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526A -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526A
KR20020062526A KR1020010003620A KR20010003620A KR20020062526A KR 20020062526 A KR20020062526 A KR 20020062526A KR 1020010003620 A KR1020010003620 A KR 1020010003620A KR 20010003620 A KR20010003620 A KR 20010003620A KR 20020062526 A KR20020062526 A KR 20020062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ding
bond
bid
issuer
bi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110B1 (ko
Inventor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1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110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의 채권발행자 또는 채권매출자(이하에서, "채권발행자"라 한다)의 입찰 공시내용과 이에 대한 채권수요자(이하에서, "채권투자자"라 한다) 주문호가의 부분공개 방식을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채권의 입찰과정에서 입찰시간 중 최우선호가의 주문내용을 모든 응찰자에게 인터넷을 통해 동시에 공개하여, 입찰시간 동안 응찰자들 간의 입찰주문이 경쟁적 상호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가격발견(price discovery)을 가능케 하고, 입찰과정에서 모든 응찰자들이 자신의 정보를 타인에게 공개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대량의 주문인 최우선호가의 정보노출자에게 더 많은 타 응찰자들의 주문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권경쟁입찰 과정에서 투명성 및 공정성이 제고되고, 시간적·공간적 제한성이 극복되어 참가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발행자의 입장에서 발행금리 및 발행비용이 감소되고, 수요자의 입장에서 매입수익률이 상승되고, 가격 및 상대방의 탐색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채권발행시장 참여자 모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채권발행시장의 투명성 및 유동성이 확보되게 되어, 효율적인 채권발행시장의 활성화와 선진화를 모두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Electronic a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 with partial opening of bidding quotation}
본 발명은 발행시장에서의 채권입찰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채권발행자 및 채권투자자에 접속되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해 채권을 입찰하는 방법 및 그 정보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채권이 발행되고 매매되면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을 채권시장이라고 하며, 새로운 채권의 발행·모집이 행해지는 채권발행시장과 이미 발행된 채권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채권유통시장으로 나누어진다. 채권의 발행시장은 채권발행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는 발행자, 채권투자를 통해 자금을 운용하는 투자자 및 발행자와 투자자 사이에서 채권의 발행업무를 원활히 수행하는 발행기관으로 구성된다.
발행기관이란 채권의 발행에 필요한 제반업무를 담당하고 채권발행에 따른 위험부담을 감수하고 발행자를 대신하여 판매기능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간사회사, 인수기관, 청약기관 등이 있다. 간사회사는 발행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서, 채권발행규모가 방대할 경우에는 간사회사들끼리 간사단을 형성하여 공동으로 간사업무를 수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간사업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회사를 주간사회사라고 하고, 기타 간사회사를 공동간사회사라고 부른다. 인수기관은 간사회사와 협의하여 발행되는 증권을 인수하는 핵심적인 기관으로서, 인수한 증권을 일반투자자에게 직접 매도하기도 하고 매도전문기관인 청약기관에 일부를 분매하는 도매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청약기관은 발행되는 유가증권을 최종수요자인 일반투자자에게 직접 파는 판매기관이다.
이상과 같은 오프라인 상에서의 채권발행시장은 발행기관이 선정되는 과정에서 시장 내 인맥관계 등 불합리한 요소들이 개입될 수 있고, 시간적·지역적 한계로 인해 채권발행에 참여하는 채권발행자와 채권투자자가 원활하게 접촉하기 어려우며, 채권발행에 소요되는 경비 및 시간적인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컴퓨터·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전자증권거래네트워크(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s:이하에서 ECN이라 한다)가 기존의 증권거래시장을 대체하는 대체거래시스템(Alternative Trading System:ATS)으로서 도입되어, 소위 "Cyber Capitalism"을 구축하고 있다. ECN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투자자들의 매도·매수 주문을 연결하여 체결시키는사적인 증권거래시스템이라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ECN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매매를 체결하기 때문에 가상공간에서만 존재하며, 기존의 증권거래소와는 달리 증권회사, 언론사 등에 의해 설립된 사적인 증권거래시스템이다.
