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644A -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약품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약품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644A
KR20020062644A KR1020027006346A KR20027006346A KR20020062644A KR 20020062644 A KR20020062644 A KR 20020062644A KR 1020027006346 A KR1020027006346 A KR 1020027006346A KR 20027006346 A KR20027006346 A KR 20027006346A KR 20020062644 A KR20020062644 A KR 2002006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outlet
chamber
cylindrical surfa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브라함 쉐갈림
Original Assignee
메드리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리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메드리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 G05D7/0113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the sensing element acting as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84Responsive to change in rate of fluid flow
    • Y10T137/7787Expansible chamber subject to differential pressures
    • Y10T137/7788Pressures across fixed cho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유동제어기(10)는 출구(24)와 가요성 다이아프램(14)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가변형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다이아프램의 위치는 다이아프램의 제1측부상의 검출챔버(16)와 다이아프램의 제2측부상의 출구챔버(18) 사이의 압력편차에 대한 함수에 의해 변화된다. 상기 제어기(10)는 검출챔버(16)로부터 출구챔버(18) 까지 유로에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한부(22)는 미끄럼접촉되어 있는 대향의 원통면(26, 28)이 구비된 2개의 원통형 소자(12, 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원통면(26, 28)중 한쪽은 원통면(26, 28)의 축선에 평행한 실제 유동벡터를 갖는 유동감쇠용 통로를 형성하는 형태의 홈(30)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소자(12, 20) 사이에서의 축방향의 상대이동은 원통면(26, 28) 사이에서 중첩도의 변화를 유발하므로써 상기 유동감쇠용 통로의 작동길이를 변화시킨다.

Description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약품 분배장치{PRESSURE-RESPONSIVE FLOW REGULATOR AND DRUG DELIVERY DEVICES EMPLOYING THE SAME}
여러 경우에 있어서, 주어진 시간에 낮은 속도로 약물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한 가장 상업적인 기법에 따르면, 상기 약물을 물리적으로 화합할 수 있는 다량의 액체에 첨가시킨 후 그 최종적인 혼합물을 주입(infusion)을 통해 분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여러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량이 의학적으로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둘째로, 상기 주입에 의해 환자의 이동성이 상당히 제한을 받게 된다. 셋째로, 상기 혼합물의 분배비율은 유동비율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조작자의 능력과, 주입백(infusion bag) 내의 액체수위에 따라 부정확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처리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해결책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나머지 문제에 대해서는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약물 분배를 늦추려는 또 다른 방법은 접착패치를 사용하여 피부를 통해 흡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투여량이 불규칙하며 매우 소량의 약물 만을 분배할 수 있을 뿐이다.
다양한 범위의 유동비율로 투여량을 보다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압력응답형 가요성 다이아프램에 기초한 유동제어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제어기의 원리는 본원에 참조인용되고, 댄 브론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343.305호 및 제5.421.36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4.343.305호에는 주입에 사용하기 위한 유동제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동제어기는 가요성 다이아프램에 의해 2개의 챔버로 분할되는 공동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들중 첫번째 챔버는 압력감응 챔버 이다. 또 다른 챔버는 유동조절용 챔버로서, 이를 통해 약물이 흐르게 되며, 이러한 유동조절용 챔버의 출구는 다이아프램의 하부에서 중앙에 배치되므로, 다른쪽 챔버에서의 압력증가로 인해 상기 다이아프램의 한쪽 방향으로의 굴곡은 출구를 통과하는 유동통로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두 챔버 사이의 초기 유동제한의 조정은 유동비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안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4.343.305호에 따르면, 관형 유동감쇠기는 하우징의 네크부(neck portion)내에 끼워지는 개선된 조정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유동감쇠기는 대향의 표면과 함께 구불구불한 미로를 형성하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미로를 따른 입구 및 출구의 상대적 위치는 유동감쇠기와 네크부 사이의 상대적 위치에 의해 변화되므로, 연속적인 유동비와 미로의 작동길이를 변화시킨다.
