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217A -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217A
KR20020061217A KR1020010002154A KR20010002154A KR20020061217A KR 20020061217 A KR20020061217 A KR 20020061217A KR 1020010002154 A KR1020010002154 A KR 1020010002154A KR 20010002154 A KR20010002154 A KR 20010002154A KR 20020061217 A KR20020061217 A KR 2002006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elephone number
storing
telephon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777B1 (ko
Inventor
이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7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통해 손쉽게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을 구비하며, 각 숫자 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코드화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의 숫자와 매칭을 수행하여 전화번호의 입력을 수행하고,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화중인 경우 통화를 유지하며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매칭된 전화번호를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통화중에 전화번호를 임시로 입력한 후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통화 종료 후 저장할 경우 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영역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화 종료 후에 상기 임시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전화기에 사용한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OF PHONE NUMBER IN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전화번호부 등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한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들은 사용자가 미리 입력하여 둠으로써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거나 전화번호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이와 같이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전화기는 일반적인 부가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전화번호의 저장은 대체로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면 전화번호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첫 번째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전화기에 구비된 숫자 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저장을 요구하는 기능키를 입력하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에 따라 번지를 선택하게 한다. 번지의 선택에서 상기와 다른 방법은 자동으로 번지가 선택되는 경우로 순차적으로 번지가 자동 선택되며, 선택된 번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번지를 선택한 이후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름의 입력이 요구되며, 요구된 이름을 사용자가 입력한 후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상기 기술한 방법에서 약간씩의 순서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한 방법을 통해 전화번호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음성 인식을 통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음성 인식을 통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음성 인식 등록키를 입력하면 등록할 음성을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런 후 2회 정도의 음성 입력을 통해 최초 입력된 음성의 신호와 비교 후에 음성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화번호의 저장을 요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화기에 구비된 숫자 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에 따라 번지를 선택하게 한다. 번지의 선택에서 상기와 다른 방법은 자동으로 번지가 선택되는 경우로 순차적으로 번지가 자동 선택되며, 선택된 번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또한 음성 인식 전화번호 저장에서는 이러한 번지의 지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번지를 선택한 이후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름의 입력이 요구되며, 요구된 이름을 사용자가 입력한 후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상기 기술한 방법에서 약간씩의 순서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을 통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방법들은 사용자가 미리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경우에 편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화로 통화를 수행 중에 전화번호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며 메모지 등을 찾아 전화번호를 적은 후에 통화 종료 후 상기한 방법들 중 하나로 저장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므로 주변에 메모지가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일반 가정용 전화기의 경우에도 근거리 외출 시에 무선 전화기를 휴대한 경우 또는 주변에 메모지가 없는 경우 등에는 전화 통화 중에 상대측에서 불러주는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동안 통화의 단절을 초래하며 사용자들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통화중 녹음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통화 녹음키를 선택하여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가 종료된 후에 이를 청취하여 암기하거나 또는 메모지에 옮겨 적은 후에 상술한 2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 또한 통화중 녹음 기능이 부가된 전화기에 한정되며, 통화 종료 후에 다시 청취하여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에서 통화 중에 전화번호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통화 중 통화의 단절을 최소화하며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을 구비하며, 각 숫자 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코드화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의 숫자와 매칭을 수행하여 전화번호의 입력을 수행하고,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화중인 경우 통화를 유지하며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매칭된 전화번호를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통화중에 전화번호를 임시로 입력한 후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통화 종료 후 저장할 경우 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영역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화 종료 후에 상기 임시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 및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화중에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될 경우 통화 모드를 수행하면서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드화하고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숫자와 매칭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숫자들의 저장키가 입력되면 통화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매치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임계값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임계값 이내의 유사 데이터가 2 이상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정은 통화중 뿐 아니라 대기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화중인 경우에 저장 과정을 추후에 수행하기 위해 임시 영역에 저장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이를 알람을 통해 출력한 후 등록이 진행되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통화 중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긔의 블록 구성 및 각 블록들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따라서 무선 전화기가 아닌 경우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가 필요 없게 된다.
제어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성 신호로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저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1)에서 수행되는 전화번호 저장에 대한 제어 과정은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부(1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소정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1)로 전달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113)로 전달한다. 또한 무선부(112)는 음성 처리부(113)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신하기 위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부(112)에서 제어부(111)로 출력되는 신호는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 및 페이징 신호 또는 데이터 통신 시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전력 제어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가 된다. 또한 제어부(111)는 호의 설정 또는 전력 제어 및 데이터 송신 시의 송신할 데이터를 무선부(112)로 전달하여 기지국으로송출한다. 그러므로 무선부(112)에서 음성 처리부(113)로 출력되는 신호는 호가 설정된 이후에 수신된 코드화된 음성 신호가 된다.
