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512A -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512A
KR20020061512A KR1020020001705A KR20020001705A KR20020061512A KR 20020061512 A KR20020061512 A KR 20020061512A KR 1020020001705 A KR1020020001705 A KR 1020020001705A KR 20020001705 A KR20020001705 A KR 20020001705A KR 20020061512 A KR20020061512 A KR 2002006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hannel
format combination
transmission forma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헤르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6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복수의 할당된 단말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시간 간격이 할당되고 또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및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이 대응하는 때에 활성화되는 전송 채널 상에서 논리 채널의 패킷유닛들로부터 형성된 전송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제공되는 무선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단말은 각 전송 채널상에 송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송블록들을 특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포맷 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에 따라 할당된 전송 채널 내에서 송신을 기다리는 각 패킷유닛들을 전송포맷으로서 포함하는,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결정되며,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것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전송포맷 조합이 미리결정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 Having A Selection Of Transport Format Combinations}
본 발명은, 다른 우선권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채널 상으로 맵핑되는, 논리 채널들 상에 유용 데이터를 송신하는 각 경우에 제공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복수의 할당된 단말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기능을 기술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G(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N; WG2(Working Group 2); Radio Interface Protocol Architecture; TS 25.302 V3.6.0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내에서 형성된 패킷유닛은 MAC 계층 내에서 전송블록으로 패킷화되며, 이 전송블록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단말을 향하여 해당 물리 계층에서부터 물리 채널들을 통하여, 또는 그 반대로 송신된다. 그러한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 기능 외에, MAC 계층은 적절한 전송포맷 조합(TFC: transport format combination)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송포맷 조합은 각 전송 채널을 위한 전송포맷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전송포맷 조합은 특히, 전송 채널들이 한 물리적 채널 내의 해당 물리 계층 내에서 다중화되는 방식을 기술한다.
본 발명은 적절한 전송포맷 조합을 발견하기 위한 선택 과정을 특정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만드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상기 목적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복수의 할당된 단말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데,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시간 간격이 할당되고 또 그 송신 시간 간격의 및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이 대응하는 때에 활성화되는 전송 채널을 통하여 한 논리 채널의 패킷유닛들로부터 형성된 전송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단말은, 각 전송 채널상에 송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송블록들을 특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포맷 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에 따라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결정되어지며, 상기 전송포맷 조합은 할당된 전송 채널 내에 송신을 기다리는 각 패킷유닛들을 일 전송포맷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것에 가장 가까운 전송포맷 조합이 미리 결정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는, 적절한 전송포맷 조합을 찾기 위하여 2-과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첫째로, 정확하게 해당 전송포맷들을 포함하는 또는 해당 논리 채널들에 할당된 버퍼들 내에서 송신을 기다리는 전송블록들을 특정하는,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결정된다.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대응하는 전송포맷 조합이 존재하면 전송포맷 조합이 발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엔,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가장 가까운 전송포맷 조합을 발견할 필요가 있다.
종속항들은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가장 가까운 전송포맷 조합을 발견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복수의 단말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단말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의 여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계층 모델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리스트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2 내지 9 : 단말
10, 11 : 제어 연결12 : 전송 연결
13 : 논리 연결14 : 접근 포인트
도 1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1) 및 복수의 단말(2 내지 9)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예컨대 라디오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예컨대 단말(2 내지 9)과 같이 라디오 트래픽(radio traffic) 내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책임이 있다. 제어 및 유용 데이터의 교환은 적어도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와 단말(2 내지 9) 사이에서 발생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유용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각 연결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단말(2 내지 9)은 이동국이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고정식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적절한 경우에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도 또한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라디오 신호는 예컨대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그 방식들의 조합을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송신된다.
CDMA 방식에서, 이 방식은 특정 코드-확산 방식인데, 사용자로부터 유래된 이진 정보의 한 항목(데이터 신호)이 고려하는(respecting) 다른 코드 시퀀스로 변조된다. 그러한 코드 시퀀스는 의사-랜덤 구형파 신호(의사 잡음 코드)를 포함하는데, 이것의 속도는, 칩 속도(chip rate)라고도 말해지며, 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상기 이진 정보의 속도보다 더 크다. 의사-랜덤 구형파 신호의 구형파 펄스의 지속기간(duration)은 칩 간격 TC라고 지칭된다. 1/TC가 칩 속도이다. 데이터 신호를 의사-랜덤 구형파 신호로 곱하는 것 또는 변조하는 것은 확산 인자 NC= T/TC(T는 데이터 신호의 구형파 펄스 지속기간)로 스펙트럼의 확산을 일으킨다.
적어도 한 단말(2 내지 9)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에서 유용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에 의해 미리 결정된 채널들을 통해 송신된다. 채널은 주파수 대역, 시간 도메인 및, 예컨대 CDMA 방식의 경우에는, 확산 코드에 의하여 결정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로부터 단말(2 내지 9)로의 라디오 링크는 다운링크라고 지칭되며,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는 업링크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다운링크 채널을 통하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업링크 채널을 통한다.