다이아프램에 기초한 상기 미국특허 제4.343.305호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저속투여 기법에 대해서는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제어기는 낮은 유동비로 약물의 균일한 투여를 제공하므로써, 종래의 주입기법시 과도한 희석에 대한 필요성을 피할 수 있다. 제어에 대한 압력응답 특성은 공급압력 변화가 적절히 보상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제어기들은 여러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으로서, 상기 미국특허 제4.343.305호에서 그 형상이 개선되었다 하더라도, 그 전체 조정범위는 완전한 회전 보다 상당히 좁은 회전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어기는 매우 협소한 범위의 유동비로 제한되거나, 또는 각변위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유동비 선택시 정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술한 미국특허 제4.343.305호의 또 다른 단점으로는 원통형 소자의 내측면 주위에 정밀도가 높은 구불구불한 미로를 제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브론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101.854호에는 대향하는 표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감쇠형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면들 중의 하나에 나선형 홈이 제공된 다이아프램식 유동제어기의 다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나선형 홈을 사용하게 되면 제조와 정밀도 면에서 상당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나선형의 유동감쇠형 통로는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대신에, 다이아프램에 대해 출구개구를 직접 상승시키거나 낮추므로써, 출구형상을 변화시켜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제어기들은 외부의 약물공급부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만 하므로, 약물 분배시스템을 적어도 2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형성해야 하고, 이에 따라 다소 대형화 된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유동비를 광범위한 비율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약물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고 구조가 간단한, 다이아프램식 유동제어기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내장된 체적으로부터 압력응답 방식으로 약물배출 제어를 제공하는 컴팩트한 약물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약품 분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 유동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가능하며 연속적으로 조정가능한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의 단면도.
도2는 주입선에 유동제어기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제1실시예의 약물분배장치의 단면도.
도4는 저속투여 주사기로서 도3의 약물분배장치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의 유동제어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제2실시예의 약물분배장치의 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도5의 약물분배장치를 충진중일 때와, 저속투여 주사기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의 약물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8a는 역전된 형상을 갖는, 도1의 연속적으로 조정가능한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의 단면도.
도8b는 눈금새긴 감도조정부가 도시되어 있는, 도8a의 유동제어기의 부분확대도.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조정가능한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유동제어기를 채택하고 있는 약물 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출구와 가요성 다이아프램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가변형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다이아프램의 위치는 다이아프램의 제1측부상의 검출챔버와 다이아프램의 제2측부상의 출구챔버 사이의 압력편차에 대한 함수로서 변화되는 유동제어기에서, 검출챔버와 직접 연통되는 제1포인트로부터 제2출구챔버를 통과하는 유로에 배치된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에 있어서, 원통형의 제1외측면을 제공하는 제1소자와, 상기 제1외측면과 미끄럼접촉하고 동축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내측면을 제공하는 제2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원통면과 제2원통면중 적어도 하나는 제1원통면과 제2원통면 사이에 유동감쇠용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감쇠용 통로는 상기 축선에 평행한 실제 유동벡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소자와 제2소자는 제2소자에 대한 제1소자의 축방향 이동이 제1원통면과 제2원통면 사이에 중첩도의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유동감쇠용 통로의 작동길이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원통면의 중앙축선이 기준이되는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나선형 홈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소자는 나선형의 제1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소자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제2소자에 대한 제1소자의 회전이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제2부품에 대한 제1부품의 이동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나선형 조정부와 결합하는 나선형의 상보형 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동감쇠형 통로의 작동길이는 축선 주위에서 제1소자를 제2소자에 대해 상대회전의 다수의 회전범위를 지나 회전시키므로써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단면적을 갖는 유동감쇠형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넓은 제2단면적을 갖는 유동감쇠형 통로를 형성하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부분과, 상기 공동을 저장챔버와 출구측 챔버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공동내에 배치되는 가요성 다이아프램과, 상기 저장챔버와 직접 연통되는 제1포인트로부터 유동제한부를 거쳐 상기 출구측 챔버까지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몸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형성부와, 상기 저장챔버에서의 압력증가에 응답하여 설정의 방향으로 상기 다이아프램의 굴곡이 출구를 통한 흐름을 제한하도록 상기 출구측 챔버에 형성된 출구와, 상기 저장챔버내의 유체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챔버내에 배치된 압력적용기(pressure applicator)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버츄얼실린더상에 놓이는 유동감쇠용 통로로서 형성되며; 상기 저장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감쇠형 통로의 버츄얼 실린더내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정속흐름 