show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ng member 22K, and a cylindrical case. The main body 22M, the sending part 220 which sends the syrup installed in the upper case and stored in the case via the siphon tube 22N, and the syrup which is attached to the sending part 220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yrup in a case. It has a sensor 22P and the gas discharge part 22Q screwed to the sending part 220, and the syrup of 70 cc (a quantity required at the time of selling one cup) is stored in a case. The sold-out case 22 guides the syrup introduced into the case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at the time of selling the cup-like drink by the flow path 22R, and passes the syrup from the lower part of the case through the siphon tube 22N from the discharge part 220. It has a first-in-out structure to send out. 22L of introduction parts, the case main body 22M, and the sending part 220 are equipped with the sealing member 22S for preventing liquid leakage, and is airtight between the gas discharge part 22Q and the sending part 220. The sealing member 22T which prevents leakage is attached. The syrup sensor 22P is a pair of electrodes immersed in the syrup in the case, and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syrup is lowered and the electrode is exposed, the syrup sensor 22P detects the sold out of the syrup on the basis of non-conduction. The gas discharge portion 22Q forms a gap between the tip portion 22U and the discharge portion 220 by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gas discharge portion 22V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ase and is stored in the case based on the gap. The carbon dioxide gas is exhausted to the outside.

상기한 품절 케이스(22)에 의하면, 케이스 내에 컵 1잔분의 시럽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시럽의 품절 검출 후도 컵 1잔분의 판매 동작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ld-out case 22 described above, since one cup of syrup is stored in the case, the selling operation of one cup can be performed even after the syrup is sold out.

그러나, 종래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선입출을 실현하기 위해 시럽 유로 및 사이펀 튜브를 시럽 케이스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케이스 및 배관 구조가복잡화된다. 또한, 시럽의 종류를 교환할 때의 세정 작업에 다량의 세정수가 필요해지고, 또한 세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 흡수율이 높은 시럽에서는 유로의 단면적 변화에 의거한 유속 변화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고, 이 기포가 시럽 센서에 접촉하여 오작동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시럽의 유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또한, 품절 검출 후에 1잔의 판매량을 보증하기 위해 소정량의 시럽을 케이스 내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케이스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up-type vending machine, since the syrup flow path and the siphon tube are provided in the syrup case in order to realize pre-in and out, the case and the piping structure are complic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required for the cleaning operation when the type of syrup is replaced, and that time is required for cleaning. In addition, in a syrup having a high gas absorption rate, bubbles may be generated due to a flow rate change based on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and the bubbles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yrup sensor to cause malfunc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yrup cannot be accurately detected. In addition, since a predetermined amount of syrup is stored in the case in order to guarantee the sales volume of one glass after the out of stock det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se becomes lar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성 및 시럽 유무의 검출 정밀도가 우수하고, 시럽 공급계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컵식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type vending machine which is excellent in the cleanability and detection accuracy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syrup, and which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syrup supply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시럽 공급계를 갖는 컵식 자동 판매기를 도시한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up vending machine having a syrup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컵식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계의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yrup supply system of a cu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품절 케이스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old-out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컵식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계의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yrup supply system of a cu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품절 케이스의 종단면도.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old-out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컵식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계의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yrup supply system of a cu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종래의 시럽 공급계의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syrup supply system.

도8은 종래의 품절 케이스의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old-out cas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취수관1: intake pipe

