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983A -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983A
KR20000019983A KR1019980038353A KR19980038353A KR20000019983A KR 20000019983 A KR20000019983 A KR 20000019983A KR 1019980038353 A KR1019980038353 A KR 1019980038353A KR 19980038353 A KR19980038353 A KR 19980038353A KR 20000019983 A KR20000019983 A KR 20000019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channel
multiplexing
counterpart
physic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366B1 (ko
Inventor
장훈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366B1/ko
Priority to CA002310266A priority patent/CA2310266C/en
Priority to EP99944885A priority patent/EP1051771A2/en
Priority to PCT/KR1999/000542 priority patent/WO2000016433A2/en
Priority to CNB998018015A priority patent/CN1136684C/zh
Priority to AU57615/99A priority patent/AU735554B2/en
Priority to US09/395,533 priority patent/US6614775B1/en
Publication of KR2000001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해서 물리 채널과 논리 채널에 대한 다중화와 역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에 대해서 필요한 엔티티들과 각 엔티티들의 기능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리 채널과 논리 채널에 대한 다중화와 역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MUX and QoS sublayer)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2000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기에 대해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가 있다. cdma2000 시스템의 두드러진 특징은 이러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논리 채널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cdma2000의 논리 채널은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에 의해서 실제 연결된 물리 채널로 대응되고 따라서 상위 서비스 엔티티(entity)에서 논리 채널로 내려온 전송 데이터는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에서 전송할 물리 채널을 선택하고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로 가공된다. 생성된 정보 비트를 물리 계층(Physical Layer)로 보내면 물리 계층에서는 이 정보 비트를 바탕으로 실제 물리 채널 프레임을 만든 다음 만든 프레임을 전송한다.
현재 cdma2000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에 대한 실제적인 설계가 이루어져 있지 않고 있다. 여기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IS-95-B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계층을 적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IS-95 규격이 현재 완성되어 있다. IS-95 규격은 데이터 통신을 보강한 IS-95-B 규격으로 발전하였다. cdma2000 규격은 이러한 IS-95-B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에 대해서도 역방향 호환성을 보장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IS-95-B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계층을 살펴보면 우선 지원할 수 있는 논리 트래픽(traffic)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cdma2000 시스템에 맞지 않고 cdma2000 시스템에서 새로 정의된 물리 채널들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IS-95-B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계층의 기능을 그대로 지원하면서 새로운 cdma2000 시스템의 기능을 지원하는 새로운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논리 채널들과 다양한 물리 채널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만들어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럭들을 적절히 다중화 및 역다중화할 수 있고, IS-95-B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에 대해서 역방향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의 기능과 엔티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에서 정의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의 각 엔티티들의 동작 규격을 정의하여 cdma2000 시스템의 목적에 맞고, IS-95-B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에 대해서 역방향 호환성을 제공하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 절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화 구성 방법은 기존 IS-95 규격에서 사용하는 다중화 옵션 방법과는 다른 2 단계 다중화 방법과 다중화 구성 및 설정 절차를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 구성에서 부가 채널과 전용 제어 채널에 관계되는 엔티티들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의 각 엔티티들이 다루는 유닛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논리 채널 대응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논리 채널 대응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논리 채널 대응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논리 채널 대응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 가지 다중화 유닛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cdma2000 시스템의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MUX and QoS sublayer)은 다음과 같은 엔티티로 구성된다.
첫째,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이들 기능들은 각각의 물리 채널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각각의 기능들은 대응되는 물리 채널에 대해서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cdma2000 시스템에서는 규정된 물리 채널에 따라서 기본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부가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전용 제어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순방향/역방향 공통 제어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페이징/엑세스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과 같이 다섯 개의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존재한다. 도 1에서는 이러한 다섯 개의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다섯 개의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각각 FCH M/D 기능(기본채널다중화/역다중화 기능), SCH M/D 기능(부가채널다중화/역다중화 기능), DCCH M/D 기능(전용제어채널다중화/역다중화기능), F/R-CCCH M/D 기능(순방향/역방향 공통제어채널다중화/역다중화 기능), PCH/ACH M/D 기능(페이징/억세스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으로 표시하였다.
각각의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데이터 흐름, 즉 트래픽을 상위 논리 채널 대응기로부터 받아들여서 물리 채널로 대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기 표 1은 이러한 관계를 보여준다.
물리채널다중화/역다중화기능 논리 채널 대응기 트래픽
기본채널다중화/역다중화기능 DTCH 대응기 제1트래픽과 제2트래픽
DSCH 대응기 신호트래픽
DMCH 대응기 MAC 제어 트래픽
부가채널다중화/역다중화기능 DTCH 대응기 제1트래픽 또는 제2트래픽
전용 제어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DTCH 대응기 제1트래픽 아니면 제2트래픽
DSCH 대응기 신호 트래픽
DMCH 대응기 MAC 제어 트래픽
순방향/역방향 공통 제어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CTCH 대응기 버스트 트래픽
CSCH 대응기 신호 트래픽
CMCH 대응기 MAC 제어 트래픽
페이징/엑세스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 CSCH 대응기 신호 트래픽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표 1의 내용을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하나의 물리 채널을 담당하고 있고, 상기 표 1과 같이 여러 개의 논리 채널 대응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연결된 논리 채널 대응기의 트래픽을 상기 표 1과 같이 묶어서 처리한다. 즉,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논리 채널 대응기에서 보내는 전송 유닛들을 몇 개의 트래픽으로 묶고 이들 트래픽에 대해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물리 채널을 통하여 수신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수신측의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물리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각각의 트래픽으로 분리하여 수신된 트래픽을 담당하는 상위 논리 채널 대응기에게 전달한다.
각각의 트래픽은 다음과 같다.