유동분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적용기는 스프링식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식 피스톤은 저장챔버의 충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수동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적용기는 팽창가능한 풍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조정가능한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유동제어기가 사용되는 약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기 및 약물분배장치의 원리와 그 작동은 첨부의 도면과 청구범위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에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가능한, 연속적으로 조정가능한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동제어기(10)의 작동원리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상술의 다이아프램식 제어기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유동제어기(10)는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부분(12)과, 상기 공동을 입구측 챔버(16)와 출구측 챔버(18)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공동내에 배치되는 가요성 다이아프램(14)을 포함한다. 입구측 챔버(16)와 직접 연통되는 제1포인트로부터 유동제한부(22)를 거쳐 상기 출구측챕버(18) 까지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로형성부(20)가 상기 몸체부분(12)과 연결된다. 출구측 챔버(18)에서의 출구(24)는 입구측 챔버(16)에서의 압력증가에 응답하여, 설정된 방향으로의 다이아프램 굴곡에 의해 출구(24)를 통한 흐름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특징은, 유동제한부(22)가 몸체부분(12)에 대해 유로형성부(20)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므로써 그 작동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유로형성부(20)와 몸체부분(12)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조정가능한 유동감쇠용 통로로서 형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부분(12)은 외측의 제1원통면(26)을 제공하며, 상기 유로형성부(20)는 상기 외측의 제1원통면(26)과 미끄럼접촉하며 동축으로 배치된 내측의 제2원통면(28)을 제공한다. 외측의 제1원통면과 내측의 제2원통면중 적어도 하나는 외측의 제1원통면(26)과 내측의 제2원통면(28) 사이에 유로감쇠용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로감쇠용 통로는 상기 원통면의 축선에 평행한 실제 유동벡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로형성부(20)와 몸체부분(12)은 이들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 이동이 외측의 제1원통면(26)과 내측의 제2원통면(28) 사이에서 중첩도의 변화를 유발하므로써 유동감쇠용 통로의 작동길이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동감쇠용 통로는 원통면의 축선에 평행한 실제 유동벡터를 갖는다. 본 기술분야나 유동제어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동감쇠용 통로 라는 용어는 2개의 포인트 사이에 인위적으로 신장된 통로를 생산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것은 2개의 단부 포인트 사이에 구불구불한 유로(미로)를 도입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원통형인 통로인 경우 신장된 나선형 유로를 형성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실제 유동벡터" 라는 용어는 통로 자체내의 "우회로"를 무시한, 그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유동에 의해 이어지는 실제 통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실제 유동벡터는 이동한 통로길이가 실린더를 따라 이동한 축방향 거리의 직접적인(전형적으로 선형인) 함수가 되도록 상기 원통면의 축선에 대해 "평행한" 것으로 서술되어 있다. 실제 유로는 축선에 평행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축선 주위에서 입구 및 출구의 각도 배치가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조정시에 변화되기 때문이다.
홈(30)은 제1 및 제2원통면(26, 28)에 모두, 즉 몸체부분(12) 또는 유로형성부(20)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30)이 몸체부분(12)의 일부로서 제1원통면(26)에 형성된 실시예인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서술될 것이다. 도8a 및 도8b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며, 역전된 형태를 취하는 제어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감쇠용 통로의 "작동길이"는 제1 및 제2원통면(26, 28) 사이의 중첩도에 좌우되는 함수가 된다. 특히, 홈(30)이 제1원통면(26)에 형성된 경우, 제2원통면(28)은 도시된 유로형성부(20)의 내경의 확대부로 형성된 홈(36)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유동이 유동감쇠용 통로로 한정되는 길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홈(30)의 좌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오목부(36)에서 종료되는, 제1 및 제2원통면(26, 28) 사이의 중첩도에 의해 설정된다. 이러한 길이는 유동감쇠용통로의 "작동길이"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홈(30)은 나선형 홈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홈이 생산될 수 있는 정밀도와 제조성에 대해 장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단일 나선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이상의 홈(30)이 이중나선 또는 삼중나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분(12)과 유로형성부(20)의 축방향 상대위치에 대한 정밀조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들은 상보형 나선조정부(32, 34)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나선조정부는, 축선 주위에서 몸체부분(12)에 대한 유로형성부(20)의 회전이 축방향으로 이들 사이에서 저속으로 정밀조정가능한 상대이동을 발생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배치된다. 상기 나선부의 피치는 유동감쇠용 통로 작동길이의 전체 조정범위가 축선 주위에서 몸체부분(12)에 대해 유로형성부(20)의 적어도 2회의(양호하기로는 적어도 3회, 가장 양호하기로는 5회 정도) 완전 회전에 대응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유동제어기(10)에 의해 수용되는 전체 유동비 범위에 걸쳐, 유동비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은 다양한 범위의 유동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시간당 최대 10리터의 주입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간당 수밀리리터 또는 수십밀리리터 범위의 분배비율로 하기에 서술될 본 발명의 분배장치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설정된 유동비의 차후 범위(sub-range) 만을 필요로 하는 용도로 사용될 때, 홈(30)의 크기는 의도하고자 하는 차후 범위에 걸쳐 최대감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제어기(10)는 도8b를 참조로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눈금이 새겨진 다단식 감도조정부로 작동된다.