2 : 시스턴2: cistern

3 : 전방 스위치3: front switch

4 : 급수 전자 밸브4: water supply solenoid valve

5, 11, 24, 30 : 배관5, 11, 24, 30: piping

6 : 펌프6: pump

7 : 냉각수조7: cooling water tank

8, 23 : 냉각 코일8, 23: cooling coil

9 : 3방 밸브9: 3 way valve

10 : 카보네이터10: Carbonator

12, 25, 31 : 유량 조절기12, 25, 31: flow regulator

13, 26, 32 : 전자 밸브13, 26, 32: solenoid valve

14 : 가스 봄베14: gas cylinder

15 : 시럽 탱크15: syrup tank

15A : 가스 도입부15A: Gas Inlet

15B : 시럽 송출부15B: Syrup Sender

16, 19 : 가스 배관16, 19: gas piping

17, 20 : 가스 밸브17, 20: gas valve

18 : 가스 매니홀드18: gas manifold

21 : 배관21: plumbing

22 : 품절 케이스22: Sold Out Case

22A, 22C : 배관 접속부22A, 22C: Piping Connection

22B : 본체22B: main body

22D : 전극 지지부22D: electrode support

22E : 시럽 유로22E: Syrup Euro

22F : 전극22F: Electrode

22G : 너트22G: Nut

22H, 22S, 22T : 밀봉 부재22H, 22S, 22T: Sealing Member

22K : 배관 접속 부재22K: Piping Connection Member

22L : 도입부22L: Introduction

22M : 케이스 본체22M: Case Body

22N : 사이펀 튜브22N: Siphon Tube

22O : 송출부22O: sending part

22P : 시럽 센서22P: Syrup Sensor

22Q : 가스 방출부22Q: gas discharge part

22R : 유로22R: Euro

22U : 선단부22U: Tip

22V : 가스 배기부22V: gas exhaust

27 : 컵27: cup

28 : 공급 노즐28: supply nozzle

29 : 냉각기29: cooler

W : 냉각수W: coolan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럽을 저장하는 시럽 저장부로부터 공급 관로를 거쳐서 공급 노즐에 공급되는 음료의 시럽과, 음료수, 탄산수 등의 희석수를 혼합하여 컵식 음료로서 판매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type vending machine for mixing a syrup of a beverage supplied to a supply nozzle from a syrup storage unit storing a syrup and a dilution water such as a beverage or a carbonated water and selling it as a cup beverage. To

상기 공급 관로의 소정의 위치에 시럽의 유무를 검출하는 시럽 검출부를 배치하고, 상기 공급 관로가 상기 시럽 검출부로부터 상기 공급 노즐에 걸쳐 적어도 컵 1잔분의 판매량에 따른 시럽 용량을 갖는 컵식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Disposing a syrup detect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yru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upply line, the supply line is provided with a cup vending machine having a syrup capacity according to the sales amount of at least one cup from the syrup detector to the supply nozzle do.

