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552A -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552A
KR20020061552A KR1020020025986A KR20020025986A KR20020061552A KR 20020061552 A KR20020061552 A KR 20020061552A KR 1020020025986 A KR1020020025986 A KR 1020020025986A KR 20020025986 A KR20020025986 A KR 20020025986A KR 20020061552 A KR20020061552 A KR 20020061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nstruction
edge
adhesive morta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433B1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2-002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4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1Elements for window or door openings, or for corner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벽체면이 접속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각도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벽체면(F)이 구성하는 모서리부(C)의 외벽면을 따라서 접착몰타르(51)로서 EPS보드(52)를 부착하는 공정(100),
상기 EPS보드(2) 상에 모서리보강재(R)를 직립하는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각각의 모서리부(C)에 접착몰타르로 예비부착하는 공정(110),
상기 각 모서리부(C)에 부착된 각 모서리보강재(R)의 인접공간부(B) 사이에 접착몰타르(53)를 도포하는 공정(120),
상기 각 모서리부(C)를 따라서 파이버그라스메쉬(54)로서 오버래핑하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도포된 접착몰타르(53)를 이용하여 벽체면(F) 및 모서리부(C)를 감싸는 공정(130),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54) 상에 다시 마감재(55)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하는 공정(140)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C)의 시공을 위한 모서리보강재(R)는 판상의 길이가 긴 세장형의 보강플레이트(P)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절곡홈(C)을 형성한 판상보강부재로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은; 시공경비의 절감과 시공면의 외관이 극히 미려하게 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A finishing method for wall or corners of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의 건축물에 유발되는 벽면체가 접속하는 모서리부의 단열마감시공의 방법을 개선함으로서 작업성과 경제성의 증대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각종의 건축물, 예를 들면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택, 사무용건물 등에서는 방이나 사무실구획을 위하여 다수의 벽면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벽면체는 상호 접속하면서 많은 모서리부를 구성하게 된다.
통상적인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부의 시공방법은 상당히 번잡스러운 작업이 아닐 수 없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작업현장에서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는 현실이다.
종래로 부터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부의 시공방법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을 도 1 내지 4 와 함께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부의 시공방법을 도시한는 벽면모서리부의 횡단면도, 도 2 는 종래 시공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제 1 양태의 설명을 위한 횡단면도, 도 3 은 또 다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제 2 양태의 설명을 위한 횡단면도, 도 4 는 문제점을 도시하는 벽면모서리부의 사시도이다.
종래로 부터, 콘크리트타설 등으로 구성되는 벽체면(F)의 모서리부(C)에서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을 위한 방법은;
벽체면(F)이 구성하는 모서리부(C)외 외벽면을 따라서 접착몰타르(1)로서 부착되는 EPS보드(2:Expanded Polysthyrene Board) 상에,
열팽창을 보상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시 접착몰타르(3)를 도포시공하고 그 위에 유리섬유그물망체인 파이버그라스메쉬(4)를 부착한 후에 접착몰타르(5)로서 다시 최종적인 마감재(6)를 부착하여 종료하게 된다.
상기하는 종래로 부터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부의 시공방법의 문제점은 기본적으로 상기의 필수부재인 파이버그라스메쉬(4)가 가지는 표면 탄성강도에 기인한다.