예컨대, 링크 설정 전에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가 모든 단말(2 내지 9)로 제어 데이터를 배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채널은 다운링크 방송 제어 채널이라고 표현된다. 링크 설정 전에 한 단말(2 내지 9)로부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예컨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에 의해 할당되었지만 또 다른 단말(2 내지 9)에 의해서도 접근가능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또는 모든 단말(2 내지 9)에 의해서 사용가능한 업링크 채널은 공통 업링크 채널로서 지칭된다. 예컨대 한 단말(2 내지 9) 및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의 링크 설정 후, 유용 데이터가 다운링크와 업링크 유용 채널을 통하여 송신된다. 단 하나의 송신기와 하나의 수신기 사이에 설정된 채널은 전용 채널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유용 채널은 링크-특정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전용 제어 채널이 수반될 수 있는 전용 채널이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및 단말 사이에 유용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단말(2 내지 9)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에 동기화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FDMA 및 TDMA 방식의 조합이 사용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으로부터, 소정 파라미터의 도움으로 적절한 주파수 대역이 결정된 후, 프레임의 시간-종속 위치(프레임 동기화)가 결정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의 시간 종속 시퀀스가 수행된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그러한 프레임은 TDMA, FDMA 및 CDMA 방식에서 항상 단말 및 기지국의 데이터 동기화에 요구된다. 그러한 한 프레임은 여러 하위프레임(subframe)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다른 연속하는 프레임들과 함께 상위프레임(superframe)을 형성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및 단말(2 내지 9) 사이의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및 유용 데이터의 교환은, 도 2에 예시된 예시적인 계층 모델 또는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예컨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G(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N; WG2(Working Group 2); Radio Interface Protocol Architecture; TS 25.301 V 3.6.0 를 비교하라}. 계층 모델은 3 개의 프로토콜 계층 즉 : 물리 계층 PHY와, 하위계층으로서 MAC 및 RLC(도 2에서 복수의 하위계층 RLC 의 실시예가 예시된다)를 가진 데이터 링크 계층 및 RRC 계층을 포함한다. 하위계층 MAC는 매체 접근 제어를, 하위계층 RLC는 라디오 링크 제어를, 그리고 계층 RRC는 라디오 소스 제어를 책임진다. 계층 RRC는 단말(2 내지 9)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의 시그널링(signaling)을 책임진다. 하위계층 RLC는 단말(2 내지 9)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의 라디오 링크를 제어하는데 종사한다. 계층 RRC는 제어 연결(10 및 11)을 통하여 계층 MAC 및 PHY를 제어한다. 그럼으로써, 계층 RRC는 계층 MAC 및 PHY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물리 계층 PHY는 MAC 계층에 전송 채널 및/또는 전송 연결(12)을 제공한다. MAC 계층은 RCL 계층에 사용가능한 논리 채널 또는 논리 연결(13)을 만든다. RLC 계층은 접근 포인트들(14)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연결될 수 있다.
패킷유닛들은 RLC 계층 내에서 형성되고, MAC 계층 내에서 전송블록들로 패킷화되며 이것은 물리 계층에 의하여 물리 채널을 통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단말로, 또는 그 반대로 송신된다. 그러한 다중화 및/또는 역다중화 기능 외에, MAC 계층은 적절한 전송포맷 조합(TFC: transport format combination)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진다. 일 전송포맷 조합은 각 전송 채널들을 위한 전송포맷들의 일 조합으로 구성된다. 전송포맷 조합은 특히, 해당 물리 계층 안에서 전송 채널들이 일 물리 채널 내로 다중화(시간-분할 다중화)되는 방식을 기술한다.
각 전송포맷은 동적인 부분 및 반-정적(semi-static)인 부분을 가진다. 동적인 부분은 전송 채널 내에서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동안에 송신되는 전송블록 집합(TBS: transport block set)을 기술하고, 반-정적인 부분은 예컨대 에러-정정 부호화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반-정적인 부분은 물리 채널의 재구성에 의해서만 변화한다. 전송블록 집합은 물리 계층 및 MAC 계층 사이에 교환되는 전송블록들의 집합으로서 정의된다. 일 전송블록의 크기는 RLC 계층의 일 패킷유닛의 비트 수 및 MAC 계층의 추가 제어 정보(헤더)의 비트 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전송포맷의 동적 부분만이 전송포맷이라는 용어로서 이해된다.
일 송신 시간 간격 TTI는 다수의 라디오 프레임(RF: radio frame)에 대응하고 적어도 일 라디오 프레임에 해당한다. 그것은 인터리빙(interleaving)이 연장되는 곳을 넘는 라디오 프레임의 수를 특정한다. 인터리빙은 연속하는 라디오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 유닛들(심볼들)의 송신 단부에서 시간-종속적인 인터리빙이다. MAC 계층은 각 송신 시간 간격 TTI 동안에 해당 물리 계층으로 일 전송블록 집합을 공급한다. 송신 시간 간격은 전송 채널에 특정적이며 전송포맷의 반-정적인 부분에 속한다. 만약, n 개의 라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일 송신 시간 간격 TTI의 처음에서, 물리 계층이 MAC 계층으로부터 일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되어질 일 전송블록 집합을 수신하면, 이 집합의 각 전송블록은 n 개의 세그먼트로 분해된다(전송블록들의 세그먼트화). 각 전송블록의 n 개의 세그먼트는 송신 시간 간격의 n 개의 연속적인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송신된다. 이 경우, 송신 시간 간격의 모든 n 개의 라디오 프레임은 동일한 세그먼트 시퀀스를 가진다.
MAC 계층은 각 전송 채널을 위한 적절한 전송포맷을 선택하는 목적에 종사한다. 이 선택을 하는 경우, RLC 및 MAC 계층 사이에 논리 채널들의 우선권 - 이는 아래에서 MAC 우선권{MAC 논리 우선권(MLP: MAC Logical Priority)}이란 용어로 사용 - 에 대하여, RLC 계층 내의 버퍼의 점유{버퍼 점유(BO: Buffer Occupancies)}에 대하여, 논리 채널에 할당된 전송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 TTI에 대하여, 그리고 전송포맷 조합의 부분집합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RLC 계층 내의 버퍼는 MAC 계층을 통해 RLC 계층으로부터 물리 계층으로 송신되어질 패킷유닛을 포함한다. 전송포맷 조합의 부분집합은 전송포맷 조합의 가능한 전체집합의 일부이다. 부분집합은 가능한 전송포맷 조합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어느 전송포맷조합이 송신에 사용되었는지를 알리는 수신 단부에 있는 비트 수도 역시 제한되기 때문이다.