ECN을 제공하고 있는 회사들 중 Instinet, Island 등은 미국의 나스닥에서 거래되는 주식만을 서비스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MarketXT는 개인투자자들에게 뉴욕증권거래소 주식에 대한 시간외거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ECN들은 아직 주식 및 채권의 유통시장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을 뿐, 채권의 발행시장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채권의 발행 및 매출과정에서 채권발행자들과 채권투자자들 사이의 시간적·공간적 격차를 해소하고, 다수 회원들간의 실시간 입찰 및 호가의 부분공개를 통하여 공정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고, 입찰과정에서 가장 낮은 수익률로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의 응찰자에게는 입찰 과정에서 발생한 일부 정보를 더 제공함으로써 응찰자에게 보다 능동적으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모든 응찰자에게 입찰시간 중 일정시간에 가장 낮은 수익률을 제시한 최우선호가의 주문내용(수익률, 주문수량)을 공개함로써 타응찰자의 응찰주문에 대해 대응주문을 제시할 수 있게 하여 전자 네트워크를 통해 채권발행시장의 입찰과정에서 가격발견(price discovery)을 용이하고 투명하게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가 회원들이 구비한 단말기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가 구현된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채권입찰처리 과정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4는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입찰정보를 입력받아 공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입찰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찰공시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회원들에게 금일입찰목록을 공시하기 위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응찰자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아 입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응찰자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기 위한 입찰주문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최우선대량호가를 주문한 응찰자의 입찰주문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입찰종료후 처리과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1은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입력받기 위한 최종입찰공고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낙찰결과를 보여주는 입찰주문현황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채권발행자 및 채권투자자에 접속되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해 채권을 경쟁입찰하는 방법은 (a)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아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단계; (b) 상기 채권의 입찰 기간 중에 다수의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는 단계; (c)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가장 낮은 수익률로 주문한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주문의 정정 및 취소를 금지시키고, 가장 낮은 수익률로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 중 소정의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입찰종료 후, 채권발행자에게 응찰현황을 제공하고,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응찰자들에게 상기 입찰정보에 제시된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최우선호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2)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최우선호가 내용을 모든 응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채권발행자 및 채권투자자에 접속되어 채권을 경쟁입찰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은 저장 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 및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은 (a)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아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모듈; (b) 상기 채권의 입찰 기간 중에 다수의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는 모듈; (c)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가장 낮은 수익률로 주문한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주문의 정정 및 취소를 금지시키고, 가장 낮은 수익률로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 중 소정의 부분을 제공하는 모듈; 및 (d) 입찰종료 후, 채권발행자에게 응찰현황을 제공하고,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응찰자들에게 상기 입찰정보에 제시된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c) 모듈은 (c1)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최우선호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듈; 및 (c2)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최우선호가 내용을 모든 응찰자에게 제공하는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시간적·공간적으로 격차를 지닌 채권발행자와 채권투자자 사이에 채권발행정보를 공유하고, 다수의 채권투자자들 사이에서 경쟁을 통하여 공정하고 투명하게 평가된 채권가격에 의해 거래가 성립하도록 중개하는 네트워크 및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한 영업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회원들이 구비한단말기들(3a, 3b 및 3c)과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된다.
여기서,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네트워크(2)를 통해 회원으로 등록된 채권발행자 및 채권투자자에 접속되어 채권발행자가 발행 또는 매출하는 채권을 입찰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이다. 이에, 채권입찰처리장치(1)와 회원들이 구비한 각 단말기(3a, 3b 또는 3c)는 서버/클라이언트로서 구축된다. 채권입찰처리장치(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네트워크(2)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세계를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으로서의 인터넷 또는 인터넷과 연동되어 단말기들(3a, 3b 및 3c)에 접속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인터넷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채권입찰처리장치(1)가 월드와이드웹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대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상기한 광의의 인터넷 환경 뿐만 아니라,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말기들(3a, 3b 및 3c)은 회원들이 네트워크(2)를 통해 채권입찰처리장치(1)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채권입찰처리장치(1)가 월드와이드웹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라 가정할 때, 단말기들(3a, 3b 및 3c)은 각각 웹의 표준 문서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읽을 수 있고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웹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이거나,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문서를 읽을 수 있고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지원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IMT-2000 등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임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1)가 구현되는 정보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8)와 저장장치(12)를 구비한 컴퓨터(20), 입력장치(26) 및 출력장치(28)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4)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구조(3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프로세서(18)는 산술연산 및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LU)(20), 데이터와 명령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세트(22) 및 컴퓨터 시스템(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18)는 특정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특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갖춘 모든 형태의 프로세서가 가능하다.