- 제 1 트래픽(Primary Traffic)과 제 2 트래픽(Secondary Traffic): 제 1 트래픽과 제 2 트래픽은 순수한 데이터가 흐르는 트래픽이다. 이들 트래픽은 기본 채널에서 우선 순위가 결정된다. 기본 채널에서는 제 1 트래픽이 제 2 트래픽 보다 우선적으로 처리되게 되고 다른 채널에서는 이러한 우선 순위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버스트 트래픽(Burst Traffic): 제 1 트래픽이나 제 2 트래픽과 같이 순수한 데이터가 흐르는 트래픽이다. 그러나 제 1 트래픽과 제 2 트래픽이 전용 채널이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버스트 트래픽은 전용 채널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 신호 트래픽(Signaling Traffic): 신호 트래픽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 메시지(signaling message)가 흐르는 것이다.
- MAC 제어 트래픽(MAC Control Traffic): MAC 제어 트래픽은 MAC 즉, 매체 접속 제어를 위해 발생되는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가 흐르는 것이다.
논리 채널 대응기가 발생시키는 데이터나 메시지들은 상기 트래픽을 형성하게 되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이들 트래픽이 담당하는 물리 채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두번째, 논리 채널 대응기.
논리 채널 대응기는 상위 엔티티들이 사용하는 논리 채널들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트래픽으로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논리 채널 대응기의 종류와 수행하는 기능은 하기 표 2와 같다.
논리 채널 대응기 수행하는 기능
DTCH 대응기 전용 트래픽 채널들을 제1 또는 제2트래픽으로 대응시킨다
DSCH 대응기 전용 신호 채널을 신호 트래픽으로 대응시킨다
DMCH 대응기 전용 MAC 제어 채널을 MAC 제어 트래픽으로 대응시킨다
CTCH 대응기 공통 트래픽 채널을 버스트 트래픽으로 대응시킨다
CSCH 대응기 공통 신호 채널을 신호 트래픽으로 대응시킨다
CMCH 대응기 공통 MAC 제어 채널을 MAC 제어 트래픽으로 대응시킨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표 2의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전용 트래픽 채널을 f/r dtch, 전용 신호 채널을 f/r dsch, 전용 MAC 채널을 f/r dmch_control, 공통 트래픽 채널을 f/r ctch, 공통 신호 채널을 f/r csch, 공통 MAC 제어 채널을 f/r cmch_control로 표시하였다.
세번째, 제어 채널 프로토콜.
제어 채널 프로토콜은 CCLP와 CCBP를 포함한다. CCLP는 제어 채널 링크 프로토콜(Control Channel Link Protocol)을 말하며 CCBP는 제어 채널 버스트 프로토콜(Control Channel Burst Protocol)을 말한다. 이들 프로토콜은 MAC 제어 메시지들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도와준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프로토콜의 내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과 논리 채널 대응기들은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의 한 구성 요소가 되어 상위 엔티티들의 데이터를 수신측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다중화, 역다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위 엔티티들은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RLP), 라디오 버스트 프로토콜(RBP), 신호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SRLP), 신호 라디오 버스트 프로토콜(SRBP), 패킷 데이터 물리 계층 독립 제어 기능(Packet Data PLICF), 서킷 데이터 물리 계층 독립 제어 기능(Circuit Data PLICF), 널 ARQ(Null ARQ)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과 논리 채널 대응기, 그리고 상위 엔티티들의 관계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2에는 전용 채널이 있는 경우만 나타내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LP와 널 ARQ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는 DTCH 대응기를 통해서 제 1 트래픽이나 제 2 트래픽을 형성한다. 이들 트래픽은 전용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나 부가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으로 흐르게 되고, 각각의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담당하는 물리 채널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비트로 만들어서 물리 계층에 전달한다. 반대로 수신측 물리 계층에서 물리 채널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면 수신측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에게 전달한다.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정보 비트에서 각각의 트래픽을 나누고 각 트래픽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대응기에게 전달한다. 논리 채널 대응기는 수신된 트래픽을 상위 엔티티에게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위 엔티티에서 내려온 데이터 블록들은 물리 채널 프레임의 일부가 되어 전송되게 된다. 각각의 다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닛들의 이름과 각 유닛들 사이의 관계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3에 나타난 각 유닛들에 대한 설명이 다음에 나와 있다.
-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 상위 엔티티, 즉 RLP나 RBP와 같은 엔티티에서 발생시키는 전송할 데이터 블록이다.
- 다중화 유닛: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을 받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논리 채널 대응기이다. 상위 데이터 블록을 받은 논리 채널 대응기는 이것을 다중화 유닛에 담는다. 다중화 유닛은 각 트래픽 마다 서로 다를 수 있고, 같은 트래픽 데이터는 모두 같은 종류의 다중화 유닛에 담겨야 한다. 다중화 유닛으로 상위 데이터 블록을 담은 논리 채널 대응기는 이것을 다시 전송 유닛에 담는다.
- 전송 유닛: 전송 유닛은 다중화 대응기에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에게 전달되는 단위이다. 전송 유닛은 다중화 유닛 종류에 따라서 다중화 유닛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논리 채널 대응기에게서 받은 이 전송 유닛들을 가지고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만든다.
