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690A -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690A
KR20020063690A KR1020010004277A KR20010004277A KR20020063690A KR 20020063690 A KR20020063690 A KR 20020063690A KR 1020010004277 A KR1020010004277 A KR 1020010004277A KR 20010004277 A KR20010004277 A KR 20010004277A KR 20020063690 A KR20020063690 A KR 2002006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
network
pcm
encoding metho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3690A/ko
Publication of KR2002006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6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50Conversion between different kinds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31P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과 연동할 때 인터페이스 하는 접점에서 PCM 인코딩 방식을 변환함으로써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의 연동을 원활히 한다.

Description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PCM DATA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변환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M 인코딩(Pulse Code Modulation encoding)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PCM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Law 방식의 국설교환기와 E1-PRI(Primary Rate Interface)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해서 사설교환 시스템의 PCM 인코딩 방식은 A_Law(ITU G.711)이어야만 한다.즉 사설 교환 시스템 망에 연결된 단말과, 상기 단말과 인터페이스 하는 가입자 카드 모두는 PCM 인코딩 방식이 A_Law 방식이어야 한다(μ_Law 방식 사용불가). 이를 도 1의 일 예를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PCM 인코딩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종래 기술에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A-Law 방식의 국설 교환기가 포함되어 있는 ISDN(Integrated Services Data Network: 2)이 LIU(Line Interface Unit: 4), TSW(Time SWitch: 6)를 통하여 μ_Law 방식의 사설교환 시스템이 포함된 ISDN(8)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서는, ISDN(8)에 포함된 μ_Law 방식의 단말 및 그 단말과 인터페이스하는 PCM 인코딩 방식이 A_Law 방식이어야 한다.
따라서 PCM 인코딩의 변환 없이 μ_Law 방식의 PCM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사설 교환망은 A_Law 방식의 PCM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국설 교환시스템 망과 연동할 수 없다. 즉 서로 상이한 PCM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망간에는 원활한 인터페이스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의 연동을 원활히 하는 PCM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과 연동할 때 인터페이스 하는 접점에서 PCM 인코딩 방식을 변환함으로써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의 연동을 원활히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사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1 인코딩방식과는 다른 제2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국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간 피씨엠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 접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의 사용 인코딩방식 및 정보 전달 성능을 근거하여 데이터 인코딩방식 변환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PCM 데이터를 변환하는 인코딩방식 변환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사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1 인코딩방식과는 다른 제2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국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네트워크간 피씨엠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피씨엠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로부터 피씨엠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의 사용 인코딩방식 및 정보 전달 성능을 근거하여 데이터 인코딩방식 변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피씨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PCM 인코딩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종래 기술에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PCM 인코딩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코딩빙식 변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PCM(Pulse Code Modulation) 인코딩 방식이 μ_Law인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E1-PRI를 통해 PCM 인코딩 방식이 A_Law인 국설 교환 시스템과 연동할 때 서로 상이한 PCM 인코딩 방식을 사용함으로 해서 발생할 수 있는 호의 절단, 비정상적인 통화로의 설정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간의 PCM 인코딩 방식이 같아지도록 변환하는 기술이다.
도 2는 PCM 인코딩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과 연동할 때 인터페이스하는 접점에서 PCM 인코딩 방식을 변환함으로써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의 연동을 원활히 한다.