저장장치(12)는 고속의 주메모리(14)와 데이터의 장기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메모리(16)를 구비한다. 주메모리(14)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반도체 칩으로 구성되고, 보조메모리(16)는 플라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플래쉬 메모리 그리고 전기, 자기, 광 또는 다른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주메모리(14)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저장장치(12)가 다양한 저장능력을 지닌 다양한 대체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장치(26)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출력장치(28)에는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치들이 입/출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4)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과 자원의 할당을 제어하는 일련의 소프트웨어이고,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를 통해 이용가능한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소프트웨어이다. 이들 모두 도시된 저장장치(12)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4)에 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 및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를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구비한다.
이하에서 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1)의 일실시예의 동작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입찰처리장치(1)의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채권발행자 또는 채권매출자(이하에서, "채권발행자"라 한다), 그리고 채권수요자(이하에서, "채권투자자"라 한다)를 회원으로등록받는다. 등록된 회원에는 법인 또는 자연인이 포함될 수 있는데, 등록된 회원들 중 채권입찰처리장치(1)를 관리하는 사업자와 사전에 채권발행자로서 계약된 법인회원만이 신규발행을 위한 채권발행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미 발행된 채권의 경우에는 법인회원의 지정을 받은 자연인 회원(이하에서, "거래원"이라 한다)이 채권발행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등록된 회원들 중 채권입찰처리장치(1)를 관리하는 사업자와 사전에 응찰자로서 계약된 법인 또는 거래원만이 응찰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채권발행자로부터 입찰하고자 하는 채권의 입찰정보를 네트워크(2)를 통해 입력받아 회원인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한다(S300, S310).
이후,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입찰정보에 포함된 채권의 입찰개시 시각이 도래하면(S320), 응찰자격이 있는 다수의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는다(S330). 입찰시간 중 일반적으로 이미 입력된 응찰주문의 정정 및 취소가 허용된다. 특히,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5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는 모든 응찰자는 최우선호가의 주문내용을 화면을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정정·최소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가장 낮은 수익률로 주문한 최우선호가에 대한 정정 및 취소는 금지된다. 또한,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는 최우선호가와 최우선호가의 주문누적수량을 모든 응찰자들에게 화면을 통해 공개하며, 특히 최우선호가를 최우선적으로 제시함과 동시에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예를 들어, 1/3) 이상을 주문한 응찰자에게는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을 일정부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위가 유지되는 동안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는 대량주문, 주문의 정정 또는 취소 불가 등에 상응하여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을 인지한 보다 유리한 지위에서 추가적인 응찰주문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여, 입찰 종료시까지 입력된 응찰주문들을 처리한다(S340, S350). 이때, 주문시간의 유효성은 주문 데이터가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에 도달한 시간을 기준으로 판정된다.
입찰종료 후,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채권발행자에게 응찰현황을 제공하고,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채권발행자 및 낙찰자들에게 상기 입찰정보에 제시된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한다(S360, S370).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는 저장장치(10)에 저장되어 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데이터의 집합체이다.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는 채권발행자로부터 입력된 채권의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입찰대기목록 데이터베이스, 입찰대기목록에 저장된 입찰정보 중 채권발행자로부터 입찰실시확인을 받은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입찰현황목록 데이터베이스, 채권의 입찰 기간 중에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입력받은 응찰주문들을 저장하는 응찰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상기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저장하는 낙찰내역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S300 및 S310의 과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입찰하는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찰공시화면을 채권발행자에게 제공하고, 채권발행자로부터 각 항목의 내용을 입력받는다(S400).
도 5에 의하면, 입찰되는 채권의 종류는 일반채권, 변동금리부채권(Floation Rate Note : FRN),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 CB), 양도성예금증서(Certificate of Deposit : CD)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발행구분에 따라 신규발행 채권인지, 기발행 채권인지가 구분된다. 종목명은 발행되는 채권을 다른 채권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일제당 104보"와 같이 입력될 수 있다. 발행방법은 입찰방식과 매출방식으로 구분되며, 입찰방식은 단일가격입찰방식(Dutch)과 복수가격입찰방식(Conventional)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단일가격입찰방식은 다수의 응찰주문들에 기재된 수익률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채권발행자가 발행하고자 하는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최하위 하나의 수익률을 낙찰수익률로 결정하는 것이고, 복수가격입찰방식은 다수의 응찰주문들에 기재된 수익률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채권발행자가 발행하고자 하는 수량을 확보될 때까지의 응찰주문들에 기재된 수익률들을 해당 응찰자의 낙찰수익률로 결정하는 것이다.