상기한 컵식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시럽 검출부로부터 공급 노즐에 이르기까지의 공급 관로에서 컵 1잔분의 판매량의 시럽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공급 관로에 사용되는 부품수를 저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up type vending machine described above, by holding the syrup of the sales amount of one cup in the supply line from the syrup detector to the supply nozzle, the number of parts used in the supply line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이하, 본 발명의 컵식 자동 판매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up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컵식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고, 취수관(1)으로부터 음료수가 공급되는 시스턴(2)과, 시스턴(2)에 저수되는 음료수의 수위 저하를 검출하여 수위 저하 신호를 출력하는 전방 스위치(3)와, 수위 저하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개폐하는 급수 전자 밸브(4)와, 시스턴(2)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배관(5)에 설치되는 펌프(6)와, 배관(5)에 접속되어 냉각수조(7)에 저수되는 냉각수(W)에 침지되는 냉각 코일(8)과, 배관(5)의 분기부에 설치되는 3방 밸브(9)와, 3방 밸브(9)를 거쳐서 시스턴(2)으로부터 음료수가 공급되고, 후술하는 가스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탄산 가스를 용해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카보네이터(10)와, 3방 밸브(9)로부터 분기된 배관(11)에 설치되는 유량 조절기(12)와, 음료수의 공급 동작에 의거하여 개폐되는 전자 밸브(13)와, 탄산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봄베(14)와, 가스 봄베(14)와 시럽 탱크(15)를 접속하는 가스 배관(16)과, 가스 배관(16)에 설치되는 가스 밸브(17)와, 가스 배관(16)으로부터 가스 매니홀드(18)를 거쳐서 분기되어 카보네이터(10)에 접속되는 가스 배관(19)과, 가스 배관(19)에 설치되는 가스 밸브(20)와, 시럽 탱크(15)에 접속되는 배관(21)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시럽의 유무를 검출하는 품절 케이스(22)와, 품절 케이스(22)의 하류에 설치되어 냉각수조(7)에 저수되는 냉각수(W)에 침지되는 냉각 코일(23)과, 냉각 코일(23)에 접속되는 배관(24)과,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기(25)와, 시럽의 공급 동작에 의거하여 개폐되는 전자 밸브(26)와, 배관(11, 24) 및 후술하는 배관(3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컵(27)에 시럽, 음료수, 혹은 탄산수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노즐(28)과, 냉각수조(7)에 저수되는 냉각수(W)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하는 냉각기(29)와, 카보네이터(10)로부터 공급 노즐(28)에 탄산수를 공급하는 배관(30)과, 배관(30)에 설치되어 탄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기(31)와, 탄산수의 공급 동작에 의거하여 개폐되는 전자 밸브(32)를 갖고, 카보네이터(10)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기에 의해 내부에 저장되는 탄산수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하고 있다.1 shows a cup-type vending mach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etects a drop in the water level of the cistern 2 supplied with the drinking water from the water intake pipe 1 and the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cistern 2. The pump provided in the front switch 3 which outputs a water level fall signal, the water supply solenoid valve 4 which opens and closes based on the input of the water level fall signal, and the piping 5 connected downstream of the cistern 2. (6), a cooling coil (8) connected to the pipe (5) and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W) stored in the cooling water tank (7), and a three-way valve (9) provided at the branch of the pipe (5). And a carbonator 10 for dissolving carbonic acid gas supplied from a gas cylinder to be described later via the three-way valve 9 to produce carbonated water, and a three-way valve 9. The solenoid valve 13 which opens and closes based on the flow regulator 12 installed in the piping 11 branched from the supply liquid,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operation. A gas cylinder 14 storing carbon dioxide gas, a gas pipe 16 connecting the gas cylinder 14 and the syrup tank 15, a gas valve 17 provided in the gas pipe 16, and a gas. The gas pipe 19 branched from the pipe 16 via the gas manifold 18 and connected to the carbonator 10, the gas valve 20 provided in the gas pipe 19, and the syrup tank 15. Sold out case 22 which is installed in the pipe 21 connected to the pipe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syrup passing through, and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W) installed downstream of the sold case 22 and stored in the cooling water tank (7) A cooling coil 23, a pipe 24 connected to the cooling coil 23, a flow regulator 25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syrup, a solenoid valve 26 opened and closed based on a syrup supply operation, Supply nozzles 28, which are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pipes 11 and 24 and the pipe 30 to be described later, supply liquid such as syrup, beverage or carbonated water to the cup 27, and cold A cooler 29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W stored in the respective water tanks 7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pipe 30 for supplying carbonated water from the carbonator 10 to the supply nozzle 28, and a pipe 30. And a solenoid valve 32 that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supply operation of the carbonated water, and the carbonator 10 is stored therein by a cooler (not shown). The carbonated water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도2는 컵식 자동 판매기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럽 공급계를 도시하고, 시럽을 저장하는 시럽 탱크(15)와, 시럽 탱크(15)와 배관(21)을 거쳐서 접속되어 배관 접속부(22A, 22C), 본체(22B), 전극 지지부(22D)를 갖는 품절 케이스(22)와, 품절 케이스(22)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냉각수조(7)에 저수되는 냉각수(W)에 침지되는 냉각 코일(23)과, 냉각 코일(23)에 접속되어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기(25)와, 유량 조절기(25)와 배관(24)을 거쳐서 접속되어 시럽의 공급 동작에 의거하여 개폐하는 전자 밸브(26)를 갖고, 품절 케이스(22)의 본체(22B)는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내부를 통과하는 시럽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시럽 공급계에서는, 품절 케이스(22)로부터 전자 밸브(26)에 이르기 까지의 부분에서 적어도 1잔분의 컵식 음료의 판매량(예를 들어, 150cc)을 확보하는 용량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부위에 있어서의 용량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Fig. 2 shows a syrup supply system in a first embodiment of a cup vending machine, and is connected via a syrup tank 15 for storing syrup, a syrup tank 15, and a pipe 21 to connect a pipe connecting portion 22A. , 22C) Cooling that is immersed in the sold-out case 22 having the main body 22B and the electrode support 22D, and the cooling water W stored in the cooling water tank 7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old-out case 22. It is connected to the coil 23 and the cooling coil 23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syrup, and is connected via the flow rate regulator 25 and the pipe 24 to open and close based on the supply operation of the syrup. The main body 22B of the sold-out case 22 is provided with the solenoid valve 26 so that the syrup which passes in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this syrup supply system, a capacity for securing the sales amount (for example, 150 cc) of at least one cup of beverage in the portion from the sold case 22 to the solenoid valve 26 is provided. The dose of is as shown in Table 1.

