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510A -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510A
KR20020062510A KR1020010003585A KR20010003585A KR20020062510A KR 20020062510 A KR20020062510 A KR 20020062510A KR 1020010003585 A KR1020010003585 A KR 1020010003585A KR 20010003585 A KR20010003585 A KR 20010003585A KR 20020062510 A KR20020062510 A KR 2002006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manifold
circulation lin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988B1 (ko
Inventor
우현구
이원석
최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988B1/ko
Priority to US09/854,917 priority patent/US6608982B2/en
Priority to JP2001159013A priority patent/JP3481607B2/ja
Publication of KR2002006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66Heating or dry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감광벨트에 접촉되 않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액상캐리어를 건조증발 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을 둘러싸아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증발된 기체캐리어를 포집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와 연통된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매니폴드내에 포집된 기체캐리어의 순환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기체 캐리어를 상기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매니폴드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증발된 기체캐리어가 상기 순환라인에 연통되어 흐르도록 연결하는 흡입덕트 및 상기 매니폴드에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공기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장치는 감광벨트에 대하여 비접촉방식으로 되어 있어 피킹(picking)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미지에 디펙트(defect)를 주지 않으므로 이미지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Dry unit apparatus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매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건조시키기 위한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드럼이나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기록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경우 분말 상태의 토너가 사용된다. 반면에,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경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 캐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액상의 현상액이 사용되며,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서 그 이용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프린터(100)는 전사백업롤러(121)와 스티어링롤러(122) 및 드라이빙롤러(123)에 의해 폐곡선 형태로 지지되어 무한궤도로의 순환주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감광벨트(110)를 감광매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감광벨트(110)의 하방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10)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노광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130)과, 상기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특정 칼라의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130)과 현상장치(140)는 칼라 프린팅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칼라에 대한 정전잠상의 현상이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벨트(110)는 대전장치(150)로부터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일정한 전압을 띠고 도시된 화살표시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130)은 특정색의 패턴 부분에 해당하는 레이저빔을 상기 감광벨트(110)에 주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10)의 빛을 받은 부분은 전하를 잃게 되어 빛을 받지 않은 부분과 전압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현상장치(140)는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하를 잃은 부분에 특정색의 현상액을 현상하게 된다. 상기 현상장치(140)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토너상은 상기 감광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121)와 나란하게 설치된 전사롤러(124)에 전사된 다음, 상기 전사롤러(124) 및 그와 나란하게 설치된 정착롤러(125)의 사이로 공급되는 기록지(126)에 옮겨짐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프린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액은 고체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토너는 실제로 기록지에 인쇄되는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토너를 운반해주는 용매의 역할을 한다. 상기 캐리어는 인쇄전에 건조장치(160)에 의해 건조 증발되어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사면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감광벨트(110)의 토너화상은 상기 건조장치(160)를 지나면서 액체성분이 제거되어 인쇄에 적합하게 건조된 상태로 남게 된다.
건조장치(160)는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사면 일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그 회전 중심축상에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162)을 가지는 드라이롤러(161)와, 상기 드라이롤러(161)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으로서 회전 중심축상에 예컨대, 히트 램프와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164)을 가지고 상기 드라이롤러(161)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1쌍의 재생롤러(163)(163)와, 상기 드라이롤러(161)와 상기 재생롤러(163) 및 그들을 둘러싸는 매니폴드(Manifold, 165)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롤러(161)는 회전중심축상에 설치된 상기 열원(162)에 의해 고온의 온도를 지니게 되며, 그 표면에는 액상캐리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광벨트(110)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재생롤러(163)는 상기 드라이롤러(161)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건조장치(160)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롤러(161)가 상기 감광벨트(110)와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사면에 부착되어 있는 화상 잉크중 액상의 캐리어를 압착하여 묻어 나오도록 하고, 일부 액상 캐리어는 상기 드라이롤러(161)의 표면에서 증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롤러(163)는 상기 열원(164)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롤러(161)에 흡수된 액상 캐리어를 건조시켜 증발시킨다. 증발된 캐리어는 상기 매니폴드(165)에 의해 포집된다.