발행방법이 입찰방식인 경우에는 호가방법이 수익률 호가 또는 스프레드 호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스프레드 호가가 선택된 경우에는 기준호가가 입력되어야 한다. 또한, 발행방법이 매출방식인 경우에는 표면이율과 발행수익률이 입력되어야 한다. 입찰채권에 대한 특이사항이나 참고내용은 첨부파일에 의해 첨부되거나, 코멘트가 입력될 수 있다.
채권발행자가 입찰공시화면에서 신규의 입찰정보를 입력한 경우에,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발행방법 및 호가방법에 따른 필수 입력항목들이 모두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규의 입찰정보를 입찰대기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저장한다(S410, S420). 이후, 등록된 회원은 입찰대기목록에 등재된 입찰정보를 채권입찰처리장치(1)가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S430).
한편, 채권발행자는 입찰공시화면에서 입찰대기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입찰정보를 인출하여 그 내용을 정정하거나, 그 내용을 삭제하여 공시를 취소할 수 있다(S440).
채권발행자로부터 특정 종목의 입찰정보에 대한 입찰실시확인을 받으면,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입찰실시확인된 종목의 입찰정보를 입찰대기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고, 입찰현황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저장한다(S450). 이후, 등록된 회원은 입찰현황목록에 등재된 입찰정보를 채권입찰처리장치(1)가 제공하는 화면(예를 들어,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금일입찰목록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S460). 도 6의 금일입찰목록화면에서는 "진행", "예정", "낙찰대기", "시간종료" 등과 같은 해당 종목의 입찰상태가 제시된다. 입찰현황목록에 등재된 각 종목은 해당 입찰일시에 자동적으로 입찰이 이루어진다(S470).
도 7은 도 3의 S330 내지 S350의 입찰 과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의 금일입찰목록화면에서 응찰자가 특정 종목에 대하여 표시된 "응찰하기"를 선택하면,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해당 종목에 대한 입찰주문화면을 응찰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발행방법이 입찰방식일 경우에는, 일반적인 채권에 대하여 수익률 호가 및 주문수량으로 구성된 응찰주문을 최대 5개까지 입력할 수 있고, 전환사채(CB)에 대하여 각 조건당 최대 3개까지 입력할수 있다(S700). 한편, 발행방법이 매출방식일 경우에는 주문수량만으로 구성된 매수주문을 1개에 한정하여 입력하되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주문수량이 발행예정수량에서 현재까지의 주문수량의 합을 제외한 잔여수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매매체결이 불가함을 알리는 메시지가 매수주문자에게 전달된다.
응찰자들에 의한 응찰주문이 신규 응찰주문인 경우(S710),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전체 주문수량 등의 집계 현황을 갱신하고, 신규 응찰주문에 포함된 수익률이 기존의 최우선호가보다 낮은 경우에는 최우선호가를 신규 응찰주문의 호가로 변경한다(S730). 또한,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응찰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응찰주문을 추가하여 저장하고, 응찰자에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735, S740).
입찰종료 전 15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는 모든 응찰자들은 타 응찰자들의 주문들 중에서 가장 낮은 수익률로 응찰한 호가(즉, 최우선호가)와 동 호가의 누적수량 등을 제공받게 되며, 특히, 총발행수량의 1/3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이 더 많이 제공된다(S715 내지 S725). 즉,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차선 및 차차선 호가와 관련된 수량이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응찰자의 입찰주문화면에 제공된다. 따라서,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는 이후의 응찰주문을 제시함에 있어 타 응찰자들에 비하여 유리한 지위에 있게 된다. 그러나, 신규 응찰주문에 의해 기존의 최우선대량호가 응찰자가 그 지위를 잃게 되면, 해당 응찰자의 입찰주문화면에서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을 제공하는 창은 사라지게 된다. 동시에최우선대량호가 응찰자 및 동일한 최우선 호가의 타 응찰자에게는 입찰시간 종료전까지 자신의 주문에 대한 취소와 정정 권한이 복원된다.