용량(cc)Capacity (cc) 배관(21)Piping (21) 3030 품절 케이스(22)Sold Out Case (22) 44 냉각 코일(23)Cooling coil (23) 7070 유량 조절기(25)Flow regulator (25) 55 배관(24)Plumbing (24) 3.03.0 전자 밸브(26)Solenoid valve (26) 0.40.4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품절 케이스(22)를 도시하고, 본체(22B)에 삽입된 전극 지지부(22D)의 선단부에는 시럽 유로(22E)로 돌출하여 시럽과 접촉하는 한쌍의 전극(22F)이 부착되어 있다. 또, 배관 접속부(22A, 22C)는 배관 접속 부재(22K)를 너트(22G)에 의해 본체(22B)에 고정하고 있다. 시럽 유로(22E)의 내경(d2)은 배관 접속 부재(22K)의 내경(d1)에 대하여 확대량이 관로 단면적에서 3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Fig. 3 shows the sold-out case 22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pair of electrodes 22F protruding into the syrup flow passage 22E and contacting the syrup at the tip of the electrode support 22D inserted in the main body 22B. Is attached. Moreover, the piping connection parts 22A and 22C fix the piping connection member 22K to the main body 22B with the nut 22G.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yrup flow passage 22E is formed such that an enlargement amount is three times or less in the pipe cross-sectional area with respect to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pipe connecting member 22K.

전극(22F)은 전극 지지부(22D)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시럽 검출 회로에 접속된다. 배관 접속부(22A, 22C)와 본체(22B)의 접합부 및 본체(22B)에 삽입되는 전극 지지부(22D)의 삽입부에는 액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22H)가 장착되어 있다.The electrode 22F is connected to a syrup detection circuit (not shown) via a conductive wire (not shown) inserted into the electrode support portion 22D. 22H of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liquid leakage are attached to the junction part of piping connection part 22A, 22C and main body 22B, and the insertion part of electrode support part 22D inserted in main body 22B.

상기한 컵식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동작은 가스 봄베(14)와 시럽 탱크(15)를 접속하는 가스 배관(16)에 설치되는 가스 밸브(17)를 개방하여, 시럽 탱크(15)에 탄산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행해진다.Syrup supply operation of the cup type | mold vending machine opens the gas valve 17 installed in the gas piping 16 which connects the gas cylinder 14 and the syrup tank 15, and supplies carbon dioxide gas to the syrup tank 15. By supplying.