전송 채널 (또는 논리 채널 또는 거기로 매핑된 채널들)은,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이 전송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의 처음에 대응하지 않을 때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불활성임이라고 지칭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엔, 그것 (또는 그것들)은 활성적임이라고 지칭된다. 일 라디오 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가장 짧은 송신 시간 간격, 예컨대 10 ms의 경우에, 할당된 전송 채널은 불활성일 때가 전혀 없는데, 왜냐하면 일 전송블록이 적어도 이 가장 짧은 송신 시간 간격을 자신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기록하기 때문이다. 전송 채널은, 더 긴 송신 시간 간격(예컨대 20ms)의 경우에 이런 의미에서 불활성적일 수 있다.
각 라디오 프레임의 처음에, 위에 언급된 기준에 따라서 각 라디오 프레임을 위한 활성적 논리 채널을 정렬하는 절차가 MAC 계층 내에서 실행된다 :
1.첫째로, 가장 높은 MAC 우선권에 따라 정렬이 수행된다.
2.만약 MAC 우선권이 동일하면, 버퍼의 점유에 따라, 가장 많은 패킷유닛들을 가진 버퍼가 정렬된 목록의 시작에 놓이는 식으로, 정렬이 수행된다.
3.만약 버퍼의 점유 및 MAC 우선권이 동일하면, 가장 긴 송신 시간 간격에 따라서 정렬이 수행된다.
만약 상기 절차가, 송신을 위한 데이터를 가진 논리 채널로, 위에 특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된, 목록을 생성하면, 적절한 전송포맷을 발견하기 위하여, 가장 높은 MAC 우선권을 가진 목록의 시작부터 시작하여, 할당된 전송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이 체크된다. 이 경우에, 마지막에서 선택된 전송포맷 조합은 전체 데이터 속도(overall data rate)를 초과하지 않지만 소정 송신 전력의 경우에 도달될 수 있는 (그리고 데이터 속도 조건이라고 지칭되는) 총 데이터 속도(aggregate data rate)에 이른다는 점이 고려될 것이다.
만약 이 전송 채널과, 결과적으로, 이 전송 채널 상에 맵핑되는 모든 논리 채널이 한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비활성적이면, 이전 라디오 프레임을 위해 선택된 전송포맷 조합의 전송포맷이 이 전송 채널을 위해 취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 현재의 논리 채널(LC_X)이 활성적인 전송 채널(TC_Y) 상으로 맵핑되는 때, MAC 계층은, 전송 채널(TC_Y)이 논리 채널(LC_X)의 버퍼 내에서 송신되어질 패킷유닛들을 위한 자신의 전송포맷 집합에 따라 RLC 계층에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전송포맷을 결정한다{더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 - 할당된 전송 채널(TC_Y) 상으로 맵핑되었을 것인 논리 채널 - 을 조사하는 동안에, 전송 채널(TC_Y)에 이미 할당된 모든 패킷유닛들을 고려하여}. 가장 좋은 전송포맷은 할당된 전송 채널(TC_Y) 상의 가장 많은 수의 실질적 유용 데이터 비트가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전송포맷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논리 채널이 맵핑되는 복수의 전송 채널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송포맷 조합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아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
각 전송 채널 상에 송신되어야 할 전송블록들은 제1 루프 내에서 결정된다.이 목적을 위하여, 각 개별적인 활성 논리 채널의 버퍼 점유 BO가 각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시 질의되고 또한 상기 논리 채널이 맵핑되어지는 전송 채널의 이 라디오 프레임 내로 전송될 블록들의 수에 추가된다.
이 제1 루프 이후, 각 전송 채널 상의 이 라디오 프레임 내에 전송되어질 전송블록들의 정확한 수가 알려지고, 또 이 수들의 조합이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한다. 이 전송포맷 조합은, 만약 이 전송포맷 조합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선택된다. 그러나, 이 전송포맷 조합이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유리한(most favorable) 전송 조합으로서 지칭되고 또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가장 가까운 전송포맷 조합이, 제2 루프 내의 집합 내에서 발견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장 유리한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이 존재한다:
제1 옵션은 단순 거리 결정(simple distance determination)이라고 지칭되며, 여기서 예컨대 그것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가장 작은 2차 편차(또는 가장 작은 절대값 편차)를 가지는, 또는 일반적으로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으로부터 가장 작은 거리 - 임의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를 가지는 전송포맷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일 논리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채우기(filling) 패킷유닛들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RLC 계층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아래의 예에 의해 보여진다 :
논리 채널(LC1, LC2 및 LC3)이 주어지며, 이것들은 전송 채널(TC1, TC2 및 TC3) 상으로 각각 맵핑된다고 하자. 만약 버퍼 점유가 BO(LC1) = 3, BO(LC2) = 2 및 BO(LC3) = 1이라면, 4 개의 전송블록이 전송 채널(TC1)을 통해 송신되어야 할 것이고, 2 개의 전송블록이 전송 채널(TC2)를 통해 송신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전송포맷 조합 [4, 2]가 가능한 전송포맷 조합들 가운데 존재하지 않고, 다만 전송포맷 조합 [5, 2] 및 [3, 1] 만이 존재한다면, 전송포맷 조합 [5, 2]가 선택될 것인데, 왜냐하면
(3 - 4)2+ (1 - 2)2= 2
보다
(5 - 4)2+ (2 - 2)2= 1
이 더 작은 2차 편차가 계산되며
|3 - 4| + |1 - 2| = 2
보다
|5 - 4| + |2 - 2| = 1
이 더 작은 절대값 편차가 계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후 이 경우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보다 송신되어야 할 전송블록이 하나 더(채우기 전송블록) 있기 때문에, 한 채우기 패킷유닛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채우기 패킷유닛의 생성은 가능하면 회피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채우기 패킷유닛들이 유용 데이터의 실제 송신에 종사하지 않으면서 불필요하게 채널 용량을 점유하기 때문이다.