도 2의 구성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의 구성에서 참조번호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W(Time SWitch)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W(20)는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접점이 되며, PCM 인코딩 방식을 ① A_Law -> μ_Law 변환 및 ② μ_Law -> A_Law 변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TSW(20)는 통화메모리(Speech Memory), 애트리뷰트 메모리(Attribute Memory), 제어메모리(Control Memory)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메모리는 액세스 가능하다. 또한 상기 TSW(20)는 A_Law ↔μ_Law 변환테이블(Conversion Table)을 가지고 있어 서로 다른 방식의 PCM 데이터를 내부에서 변환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A_Law -> μ_Law 변환 테이블이고, 표 2는 μ_Law -> A_Law 변환 테이블이다.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0A 0B 0C 0D 0E 0F
00 2A 2B 28 29 2E 2F 2C 2D 22 23 20 21 26 27 24 25
10 39 3A 37 38 3D 3E 3B 3C 31 32 30 30 35 36 33 34
20 0A 0B 08 09 0E 0F 0C 0D 02 03 00 01 06 07 04 05
30 1A 1B 18 19 1E 1F 1C 1D 12 13 10 11 16 17 14 15
40 62 63 60 61 66 67 64 65 5D 5D 5C 5C 5F 5F 5E 5E
50 74 76 70 72 7C 7E 78 7A 6A 6B 68 69 6E 6F 6C 6D
60 48 49 46 47 4C 4D 4A 4B 40 41 3F 3F 44 45 42 43
70 56 57 54 55 5A 5B 58 59 4F 4F 4E 4E 52 53 50 51
80 AA AB A8 A9 AE AF AC AD A2 A3 A0 A1 A6 A7 A4 A5
90 B8 BA B7 B8 BD BE BB BC B1 B2 B0 B0 B5 B6 B3 B4
A0 8A 8B 88 89 8E 8F 8C 8D 82 83 80 81 86 87 84 85
B0 9A 9B 98 99 9E 9F 9C 9D 92 93 90 91 96 97 94 95
C0 E2 E3 E0 E1 E6 E7 E4 E5 DD DD DC DC DF DF DE DE
D0 F4 F6 F0 F2 FC FE F8 FA EA EB E8 E9 EE EF EC ED
E0 C8 C8 C6 C7 CC CD CA CB C0 C1 BF BF C4 C5 C2 C3
F0 D6 D7 D4 D5 DA DB D8 D9 CF CF CE CE D2 D3 D0 D1
<< A_Law -> μ_Law 변환 테이블 >>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0A 0B 0C 0D 0E 0F
00 2A 2B 28 29 2E 2F 2C 2D 22 23 20 21 26 27 24 25
10 3A 3B 38 39 3E 3F 3C 3D 32 33 30 31 36 37 34 35
20 0A 0B 08 09 0E 0F 0C 0D 02 03 00 01 06 07 04 05
30 1B 18 19 1E 1F 1C 1D 12 13 10 11 16 17 14 15 6A
40 68 69 6E 6F 6C 6D 62 63 60 61 66 67 64 65 7A 78
50 7E 7F 7C 7D 72 73 70 71 76 77 74 75 4B 49 4F 4D
60 42 43 40 41 46 47 44 45 5A 5B 58 59 5E 5F 5C 5D
70 52 52 53 53 50 50 51 51 56 56 57 57 54 54 55 55
80 AA AB A8 A9 AE AF AC AD A2 A3 A0 A1 A6 A7 A4 A5
90 BA BB B8 B9 BE BF BC BD B2 B3 B0 B1 B6 B7 B4 B5
A0 8A 8B 88 89 8E 8F 8C 8D 82 83 80 81 86 87 84 85
B0 9B 98 99 9E 9F 9C 9D 92 93 90 91 96 97 94 95 EA
C0 E8 E9 EE EF EC ED E2 E3 E0 E1 E6 E7 E4 E5 FA F8
D0 FE FF FC FD F2 F3 F0 F1 F6 F7 F4 F5 CB C9 CF CD
E0 C2 C3 C0 C1 C6 C7 C4 C5 DA DB D8 D9 DE DF DC DD
F0 D2 D2 D3 D3 D0 D0 D1 D1 D6 D6 D7 D7 D4 D4 D5 D5
<< μ_Law -> A_Law 변환 테이블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TSW(20)는 상용(Custom) IC로서 메모리를 이용한 16x16 타임스위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코딩빙식 변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설 교환망 즉 ISDN(8)에서는 PCM 인코딩 방식을 μ_Law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A_Law를 사용하는 국설망 즉 ISDN(2)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PCM 인코딩 방식간 변환을 해 주는 모듈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W(20)이다. TSW(20)은 표 1 및 표 2와 같은 A_Law ↔μ_Law 변환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환테이블을 이용해 PCM 데이터를 변환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 호 설정이 데이터 처리를 위한 호 설정이라면 PCM 데이터를 변환해서는 안 된다. 또한 μ_Law를 사용하는 사설교환망 즉 ISDN(8)에서 μ_Law를 사용하는 국설망 즉 ISDN(2)에 접속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에도 PCM 데이터 변환을 하지 말아야 한다.