시럽 탱크(15)에 저장되어 있는 시럽은 탄산 가스의 압력에 의거하여 접속되는 배관(21)을 거쳐서 품절 케이스(22)로 압송되어 배관(21)과 접속되는 배관 접속 부재(22K)를 거쳐서 시럽 유로(22E)를 통과한다. 시럽 유로(22E)로 돌출하고 있는 한쌍의 전극(22F)은, 양 전극 사이에 시럽이 개재될 때 도통 상태가 되어, 이 도통 상태에 의거한 전류를 도시하지 않은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하고 있을 때 시럽 있음의 상태로 하고 있다. 또, 양 전극 사이에 시럽이 개재되지 않을 때 비도통 상태가 되어, 이 상태를 시럽 없음의 상태로 하고 있다. 또, 시럽의 잔량이 근소해지면 시럽 탱크(15)로부터 배관(21)으로 송출되는 시럽에 탄산 가스의 기포가 혼입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통이 단속된다. 관로에 액체를 통과시킬 때, 내부 직경의 차가 있으면 통과하는 액체의 유속에 변화가 생겨 흐름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난류 상태에서는 시럽에 혼입된 탄산 가스가 분리되어 기포화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쌍의 전극(22F)에 의한 시럽 검출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시럽 검출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시럽 유로(22E)의 내경(d2)을 배관 접속 부재(22K)의 내경(d1)에 대하여 확대량이 관로 단면적에서 3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속 변화의 발생이 억제된다.The syrup stored in the syrup tank 15 is fed into a sold-out case 22 via a pipe 21 connected based on the pressure of carbon dioxide gas, and through a pipe connecting member 22K connected to the pipe 21. It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22E. The pair of electrodes 22F protruding into the syrup flow passage 22E are in a conductive state when a syrup is interposed between both electrodes, and the syrup is detected when a current detection unit (not shown) detects a current based on the conductive state. I am in a state of being in stock. Moreover, when a syrup is not interposed between both electrodes, it becomes a non-conductive state, and this state is made into the state of no syrup. Moreover, when the residual amount of syrup becomes small, bubbles of carbon dioxide may mix in the syrup sent from the syrup tank 15 to the pipe 21, and in this case, conduction is interrupted. When passing a liquid through a pipelin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ner diameter, there is a case that the flow velocity of the liquid passing through changes and the flow is disturbed. In such a turbulent state, the carbon dioxide gas mixed in the syrup may separate and bubble, and the syrup detectability by the pair of electrodes 22F may be lowered. In order to prevent such deterioration of the syrup detectability, the change in flow velocity is caused by forming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yrup flow path 22E to be 3 times or less in the pipe cross-sectional area with respect to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pipe connecting member 22K. Suppressed.

예를 들어, 상기한 내경(d2)의 확대량을 관로 단면적에서 6배로 형성하고, 탄산 가스의 흡수성이 큰 시럽을 탄산 가스의 압력에 의거하여 통과시킨 경우에는, 내부 직경의 차가 발생하는 부분에서 시럽의 흐름에 혼란이 생겨 기포가 발생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nlarged amount of the inner diameter d2 is formed six times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and a syrup having high absorbency of carbon dioxide is passed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carbon dioxide gas, the difference in the inner diameter is generated. Confusion in the flow of the syrup creates bubbles.