한편,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입찰종료 전 15분 이전에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최우선호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주문이 최우선호가임을 인지시키고, 입찰종료 전 15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는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응찰자들에게 최우선호가의 수익률 및 주문수량을 제공하여 응찰자들이 새로운 응찰주문을 제시하거나 이미 제시한 응찰주문을 정정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입찰시간 중 일반적으로 응찰주문의 정정 및 취소가 허용된다. 따라서, 응찰자들이 이미 제시한 응찰주문을 정정/취소하는 경우(S710), 정정/취소된 내용에 따라 전체 주문수량 등의 집계 현황이 갱신되고, 최우선호가의 내용도 변경될 수 있다(S760). 이에 따라,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응찰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응찰주문을 정정하거나 삭제하고, 응찰자에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765, S770). 그러나, 입찰종료 전 15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는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 그 호가가 최우선호가로서 유지되는 한 그 응찰주문의 정정 및 취소를 금지시킨다(S745, S750). 이 경우,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해당 응찰자에게 취소/정정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755).
상기한 바와 같은 주문처리 과정은 입찰시간 동안 반복되고(S705), 입찰이 종료된 후에는 입찰종료후 처리 과정이 진행된다(S775). 또한, 입찰 과정 중에 응찰자가 제시한 주문수량이 주문가능수량(예를 들어, 채권발행자가 발행하고자 하는수량)을 초과하거나, 호가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는 경우(예를 들어, 다른 응찰자들이 제시한 수익률에 비하여 5% 이상 크거나 작은 수익률을 기재한 경우)에는 이상 주문수량/호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응찰자에게 전달하여 응찰주문을 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정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채권입찰처리장치(1)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니터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응찰자에게 이상 징후를 통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채권발행자에게는 입찰시간 중에 응찰된 모든 응찰주문들을 확인할 수 있는 입찰주문현황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S360 및 S370의 과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입찰이 종료되면,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각 응찰자의 입찰주문화면과 채권발행자의 입찰주문현황화면에 입찰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000).
이후,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입찰종료 후 15분이 경과한 후에도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채권입찰처리장치(1)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니터로 그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관리자는 그 메시지를 확인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수단을 통해 채권발행자에게 낙찰확인을 하도록 요청한다(S1010 내지 S1040).
채권발행자가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최종입찰공고화면을 통해 낙찰 또는 유찰을 결정하고, 낙찰인 경우에는 발행수량, 발행금리 및 인수증권사를 결정하여 낙찰확인을 한 경우,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응찰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찰주문과 입찰방식에 따라 도 1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낙찰자, 낙찰수량 및 낙찰금리를 포함하는 낙찰내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낙찰내역을 낙찰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50, S1060). 이때, 채권발행자가 낙찰을 결정할 수 있는 응찰자의 주문순위는 가장 낮은 수익률 호가가 우선하며, 동일한 수익률 호가의 경우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에 접수된 시간이 빠른 응찰주문이 우선하게 된다.
이후, 채권입찰처리장치(1)는 결정된 낙찰내역에 따라 해당하는 낙찰자에게 대응하는 낙찰결과를 통보한다(S1070).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채권발행자는 희망하는 배분방식(수량, 호가)을 조건으로 채권을 발행하거나 매출하되 특정 응찰자를 지정하지 않고, 응찰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주문내용에 부합하는 낙찰결과에 대해서는 성실히 이행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기존의 증권사 위주로 형성된 소수 평가 집단에 의한 채권 평가 방식을 실수요자로 이루어진 다양한 계층의 회원들의 평가가 반영되는 방식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현저히 신뢰성이 증가된 가격발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회원들에 의한 경합을 자동적으로 취합함으로써, 채권발행에 수반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공정성 및 투명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셋째, 개별적 탐색에 따른 자금조달의 적시성이 지연되는 문제가 제거되고, 채권시장의 흐름에 탄력적이고 실시간적으로 접근하여 격지성과 시간차로 인한 불경제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넷째, 기존의 채권입찰 과정에서는 모든 응찰자가 발행자에게 입찰시간동안 자신의 입찰주문만을 제시하는 것과는 달리, 본 입찰방식은 모든 응찰자에게 입찰시간 동안의 최우선호가를 제공함으로써, 응찰자들의 주문 상호간의 대응작용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채권가격의 발견과정을 투명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되어 채권 가격발견(price discovery)의 비용을 최소화한다.