파이버그라스메쉬(4)는 유리섬유의 장섬유를 직조하여 마감재로서 구성한 것이므로 표면적에 걸쳐서 상당한 정도의 표면탄성을 가지게 된다. 즉, 절곡되는 경우, 원복하려는 탄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현장에서 작업자가 이러한 탄성을 가지는 파이버그라스메쉬(4)를 전개하여 모서리부(C)를 따라서 오버래핑(Overlaping)하면서 부착하기가 극히 어렵고, 작업의 많은 숙련도가 요구됨으로서 시공시간이 대폭 늘어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그 시공을 기피하게 되는 요인의 하나가 되어 시공비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 큰 문제점은 파이버그라스메쉬(4)가 가지는 자체적인 탄성으로 인하여 시공이후에 건조하여 완전히 부착하기 이전의 젤상태인 접착몰타르로부터 이탈하여 접착면이 들떠서,
도 2 에서와 같이 공극부(V)가 발생하거나 도 3 에서와 같이 극단적으로는 파형 형상을 형성하는 등, 모서리부분의 곡률이 증대함으로서 외관상 미려하지 않게 되고 이러한 들뜬 부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더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시공기가 하절기인 경우, 외기의 고온으로 인하여 접착몰타르의 건조가 지연되는 경우에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또한, 벽체와 창문이 접합하는 개구부 등에 시공되는 경우 길이가 짧은 외팔보형상으로 파이버그라스메쉬가 부착되므로 단부에서의 들뜸이 더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는 바, 이 역시 파이버그라스메쉬의 판성에 기인하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시공상의 어려움 뿐 만 아니라 도 4 에서와 같이,
다수의 곡률부(R)가 유발됨으로서 미관상의 문제로서 건축주의 불만을 사게 되거나 심지어는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 등, 시공상의 막대한 경비상승의 요인 및 소비자 불만의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은 이러한 종래로부터의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외관 또한 미려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의 또 다른 주요한 목적은 시공시간의 단축과 마감처리의 작업속도를 증대하게 함으로서 시공경비를 대폭 절감하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부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벽면모서리부의 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종래 시공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제 1 양태의 설명을 위한 횡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종래 시공방법에 따른 또 다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제 2 양태의 설명을 위한 횡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종래 시공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시공완료된 벽면모서리부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시공완료된 모서리부의 횡단면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모서리보강재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7 A,B,C,D 도는 도 6 의 다양한 변형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의작업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도.
도 9 는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 시공방법과 함께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F: 벽체면
C: 모서리부
R: 모서리보강재
P: 보강플레이트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은;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벽체면이 접속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각도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벽체면이 구성하는 모서리부의 외벽면을 따라서 접착몰타르로서 EPS보드를 부착하는 공정,
상기 EPS보드 상에 모서리보강재를 직립하는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각각의모서리부에 접착몰타르로 예비부착하는 공정,
상기 각 모서리부에 부착된 각 모서리보강재의 인접공간부 사이에 접착몰타르를 도포하는 공정,
상기 각 모서리부를 따라서 파이버그라스메쉬로서 오버래핑하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 사이의 도포된 접착몰타르를 이용하여 벽체면) 및 모서리부를 감싸는 공정,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 상에 다시 마감재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중요한 구성방법의 하나는;
상기 모서리부의 시공을 위한 모서리보강재는 판상의 길이가 긴 세장형의 보강플레이트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절곡홈을 형성한 판상보강부재로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의 접착은 상기 모서리보강재 사이의 인접공간부의 도포된 접착몰타르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는 별도의 접착몰타르의 도포없이 오버래핑되어 부착되는 것,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두께는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게 하여 시공하는 것 또한 필수적인 방법적인 구성요소이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모서리부의 횡단면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모서리보강재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7 A,B,C,D 도는 도 6 의 다양한 변형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의 작업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 시공방법과 함께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5 에 횡단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에서는 모서리부(C)의 시공에 있어서 기본적인 보조부재로서 모서리보강재(R)를 사용하는 것을 주요한 공법 상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모서리보강재(R)는 도 6 내지 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인 판상의 길이가 긴 세장형의 보강플레이트(P)로서 다양한 종류로서 구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절곡홈(C)을 가진다.
절곡홈(C)은 확대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공대상의 모서리부(C)에 따라서 임의의 각도로서 절곡이 가능하도록 절곡둔각(A)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또한, 모서리보강재(R)의 판두께는 0.2 - 2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하술한다.
상기의 모서리보강재(R)는 다양한 구성으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7 A, B 에서와 같이 그 접착표면에 접착성을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접착돌기(10) 또는 조도가 극히 높게 가공된 깔주기면(11) 등을 형성하는 것이 접착에 바람직하다.