- 물리 채널 프레임: 실제 물리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비트열이다. 물리 채널 프레임은 정보 비트와 프레임 품질 지시기(frame quality indicator), 코딩 테일(coding tail)로 나누어진다. 프레임 품질 지시기과 코딩 테일은 물리 계층에 의해서 채워지는 부분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프레임 품질 지시기는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할 필요는 있다.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상기 정보 비트를 논리 채널 대응기에서 보낸 전송 유닛으로 채운다.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정보 비트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규칙을 가지고 있게 되는데 각각의 규칙을 정보 비트 구조(information bit structure)라 한다. 송신측과 수신측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은 상기 정보 비트 구조를 담고 있는 정보 비트 구조 집합(IBS Set)을 사전에 약속해 두고 약속된 정보 비트 구조 집합에 속해 있는 정보 비트 구조만을 사용한다. 각각의 정보 비트 구조들은 정보 비트 구조 집합 내에서 자신을 유일하게 구별해 줄 수 있는 형식 비트(format bits)를 하나씩 가지고 있다. 송신측에서는 사용한 정보 비트 구조의 형식 비트를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필드에 포함시킴으로써 수신측에서 올바르게 정보 비트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정보 비트 구조가 정보 비트 구조 집합에 하나 밖에 없다면 송신측과 수신측은 한 가지 정보 비트 구조 집합만을 사용하므로 형식 비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만들어서 물리 계층에 넘겨주면 물리 계층은 이것을 가공하여 수신측에 전송한다. 수신측 물리 계층은 수신된 물리 계층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수신측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에게 전달한다. 수신측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과 논리 채널 대응기는 송신측과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서 상위 엔티티에게 데이터 블록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의 구성 요소와 각 구성 요소 사이의 전송은 하기 표 3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상위 구성 요소 하위 구성 요소 전송 채널 전달단위
상위 엔티티 논리 채널 대응기 f/r dtch, f/r dsch, f/r dmch_control, f/r ctch, f/r csch, f/r cmch_control 상위 엔티티 데이터블록
논리채널대응기 물리채널다중화/ 역다중화 기능 제1트래픽, 제2트래픽, 버스트 트래픽, 신호 트래픽, MAC 제어 트래픽 전송 유닛
물리채널다중화/역다중화 기능 물리 계층 - 정보 비트
도 4에서 도 7까지는 상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동작하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4에서 도 6까지는 전송측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동작하는 절차이고, 상기 도 7은 수신측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동작하는 절차이다.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물리 채널 프레임을 보낼 때가 되면 현재 자신이 지원하는 트래픽들 중에서 가장 먼저 보내야하는 전송 유닛을 선정한다. 논리 채널 대응기에서 전달된 전송 유닛들은 각각 해당하는 트래픽의 대기열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이러한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11단계에서 처음에 전송할 전송 유닛을 구하여 저장해 두는 집합 T을 공집합으로 초기화하고, 현재 지원하는 모든 트래픽을 집합 S에 둔다. 그리고 현재 전송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를 IS 집합에 둔다.
그리고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413단계에서 IS에 저장된 정보 비트 구조들 중에서 전송할 전송 유닛들을 가장 잘 포함하는 정보 비트 구조를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 비트 구조를 찾는 작업은 도 5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511단계에서 현재 트래픽들과 각각의 트래픽들이 대기열에 가지고 있는 전송 유닛 중에서 가장 먼저 전송해야 하고 IS에 포함된 정보 비트 구조 중에서 허용하는 구조가 하나라도 존재하는 전송 유닛과 트래픽을 찾는다. 여기서 상기 전송 유닛과 트래픽을 찾는 작업은 도 6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우선, 611단계에서 상기 집합 S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을 찾아서 Tr이라고 한다. 그리고 613단계에서 트래픽 Tr 대기열에 전송할 전송 유닛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트래픽 Tr이 전송할 전송 유닛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6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Tr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트래픽을 찾는다. 그리고 617단계에서 상기 Tr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트래픽을 새로운 Tr로 정하고, 다시 트래픽 Tr의 대기열에 전송할 유닛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613단계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도 전송할 전송 유닛을 가지고 있는 트래픽이 없다면 종료한다.
만일 상기 613단계에서 전송할 유닛을 가지고 있는 트래픽을 발견하면, 619단계로 진행하여 트래픽의 대기열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전송 유닛을 TU라고 한다. 그리고 6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구해진 Tr과 TU를 지원하는 정보 비트 구조가 IS 집합에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구해진 Tr과 TU를 지원하는 정보 비트 구조가 IS 집합에 존재하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구해진 Tr과 TU를 가지고 상기 도 5로 돌아간다.
만일 상기 621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Tr과 TU를 지원하는 정보 비트 구조가 없다면, 6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Tr에서 구해진 TU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송 유닛을 찾아서 새로운 TU로 정한다. 만일 구해진 TU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송 유닛이 없다면 상기 구해진 Tr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트래픽을 찾는 상기 과정을 재수행하기 위해 상기 621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이번에도 구해진 Tr과 TU를 지원하는 정보 비트 구조가 없다면 구해진 TU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송 유닛을 찾는 상기 과정으로 다시 돌아간다. 만일 구해진 Tr과 TU를 지원하는 정보 비트 구조가 존재한다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해진 Tr과 TU를 가지고 상기 도 5로 돌아간다. 만일 S의 모든 Tr과 TU에 대해서 만족하는 것을 찾지 못하면 찾지 못한 상태로 상기 도 5로 돌아간다.
상기 도 6의 과정을 통하여 현재 트래픽들과 각각의 트래픽들이 대기열에 가지고 있는 전송 유닛 중에서 가장 먼저 전송해야 하고 IS에 포함된 정보 비트 구조 중에서 허용하는 구조가 하나라도 존재하는 전송 유닛 TU와 트래픽 Tr을 찾으면, 이것을 이번 물리 채널 프레임에 실어 보내는 것으로 선택한다. 즉, 상기 도 5의 521단계에서, 상기 도 6에서 전송할 트래픽과 전송 유닛의 집합인 T에 구해진 (Tr, TU)를 추가하고, 523단계에서 트래픽 Tr의 대기열에서 TU를 빼낸다. 그리고 525단계에서 TU가 전송된 것을 반영하기 위해서 집합 S의 모든 트래픽과 전송 유닛에 대해서 전송 우선 순위를 새롭게 조정한다. 또한, 529단계에서 IS에 대해서도 찾아진 (Tr, TU)를 지원하지 않는 것은 모두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529단계에서 IS에 남은 모든 정보 비트 구조에 (Tr, TU)를 넣는 부분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채움 표시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마치면 상기 도 4로 돌아간다.
만일 상기 도 6 과정에서 원하는 전송 유닛을 하나도 찾지 못해서 집합 T가 공집합이면 상기 도 5의 519단계에서 IS를 공집합으로 하고 상기 도 4로 돌아간다. 만일 이번에 전송 유닛은 찾지 못했지만 그 전에 찾은 전송 유닛이 있어서 집합 T가 공집합이 아니면, 517단계에서 IS에서 임의의 정보 비트 구조를 하나 선택한 다음 나머지를 뺀 IS를 저장하고 상기 도 4로 돌아간다.