그런데 상기한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드라이롤러와 감광벨트의 접촉면에서 액상 캐리어를 증발시켜 흡수하기 때문에 접촉시간이 짧아 충분한 양의 액상 캐리어를 흡수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증발되지 못하고 잔존된 액상 캐리어가 전사장치의 롤러에 흡수되어 전사롤러의 불균일한 변형이 발생되어 이로 인하여 인쇄종이가 접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인쇄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연속 인쇄시 감광벨트위의 화상을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함으로 인하여 인쇄종이로의 이미지 전사시 이미지를 전사시키지 못하는 이미지 디펙트(Image defect)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의 건조장치는 접촉에 의한 방식이기 때문에 감광벨트 표면의 이미지가 피킹(Picking)되어 드라이롤러 또는 재생롤러의 표면에 그대로 남아있게 됨으로써 롤러의 기능을 저해하는 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러한 감광벨트 표면의 이미지피킹(Image picking)은 프린팅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감광벨트에 부착된 액상 캐리어의 건조증발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습식 전잣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흡입덕트 및 송풍덕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흡입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60...건조장치 361...히팅수단
362...매니폴드 363...앵글
364...흡입덕트 364a...흡입덕트연결구
365...송풍덕트 365a...송풍덕트연결구
366...순환라인 367...응축기
368...펌프 369...필터
400...열원 500...히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감광벨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벨트 주행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어 액상 캐리어를 건조증발 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을 둘러싸아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증발된 기체 캐리어를 포집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와 연통된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매니폴드내에 포집된 기체 캐리어의 순환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기체 캐리어를 상기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매니폴드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증발된 기체 캐리어가 상기 순환라인에 연통 되어 흐르도록 연결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매니폴드에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공기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히팅수단은 고무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히팅수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에 난류가 형성되게 하는 복수개의 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는 흡입연결구와, 상기 흡입연결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일정부피의 공간을 이루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는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증발된 기체캐리어가 균일하게 흡입되도록 상기 감광벨트의 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증발된 기체캐리어를 포집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매니폴드의 상부에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는 송풍연결구와, 상기 송풍연결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일정부피의 공간을 이루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순환라인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상기 메니폴드로 균일한 유속을 가지고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감광벨트의 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로 흐르는 공기가 상기 감광벨트 표면에서 증발된 기체 캐리어의 포집을 도와 주도록 상기 메인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광벨트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에 묻어있는 액상캐리어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흡입덕트 및 송풍덕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흡입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360)는 감광벨트(110)의 표면에 묻어있는 액상캐리어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수단(361)과, 상기 히팅수단(361)을 감싸는 매니폴드(362)와, 상기 매니폴드(362)와 연통된 폐루프를 형성하는 순환라인(366)과 상기 매니폴드(362)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라인(366)과 연통되게 연결하는 흡입덕트(364) 및 송풍덕트(365) 및 기체캐리어가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 이동되게 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히팅수단(361)은 상기 감광벨트(110)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인접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광벨트의 폭(미도시)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히팅수단(361)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송풍덕트(365)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냉각되지 않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공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온도를 더 높여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 있는 액상캐리어를 증발시킨다. 상기 히팅수단(3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무히터(rubber hea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수단(361)에는 앵글(363)이 상기 히팅수단(36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앵글(363)은 상기 송풍덕트(365)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앵글(363)에서 흐름이 방해되어 와류가 형성되며, 이 와류는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있는 액상 캐리어가 더 쉽게 증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앵글(363)을 상기 히팅수단(361)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있는 액상캐리어가 증발되는 효율이 증가된다. 상기 앵글(363)은 상기 공기흐름을 방해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구조라면 다른 변용예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덕트(365)는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364)와, 상기 베이스(364)의 일측에는 상기 순환라인(366)에 연통되게 연결하는 흡입연결구(364a)와, 그 타측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364a)을 구비한다.