아래에 설명되는 제2 옵션의 경우에, 거리 결정 방식이 고려되어, 요구되는 채우기 패킷유닛의 수를 감안한다. 이 제2 옵션은 조건적 거리 결정(conditional distance determination)으로서 지칭된다. 위에서 고려된 단순 거리 결정은 몇몇 상황에서 송신되어야 할 많은 채우기 패킷유닛들이 요구되는 전송포맷 조합들로 이끌어질 수 있다. 아래의 절차는 생성된 채우기 패킷유닛의 수를 초과되지 않아야 될 임의의 값에 제한하기 위해 적용된다: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에 추가하여, 채우기 패킷유닛의 요구된 비율이 항상 동시에 결정된다. T 를 전송포맷 조합이라고 하고, T erf 를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T - T erf 는 양 및 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벡터를 생성한다. 양의 구성요소의 합은 채우기 패킷유닛들로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유닛의 수가 계산되고{형식적으로는Pos( T - T erf ) e 로 쓰여지는데, 연산자Pos(v)는 벡터v의 모든 음의 구성요소를 영으로 설정하며, 또 e 는 단위 열 벡터이다}, 음의 구성요소의 절대값의 합은 T 의 선택으로, 송신될 수 없는 대기 블록의 수가 계산된다{형식적으로는Neg( T - T erf ) e 로 쓰여지는데, 연산자Neg(v)는 벡터v의 모든 양의 구성요소를 영으로 설정한다}.
만약 예컨대 첫번째 전송포맷 조합이 무슨 종류든지 채우기 패킷유닛을 전혀 요구하지 않지만, 모든 전송 채널들 상에 대기 블록 2개가 송신되지 않는 한편, 다른 전송포맷 조합은 단 하나의 채우기 패킷유닛을 요구하도록, 나머지 전송포맷 조합과 비교하여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가까이 위치되는 두 전송포맷 조합이 대기 블록의 수에서 또는 요구된 채우기 패킷유닛의 수에서 서로 다르다면, 상기 두번째 전송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하나의 추가적인 채우기 패킷유닛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실질적으로 더 나은 처리량을 달성하기 때문에 더욱 현명하게 보여진다.
결과적으로,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의 거리에 추가하여 채우기 패킷유닛의 수를 위한 값Pos( T - T erf ) e 및 대기 패킷유닛의 수를 위한Neg( T - T erf ) e 이 결정된다. 만약Pos( T - T erf ) e 이 특정 값(예컨대 2 개의 채우기 패킷유닛)을 초과하면, 전송포맷 조합은 더이상 고려되지 않는다. 더나아가, 유용 데이터를 위한 실제로 송신된 전송블록에 대한 요구된 채우기 패킷유닛의 수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 채우기 패킷유닛의 양이Pos ( T - T erf ) e / [ T erf + Neg( T - T erf )] e 로 주어지도록 유용 데이터를 위한 전송블록은[ T erf + Neg( T - T erf )] e 로 계산되고, 또한 전송포맷 조합은 만약 이 양이 소정 퍼센트(예컨대 10%)를 초과한다면 이 조사 동안에는 더 이상 고려되지 않는다.
유리한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하기 위한 제3 옵션은 아래에서 설명되며 논리 채널의 우선권을 참조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것은 아래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6 논리 채널인 LC1 내지 LC6 가 주어지고, 이들은 3 개의 전송 채널로 맵핑된다고 하자.
논리 채널 LC1 은 전송 채널 TC1 상으로 맵핑되며,
논리 채널 LC2 은 전송 채널 TC1 상으로 맵핑되며,
논리 채널 LC3 은 전송 채널 TC2 상으로 맵핑되며,
논리 채널 LC4 은 전송 채널 TC3 상으로 맵핑되며,
논리 채널 LC5 은 전송 채널 TC2 상으로 맵핑되며,
논리 채널 LC6 은 전송 채널 TC3 상으로 맵핑된다.
논리 채널 LC1 에 할당된 버퍼 BO(LC1)는 4 개의 패킷유닛으로 점유되고,
논리 채널 LC2 에 할당된 버퍼 BO(LC2)는 2 개의 패킷유닛으로 점유되고,
논리 채널 LC3 에 할당된 버퍼 BO(LC3)는 3 개의 패킷유닛으로 점유되고,
논리 채널 LC4 에 할당된 버퍼 BO(LC4)는 8 개의 패킷유닛으로 점유되고,
논리 채널 LC5 에 할당된 버퍼 BO(LC5)는 5 개의 패킷유닛으로 점유되고,
논리 채널 LC6 에 할당된 버퍼 BO(LC6)는 9 개의 패킷유닛으로 점유된다고 하자.