품절 케이스(22)를 통과한 시럽은 냉각수조(7) 내에 침지되어 있는 냉각 코일(23)에 의해 냉각되고, 전자 밸브(26)의 개방 동작에 의거하여 유량 조절기(25)에 의해 설정된 유량으로 공급 노즐(28)로 압송된다. 이 시럽은, 3방 밸브(9)의 절환에 의거하여 배관(11)을 거쳐서 공급되는 음료수와 공급 노즐(28)에서 혼합되어 컵(27)에 공급됨으로써 컵식 음료로서 판매된다. 탄산 음료의 경우에는 시럽은 카보네이터(10)로부터 배관(30)을 거쳐서 공급되는 탄산수와 공급 노즐(28)에서 혼합되어 컵(27)에 공급됨으로써 컵식 음료로서 판매된다. 또한, 탄산 음료가 중탄산 음료, 약탄산 음료인 경우에는 판매되는 컵식 음료의 가스 볼륨에 따라,배관(11)을 거쳐서 소정량의 음료수가 공급되어 공급 노즐(28)에서 혼합된다.The syrup having passed through the sold-out case 22 is cooled by the cooling coil 23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tank 7, and at a flow rate set by the flow regulator 25 based on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26. It is sent to the supply nozzle 28. This syrup is sold as a cup type | mold drink by mixing with the drink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ing 11 and the supply nozzle 28, and supplying it to the cup 27 based on switching of the three-way valve 9. In the case of the carbonated beverage, the syrup is sold as a cup beverage by being mixed with the carbonated water supplied from the carbonator 10 via the pipe 30 and supplied from the supply nozzle 28 to the cup 27. In addition, when the carbonated beverage is a bicarbonate beverage or a weak carbonated beverage,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pipe 11 and mixed in the supply nozzle 28 according to the gas volume of the cup-type beverage sold.

또한, 공급되는 시럽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 예를 들어 시럽 탱크(15)의 시럽 송출부(15B)에 카보네이터(10)의 서비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여 가스 밸브(20)를 개방하여 탄산 가스를 공급하고, 계속해서 전자 밸브(26)를 개방함으로써 카보네이터(10)로부터 배관(21)에 탄산수가 공급되어 관내가 세정된다. 세정후, 카보네이터(10)의 서비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제거하여 가스 봄베(14)의 서비스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가스 밸브(20)를 개방하여 탄산 가스를 배관(21)에 공급함으로써 관내의 액체분이 제거된다.In addition, when changing the kind of syrup supplied, the gas valve 20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service connector (not shown) of the carbonator 10 to the syrup sending part 15B of the syrup tank 15, for example. Carbon dioxide is opened to supply carbon dioxide, and then the solenoid valve 26 is opened, so that carbonat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carbonator 10 to the pipe 21 to clean the inside of the tube. After cleaning, the service connector (not shown) of the carbonator 10 is removed to connect the service connector (not shown) of the gas cylinder 14, and the gas valve 20 is opened to pipe carbon dioxide 21. ), The liquid in the tube is removed.