상기 홀(364a)은 기체를 통과하도록 하는 통로이므로, 기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라면 예를 들어 슬릿등 다른 변용예가 가능하다.
상기 홀(364a)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364)의 타측은 상기 매니폴드(362)에 상기 감광벨트(1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매니폴드(362)에 포집되는 기체캐리어가 상기 베이스(364)에 균일하게 흡입된다.
상기 흡입덕트(364)는 상기 송풍덕트(365)를 통하여 상기 매니폴드(362)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감광벨트(110)에서 증발된 기체캐리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매니폴드(36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덕트(365)의 구성은 상기 흡입덕트(364)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 상기 송풍덕트(365)를 통과하여 상기 감광벨트(110)의 표면 위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감광벨트(110)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유속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덕트(365)의 송풍연결구(365a)로부터 상기 홀까지의 길이 및 상기 베이스의 공간부피를 변형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덕트(365)의 베이스(364)의 부피와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송풍덕트(365)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362)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순환라인(366)에는 상기 흡입덕트(364)를 통해 포집된 고온 고농도의 기체캐리어의 온도를 낮추어 저온 저농도로 만들어주는 응축기(367)와, 상기 순환라인(366)를 통하여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동력과 압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368) 및 상기 응축기(367)를 통과한 캐리어의 잔량을 흡수하여 저농도로 만들어주는 필터(369)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368)는 순환라인(366)상에서 기체를 흐르도록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와같은 역활을 하는 것이라면 다른 변용예 예를 들어 송풍기등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순환라인(366)에는 상기 히팅수단(361)과는 별개의 열원(400)이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365)로 들어가는 공기를 가열하여 그 온도를 높인다. 상기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상기 감광벨트(110)에서의 액상캐리어의 증발이 쉽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장치(360)는 베이스프레임(300)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에는 상기 감광벨트(110)의 구동롤러(123)를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장치(36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인쇄모드시에는 상기 감광벨트(110)에 접근되어 상기 감광벨트(110)의 구동롤러(123)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지지대(310)에 결합된다. 정지모드시나 대기모드시에는 상기 건조장치(360)는 상기 감광벨트(110)로부터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모드시에 상기 감광벨트(110)가 상기 구동롤러(123)에 감겨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히팅수단(361)은 열을 발생한다. 이 열은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 있는 액상캐리어를 증발시킨다. 이때 상기 매니폴드(36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송풍덕트(365)로부터 공기가 상기 매니폴드(362)로 들어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368)가 상기 공기를 상기 순환라인(366)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동력원이다.
상기 매니폴드(366)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히팅수단(361)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앵글(363)에 의해 그 흐름이 방해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와류는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 있는 액상캐리어의 증발을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 감광벨트(110)로부터 증발된 기체캐리어는 상기 매니폴드(362)에 의해 저장되었다가. 상기 흡입덕트(364)에 형성되어 있는 홀(364b)을 통하여 상기 흡입덕트(364)로 들어간다.
상기 흡입덕트(364)를 통과한 기체캐리어는 고온, 고농도이며 상기 응축기(367)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하강되고 저농도가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캐리어회수장치에 의하여 캐리어는 회수되게 된다.
상기 응축기(367)를 통과한 기체캐리어는 상기 필터(369)를 통과하면서 함유되어 있는 캐리어는 거의 걸러지게 되어 환경기준치에 만족할 수 있을 정도의 저농도를 가진다.
상기 필터(369)와 상기 송풍덕트(365)사이에는 상기 열원(400)을 설치하여, 상기 필터(369)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공기를 상기 매니폴드(362)로 불어넣는다.