논리 채널의 이 지수들은 또한 그것들의 우선권을 표현하는데, 1 이 가장 높은 우선권을 의미한다. 더나아가, 전송 채널들을 숫자매기는 것은, 전송 채널 TC1 는 논리 채널 LC1 의 패킷유닛들을 항상 운반하며, 전송 채널 TC2는 전송 채널 TC3, TC4,... 의 패킷유닛들이나 전송블록들을 운반할 모든 논리 채널들보다 더 높은 우선권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의 패킷유닛들을 운반하고, 전송 채널 TC3는 전송 채널 TC4, TC5,... 의 패킷유닛들이나 전송블록들을 운반할 모든 논리 채널들보다 더 높은 우선권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의 패킷유닛들을 운반하고, ...기타등등 이라는 것이 (일반화에 대한 제한 없이) 가정된다.
결과적으로, 전송 채널 TC1 은 (4 + 2) = 6 개의 전송블록을 전송하는 것이고, 전송 채널 TC2는 (3 + 5) = 8 개의 전송블록을 전송하는 것이고, 전송 채널 TC3는 (8 + 9) = 17 개의 전송블록을 전송하는 것이다.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은 그러므로 [6, 8, 17]일 것이다.
우선권을 고려하기 위하여,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의 집합은, 모든 전송포맷 조합들이, TF1, TF2, TF3이 각각 TC1, TC2, TC3의 전송포맷을 나타낼 때, 조건 TF1 ≥6, TF2 ≥3, TF3 ≥8 을 만족하도록 제한된다. 이 조건에서,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지고 전송 채널 TC1 상에 맵핑된 두 논리 채널이 그 우선권에 관하여 정확하게 취급되도록 먼저 TF1 ≥6 일 것이 요구된다. 만약 존재하는 전송포맷 조합에 의하여 전송 채널 TC1을 위한 조건이 만족될 수 없다면, 상기 조건은 TF1 ≥4 (단일 논리 채널을 위한 최소 조건)로 약해진다. 이것은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 LC1 만이 정확하게 여전히 고려의 대상이 됨을 의미한다. 예컨대, TF2 ≥3, TF3 ≥8 은 단일 논리 채널을 위한 유사한 최소 조건이다.
만약 단일 논리 채널을 위한 상기 최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면, 한 전송 채널의 전송포맷들은 약간의 전송블록들만의 송신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 전송 채널에 대해서는 다음의 최소 경우가 가정된다: 만약 전송 채널 TC3 의 전송포맷이 단지 6 개의 전송블록만의 송신을 허용한다면, 나머지 전송 채널이 그 조건들을 만족하는 한편으로,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이 제한되는 것의 도움으로 전체 조건은 TF1 ≥4, TF2 ≥3, TF3 = 6 로 된다. 이렇게 제한된 집합 내에서, 그후 거리의 결정 (제1 또는 제2 옵션)이, 요구된 것{특히, 전송포맷 조합 [6, 8, 17]}과가장 가깝게 있는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가능한 전송포맷 조합으로서 [6, 8, 4] 및 [2, 8, 12]만을 채택하면서, 본 경우에 순수한 거리 결정은 전송포맷 조합 [2, 8, 12]의 선택으로 결론날 것인데, 왜냐하면
Dist([6, 8, 17], [6, 8, 4]) = 0 + 0 + 13 > 4 + 0 + 5 = Dist([2, 8, 12], [6, 8, 17])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선택은 우선권 반전이라는 결론이 날 것인데, 왜냐하면 주어진 더 낮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 LC3 및 LC5 가 이젠,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 LC1(논리 채널 LC1은, 비록 할당된 버퍼 안에 4개의 패킷유닛이 대기하고 있지만, 2 개의 패킷유닛만을 송신할 수 있다)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논리 채널 LC3 는 3 개의 대기하는 패킷유닛을 송신할 수 있고, 또한 논리 채널 LC5는 5 개의 대기하는 패킷유닛조차 송신할 수 있다). 논리 채널 LC2 는, 논리 채널 LC3 및 LC5 보다 더 높은 우선권을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전혀 동작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조건 TF1 ≥4, TF2 ≥3, TF3 ≥8 로 전송 조합 집합을 제한하는 것은 전송포맷 조합 [6, 8, 4]라는 결론으로 될 것이고, 이것은 우선권을 정확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의 집합을 제한하기 위한 조건은 우선권을 고려에 넣을 목적으로 아래와 같이 공식화될 것이다 : 논리 채널 LC(Fi),LC(Fi+ 1), ... LC(Fi+ Mi- 1) 가 전송 채널 TCi상으로 맵핑되는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들의 비인터럽트된 목록이라고, 다시말해서, 전송 채널 TCi상으로 맵핑되는 다른 논리 채널들은 Fi+ Mi보다 더 큰 지수를 갖는다고 하자. 이 경우 i, Fi및 Mi는 자연수이다. (정의에 의해서 i = 1 일 때, Fi= F1= 1 이다.)
예컨대, 만일 논리 채널 LC1 은 전송 채널 TC1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2 는 전송 채널 TC1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3 은 전송 채널 TC2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4 는 전송 채널 TC2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5 는 전송 채널 TC2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6 은 전송 채널 TC1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7 은 전송 채널 TC3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8 은 전송 채널 TC3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9 는 전송 채널 TC4 상으로 맵핑되고,
논리 채널 LC10 은 전송 채널 TC3 상으로 맵핑된다면,
F1= 1, M1= 2, F2= 3, M2= 3, F3= 7, M3= 2, F4= 9, M4= 1.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은, i = 1로 시작하는 아래의 조건에 따라 우선권을 정확하게 고려하기 위하여 제한된다:
i=1, 2, ..., N 일때 모든 TCi에 대하여
(N은 전송 채널의 수를 특정한다.)