상기 도 4에서는 IS 집합의 원소가 하나이거나 없을 때까지 계속 적절한 정보 비트 구조를 찾는 작업을 413단계에서 반복한다. 그리고 415단계에서 IS에 찾아진 정보비트구조(IBS)가 하나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적절한 정보 비트 구조가 없다면, 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S가 공집합이 되고 적절한 것이 있다면 하나만 선택하게 되된다. 공집합일 때에는 더 이상 시도하지 않고 종료하게 된다. 만일 정보 비트 구조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찾아진 정보비트구조가 모두 채워져 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정보비트구조가 모두 채워져 있으면 종료하고, 상기 정보비트구조가 모두 채워져 있지 않으면 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정보비트구조에서 채워지지 않은 나머지 빈 공간을 채우려는 시도를 하고 다 채우면 종료한다. 만일 빈 공간이 있는데 보낼만한 전송 유닛을 찾지 못하게 되면 종료한다.
상기 과정을 마치게 되면 전송할 트래픽과 전송 유닛이 없는 경우에는 IS가 공집합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전송할 트래픽과 전송 유닛이 담긴 집합 T와, 그러한 트래픽, 전송 유닛을 넣을 수 있는 정보 비트 구조를 하나 가진 IS 집합이 결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두 집합을 가지고 정보 비트 구조의 적절한 곳에 집합 T의 전송 유닛을 넣어서 물리 계층으로 보내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은 수신측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711단계에서 처음에 전송할 전송 유닛을 구하여 저장해 두는 집합 T을 공집합으로 초기화하고, 현재 수신된 정보 비트를 B에 둔다. 그리고 현재 전송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를 IS 집합에 둔다. 수신측 물리 계층이 수신된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에게 전달하면 상기 도 7에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713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비트의 형식 비트를 참고하여 송신에 사용된 정보 비트 구조를 찾는다. 그리고 715단계로 진행하여 찾아진 정보 비트 구조를 바탕으로 수신된 정보 비트에서 전송 유닛 TU와 유닛이 속한 트래픽 Tr을 구하고, 717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Tr, TU) 모두를 집합 T에 추가한다.
트래픽과 전송 유닛의 집합이 상기 도 7에 의해서 얻어지면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해당하는 트래픽을 보내고 받는 논리 채널 대응기에게 수신된 전송 유닛을 보낸다.
도 8에서는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예를 보여준다. 상기 도 8에서는 기본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예를 든 것이다. 기본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DTCH 대응기로부터 제 1 트래픽과 제 2 트래픽을 받고, DSCH 대응기로부터 신호 트래픽을, 그리고 DMCH 대응기로부터 MAC 제어 트래픽을 받는다. 각각의 트래픽 대기열이 상기 도 8과 같고 현재 전송 가능한 모든 정보 비트 구조가 상기 도 8과 같이 네 가지 존재한다고 하자. 각각의 트래픽의 우선 순위는 높은 것에서부터 차례로 신호 트래픽, MAC 제어 트래픽, 제 1 트래픽, 제 2 트래픽이라고 하자. 이때 상기 도 4에서 집합 S는 제 1 트래픽, 제 2 트래픽, 신호 트래픽, 그리고 MAC 제어 트래픽이 되고 집합 IS는 네 가지 정보 비트 구조를 모두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도 4에서 수행을 시작하면 도 6이 가장 먼저 수행되게 되는데 도 6의 순서도를 수행하면 가장 먼저 전송해야하고 정보 비트 구조가 존재하는 트래픽은 신호 트래픽이 된다. 상기 도 6에서 구해진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도 5에서는 집합 T에 신호 트래픽과 신호 트래픽의 전송 유닛을 저장하고 신호 트래픽의 대기열에서 전송 유닛 하나를 제거한 다음 집합 S의 모든 트래픽과 전송 유닛에 대해서 전송 우선 순위를 조정한다. 그리고 IS의 정보 비트 구조들은 신호 트래픽이 존재하는 정보 비트 구조 3 번만 남고 모두 제거된다.
상기 도 4로 돌아오면 IS 집합에 정보 비트 구조 3 번만이 존재하고 집합 T에는 신호 트래픽과 신호 트래픽의 전송 유닛이 들어있게 된다. 그러나 정보 비트 구조 3 번이 현재 신호 트래픽 부분만 채워져 있으므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다시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도 6에서는 제 1 트래픽과 제 1 트래픽의 전송 유닛을 구하게 되고 상기 도 5를 마치게 되면 집합 T에는 신호 트래픽과 제 1 트래픽이, IS 집합에는 정보 비트 구조 3 번이, 그리고 정보 비트 구조 3 번은 모두 채움 표시가 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과정을 마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구해진 집합 T와 IS를 가지고 제 1 트래픽과 신호 트래픽이 있고 형식 비트가 ‘110’인 정보 비트를 만든다. 만들어진 정보 비트를 물리 계층으로 보내면 송신측의 작업은 모두 끝나게 된다.
수신측의 물리 계층이 수신된 정보 비트를 기본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으로 보내면 기본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에서는 우선 형식 비트를 보고 정보 비트 구조 3 번이 사용된 것을 알아낸다. 그런 다음 정보 비트 구조 3 번을 가지고 각각의 전송 유닛을 구분한다. 각각의 전송 유닛은 정보 비트 구조 3 번에 따라서 앞의 것이 제 1 트래픽, 뒤의 것이 신호 트래픽에 대응이 된다. 제 1 트래픽의 전송 유닛은 상기 표 1에 따라서 기본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에 제 1 트래픽을 주고 받는 DTCH 대응기에게 전달되고 신호 트래픽의 전송 유닛은 마찬가지로 상기 표 1에 따라서 DSCH 대응기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수신측 작업은 모두 끝나게 된다.
도 9에서 도 12까지는 상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논리 채널 대응기가 동작하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9에서 도 11까지는 전송측 논리 채널 대응기가 동작하는 절차이고, 상기 도 12은 수신측 논리 채널 대응기가 동작하는 절차이다.