특히, 도8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30)은 유동비 설정에 적합한 감도조정을 제공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가변형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오버래핑된 제1부분(30a)은 높은 유동비에 적합한 유동비를 제공하는 상당히 넓은 단면적을 갖는다. 중간부(30b)는 미세조정에 적합한 작은 면적을 갖는다. 가장 낮은 유동비로 중첩되는 제3부분(30c)은 낮은 유동비에서 필요로 하는 조정감도를 제공하기 위해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유동제어기(10)는 10 리터/시간(l/h)으로부터 1 리터/시간 까지 낮추고, 1 리터/시간 으로부터 10 밀리리터/시간, 10 밀리리터/시간 으로부터 100 마이크로리터/시간 등과 같은 3개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을 서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분할하는 것은 홈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홈의 크기는 로그 크기의 조정과 유사하도록 연속한 방식으로, 또는 거의 연속에 가까운 방식으로 변화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도시않음), 홈의 크기는 역방향으로 즉, 작은 단면적이 대향면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후자는 조정기구가 회전하게 되는 수많은 회전과 함께 유동비의 선형적 변화 또는 거의 선형에 가까운 변화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에 설정되는 유동비를 나타내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38)이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일(38)은 몸체부분(12)과 유로형성부(20) 사이의 축방향 변위에 기초한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다. 복합회전(multiple turns)을 사용하여 이러한 스케일을 따른 조정은, 상기 미국특허 제5.421.363호에 개시된 단일주기(single revolution)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것 보다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제어기(10)의 구성에 있어서, 몸체부분(12)은 다이아프램(14)의 원주위치를 형성하는 시트(42)를, 입구측 챔버(16)로부터 유동제한부(22)까지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 통로(44)를, 상기 유동제한부(22)로부터 출구측 챔버(18) 까지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 통로(46)를 각각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주입식 제어용과 같은 종래의 직렬식 유동제어에서는 제어기(10)의 입구연결부(50)를 제공하기 위해 어댑터소자(48)가 부가된다. 상기 어댑터소자(48)는 역류(하기에 서술될 것임)일 경우 시트(42)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아프램(14)을 지지하고, 통로(44)를 향한 흐름이 차단되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사용시, 유동제어기(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며, 유로형성부(20)를 필요로 하는 유동비로 회전하므로써 조정된다. 상기 유동형성부(20)는 완전밀폐되거나 완전개방된 한가지 또는 두가지의 극단의 상태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완전밀폐된 상태는, 극단의 저속흐름 위치에서 유로형성부(20)를 그 밀봉부(52)중 하나가 통로(44) 위에 안착되어 상기 통로를 차단하도록 형성하므로써 제공된다. 완전개방된 "단락회로(short-circuit)" 상태는 극단의 고속흐름 위치에서 오목부(36)가 홈(30)의 시작부를 지나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므로써 제공된다.
도3 내지 도7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기는 주사기 펌프와 같은 저속투여 장치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상당히 컴팩트하고 자체내장된 정류(定流) 분배장치의 베이스를 형성한다. 특히, 동축이고 중공이며 원통형인 몸체부분(12)과 유로형성부(20)는 유동감쇠용 통로의 버츄얼 실린더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는 저장챔버로 사용되는 중공코어를 제공한다. 유동 분배장치는 저장챔버내의 유체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여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챔버[도1의 어댑터(48)를 대체함]내에 배치되는 압력적용기를 포함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압력적용기는 나선형 스프링(58)에 의해 삽입슬리브(56)에 대해 전방으로 가압되는 스프링식 피스톤(5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삽입슬리브(56)의 외측단부면 및 전방단부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48)의 대응면과 유사하다. 이 경우, 피스톤(54)은 수동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삽입슬리브(56)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된다. 이것은 분배기의 전방이 유체에 잠길 동안, 피스톤의 후퇴에 의해 저장챔버가 수동으로 충진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분배기에 대한 이와 같은 실시예 및 기타 다른 실시예에서, 다이아프램(14)은 충진중 역방향 압력에 의해 시트(42)로부터 미세하게 상승하게 되어 유체흐름이 유동제한부(22)를 우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4에는 바늘에 직접 연결되는 이러한 분배기의 전형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5 내지 도6b에는 스프링식 피스톤(60)이 수동으로는 후퇴시킬 수 없는 밀폐된 유니트로서 조작되는, 도3 및 도4와 유사한 유체분배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충진은 주사기(도6a)와 같은 배압(背壓)을 적용시켜 이루어져야만 한다. 충진된 후, 주사기는 제거되며, 상기 분배기는 밀봉되어 사용시까지 밀봉되어 저장된다. 그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늘이 부착된다(도6b).