음성 처리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코딩하여 무선부(112)로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음성 처리부(113)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인식 모드에서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소정의 코드화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메모리(114)는 롬 메모리와 램 메모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11)에서 제어 시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저장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메모리(114)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의 저장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메모리 영역을 가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을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이라 칭한다. 이와 같은 전화번호 테이블을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번지 전화번호 이 름
00 02-111-1111 손수진
상기 예시한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번지와 전화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이름이 저장되며, 이름의 저장 영역은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등록한 숫자와 숫자에 대응하는 코드화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를 "음성 인식 테이블"이라 칭하며 이를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번호 음성 데이터
0 1110001―101
9 1011010―110
상기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하며 초기에는 음성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표 2>의 예시에서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형식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상태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다른 어떠한 방법으로도 저장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0', '1', '2', '3', '4', '5', '6', '7', '8', '9'의 숫자들에 대응하는 각 음성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만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데이터들은 음성 처리부(113)과 같은 음성 코덱(CODEC)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키 입력부(115)는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 키들과,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또한 키 입력부(115)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인식 저장을 위한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하거나 또는 다기능 키로 구비하여 음성 인식 전화번호 저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기능 키 또는 별도의 기능키 중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키를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라 칭한다. 표시부(11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전원의 잔량 및 수신전계강도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6)는 음성 인식 전화번호 저장 시에 전화번호 저장 상태 등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통화 중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페이징 신호의 검사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이며,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키의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대기상태를 수행하며 제어부(111)는 202단계로 진행하여 호의 착신 또는 발신 요구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호의 착신은 페이징 채널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이며 발신은 사용자가 키 입력부(115)에 구비된 발신을 요구하는 키를 입력하는 경우가 된다. 제어부(111)는 착신 또는 발신의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 2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0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204단계로 진행하면 키 입력부(115)로부터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204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된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고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200단계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달리 호의 착신 또는 발신이 요구되면 제어부(111)는 202단계에서 206단계로 진행하여 무선부(112)를 제어하여 채널을 설정하고 통화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통화 모드를 수행하며 208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208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는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21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가 종료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210단계의 검사결과 통화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111)는 무선부(112)를 제어하여 통화를 위한 채널을 해제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통화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206단계의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또한 통화 모드를 수행하며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의 검색을 수행한 208단계의 검사 결과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의 입력이 존재하거나 또는 200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된 경우 212단계로 진행한다. 212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음성 처리부(113)를 제어하여 마이크(MIC)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코드화한다. 이때 코드화는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을 위해 필요한 형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예시한 <표 2>와 같이 음성 인식 테이블을 이용하여 코드화되어 수신된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데이터가 저장된 숫자와 매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표 2>의 음성 데이터와 상기 코드화되어 입력된 데이터 중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가장 유사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가장 유사한 또는 동일한 데이터와 매칭되는 번호를 찾는다.
상기 제어부(111)는 216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매칭을 수행하는 중에 유사한 데이터가 2이상이거나 또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216단계의 검사결과 매칭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1)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며 표시부(116)를 제어하여 재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동시에 또는 음성 처리부(113)를 제어하여 재입력 요구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218단계의 재입력 요구는 표시부(116)에만 표시하고 음성 처리부(113)를 제어하여 단지 경고음만을 출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경고음만을 출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음성 메시지만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제품의 제조 시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이다. 이와 같이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이 요구되면, 제어부(111)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처리부(113)을 제어하여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코딩을 다시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216단계의 검사결과 매칭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16)에 매칭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된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된 데이터의 저장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즉, 키 입력부(115)로부터 저장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222단계의 검사결과 키 입력부(115)로부터 저장키가 입력되는 경우 22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되는 음성에 대한 매칭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224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11)는 현재 상태가 통화중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만일 통화중 상태인 경우 제어부(111)는 226단계로 진행하고, 통화중 상내가 아닌 경우 제어부(111)는 238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먼저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통화중 상태인 경우 상기 표시된 데이터를 임시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228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통화모드를 수행하며 22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가 종료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232단계로 진행하고 통화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228단계의 통화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제어부(111)는 232단계에서 등록할 메시지가 존재함을 음성 또는 부저 또는 램프 등의 경고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34단계로 진행하여 등록이 진행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는 미리 설정된 키 또는 다기능 키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1)는 키 입력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검출한다.