논리 채널 대응기는 전송 유닛을 만들어야 할 때 상기 도 9의 동작을 시작한다. 우선 논리 채널 대응기는 911단계에서 집합 M을 공집합으로 하고 집합 S를 현재 트래픽으로 전송하는 모든 논리 채널로 정한다. 이때 전송 유닛은 하나의 트래픽에 대응이 되고 이 트래픽에는 특정 논리 채널들만 대응될 수 있으므로 집합 S에는 현재 트래픽으로 데이터 블록을 보낼 수 있는 논리 채널들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9에서는 우선 전송 유닛을 만드는 트래픽에 지정된 다중화 유닛 형식을 살펴 본다. 다중화 유닛 형식은 도 13에 나와 있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다중화 유닛 형식은 모두 세 가지로서 각각 데이터 블록과 오버헤드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데이터 블록 필드는 상위 엔티티가 보낸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곳이고, 오버헤드 필드는 다중화 유닛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곳이다. 다중화 유닛 형식 1은 데이터 블록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다중화 유닛 형식 1을 사용한 다중화 유닛은 하나의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만을 저장하며, 하나의 전송 유닛이 된다.
다중화 유닛 형식 2는 데이터 블록과 오버헤드 필드로 SID와 RSV를 가진다. SID는 2 비트의 필드로 상위 엔티티 중에서 어떤 엔티티의 데이터 블록이 다중화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지 표시하는 비트이다. RSV 필드는 6 비트의 필드로 모두 0으로 채워진다. 다중화 유닛 형식 2도 역시 하나의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만을 저장하며, 하나의 전송 유닛이 된다.
다중화 유닛 형식 3은 데이터 블록과 오버헤드 필드로 SID와 LEN를 가진다. SID는 2 비트의 필드로 상위 엔티티 중에서 어떤 엔티티의 데이터 블록이 다중화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지 표시하는 비트이다. LEN 필드는 14 비트의 필드로 다중화 유닛에 저장된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해 준다. 다중화 유닛 형식 3은 다중화 유닛에 하나의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만을 저장하는 것은 상기 형식 1과 2와 같지만 여러 개의 다중화 유닛이 하나의 전송 유닛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은 상기 형식과 다른 점이다. 다중화 유닛 형식 3인 다중화 유닛이 하나의 전송 유닛을 이룰 때는 여러 개의 다중화 유닛이 이어져서 나열이 되고 전송 유닛의 뒷 부분이 남게 되면 모두 0으로 채운다.
다중화 유닛 형식은 각각의 트래픽마다 하나씩 정해진다. 즉, 같은 트래픽은 모두 같은 다중화 유닛 형식을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트래픽마다 다중화 유닛 형식이 정해지므로 논리 채널 대응기는 상기 도 9의 913단계에서 전송할 트래픽에 지정된 다중화 유닛 형식이 3 번 형식인지 살펴 본다. 만일 3 번 형식이면 917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전송 유닛에 여러 개의 다중화 유닛이 들어가므로 먼저 전송 유닛의 길이를 정한다. 만일 3 번 형식이 아니면 915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다중화 유닛이 하나의 전송 유닛이 되므로 전송 유닛의 길이를 가능한 최대 길이로 해 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논리 채널 대응기가 보낸 전송 유닛을 바탕으로 보내는 정보 비트를 생성하므로 어떤 크기의 전송 유닛을 만들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정보 비트 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 과정에서 전송 유닛의 크기가 결정되면, 919단계로 진행하여 적절한 다중화 유닛을 만든다. 상기 다중화 유닛을 만드는 과정은 도 10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논리 채널 대응기는 1011단계에서 가정 먼저 전송해야 하고 크기가 앞서 결정한 전송 유닛의 크기 보다 작은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 DB와 그 블록을 가진 논리 채널 LC를 찾는다. 상기 데이터 블록 DB와 논리 채널 LC를 찾는 작업은 도 11에 나차나 있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1111단계에서 상기 집합 S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논리 채널을 찾아서 LC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논리 채널 LC의 대기열에 전송할 데이터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논리 채널 LC가 전송할 데이터 블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11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LC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논리 채널을 찾아서 새로운 LC로 정한다. 그리고 1117단계에서 상기 LC 다음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논리채널을 찾지 못할 경우 종료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도 전송할 데이터 블록을 가지고 있는 논리 채널이 없다면 종료한다.
만일 전송할 데이터 블록을 가지고 있는 논리 채널을 상기 과정에서 발견하면, 1119단계로 진행하여 논리 채널의 대기열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 블록을 DB라고 한다. 그리고 1121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블록 DB의 크기가 상기 L보다 작은가를 검사한다. 만일 구해진 DB의 크기가 L 보다 작거나 같다면 구해진 LC와 DB를 가지고 상기 도 10으로 돌아간다.
만일 구해진 DB가 L 보다 크다면, 1123단계로 진행하여 논리 채널 LC에서 구해진 DB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데이터 블록을 찾아서 새로운 DB로 정한다. 만일 구해진 DB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데이터 블록이 없다면 구해진 LC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논리 채널을 찾기 위해 상기 1121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이번에도 구해진 DB의 크기가 L 보다 크다면 구해진 DB 다음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데이터 블록을 찾는 상기 과정으로 다시 돌아간다. 만일 구해진 DB의 크기가 L 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해진 LC과 DB를 가지고 상기 도 10으로 돌아간다. 만일 S의 모든 LC과 DB에 대해서 만족하는 것을 찾지 못하면 찾지 못한 상태로 상기 도 10으로 돌아간다.