모서리보강재(R)는 다양한 종류의 사출, 압출, 인발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의 성형체 또는 판상부재를 접어서 가공하는 절곡가공체일 수 있고, 또, FRP 소재를 판상으로 절단하여 절곡가공한 것 ,
도 7 C,D 에서와 같이, 부직포, 그물망사체 등의 에이전트시트(20) 등에 에폭시등의 수지(21)를 함침하여 건조함으로서 판상부재로 한 것,
부직포, 그물망사체 등의 에이전트시트(20) 등에 아교, 동식물성 젤라틴을 함침하여 건조시킨 것 등의 다양한 소재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철판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 금속철판, 내식성이 있는 금속판재 등을 면처리하거나 거기에 유리섬유 등의 섬유류 또는 그물망사체를 접착한 후에 절곡하여 절단가공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하는 구성의 성분의 모서리보강재(R)를 사용하여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부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 5 및 8 과 함께 설명한다.
벽체면(F)이 구성하는 모서리부(C)의 외벽면을 따라서 접착몰타르(51)로서 EPS보드(52)를 부착한다(100).
상기의 EPS보드(52) 상에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모서리보강재(R)를 직립하는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각각의 모서리부(C)에 접착몰타르로 예비부착한다(110).
각 모서리부(C)에 부착된 각 모서리보강재(R)의 인접공간부(B) 사이에는 접착몰타르(53)를 도포하여 둔다(120).
상기하는 각각의 모서리부(C)를 따라서 파이버그라스메쉬(54)로서 오버래핑하면서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도포된 접착몰타르(53)를 이용하여 벽체면(F) 및 모서리부(C)를 감싸나간다(130).
상기하는 파이버그라스메쉬(54) 상에 다시 마감재(55)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한다(140). 또 다른 방법으로는 파이버그라스메쉬(4)를 모서리부에 양쪽 끝부분까지 시공하고 그 위에 모서리보강재(R)를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시공함으로서 실제적으로는 파이버그라스메쉬(4)의 부착용의 별도의 접착몰타르의 도포없이 단순히 각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인접공간부(B) 의 도포된 접착몰타르(53)에 의하여 부착이 수행되게 한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상기에서 모서리보강재(R)의 판두께는 0.2 - 2 mm 정도로 하고 있는 것과 함께 설명한다.
모서리보강재(R)의 판두께인 0.2 - 2 mm 는 실제적으로 부착되는 파이버그라스메쉬(54)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근소하게 같으므로 모서리보강재(R)가 형성하는 인접공간부에 파이버그라스메쉬(54)가 매립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시공면이 평편하게 유지된다.
동시에 파이버그라스메쉬(54)의 접착고정점이 양단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므로 파이버그라스메쉬(54)의 절곡(휘어짐,탄성)을 상당부분 수용한 상태로서 양단을 접착하는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파이버그라스메쉬(54)의 탄성변형이 극소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시공면 또한 외관상으로는 평면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 의 종래 구성을 도시하는 상부 반도면에서와 같이, 전체면적에 걸쳐서 파이버그라스메쉬(4)가 접착부착되면 가장 탄성반발력이 큰 모서리부(C)에서의 이탈력(F)이 가장 크게 되어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도 9 의 하부 반도면에서와 같이, 탄성반발력이 가장 큰 모서리부(C)에서는 탄성력을 그대로 두고 양단점에서 고착하게 되므로 탄성변형을 이미 허용하면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이탈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극단적으로 과장되게 도시하는 도 10 에서와 같이,
파이버그라스메쉬(54)가 양단점(P1,P2)에서 고정되는 판상부재로서 됨으로서 이미 변형이 탄성극대화된 상태에서 고착이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양단점(P1.P2)은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인접공간부(B)의 도포된 접착몰타르(53)에 의한 고정점이다.