마지막으로, 도7에는 도5의 실시예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유체분배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압력적용기는 팽창가능한 풍선(62)을 사용하여 조작된다. 상기 풍선(62)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그리고 스텐레스 스틸 등이 포함될 수 있는 의학적 등급의 재료로 제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분배장치의 구조와 작동은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서술된 제어기(10)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0)

  1. 출구와 가요성 다이아프램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가변형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다이아프램의 위치는 다이아프램의 제1측부상의 검출챔버와 다이아프램의 제2측부상의 출구챔버 사이의 압력편차에 대한 함수로서 변화되는 유동제어기에서, 검출챔버와 직접 연통되는 제1포인트로부터 제2출구챔버를 통과하는 유로에 배치된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로서,
    원통형의 제1외측면을 제공하는 제1소자와,
    상기 제1외측면과 미끄럼접촉하고 동축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내측면을 제공하는 제2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원통면과 제2원통면중 적어도 하나는 제1원통면과 제2원통면 사이에 유동감쇠용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감쇠용 통로는 상기 축선에 평행한 실제 유동벡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소자와 제2소자는 제2소자에 대한 제1소자의 축방향 이동이 제1원통면과 제2원통면 사이에 중첩도의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유동감쇠용 통로의 작동길이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원통면의 중앙축선이 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나선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자는 나선형의 제1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소자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제2소자에 대한 제1소자의 회전이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제2부품에 대한 제1부품의 이동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나선형 조정부와 결합하는 나선형의 상보형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쇠형 통로의 작동길이는 축선 주위에서 제1소자를 제2소자에 대해 상대회전의 다수의 회전범위를 지나 회전시키므로써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단면적을 갖는 유동감쇠형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넓은 제2단면적을 갖는 유동감쇠형 통로를 형성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유동제한부.
  6.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부분과,
    상기 공동을 저장챔버와 출구측 챔버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공동내에 배치되는 가요성 다이아프램과,
    상기 저장챔버와 직접 연통되는 제1포인트로부터 유동제한부를 거쳐 상기 출구측 챔버까지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몸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형성부와,
    상기 저장챔버에서의 압력증가에 응답하여 설정의 방향으로 상기 다이아프램의 굴곡이 출구를 통한 흐름을 제한하도록 상기 출구측 챔버에 형성된 출구와,
    상기 저장챔버내의 유체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챔버내에 배치된 압력적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버츄얼 실린더상에 놓이는 유동감쇠용 통로로서 형성되며; 상기 저장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감쇠형 통로의 버츄얼 실린더내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흐름 유동분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형성부는 상기 유동제한부의 유동제한부가 상기 몸체부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유로형성부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조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흐름 유동분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적용기는 스프링식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흐름 유동분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식 피스톤은 저장챔버의 충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수동으로 후퇴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흐름 유동분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적용기는 팽창가능한 풍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흐름 유동분배장치.