상기 도 11의 과정을 통하여 현재 논리 채널들과 각각의 논리 채널들이 대기열에 가지고 있는 데이터 블록 중에서 가장 먼저 전송해야 하고 크기가 L 보다 작거나 같은 데이터 블록 DB와 논리 채널 LC를 찾으면 이것을 이번 전송 유닛에 실어 보내는 것으로 선택한다. 즉, 먼저 상기 도 10의 1019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DB와 지정된 다중화 유닛 형식을 바탕으로 다중화 유닛 MU를 만든 다음, 1021단계에서 논리 채널 LC의 대기열에서 DB를 빼낸다. 그리고 1023단계에서 DB가 전송된 것을 반영하기 위해서 집합 S의 모든 논리 채널과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 전송 우선 순위를 새롭게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1025단계에서 남은 전송 유닛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 블록의 최대 크기를 L에 저장한 다음, 1027단계로 진행하여 다중화 유닛의 집합인 M에 구해진 MU를 추가한다. 이러한 과정을 마치면 상기 도 9로 돌아간다.
만일 상기 도 10 과정에서 원하는 데이터 블록을 하나도 찾지 못하면, 도 9의 923단계에서 트래픽에 지정된 다중화 유닛 형식이 3 번인지 살펴 본다. 만일 3 번이면 925단계로 진행하여 더 이상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L 값을 0으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종료한다.
상기 도 9에서는 상기 과정을 마친 후 전송할 다중화 유닛들의 집합인 M이 공집합인지 살펴 본다. 만일 공집합이면 보낼 것이 없다는 뜻이므로 그대로 종료한다. 만일 공집합이 아니면 트래픽에 지정된 다중화 유닛 형식이 3 번인지 살펴 본다. 만일 3 번이 아니고 집합 M이 공집합이 아니면 전송할 다중화 유닛을 한 번만 구하면 되므로 바로 종료한다. 만일 다중화 유닛 형식이 3 번이면 집합 M이 공집합이 아니더라도 전송할 다중화 유닛을 남은 길이 L이 0이 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과정을 마치게 되면 전송할 다중화 유닛이 없는 경우에는 M이 공집합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전송할 다중화 유닛이 담긴 집합 M을 결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집합 M을 가지고 전송 유닛을 만드는 것은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다중화 유닛 형식 1과 2의 경우에는 집합 M에 하나의 다중화 유닛만 구해지고 이 다중화 유닛이 바로 전송 유닛이 된다. 다중화 유닛 형식이 3인 경우에는 집합 M에 여러 개의 다중화 유닛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집합 M의 다중화 유닛들을 차례로 이어서 나열한 다음 다중화 유닛을 채우고 남은 전송 유닛의 나머지 비트들을 모두 0으로 설정하면 전송 유닛이 완성된다. 전송 유닛이 완성된 다음에는 완성된 전송 유닛을 해당 트래픽을 전송하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로 보내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2는 수신측 논리 채널 대응기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수신측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수신된 전송 유닛을 논리 채널 대응기에게 전달하면 상기 도 12에서 논리 채널 대응기는 1211단계에서 수신된 전송 유닛을 트래픽에 지정된 다중화 유닛 형식을 참고하여 송신한 다중화 유닛들을 구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중화 유닛 형식이 1 또는 2 이면 전송 유닛이 바로 다중화 유닛이 된다. 그리고 1213단계에서 상기 트래픽에 지정된 다중화 유닛 유형이 3번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이 3이면 1217단계 내지 1227단계 수행을 통해 첫번째 바이트에서부터 차례로 읽어가면서 다중화 유닛들을 분리해 낸다. 각각의 다중화 유닛들은 길이를 오버헤드 필드 LEN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다중화 유닛의 길이를 알 수가 있고, 일단 다중화 유닛의 길이를 알아내면 바로 다음 다중화 유닛의 시작 부분을 알 수 있으므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도중에 전송 유닛의 나머지 부분이 2 바이트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길이가 0인 다중화 유닛이 발견되면 더 이상 분리를 하지 않고 종료한다.
논리 채널과 다중화 유닛의 집합이 상기 도 12에 의해서 얻어지면 논리 채널 대응기는 해당하는 데이터 블록을 보내고 받는 상위 엔티티에게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보낸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은 상위 엔티티가 보내는 데이터 블록들을 다중화/역다중화하여 목적지 상위 엔티티에게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과정에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은 각각의 상위 엔티티에게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 이것은 특히 cdma2000 시스템에서 동화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해야 하므로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은 하기 표 4와 같다.
엔티티 속성
물리채널다중화/역다중화 기능 정보 비트 구조 집합, 현재 전송율 집합,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
논리채널 대응기 대응 테이블, 트래픽정보 목록,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
상기한 바와 같이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은 현재 전송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를 바탕으로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구성한다. 만일 물리 채널의 전송 속도가 달라지면 물리 채널 프레임의 구조가 달라지므로 정보 비트의 길이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전과는 다른 정보 비트 구조가 전송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가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속성으로 정보 비트 구조 집합과 현재 전송율 집합을 넣는다. 정보 비트 구조 집합은 정보 비트가 전송되는 전송율과 정보 비트의 구조를 한 쌍으로 하여 전송율과 정보 비트 구조 쌍의 집합이 된다. 현재 전송율 집합은 현재 물리 계층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송율의 집합이다.
이때, 상기한 정보 비트 구조 집합에서 현재 전송율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율과 같은 쌍을 이루는 정보 비트 구조들이 상기한 현재 전송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들이 된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즉, 어떤 정보 비트 구조는 자신이 전송되는 전송율이 현재 전송율 집합에 있으면 현재 전송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전송 가능하지 않은 정보 비트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정보 비트 구조 집합을 물리 계층이 지원하는 모든 전송율에 대해서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의 집합으로 하면 물리 계층이 현재 지원하는 전송율 집합이 바뀌더라도 정보 비트 구조 집합을 새로 만들 필요가 없게 된다. 이미 정보 비트 구조 집합은 바뀐 전송율에 대한 정보 비트 구조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 전송율 집합만을 바꾸어 주면 새로운 정보 비트 구조를 바탕으로 정보 비트를 만들게 된다.