만일 전송 채널 TCi 를 위한 조건이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에 의해서 만족될 수 없다면, 총계에서 각각 가장 낮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을 생략함으로써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서 전송포맷 조합들의 결과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가의 여부, 다시 말해서 상기 언급된 조건이
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가, 다시말해서 전송 채널 TCi 상으로 맵핑된 첫번째 Mi - 1 개의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전송 채널들만이 고려되는가, 또는
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는가, 다시말해서 전송 채널 TCi 상으로 맵핑된 첫번째 Mi - 2 개의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전송 채널들만이 고려되는가, 그리고 이런 식으로 조건 TFi ≥BO{LC(Fi)} 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는가,
다시 말해서 전송 채널 TCi 상으로 맵핑된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만이 고려되는가 여부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만약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서 TFi ≥BO{LC(Fi)} (단일 논리 채널을 위한 최소 조건) 이 만족될 수 있는 가능성도 없다면, 상기 조건은 최소 조건 TFi = X 에 의해 대체되는데, X는 가능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에 따라 전송 채널 TCi 상에서 송신될 수 있는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의 가장 큰수이다. 그런 경우 X 는 항상 BO{LC(Fi)} 보다 더 작다.
만족될 수 있는 한 조건이 전송 채널 TCi 에 대해 발견되었다면, 지금까지 제한되어 있던,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은 이 조건의 도움으로 추가로 제한되고, 그후 절차는 TC(i + 1)로 계속되는데, 다시 말해서, 먼저 만족될 수 있는 조건이 결정되고 그후 이 조건은 이금까지 발견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모든 전송 채널들을 고려한 후, 가능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이 우선권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제한된다. 제한된 집합 내에서, 만약 나머지 집합이 단지 한 요소만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이제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으로부터 가장 작은 거리에 있는 그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하기 위하여 거리 결정(가장 유리한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옵션에 따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유리한 전송포맷 조합을 결정하기 위한 아래에서 기술된 제4 옵션은 채우기 패킷유닛들을 삽입하지 않는 요구조건에 대해, 또 논리 채널의 우선권에 대해 고려한다. 채우기 패킷유닛들이 완전히 배제된 때 절차는 다음과 같다:
만약 위에서 언급된 예에서와 같이,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6, 8, 17] 이면, 가능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은 먼저 전송 채널 TC1 를 통해 정확히 6 개의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이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전송포맷 조합들로 제한된다. 만약 그러한 전송포맷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한은 전송 채널 TC1을 통해 정확히 5 개의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이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그런 조합들과 관련하여 수행된다. 만약, 이것들도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면, 전송 채널 TC1 을 통해 송신될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의 수는 추가로 감소되어 결국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서 한 전송포맷 조합의 첫번째 구성요소(또는 첫번째 전송포맷)에 대응하는 송신을 위하여 존재하는 블록의 수로 된다.
발견되었던 전송포맷 조합의 부분집합은 이제 전송 채널 TC2 를 통해 정확히 8 개의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이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전송포맷 조합들로 제한된다. 만약 대응하는 전송포맷 조합이 없다면, 상기 부분집합은 전송 채널 TC2 를 통해 정확히 7 개의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이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전송포맷 조합들로 제한된다. 만약 이것들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면, 전송 채널 TC2 를 통해 송신되어질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의 수는 추가로 감소하여 결국 송신을 위해 존재하는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의 수는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서 일 전송포맷 조합의 두번째 구성요소에 대응하게 된다.
그후 가장 많은 수의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을, 그러나 17 개의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 보다는 많지 않게, 전송 채널 TC3를 통해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전송포맷 조합이 나머지 부분집합 내에서 선택된다. 이것은,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이 할당된 전송 채널 TC1 이, 채우기 패킷유닛을 보낼 필요가 없다고 가정하여, 항상 가장 큰 가능한 수의 패킷유닛이나 전송블록을 전송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의 유리하지않은(unfavorable) 선택의 경우에, 이것은, 보잘 것없는 처리량, 즉 개별적인 논리 채널의 버퍼가 커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한 응답은 적절한 전송포맷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회피되어야만 한다.
주어진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 및 발전하는 버퍼 때문에 항상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만이 데이터 송신에 역할을 하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예컨대 이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가장 낮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에 가장 높은 우선권이 할당되고, 그 결과 그것의 버퍼 내에서 기다리는 블록(또는 그것의 일부)가 확실히 송신되도록, 우선권 목록은 두 개의 개별적인 이전에 고정된, 비-인접(표시된) 송신 시간 간격의 모든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일시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 개의 연속적인 (상기에 언급된 의미에서) 표시된 송신 시간 간격 사이에 송신된 전송블록의 전체 수에 대하여 총계(sum)가 먼저 형성된다.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이 우선권의 일시적 변화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전송블록의 수의 최대 비율(예컨대 퍼센트 용어로)도 또한 미리 결정되어 있다. MAC 계층은, 가장 높은 우선권의 연속되는 표시된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송신될 수 있는 가장 낮은 우선권의 논리 채널의 전송블록의 절대 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총계 및 이 비율을 사용한다. 또한 다른 낮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을 고려함으로써, 평균적으로 가장 낮은 우선권의 논리 채널의 전송블록의 주어진 퍼센트는 임의의 경우에 송신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완전한 전송포맷 조합이 라디오 프레임에 대하여 계산이 완료된 후, MAC 계층은 MAC 계층으로 상기 계산된 수의 전송블록을 보내도록 RLC 계층에 요구한다. 이어서, 생성된 전송블록 집합들(각 전송 채널에 대하여 집합 하나)이 물리 계층으로 송신된다. 그후 물리 계층은, 만약 송신 시간 간격 TTI 가 하나 초과의 라디오프레임을 포함하면 전송블록의 세그먼테이션도 고려하면서, 선택된 전송포맷 조합에 따라서 한 라디오 프레임 내로 수신된 전송블록 집합들을 삽입한다.