다섯째, 입찰과정에서 가장 낮은 수익률로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의 응찰자에게 입찰 과정에서 발생한 일부 정보를 더 제공함으로써 응찰자에게 보다 능동적으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통해 채권시장을 활성화하고, 시장참여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불필요한 거래비용을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뢰도 있는 채권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채권발행자 및 채권투자자에 접속되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해 채권을 경쟁입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아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단계;
    (b) 상기 채권의 입찰 기간 중에 다수의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는 단계;
    (c)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가장 낮은 수익률로 주문한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주문의 정정 및 취소를 금지시키고, 가장 낮은 수익률로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 중 소정의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입찰종료 후, 채권발행자에게 응찰현황을 제공하고,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응찰자들에게 상기 입찰정보에 제시된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입력된 입찰정보를 입찰대기목록에 추가하고, 입찰대기목록을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단계; 및
    (a3) 채권발행자로부터 입찰실시확인을 받고, 입찰실시확인된 종목의 입찰정보를 상기 입찰대기목록에서 삭제하고, 입찰현황목록에 추가하여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최우선호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2)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최우선호가 내용을 모든 응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입찰방식에는
    복수가격방식 및 단일가격방식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5. 네트워크를 통해 채권발행자 및 채권투자자에 접속되어 채권을 경쟁입찰하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저장 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 및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채권입찰처리 프로그램은
    (a)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아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모듈;
    (b) 상기 채권의 입찰 기간 중에 다수의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응찰주문을 입력받는 모듈;
    (c)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가장 낮은 수익률로 주문한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주문의 정정 및 취소를 금지시키고, 가장 낮은 수익률로 총발행수량의 소정의 부분 이상을 주문한 최우선대량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타 응찰자들의 주문상황 중 소정의 부분을 제공하는 모듈; 및
    (d) 입찰종료 후, 채권발행자에게 응찰현황을 제공하고,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응찰자들에게 상기 입찰정보에 제시된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모듈은
    (a1) 채권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입찰정보를 입력받는 모듈;
    (a2) 입력된 입찰정보를 입찰대기목록에 추가하고, 입찰대기목록을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모듈; 및
    (a3) 채권발행자로부터 입찰실시확인을 받고, 입찰실시확인된 종목의 입찰정보를 상기 입찰대기목록에서 삭제하고, 입찰현황목록에 추가하여 채권투자자들에게 공시하는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모듈은
    상기 채권발행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입찰대기목록의 입찰정보를 정정/취소하는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모듈은
    (c1)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최우선호가를 제시한 응찰자에게는 최우선호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듈; 및
    (c2)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최우선호가 내용을 모든 응찰자에게 제공하는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모듈은
    (c3)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응찰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응찰자가제시한 주문을 정정/취소하는 모듈; 및
    (c4) 입찰종료 전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입찰종료시까지, 응찰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응찰자가 제시한 주문 중 최우선호가인 주문을 제외한 주문을 정정/취소하는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모듈의 입찰방식에는
    복수가격방식 및 단일가격방식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입찰 데이터베이스는
    채권발행자로부터 입력된 채권의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입찰대기목록 데이터베이스;
    상기 입찰대기목록에 저장된 입찰정보 중 채권발행자로부터 입찰실시확인을 받은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입찰현황목록 데이터베이스;
    채권의 입찰 기간 중에 채권투자자들로부터 입력받은 응찰주문들을 저장하는 응찰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 및
    채권발행자로부터 낙찰확인을 받아 상기 입찰방식에 의해 결정된 낙찰결과를 저장하는 낙찰내역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장치.