상기한 컵식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시럽 공급계의 배관 전체에서 컵 1잔의 판매량에 대응한 시럽량을 확보함으로써, 품절 케이스(22)를 형성하는 부품수를 저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비용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품절 케이스(22) 내에 형성되는 시럽 유로(22E)의 내경(d2)을 배관 접속 부재(22K)의 내경(d1)에 대하여 확대량이 관로 단면적에서 3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시럽통과시에 시럽의 흐름에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전극(22F)이 시럽 유로(22E)의 유속 변화에 의거하여 시럽에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오동작을 발생하는 일이 없으며, 시럽 유로(22E)의 세정시에 압송되는 세정수에 의한 세정성을 높이고, 또한 다량의 세정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단시간에 품절 케이스(22) 및 시럽 공급계의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품절 케이스(22)를 갖는 시럽 공급계의 경우, 1회로의 세정에 필요한 시간은 35초이고, 사이펀형의 품절 케이스와 비교하여 세정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품절 케이스(22) 및 시럽공급계의 세정성이 향상됨으로써 판매되는 컵식 음료의 플레이버 체인지가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cup-type vending machine described above, by securing the syrup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ales amount of one cup in the entire pipe of the syrup supply system, the number of parts forming the sold-out case 22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The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forming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yrup flow path 22E formed in the sold-out case 22 so that the enlargement amount may be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piping connection member 22K, and it will pass at the time of a syrup passage. Suppress confusion in the flow of syrup. As a result, the electrode 22F does not malfunction due to bubbles generated in the syrup based on the change in the flow velocity of the syrup flow passage 22E. It increases the quality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which enables the cleaning of the sold-out case 22 and the syrup supply system in a short time. In the case of the syrup supply system having the sold-out case 22 described above, the time required for washing in one circuit is 35 seconds, and the washing time can be shortened by half compared to the siphon-type sold-out case. Thus, the flavor change of the cup type | mold drink sold by the washing | cleaning of the sold-out case 22 and the syrup supply system becomes easy.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럽 공급계를 도시하고, 품절 케이스(22)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하지 않지만, 배관 접속부(22A, 22C)에 전극 지지부(22D)를 설치하여, 배관 접속부(22A)를 L자형으로 구부린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Fig. 4 shows the syrup supply system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other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old-out case 22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no overlapping explanation will be given to the pipe connection portions 22A and 22C. The support part 22D is provided and the pipe connection part 22A is bent in an L shap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도5는 제2 실시 형태의 품절 케이스(22)를 도시하고, 전극 지지부(22D)의 선단부에는 시럽 유로(22E)로 돌출하여 시럽과 접촉하는 한쌍의 전극(22F)이 부착되어 있다. 시럽 유로(22E)는 배관 접속부(22C)에 설치되는 배관 접속 부재(22K)로부터 종이면 하부측의 전극(22F) 바로 앞까지의 내경(d1)에 대해, 이보다 하류측 내경(d2)의 확대량이 관로 단면적에서 3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시럽 유로(22E)는 하류측으로 압송되는 시럽이 자중(自重)에 의해 역류하지 않도록 배관 접속부(22A)에서 L자형으로 굽어져 있다.Fig. 5 shows the sold-out case 22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a pair of electrodes 22F protruding into the syrup flow passage 22E and contacting the syrup are attached to the tip of the electrode support 22D. The syrup flow passage 22E is enlarged in the downstream inner diameter d2 to the inner diameter d1 from the pipe connecting member 22K provided at the pipe connecting portion 22C to just before the electrode 22F on the lower side of the paper surface. The amount is formed to be three times or les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In addition, the syrup flow passage 22E is bent in an L shape at the pipe connecting portion 22A so that the syrup fed to the downstream side does not flow back due to its own weight.

도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럽 공급계를 도시하고, 전극 지지부(22D)를 본체(22)와 분리하여 본체(22)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럽 통과성 및 세정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배관(21) 설계시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관 접속부(22A, 22C)는 도시하는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3개 혹은 4개와 같이 여러개의 전극을 설치하여 각각의 전극의 통전 패턴으로부터 배관(21) 내의 시럽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해도 좋다.FIG. 6 shows a syrup supply system in the third embodiment, wherein the electrode support 22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2 and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main body 22.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pipe 21 can be improved without impairing the cleanability. Piping connection parts 22A and 22C can be provided in positions other than the position shown, and also arrange | position several electrodes like three or four, and grasping the state of the syrup in piping 21 from the electricity supply pattern of each electrode. You may do so.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시럽 공급계를 갖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장치의 시럽 공급계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cup-type vending machine which has a syrup supply system was demonstrated, the same effect can be exhibited even if it applies to the syrup supply syste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for examp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공급 관로의 소정의 위치에 시럽 검출부를 설치하고, 시럽 검출부의 하류의 공급 관로에 적어도 컵 1잔분의 판매량에 따른 시럽을 수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세정성 및 시럽 유무의 검출 정밀도가 우수하고, 시럽 공급계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up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rup detection un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ly line, and the syrup according to the sales amount of at least one cup is supplied to the supply line downstream of the syrup detection unit. The detection accuracy of qualitative and syrup presence is excellent, and the structure of a syrup supply system can be simplified.