여기서, 공기의 유량은 약100 liter/min 로 하고, 상기 송풍덕트를 통해 불어넣어지는 공기의 온도와, 흡입덕트에 흡입되는 기체의 온도는 100℃정도로 하면 필요한 건조상태를 얻을 수 있다. 단,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프린터 전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그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364)와 상기 송풍덕트(365)에서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고, 공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건조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단지 상기 감광벨트(110)의 배면에 별도의 히팅수단(5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팅수단(500)은 상기 감광벨트(110)의 배면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110)를 직접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 있는 액상 캐리어의 증발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히팅수단(500)은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히팅수단(361)과 함께 상기 감광벨트(110)에 묻어 있는 액상캐리어의 증발을 더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첫째, 건조장치가 감광벨트에 대하여 비접촉방식으로 되어 있어 피킹(picking)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미지에 디펙트(defect)를 주지 않으므로 이미지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건조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의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프린터의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액상캐리어의 양에 따라 공기의 온도와 유량 및 유동을 적절히 조절하여 가장 효율적인 건조상태조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감광벨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벨트 주행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어 액상 캐리어를 건조증발 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을 둘러싸아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증발된 기체 캐리어를 포집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와 연통된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매니폴드내에 포집된 기체 캐리어의 순환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기체 캐리어를 상기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매니폴드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증발된 기체 캐리어가 상기 순환라인에 연통 되어 흐르도록 연결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매니폴드에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공기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은 고무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에 난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는 흡입연결구와, 상기 흡입연결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일정공간을 이루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증발된 기체캐리어가 균일하게 흡입되도록 상기 감광벨트의 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증발된 기체캐리어를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매니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순환라인과 연통되는 송풍연결구와, 상기 송풍연결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일정공간을 이루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순환라인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상기 메니폴드로 균일한 유속을 가지고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감광벨트의 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흡입덕트쪽으로 흐르는 공기가 상기 감광벨트 표면에서 증발된 기체 캐리어의 포집을 도와 주도록 상기 메인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순환 이동되는 상기 기체 캐리어를 냉각 응축시키는 응축수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단에 의해 응축된 액상 캐리어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는 열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에 묻어있는 액상캐리어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12. 제 2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에 묻어있는 액상캐리어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KR10-2001-0003585A 2000-09-04 2001-01-22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KR10038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585A KR100385988B1 (ko) 2001-01-22 2001-01-22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US09/854,917 US6608982B2 (en) 2000-09-04 2001-05-15 Drying unit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and liquid carrier dry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1159013A JP3481607B2 (ja) 2000-09-04 2001-05-28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用乾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585A KR100385988B1 (ko) 2001-01-22 2001-01-22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510A true KR20020062510A (ko) 2002-07-26
KR100385988B1 KR100385988B1 (ko) 2003-06-02

Family

ID=2769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585A KR100385988B1 (ko) 2000-09-04 2001-01-22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9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9679B2 (en) 2003-11-07 2007-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oxidation catalyst device of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087436A (ja) * 2015-11-02 2017-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N109968807A (zh) * 2017-12-27 2019-07-05 宋晓莉 一种全自动油墨板印烘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726B2 (ja) * 1999-04-08 2001-08-27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乾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9679B2 (en) 2003-11-07 2007-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oxidation catalyst device of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087436A (ja) * 2015-11-02 2017-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N109968807A (zh) * 2017-12-27 2019-07-05 宋晓莉 一种全自动油墨板印烘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988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792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3481607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用乾燥装置
KR10038598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KR19990070358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US5177877A (en) Dryer-f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US6496674B2 (en) Carrier recovery apparatus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P0786704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37460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EP0899624B1 (en) Liquid carrier recovery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343177B1 (ko) 습식인쇄기용캐리어건조장치
US8295754B2 (en) Toner-fixer apparatus and electronic photograph printer
KR200187153Y1 (ko) 화상형성장치의 증기회수장치용 응축장치
JP2008096488A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74126A (ko) 습식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KR100383299B1 (ko) 액체회수 방법 및 장치
KR100716953B1 (ko) 습식인쇄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캐리어건조방법
EP0435516A2 (en) Dryer-f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KR10031386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에어 순환 시스템
KR100544169B1 (ko)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KR10041368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KR100230322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24870B1 (ko)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캐리어 회수장치
JP2006023596A (ja) 画像形成装置の湿度調整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05506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50347A (ko) 습식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에어플로우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