KR10-2001-0003620A 2001-01-22 2001-01-22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KR10040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620A KR100407110B1 (ko) 2001-01-22 2001-01-22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620A KR100407110B1 (ko) 2001-01-22 2001-01-22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526A true KR20020062526A (ko) 2002-07-26
KR100407110B1 KR100407110B1 (ko) 2003-11-28

Family

ID=2769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620A KR100407110B1 (ko) 2001-01-22 2001-01-22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75B1 (ko) * 2009-10-08 2010-07-22 김동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US10102576B2 (en) 2013-03-15 2018-10-16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rading circles
KR102649221B1 (ko) * 2023-05-15 2024-03-19 주식회사 넘버제로 전자기기의 병행수출을 위한 주문 및 물류 처리 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8478A (pt) 2004-03-05 2007-07-31 N Caleb Avery método e sistema habilitado em computador para a cotação e a alocação de uma pluralidade de unidades pretendidas para serem vendidas mais tarde e meio que pode ser lido em computador
KR100972578B1 (ko) * 2009-10-28 2010-07-28 (주)연합인포맥스 호가공개방식과 입찰 라운드 연장 규칙을 가지는 단일가 채권 경매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699A (en) * 1996-10-11 1999-10-12 Zandi; Richard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loan auction over computer network
JP2000148850A (ja) * 1998-11-10 2000-05-30 Daisho Syst Service Kk 取引装置、取引管理装置、取引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100357825B1 (ko) * 2000-03-16 2002-10-25 윤종오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매매 중개 시스템
KR20010100755A (ko) * 2000-05-02 2001-11-14 민영석 부실채권 거래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00054225A (ko) * 2000-05-27 2000-09-05 박정웅 인터넷상에서의 채권정보 제공방법
KR20000054360A (ko) * 2000-06-02 2000-09-05 이용우 인터넷을 이용한 부분적 비공개 입찰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13986A (ko) * 2000-06-20 2001-12-29 홍범석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100473184B1 (ko) * 2000-06-27 2005-03-08 박훈 인터넷상에서의 공개입찰/낙찰 처리 시스템
KR20020010217A (ko) * 2000-07-27 2002-02-04 송근섭 인터넷을 이용한 국/공채 경매방법
KR20010025313A (ko) * 2000-12-11 2001-04-06 김동훈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75B1 (ko) * 2009-10-08 2010-07-22 김동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WO2011043543A2 (ko) * 2009-10-08 2011-04-14 Kim Dong Chul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온라인 경매 시스템
WO2011043543A3 (ko) * 2009-10-08 2011-07-14 Kim Dong Chul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온라인 경매 시스템
US10102576B2 (en) 2013-03-15 2018-10-16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rading circles
US11354737B2 (en) 2013-03-15 2022-06-07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rading circles
US11823268B2 (en) 2013-03-15 2023-11-21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rading circles
KR102649221B1 (ko) * 2023-05-15 2024-03-19 주식회사 넘버제로 전자기기의 병행수출을 위한 주문 및 물류 처리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110B1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1074B2 (ja) 関連するエンティティの間の取引を管理するシステム
US7483857B2 (en) Online e-commerce transactions incorporating effects of uncertainty and risk factors
US82247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US6415270B1 (en) Multiple auction coordination method and system
US8326736B2 (en) Linked displayed market and midpoint matching system
AU2006244563B2 (en) Anti-internalization order modifier
US20030014351A1 (en) Electronic bartering system with facilitating tools
US20070043647A1 (en) Electronic trading environment with price improvement
EP1081614A2 (en) Dynamic order visibility system for the trading of assets
US20130297484A1 (en) Public Offering Risk Management
US20110071937A1 (en) Trading order routing
JPH11504455A (ja) 満足度密度プロファイルを利用したかけあわせネットワーク
US20030041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two-sided auction
JP2005202977A (ja) 金融データ処理方法
WO2000026745A2 (en) Computer-implemented securities trading system with virtual currency and virtual specialist
WO2008154133A1 (en) Aged transactions in a trading system
US8793178B2 (en) Electronic bartering system with facilitating tools
US20080228633A1 (en) Trading system and methods
US20020107786A1 (en) Peer-to-peer application for online goods trading
IL153275A (en) A method of co-financing commercial credit
KR100407110B1 (ko)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WO2009139777A1 (en) Security futures contract with selectable expiration
WO2001035286A1 (en) Auctioning system, auctioning apparatus, auction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01134641A (ja) 取引優先順位決定方法、取引優先順位決定装置、取引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Budimir et al. The Design of a Best Execution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