다음 라디오 프레임을 위한 최적 전송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상술한 절차는 먼저 세가지 기준에 따라서 정렬된 목록을 생성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첫째 기준은 그것들의 MAC 우선권에 따라 논리 채널들을 정렬하는 것이다. RLC 계층 내의 버퍼 크기는 몇몇 논리 채널이 동일한 논리적 우선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고려된다. 가장 긴 송신 시간 간격은 만약 처음 두 파라미터가 동일한 경우 세째 기준이다.
MAC 계층의 우선권 및 송신 시간 간격이 반-정적 파라미터(일반적으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채널 재구성에 의해서만 변화될 수 있다)이지만, 버퍼의 크기는 라디오 프레임들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에 언급된 정렬은, 아래의 방식에 따라 이루어지는 동일한 정렬로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전송 채널의 추가 또는 기존의 전송 채널 제거를 포함할 수 있는 전송 채널 재구성후, 논리 채널들은
1.그들의 MAC 우선권(MLP)에 따라 한번 정렬되고,
2.동일한 MAC 우선권(MLP)을 가진 모든 논리 채널들에 대하여 그들의 송신 시간 간격(TTI)이 감소되는 길이에 따라 한번 정렬된다.
각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에서, 정렬된 목록 내에서 동일한 MAC 우선권을 가지는 이때 활성적 논래 채널들은 이때 버퍼 점유(가장 긴 버퍼 먼저)에 따라서만 재정렬되고, 송신 시간 간격(TTI)의 길이는 이때는 무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만일 라디오 프레임 하나 내에서 낮은 우선권을 가진 논리 채널 하나가 우선시될 것이라면, MLP 에 따른 정렬은 이 라디오 프레임에 대해 대응하여 변화하여야만 한다. 이 정렬에 따라서, 이때 MAC 계층은 송신될 패킷유닛 또는 전송블록의 수에 대해 각 개별적인 논리 채널들의 RLC 계층을 조사하고, 가장 유리한 사용가능한 전송포맷(즉, 가장 높은 데이터 속도를 허용하는 전송포맷)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이렇게 정의된 상기 정렬은 각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에서 두 정렬 단계를 절약한다.
이런 정렬 방식의 예가 도 3 내지 5에 도시된다. 도 3은 MAC 계층의 동일 우선권을 가진 미정렬된 목록을 예시하는데, ID는 논리 채널들을 위한 식별 표지이고, BO는 할당된 논리 채널을 통해 송신되어질 패킷유닛들의 버퍼 점유이고, TTI는 할당된 전송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이다. 미정렬된 목록은 ID = a, b, c, 및 d 인 네 개의 논리 채널을 가진다. ID = a 인 논리 채널은 BO = 7 그리고 TTI = 10 이 할당되고, ID = b 인 논리 채널은 BO = 3 그리고 TTI = 40 이 할당되고, ID = c 인 논리 채널은 BO = 3 그리고 TTI = 20 이 할당되고, ID = d 인 논리 채널은 BO = 7 그리고 TTI = 40 이 할당된다. 도 4는 가장 긴 송신 시간 간격 TTI 에 따라 정렬된 목록을 도시한다. 이어서, 논리 채널들은 버퍼 BO 의 크기에 따라 정렬되고, 송신 시간 간격 TTI 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이렇게 정렬된 목록은 도 5에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절한 전송포맷 조합을 발견하기 위한 선택 과정을 특정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복수의 할당된 단말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시간 간격이 할당되고 또 상기 송신 시간 간격의 및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이 대응하는 때에 활성화되는 전송 채널 상에서 논리 채널의 패킷유닛들로부터 형성된 전송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단말은, 각 전송 채널상에 송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송블록들을 특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포맷 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에 따라
    할당된 전송 채널 내에서 송신을 기다리는 각 패킷유닛들을 전송포맷으로서 포함하는,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결정되며,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전송포맷 조합이 미리결정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선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상기 미리결정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에 포함되어있지 않으면,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관련된 거리를 기준으로 최단 거리를 가지는 상기 전송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단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된 전송블록보다도 더 많이 송신되도록 하는 전송포맷 조합이 선택된 경우에, 유용 데이터가 없는 채우기(filling) 전송블록들을 통해 부재(absent) 전송블록들을 채우기 위하여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단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채우기 전송블록의 특정 갯수의 경우에, 또는 유용 데이터를 가진 실제로 송신된 전송블록에 대한 채우기 전송블록의 갯수의 비가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송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단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5. 제1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 내에 포함되어있지 않으면, 특정조건에 기초하는 방식으로, 상기 논리 채널들의 우선권의 시퀀스 내에서 상기 전송포맷 조합들의 집합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고 상기 요구된 전송포맷 조합에 관련된 거리를 기준으로 최단 거리를 가지는 상기 전송포맷 조합을 상기 제한된 전송포맷 조합의 집합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단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KR1020020001705A 2001-01-15 2002-01-11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KR20020061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1703A DE10101703A1 (de) 2001-01-15 2001-01-15 Drahtloses Netzwerk mit einer Auswahl von Transport-Format-Kombinationen
DE10101703.0 2001-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12A true KR20020061512A (ko) 2002-07-24

Family

ID=767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705A KR20020061512A (ko) 2001-01-15 2002-01-11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097695A1 (ko)
EP (1) EP1225772A3 (ko)
JP (1) JP2002290413A (ko)
KR (1) KR20020061512A (ko)
CN (1) CN1370027A (ko)
DE (1) DE1010170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512B1 (ko) * 2007-10-10 2009-08-10 엘지노텔 주식회사 타이밍 패킷을 이용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8483127B2 (en) 2007-01-10 2013-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format in mobile communication and terminal thereof
US9173223B2 (en) 2006-12-07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ferr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32878B2 (en) 2007-01-10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data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958B2 (en) * 2001-11-13 2004-06-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for compressed mode in a W-CDMA system
KR100524737B1 (ko) 2002-11-22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계층 레이어 상의 데이터 전송방법
US7058032B2 (en) 2002-12-20 2006-06-06 Interdigital Technology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by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in a mobile network
GB2401760B (en) * 2003-05-15 2005-09-14 Nec Technologies Transport format selection
KR100539930B1 (ko) * 2003-12-22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위한 전송 포맷 선택 방법
US7215655B2 (en) * 2004-01-09 2007-05-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in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8014365B2 (en) * 2004-04-19 2011-09-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 device for transferring signalling information in a TDMA based system