상기한 역의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즉 A_Law를 PCM 인코딩 방식으로 사용하는 사설교환망에서 u_Law를 사용하는 국설망에 T1을 통해 접속하기 위해서는 위 변환과정의 역과 같은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SW(20)가 수행하는 인코딩빙식 변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TSW(20)에서의 PCM 데이터의 변환여부는 호 설정시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판단하며 애트리뷰트 메모리를 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TSW(20)에서는 PCM 데이터의 변환여부를 도 3의 100단계에서, 사설망이 μ_Law방식이고 정보 전달 성능(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이 통화용인가를 판단하고, 만약 그럴 경우에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표 1 및 표 2를 이용해 PCM데이터 A_Law ↔μ_Law 변환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120단계로 진행하여 PCM데이터 변환을 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서로 다른 PCM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망간의 접속을 위해서 어느 한쪽 망의 인코딩 방식을 바꾸기 위해 망에 접속되어있는 단말 및 가입자 카드를 바꿀 필요가 없어진다. 즉 다른 망에 접속하는 접점에서의 변환만으로 PCM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망간의 접속이 가능해 진다.

Claims (3)

  1. 제1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사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1 인코딩방식과는 다른 제2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국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간 피씨엠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 접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의 사용 인코딩방식 및 정보 전달 성능을 근거하여 데이터 인코딩방식 변환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PCM 데이터를 변환하는 인코딩방식 변환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2. 제1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사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1 인코딩방식과는 다른 제2 인코딩방식을 사용하는 국설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네트워크간 피씨엠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피씨엠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로부터 피씨엠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서의 사용 인코딩방식 및 정보 전달 성능을 근거하여 데이터 인코딩방식 변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피씨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엠 데이터 변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테이블은 하기 표 1의 A_Law -> μ_Law 변환 테이블과 표 2의 μ_Law -> A_Law 변환 테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엠 데이터 변환방법.
    <<표 1>> A_Law -> μ_Law 변환 테이블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0A 0B 0C 0D 0E 0F 00 2A 2B 28 29 2E 2F 2C 2D 22 23 20 21 26 27 24 25 10 39 3A 37 38 3D 3E 3B 3C 31 32 30 30 35 36 33 34 20 0A 0B 08 09 0E 0F 0C 0D 02 03 00 01 06 07 04 05 30 1A 1B 18 19 1E 1F 1C 1D 12 13 10 11 16 17 14 15 40 62 63 60 61 66 67 64 65 5D 5D 5C 5C 5F 5F 5E 5E 50 74 76 70 72 7C 7E 78 7A 6A 6B 68 69 6E 6F 6C 6D 60 48 49 46 47 4C 4D 4A 4B 40 41 3F 3F 44 45 42 43 70 56 57 54 55 5A 5B 58 59 4F 4F 4E 4E 52 53 50 51 80 AA AB A8 A9 AE AF AC AD A2 A3 A0 A1 A6 A7 A4 A5 90 B8 BA B7 B8 BD BE BB BC B1 B2 B0 B0 B5 B6 B3 B4 A0 8A 8B 88 89 8E 8F 8C 8D 82 83 80 81 86 87 84 85 B0 9A 9B 98 99 9E 9F 9C 9D 92 93 90 91 96 97 94 95 C0 E2 E3 E0 E1 E6 E7 E4 E5 DD DD DC DC DF DF DE DE D0 F4 F6 F0 F2 FC FE F8 FA EA EB E8 E9 EE EF EC ED E0 C8 C8 C6 C7 CC CD CA CB C0 C1 BF BF C4 C5 C2 C3 F0 D6 D7 D4 D5 DA DB D8 D9 CF CF CE CE D2 D3 D0 D1
    <<표 2>> μ_Law -> A_Law 변환 테이블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0A 0B 0C 0D 0E 0F 00 2A 2B 28 29 2E 2F 2C 2D 22 23 20 21 26 27 24 25 10 3A 3B 38 39 3E 3F 3C 3D 32 33 30 31 36 37 34 35 20 0A 0B 08 09 0E 0F 0C 0D 02 03 00 01 06 07 04 05 30 1B 18 19 1E 1F 1C 1D 12 13 10 11 16 17 14 15 6A 40 68 69 6E 6F 6C 6D 62 63 60 61 66 67 64 65 7A 78 50 7E 7F 7C 7D 72 73 70 71 76 77 74 75 4B 49 4F 4D 60 42 43 40 41 46 47 44 45 5A 5B 58 59 5E 5F 5C 5D 70 52 52 53 53 50 50 51 51 56 56 57 57 54 54 55 55 80 AA AB A8 A9 AE AF AC AD A2 A3 A0 A1 A6 A7 A4 A5 90 BA BB B8 B9 BE BF BC BD B2 B3 B0 B1 B6 B7 B4 B5 A0 8A 8B 88 89 8E 8F 8C 8D 82 83 80 81 86 87 84 85 B0 9B 98 99 9E 9F 9C 9D 92 93 90 91 96 97 94 95 EA C0 E8 E9 EE EF EC ED E2 E3 E0 E1 E6 E7 E4 E5 FA F8 D0 FE FF FC FD F2 F3 F0 F1 F6 F7 F4 F5 CB C9 CF CD E0 C2 C3 C0 C1 C6 C7 C4 C5 DA DB D8 D9 DE DF DC DD F0 D2 D2 D3 D3 D0 D0 D1 D1 D6 D6 D7 D7 D4 D4 D5 D5