상기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마지막 속성인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은 서로 논리 채널 대응기에서 보내는 서로 다른 트래픽과 전송 유닛 중에서 어떤 전송 유닛을 먼저 보낼지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전송의 우선 순위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은 다중화와 역다중화 작업만을 수행하고 데이터 블록을 나누거나 합치는 작업은 수행하지 않으므로 전송의 우선 순위만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논리 채널 대응기의 속성은 모두 세 가지로서 대응 테이블, 트래픽 정보 목록,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이다. 상기한 대응 테이블은 논리 채널 대응기가 지원하는 논리 채널들이 어떤 트래픽으로 대응되는지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논리 채널 대응기는 논리 채널들을 하나의 트래픽으로 대응시키지만 DTCH 대응기의 경우 전용 트래픽 채널들을 제 1 트래픽 또는 제 2 트래픽으로 대응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대응 테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대응 테이블은 각각의 논리 채널들마다 대응되는 트래픽과 트래픽에서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ID를 지정한다.
상기 트래픽 정보 목록은 각각의 트래픽 별로 사용해야 하는 다중화 유닛 형식과 지원하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별로 어느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이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중화 유닛 형식은 논리 채널 대응기가 전송 유닛을 만들 때 사용한다. 상기한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은 여러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들이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을 때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들 중에서 어떤 기능에게 전송 유닛을 보내야할 지 결정하는 자료이다. 이 자료에는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보장할 수 있는 서비스 품질들이 기록된다.
마지막으로 논리 채널 대응기가 가지고 있는 속성은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이다. 여기에서는 각각의 논리 채널들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지 지정하는 정보가 들어 있다. 즉, 여러 논리 채널들이 하나의 트래픽을 이룰 때 어떤 논리 채널의 어떤 데이터 블록을 먼저 전송해야 하는지 논리 채널 대응기는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을 보고서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cdma2000 시스템을 위하여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의 엔티티들과 각각의 기능을 규정하고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IS-95-B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cdma2000의 기능을 효과적인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0)

  1.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다중화 및 서비스 품질 부계층을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과 논리 채널 대응기의 두 단계의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상기 논리채널 대응기로부터 전달되는 제1트래픽, 제2트래픽, 버스트 트래픽, 신호 트래픽, 맥 제어 트래픽을 기준으로 다중화/역다중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과 논리 채널 대응기가 상위 엔티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 1 트래픽 및 제 2 트래픽 등의 전용 채널 데이터 트래픽과, 버스트 트래픽 등의 공통 채널 데이터 트래픽과, 그리고 신호 트래픽과 MAC 제어 트래픽으로 묶어서 다중화/역다중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대응기가,
    논리 채널들을 각각의 트래픽에 대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가 상기 전송 유닛을 정보 비트에 대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가,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의 전송 유닛을 먼저 전송하려고 시도하고 적절한 전송 유닛이 없을 때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트래픽의 전송 유닛을 전송하려고 시도함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가, 전송이 결정되는 전송 유닛에 따라 적용 가능한 정보 비트 구조들의 범위를 줄여서 결국에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물리 채널 프레임을 만들 수 있도록 수행함을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대응기가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을 전송 유닛에 대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대응기가 우선 순위가 높은 논리 채널의 데이터 블록을 먼저 전송하려고 시도하고 적절한 데이터 블록이 없을 때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려고 시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을 사용하여 상위 엔티티 데이터 블록을 다중화 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의 1 번과 제 1 트래픽 또는 제 2 트래픽과 기본 채널에 음성 서비스의 전용 트래픽 채널을 대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의 2 번을 사용함으로써 전송 유닛을 가득 채워서 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의 3 번을 사용함으로써 전송 유닛이 큰 경우 작은 다중화 유닛도 전송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유닛 형식의 3 번을 사용할 때 전송 유닛에서 다중화 유닛을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정보 비트 구조 집합, 현재 전송율 집합,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으로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의 동작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비트 구조 집합을 여러 가지 전송율 집합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정보 비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서 물리 계층이 지원하는 전송율 집합이 변경되더라도 정보 비트 구조 집합을 바꿀 필요 없이 단지 현재 전송율 집합만을 바꿈으로써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정확한 정보 비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을 참고하여 트래픽과 전송 유닛의 우선 순위를 조정하고 이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전송될 정보 비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대응 테이블, 트래픽 정보 목록,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으로 논리 채널 대응기의 동작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테이블을 여러 가지 논리 채널에 대해서 지정함으로써 논리 채널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의 길이를 줄이고 많은 논리 채널들이 하나의 트래픽을 공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대응기가 트래픽 정보 목록을 바탕으로 여러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이 하나의 트래픽을 지원해 줄 때 어떤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으로 트래픽을 전송할 것인지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대응기가 서비스 품질 제어 블록을 참고하여 논리 채널과 데이터 블록의 우선 순위를 조정하고 이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전송될 전송 유닛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22.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터티들이 사용하는 논리채널들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대응되는 물리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로 전달하는 논리채널 대응기들과,
    상기 논리채널 대응기들로부터 전달되는 전송 유닛들을 몇 개의 트래픽으로 묶고, 이들 트래픽에 대해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물리 채널을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물리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채널 대응기들이,
    전용 트래픽 채널들을 제1트래픽 또는 제2트래픽으로 대응시키는 전용트래픽채널 대응기와,
    전용 신호 채널을 신호 트래픽으로 대응시키는 전용신호채널 대응기와,
    전용 맥 제어 채널을 맥 제어 트래픽으로 대응시키는 전용맥채널 대응기와,
    공통 트래픽 채너을 버스트 트래픽으로 대응시키는 공통트래픽채널 대응기와,
    공통 신호 채널을 신호 트래픽으로 대응시키는 공통신호채널 대응기와,
    공통 맥 제어 채널을 맥 제어 트래픽으로 대응시키는 공통맥채널 대응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들이,
    상기 전용트래픽채널 대응기, 상기 전용신호채널 대응기 및 상기 전용맥채널 대응기로부터 전달되는 제1트래픽과 제2트래픽, 신호트래픽 및 맥제어 트래픽을 물리채널인 기본채널로 전달하는 기본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와,
    상기 전용트래픽채널 대응기로부터 전달되는 제1트래픽 또는 제2트래픽을 물리채널인 부가채널로 전달하는 부가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와,
    상기 전용트래픽채널 대응기, 전용신호채널 대응기 및 전용맥채널 대응기로부터 전달되는 제1트래픽 아니면 제2트래픽, 신호트래픽 및 맥 제어 트래픽을 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로 전달하는 전용제어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와,
    상기 공통트래팩채널 대응기, 공통신호채널 대응기 및 공통맥채널 대응기로부터 전달되는 버스트 트래픽, 신호 트래픽, 맥 제어 트랙픽을 물리채널인 공통제어채널로 전달하는 순방향/역방향 공통제어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와,