US7366477B2 (en) * 2004-05-06 2008-04-29 Nokia Corporation Redundancy version implementation for an uplink enhanced dedicated channel
KR101059876B1 (ko) * 2004-06-16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데이터전송량 선택 방법
US7924770B2 (en) * 2004-08-06 2011-04-12 Nokia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two nodes in a communication system
DE102004047349A1 (de) * 2004-09-29 2006-04-06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sicherungsschicht-Protokolleinheit, Mobilfunkeinrichtungen, Mobilfunknetzwerk-Kontrolleinheit und Verfahren zum Auslesen von Daten aus einer Mehrzahl von Datensicherungsschicht-Protokoll-Pufferspeichern
US7558200B2 (en) * 2005-09-01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Router congestion management
KR101342365B1 (ko) 2006-12-07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
WO2008084957A1 (en) 2007-01-08 200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common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rminal thereof
US8155069B2 (en) 2007-01-09 2012-04-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8084984A2 (en) 2007-01-09 200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ata re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47174B2 (en) 2007-01-09 2013-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error detection code decoded using equipment identifiers and group identifiers
CN101578783A (zh) 2007-01-10 2009-11-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通信中构造数据格式的方法及其终端
US8699361B2 (en) * 2008-09-30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Out-of-synchronization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US9237581B2 (en) * 2013-03-14 2016-01-12 Caviu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scheduling with a sort hardware coprocessor
US9706564B2 (en) * 2013-03-14 2017-07-11 Caviu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scheduling with a priority calculation hardware coprocessor
US10342012B2 (en) * 2015-03-15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462A (ko) * 1999-02-22 2000-09-15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멀티 채널 운영방법
KR20010007532A (ko) * 1999-06-25 2001-01-26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부호화 및다중화장치 및방법
WO2001031956A2 (en) * 1999-10-28 2001-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transmiss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37685A (ko) * 2000-11-14 2002-05-22 요트.게.아. 롤페즈 전달 포맷 결합에 대한 선택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
KR20020061758A (ko) * 2001-01-17 2002-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를 위한 전송포맷조합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540B1 (en) * 1999-10-28 2005-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2827714B2 (ja) * 1992-06-09 1998-11-25 国際電信電話株式会社 ビデオ信号の高効率セル化方式
WO2000079812A1 (en) * 1999-06-22 2000-12-28 Nokia Corporation Flexible data rate change in a mobile network
US6813506B1 (en) * 1999-11-18 2004-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ding and transmitting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462A (ko) * 1999-02-22 2000-09-15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멀티 채널 운영방법
KR20010007532A (ko) * 1999-06-25 2001-01-26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부호화 및다중화장치 및방법
WO2001031956A2 (en) * 1999-10-28 2001-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transmiss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37685A (ko) * 2000-11-14 2002-05-22 요트.게.아. 롤페즈 전달 포맷 결합에 대한 선택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
KR20020061758A (ko) * 2001-01-17 2002-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를 위한 전송포맷조합선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3223B2 (en) 2006-12-07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ferr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83127B2 (en) 2007-01-10 2013-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format in mobile communication and terminal thereof
US8891453B2 (en) 2007-01-10 2014-1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format in mobile communication and terminal thereof
US9432878B2 (en) 2007-01-10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data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11512B1 (ko) * 2007-10-10 2009-08-10 엘지노텔 주식회사 타이밍 패킷을 이용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5772A2 (de) 2002-07-24
DE10101703A1 (de) 2002-07-18
CN1370027A (zh) 2002-09-18
JP2002290413A (ja) 2002-10-04
US20020097695A1 (en) 2002-07-25
EP1225772A3 (de)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1512A (ko)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JP4823177B2 (ja) エンハンストアップリンクを多重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867208B2 (en)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by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in a mobile network
JP5296820B2 (ja) 移動局からのバッファに入れられた高度化アップリンクデータをノードbに転送するための無線通信方法
AU2002241387B2 (en)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06687B1 (ko) 강화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트래픽 볼륨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7050415B2 (en) Wireless network with a selection of transport format combinations
CN103826307B (zh) 无线发射/接收单元及无线发射/接收单元中的方法
EP1943846B1 (en) Method and arrangement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U2002241387A1 (en)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20151760L (no) Fremgangsmåte og apparat for forbedret opplink multipleksing
KR2000001998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RU239277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радиосвязи
KR2002006175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를 위한 전송포맷조합선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