또는 상기의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인접공간부(B)에만 파이버그라스메쉬(4)를 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서 역시 동일하게 모서리보강재(R)의 두께를 매우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은 파이버그라스메쉬의 부착에 별도의 접착몰타르의 도포가 불요하고 처음 시공 상태의 파이버그라스메쉬의 부착상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변형이 없음으로서 미려한 시공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극히 용이하여 파이버그라스메쉬를 오버래핑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성 및 그에 따른 경제성이 극히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은; 시공경비의 절감과 시공면의 외관이 극히 미려하게 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벽체면이 접속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각도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벽체면(F)이 구성하는 모서리부(C)의 외벽면을 따라서 접착몰타르(51)로서 EPS보드(52)를 부착하는 공정(100),
    상기 EPS보드(2) 상에 모서리보강재(R)를 직립하는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각각의 모서리부(C)에 접착몰타르로 예비부착하는 공정(110),
    상기 각 모서리부(C)에 부착된 각 모서리보강재(R)의 인접공간부(B) 사이에 접착몰타르(53)를 도포하는 공정(120),
    상기 각 모서리부(C)를 따라서 파이버그라스메쉬(54)로서 오버래핑하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도포된 접착몰타르(53)를 이용하여 벽체면(F) 및 모서리부(C)를 감싸는 공정(130),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54) 상에 다시 마감재(55)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하는 공정(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S보드(2) 상에 상기 각 모서리부(C)를 따라서 파이버그라스메쉬(54)로서 오버래핑한 뒤에 상기 모서리보강재(R)를 각각의 모서리부(C)을 오버래핑하면서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C)의 시공을 위한 모서리보강재(R)는 판상의 길이가 긴 세장형의 보강플레이트(P)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절곡홈(C)을 형성한 판상보강부재로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54)의 접착시공은 상기 모서리보강재(R) 사이의 인접공간부(B)의 도포된 접착몰타르(53)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54)는 별도의 접착몰타르의 도포없이 오버래핑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6. 제 1 항 내지 5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R)의 두께는 상기 파이버그라스메쉬(54)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게 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2002-0025986A 2002-05-11 2002-05-11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046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86A KR100463433B1 (ko) 2002-05-11 2002-05-11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86A KR100463433B1 (ko) 2002-05-11 2002-05-11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52A true KR20020061552A (ko) 2002-07-24
KR100463433B1 KR100463433B1 (ko) 2004-12-23

Family

ID=2772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86A KR100463433B1 (ko) 2002-05-11 2002-05-11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637A (ko) * 2002-05-11 2002-07-18 김경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17Y1 (ko)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1001A (en) * 1978-06-01 1980-03-04 Lheureux Gerard Process for reinsulating concrete block homes
JPS615909U (ja) * 1984-06-15 1986-01-14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外断熱工法における入隅部、出隅部等の防火壁構造
JP2680605B2 (ja) * 1988-05-09 1997-11-19 三菱化学ビーエーエスエフ株式会社 構築物の外断熱壁の施工方法
KR20000006639A (ko) * 1999-08-21 2000-02-07 윤용성 외단열 건축물의 모서리 보강방법과 그 보강재
KR20020060637A (ko) * 2002-05-11 2002-07-18 김경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637A (ko) * 2002-05-11 2002-07-18 김경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433B1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9663B2 (ja) 構造体
US80696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ishing a penetration in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US10047524B2 (en) Drywal corner trim material with adhesive
US20010031336A1 (en) Composite backerboard articles for construction
CN108678314A (zh) 保温装饰一体板、保温装饰系统及其施工工艺
TW201337076A (zh) 纖維複合材料轉角護條
JP2005507036A (ja) 窓ラップ
KR100463433B1 (ko)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 시의 모서리보강재의 시공방법
KR200295276Y1 (ko)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US6485594B1 (en) Method for producing sections in sandwich structures of fiber composites and sections produced accordingly
KR20020060637A (ko)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JPH1119358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耐火材の取付方法。
CN111576667A (zh) 一种剪力墙墙体
JP2009013758A (ja) 外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RU68550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и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KR102187006B1 (ko) 건축물의 단열구조 및 그 형성 방법
KR200344647Y1 (ko) 버팀 지지대와 단열재가 부착된 복합 샌드위치패널
JP3030765B2 (ja) 壁面部材の接合目地を掩蔽する掩蔽テープ及び壁面構造体
US2077513A (en) Ribbed board
CN212715498U (zh) 一种剪力墙墙体
KR200322181Y1 (ko) 모르타르를 이용한 단열 및 방음벽체용 모서리 보강재
JP2004316320A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対する穿孔周辺部補強工法
KR200351042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부재
KR101715648B1 (ko) 인열강도가 보강된 복합방수공법
JP3654971B2 (ja) 外壁の目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