    상기 공통신호채널 대응기로부터 전달도는 신호트래픽을 물리채널인 페이징/엑세스 채널로 전달하는 페이징/엑세스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래픽과 제2트래픽은 순수한 데이터가 흐르는 트래픽으로, 기본채널에서는 상기 제1트래픽이 상기 제2트래픽보다 우선적으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트래픽은 순수한 데이터가 흐르는 트래픽으로, 전용채널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트래픽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가 흐르는 트래픽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맥제어 트래픽은 매체접근제어를 위해 발생되는 제어 메시지가 흐르는 트래픽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29.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위 엔티티로부터 데이터 수신시 논리채널 대응기가 해당 트래픽을 생성하여 해당 물리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논리채널 대응기로부터 트래픽 수신시 상기 물리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가 수신되는 트래픽을 다중화하고 정보비트로 만들어 자신이 전담하는 물리채널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30.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물리 채널 프레임 수신시 물리계층이 상기 물리 채널 프레임의 정보 비트를 물리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비트 수신시 상기 물리채널 다중화/역다중화 기능부가 상기 정부비트에서 각각 트래픽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트래픽들을 각각 대응되는 논리채널 대응기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수신시 상기 논리채널 대응기가 수신되는 트래픽을 해당 논리채널을 통해 해당 엔터티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KR1019980038353A 1998-09-14 1998-09-14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68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353A KR100689366B1 (ko) 1998-09-14 1998-09-14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CA002310266A CA2310266C (en) 1998-09-14 1999-09-14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99944885A EP1051771A2 (en) 1998-09-14 1999-09-14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1999/000542 WO2000016433A2 (en) 1998-09-14 1999-09-14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B998018015A CN1136684C (zh) 1998-09-14 1999-09-14 移动通信系统中的通信设备和方法
AU57615/99A AU735554B2 (en) 1998-09-14 1999-09-14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09/395,533 US6614775B1 (en) 1998-09-14 1999-09-14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353A KR100689366B1 (ko) 1998-09-14 1998-09-14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83A true KR20000019983A (ko) 2000-04-15
KR100689366B1 KR100689366B1 (ko) 2007-05-17

Family

ID=1955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353A KR100689366B1 (ko) 1998-09-14 1998-09-14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14775B1 (ko)
EP (1) EP1051771A2 (ko)
KR (1) KR100689366B1 (ko)
CN (1) CN1136684C (ko)
AU (1) AU735554B2 (ko)
CA (1) CA2310266C (ko)
WO (1) WO20000164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92B1 (ko) * 1998-10-01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분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319099A0 (en) 1999-10-01 1999-10-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port of amr encoded information across an atm core network
KR20010111719A (ko) * 2000-06-13 2001-12-20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패킷 데이타 서비스방법
US6765887B1 (en) * 2000-09-06 2004-07-20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received transmission based on processing delays requirement
AU2002317073A1 (en) * 2001-06-27 2003-03-03 Nortel Networks Limited Mapp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761255B (zh) * 2004-10-13 201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字集群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
JP4718254B2 (ja) 2005-06-17 2011-07-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割り当て装置および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US9300570B2 (en) * 2012-05-22 2016-03-29 Harris Corporation Multi-tunnel virtual private network
WO2017169064A1 (ja) * 2016-03-31 2017-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無線端末、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これら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758A (ja) * 1988-12-21 1990-06-28 Nec Corp 通信制御装置
US6112085A (en) * 1995-11-30 2000-08-29 Amsc Subsidiary Corporation Virtual network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SE505039C2 (sv) * 1996-03-13 1997-06-16 Telia Ab System för förbättrad överföring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5859843A (en) * 1996-09-11 1999-01-12 Nokia Mobile Phones Ltd. Framing technique for a multi-rate CDMA communication system
US5862160A (en) * 1996-12-31 1999-01-19 Ericsson, Inc. Secondary channel for communication networks
JPH10340243A (ja) * 1997-06-06 1998-12-22 Hitachi Ltd 入出力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3478542B2 (ja) * 1998-04-14 2003-12-1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方法
KR100454930B1 (ko) * 1998-08-17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물리채널별다중화장치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92B1 (ko) * 1998-10-01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분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61599A (en) 2000-04-03
US6614775B1 (en) 2003-09-02
WO2000016433A3 (en) 2000-08-24
WO2000016433A2 (en) 2000-03-23
AU735554B2 (en) 2001-07-12
CA2310266A1 (en) 2000-03-23
CN1136684C (zh) 2004-01-28
EP1051771A2 (en) 2000-11-15
CA2310266C (en) 2003-12-23
KR100689366B1 (ko) 2007-05-17
CN1287731A (zh)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1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ata streams given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constraints
KR100416996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050415B2 (en) Wireless network with a selection of transport format combinations
TWI454102B (zh) 自行動站至b節點轉移緩衝加強上鏈資料之無線通信方法及裝置
EP1349332A1 (en) Method for minimizing searching time for a transport format selection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842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들을 전송하는 장치
US20020097695A1 (en) Wireless network having a selection of transport format combinations
AU2002251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ata streams given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constraints
KR10051667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0836293A1 (en) Framing technique for a multi-rate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1529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패킷 송수신 장치 및방법
KR10068936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45493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물리채널별다중화장치및방법
US7649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adio bearer multiplexing within segmentation protocol
KR20000074179A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648580B1 (ko) 용량이 다른 데이터 패킷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방법 및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앙 제어국과 가입자 장치
KR100446527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송신 및 수신 방법
KR100407356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