Claims (4)

시럽을 저장하는 시럽 저장부로부터 공급 관로를 거쳐서 공급 노즐에 공급되는 음료의 시럽과, 음료수, 탄산수 등의 희석수를 혼합하여 컵식 음료로서 판매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In the cup-type vending machine which mixes the syrup of the drink supplied to a supply nozzle from a syrup storage part which stores a syrup, and the dilution water, such as a drink and carbonated water, and sells it as a cup type drink, 상기 공급 관로의 소정의 위치에 시럽의 유무를 검출하는 시럽 검출부를 배치하고, 상기 공급 관로가 상기 시럽 검출부로부터 상기 공급 노즐에 걸쳐 적어도 컵 1잔분의 판매량에 따른 시럽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And a syrup detect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yru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upply conduit, wherein the supply conduit has a syrup capacity in accordance with the sales amount of at least one cup from the syrup detector to the supply nozzle. vend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 검출부는 상기 공급 관로의 단면적의 3배 이하인 단면적의 시럽 유로를 갖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The cup typ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rup detection unit has a syrup flow path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f three times or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ly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 검출부는 상기 시럽 유로로 돌출하여 상기 시럽 유로를 통과하는 시럽을 거쳐서 도통함으로써 상기 시럽의 유무를 검출하는 한쌍의 전극을 갖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The cup typ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yrup detection unit has a pair of electrodes which protrude into the syrup flow path and conduct through a syrup passing through the syrup flow path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syru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 검출부는 상기 한쌍의 전극 사이의 상기 시럽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시럽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시럽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시부를 갖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The cup type automat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yrup detection unit has a visible portion provided in the syrup flow path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and having a visible portion formed to visually identify the syrup passing through the syrup flow path. Vending machine.
KR10-2001-0004429A 2001-01-31 2001-01-31 Cup-type vending machine KR1003760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429A KR100376077B1 (en) 2001-01-31 2001-01-31 Cup-type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429A KR100376077B1 (en) 2001-01-31 2001-01-31 Cup-type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939A true KR20020063939A (en) 2002-08-07
KR100376077B1 KR100376077B1 (en) 2003-03-15

Family

ID=3748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429A KR100376077B1 (en) 2001-01-31 2001-01-31 Cup-type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0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10A (en) * 2001-06-08 2002-12-16 (주)두솔 Functional silken tofu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20190133944A (en) * 2018-05-24 2019-12-04 노종진 Fruit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unmanned caf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10A (en) * 2001-06-08 2002-12-16 (주)두솔 Functional silken tofu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20190133944A (en) * 2018-05-24 2019-12-04 노종진 Fruit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unmanned caf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6077B1 (en)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225B1 (en) Suppling apparatus and there method of chemical liquor
US6382464B1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US828665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liminating the risk of leakage from a first one to a second one of two fluid systems
US5342587A (en) Detergent dispenser for use with solid cast detergent
CN109718678A (en) The sterile carbonator of soda
KR100376077B1 (en) Cup-type vending machine
ITFI20100138A1 (en) TAP FOR DEVICES FOR DISPENSING DRINKS FROM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THE LIKE.
JP2003164883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terilized water
JP2000300461A (en) Cleaning device
TW202226424A (en) Liquid supply apparatus and liquid supply method
JP2003237897A (en)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unning-out of liquid
IE72185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ygiene of beer dispensing
JP2000318798A (en) Beverage supplying system
JPH0751346A (en) Shower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sanitary facilities or sanitary fixtures
CN220441871U (en) Carbonation system and carbonated beverage making apparatus
CN220872024U (en) Water tap detection device
JP2003192099A (en) Flow rate controller and drink feeder having the same
CN214894575U (en) Water outlet device low-temperature testing device
KR100481802B1 (en) Tee shut-off manual operated valve
JP7448426B2 (en) water server
JP7299922B2 (en) Beverage supply system cleaning equipment
JP2001276600A (en) Supplying apparatus for chemical
JP2002257300A (en) Water distributing device
JP2003154243A (en) Mixing apparatus
KR0124325Y1 (en) Device of detecting of supplying water for coffee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