KR1020027006346A 1999-11-18 2000-11-09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약품 분배장치 KR20020062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43,112 1999-11-18
US09/443,112 US6254576B1 (en) 1999-11-18 1999-11-18 Pressure-responsive flow regulator and drug delivery devices employing the same
PCT/US2000/028893 WO2001036024A1 (en) 1999-11-18 2000-11-09 Pressure-responsive flow regulator and drug delivery devices employ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644A true KR20020062644A (ko) 2002-07-26

Family

ID=2375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46A KR20020062644A (ko) 1999-11-18 2000-11-09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약품 분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54576B1 (ko)
EP (1) EP1233798A4 (ko)
JP (1) JP2003513759A (ko)
KR (1) KR20020062644A (ko)
AU (1) AU1434601A (ko)
CA (1) CA2389540A1 (ko)
IL (1) IL149684A0 (ko)
WO (1) WO2001036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308B2 (en) 1999-07-09 2003-09-16 I-Flow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US6679865B2 (en) * 2001-12-07 2004-01-20 Nedrip Ltd. Fluid flow meter for gravity fed intravenous fluid delivery systems
US6752795B2 (en) * 2002-06-24 2004-06-22 Bausch & Lomb Incorporated Adjustable fluid flow resistor cassette
WO2004087237A2 (en) * 2003-03-27 2004-10-14 Medical Research Products-A, Inc. Implantable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ing pressure regulator
US6932107B2 (en) * 2003-06-24 2005-08-23 Flow Control Industries, Inc. Flow control valves
US20050075612A1 (en) * 2003-10-03 2005-04-07 Baxter International Inc. Parylene coated fluid flow regulator
US7770595B2 (en) 2006-04-27 2010-08-10 Sko Flo Industries, Inc. Flow control valve
IL180877A (en) * 2007-01-22 2011-09-27 Mfs Medical Flow Systems Ltd Improved flow regulator
US8267911B2 (en) * 2007-06-08 2012-09-18 Smiths Medical Asd, Inc. Flow-through fluid reservoir
EP3284494A1 (en) 2009-07-30 2018-02-21 Tandem Diabetes Care, Inc. Portable infusion pump system
US8905064B2 (en) 2011-10-03 2014-12-09 Seik Oh Flow regulator for infusion pu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138075A1 (en) 2011-11-30 2013-05-30 Emed Technologies Corp. (Nv) Variable flow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US9180242B2 (en) 2012-05-17 2015-11-10 Tandem Diabetes Car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ultiple fluid transfer
US9348344B2 (en) 2012-10-18 2016-05-24 Fluidmaster, Inc. Constant flow rate pressure regulator
US9173998B2 (en) 2013-03-14 2015-11-03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cclusions in an infusion pump
EP2988071B1 (de) * 2014-08-19 2016-06-22 IMI Hydronic Engineering International SA Durchflussmengenreg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332A (en) 1975-05-14 1977-08-23 Nathan Blumberg Constant flow rate liquid medicament administering device
US4343305A (en) 1977-10-14 1982-08-10 Dan Bron Adjustable-rate, constant output infusion set
US4299220A (en) 1979-05-03 1981-1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mplantable drug infusion regulator
US4634434A (en) * 1985-02-19 1987-01-06 Biomedical Dynam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in medical apparatus
US4925451A (en) 1988-04-18 1990-05-15 Amendolia Pasquale J I.V. flow control device
IL90950A (en) 1989-07-12 1992-08-18 Bron Dan Low-output flow regulator
IL95660A (en) * 1990-09-12 1994-02-27 Bron Dan Pressure-compensated infusion regulator
IL105071A (en) 1993-03-16 1996-11-14 Bron Dan Adjustable rate flow regulator
US6004287A (en) * 1997-09-23 1999-12-21 Loomis; Dale J Biolistic apparatus for delivering substances into cells and tissues
US6110427A (en) * 1998-08-14 2000-08-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ow regulator to maintain controllable volumetric flow 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434601A (en) 2001-05-30
JP2003513759A (ja) 2003-04-15
CA2389540A1 (en) 2001-05-25
WO2001036024A1 (en) 2001-05-25
IL149684A0 (en) 2002-11-10
EP1233798A1 (en) 2002-08-28
US6254576B1 (en) 2001-07-03
EP1233798A4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644A (ko) 압력응답형 유동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약품 분배장치
AU618999B2 (en) Constant pressure variable flow pump
US4381006A (en) Continuous low flow rate fluid dispenser
US4744786A (en) Infusion pump
US8394061B2 (en) Drug delivery apparatus
US8277434B2 (en) Dosing device for an infu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348043B1 (en) Multi-dose infusion pump providing minimal flow between doses
FI79247B (fi) Handspruta.
US5720415A (en) Apparatus for delivering fluid at a controlled rate and pressure
US4361147A (en)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WO1988010129A1 (en) Slow delivery injection device
EP0211937A1 (e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in medical apparatus
EP128475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using a tube
CA1079235A (en) Seal-free pipette device
US7074212B1 (en) Flow regulat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EP1135179B1 (en) Flow regulator
US20190388611A1 (en) Infusion device
EP3582827B1 (en) Mandrel for an infusion assembly
CZ342195A3 (en) Accurate dosing device of liquids
RU200011913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JP2002153556A (ja) 薬液持続注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