KR1020010004277A 2001-01-30 2001-01-30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KR20020063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77A KR20020063690A (ko) 2001-01-30 2001-01-30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77A KR20020063690A (ko) 2001-01-30 2001-01-30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690A true KR20020063690A (ko) 2002-08-05

Family

ID=2769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277A KR20020063690A (ko) 2001-01-30 2001-01-30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369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4399A (ja) * 1985-11-14 1987-05-26 Fujitsu Ltd デイジタル通話路装置
KR0134478B1 (ko) * 1994-08-23 1998-04-27 박성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 변환 및 전송 장치
KR19980014838A (ko) * 1996-08-16 1998-05-25 정장호 사설교환기에서의 pcm포맷 변환 장치
KR19980027106A (ko) * 1996-10-14 1998-07-15 정장호 압신변환 기능을 가진 디지탈 트렁크 보드
KR0143207B1 (ko) * 1993-12-04 1998-08-17 정장호 전전자 교환기용 pcm 데이타 변환 및 역다중화 회로
KR0151628B1 (ko) * 1995-08-29 1998-11-02 정장호 피시엠 데이타 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4399A (ja) * 1985-11-14 1987-05-26 Fujitsu Ltd デイジタル通話路装置
KR0143207B1 (ko) * 1993-12-04 1998-08-17 정장호 전전자 교환기용 pcm 데이타 변환 및 역다중화 회로
KR0134478B1 (ko) * 1994-08-23 1998-04-27 박성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 변환 및 전송 장치
KR0151628B1 (ko) * 1995-08-29 1998-11-02 정장호 피시엠 데이타 변환장치
KR19980014838A (ko) * 1996-08-16 1998-05-25 정장호 사설교환기에서의 pcm포맷 변환 장치
KR19980027106A (ko) * 1996-10-14 1998-07-15 정장호 압신변환 기능을 가진 디지탈 트렁크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2197A1 (en) Multi-services communications device
US6374301B1 (en) Data network communications
KR20020063690A (ko) 피씨엠 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KR100265071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인터넷과 연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194209B2 (ja) 移動通信用準公衆システム
CN1234164A (zh) V5.2接入节点中扫描或中断模块线路的方法
KR19990047970A (ko) 랜 접속을 위한 통신 장치
CA2266027A1 (en) Multiprotocol system and de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US6665290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0452917C (zh) 移动终端上网系统及其方法
KR100269148B1 (ko) 전화회선을이용한전화및데이터통신장치
US9042374B2 (en) Selective bandwidth connectivity through network line cards
Browne Network of the Future
EP0720399A3 (de)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etriebsweise von einem programmgesteuerten Kommunikationssystem zugeordneten Mobilendgeräten
RU2000109284A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елеф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через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узел сети общ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US20070243902A1 (en) Configuration containing at least two radio secti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figuration
WO1998056143A3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WO1998056142A3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7218631B1 (en) Switching apparatus with ISDN access
EP157683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select a bearer link between an access network and a local exchange
KR100264855B1 (ko) 아이디엘씨기능구현을위한가입자전송장치
KR100397341B1 (ko) 사설교환망의 가입자 직접 호출 및 정보 전송 방법
KR100336512B1 (ko) 간이 사설교환기의 내장형 네트워크 단말 장치
KR100350904B1 (ko) 비동기 디지털 가입자 라인(adsl)의 집선장치인 디스램(dslam) 시스템의 통신환경 초기 설정방법
RU2233555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телеф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нешнего абонента через автоматическую телефонную станцию с абонентом учрежденческ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елефонной стан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