제어부(111)는 234단계에서 등록 진행이 요구된 경우 238단계로 진행하고 등록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236단계로 진행한다. 등록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236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11)는 상기 임시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등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오버라이트(over write)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달리 상기 234단계에서 23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224단계에서 238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11)는 번지를 할당하며 이를 표시한다. 이때 번지의 할당은 상기 예시된 <표 1>과 같은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되는 형식의 번지 즉, 사용자 편의상 제공되는 번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번지는 순차적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할당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번지의 할당은 일반적인 전화번호의 저장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어부(111)는 이러한 번지를 할당하며 표시하여 번지 할당이 완료되면 240단계로 진행하여 이름의 입력 과정을 수행한다. 이름의 입력 또한 일반적인 전화번호 저장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 흐름도에 따라 설명된 과정을 대기상태에서 저장되는 경우와 통화중에 저장되는 경우로 구분하여 다시 요약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대기상태에서 음선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면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113)에서 소정의 코드로 변환하여 미리 숫자마다 등록된 음성과 매칭하여 매칭된 번호들을 표시부(116)에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가 완성되면 즉, 저장키가 입력되면 통화중 상태가 아니므로 번지 할당 및 표시를 수행한다. 번지의 할당이 완료되면 이름의 입력을 수행하여 음성만으로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화중 상태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요약하면 하기와 같다. 통화중에 사용자가 키 앱력부(115)의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의 입력이 존재하면 통화를 수행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 처리부(113)에서 소정 코드로 변환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숫자와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된 번호를 표시부(116)에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가 완성되면 사용자가 저장키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를 임시 영역에 저장한다. 그런 후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화 모드를 수행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임시 영역에 데이터가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후 번지 할당 및 이름 입력을 통해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b에서는 통화중인 경우에 임시로 저장하는 과정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들을 구비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즉, 통화 여부에 관계없이 저장이 요구되면 즉, 222계의 검사결과 저장이 요구된 경우 238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단말기의 제조 시에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사항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미리 저장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일반적인 공통 음성 인식 데이터를 미리 제품의 출시 시에 저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대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의 저장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통해 통화중에도 메모지 없이 직접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공백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의 기능 사용이 미숙한 사람들에게 메모리의 활용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을 구비하며, 각 숫자 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코드화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의 숫자와 매칭을 수행하여 전화번호의 입력을 수행하고,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중인 경우 통화를 유지하며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매칭된 전화번호를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4.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과, 각 숫자 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음성 인식 테이블과, 통화중에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영역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코드화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의 숫자와 매칭을 수행하여 전화번호의 입력을 수행하고, 입력이 완료되면 통화중인 경우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임시 영역에 저장하고 통화 종료 후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을 제어하며, 통화중이 아닌 경우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매칭된 전화번호를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6.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 및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될 경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드화하고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숫자와 매칭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숫자들의 저장키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매치되지 않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임계값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임계값 이내의 유사 데이터가 2 이상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9.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 및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중에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될 경우 통화 모드를 수행하면서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드화하고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숫자와 매칭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숫자들의 저장키가 입력되면 이를 임시 영역에 저장한 후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할 데이터 존재를 알람을 이용하여 알린 후 등록 진행이 요구되면 상기 임시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매치되지않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임계값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임계값 이내의 유사 데이터가 2 이상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화가 종료 후 저장할 데이터 존재를 알람 출력 후에 등록 진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임시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계속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13.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 및 음성 인식 테이블을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중에 음성 전화번호 저장키가 입력될 경우 통화 모드를 수행하면서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드화하고 상기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숫자와 매칭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숫자들의 저장키가 입력되면 통화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등록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매치되지 않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화한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와 임계값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임계값 이내의 유사 데이터가 2 이상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재입력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20010002154A 2001-01-15 2001-01-15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036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54A KR100365777B1 (ko) 2001-01-15 2001-01-15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54A KR100365777B1 (ko) 2001-01-15 2001-01-15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217A true KR20020061217A (ko) 2002-07-24
KR100365777B1 KR100365777B1 (ko) 2002-12-26

Family

ID=2769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154A KR100365777B1 (ko) 2001-01-15 2001-01-15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7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356A (ja) * 1989-08-17 1991-04-02 Japan Steel Works Ltd:The 人声認識携帯電話機
KR100605868B1 (ko) * 1998-12-30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저장방법_
KR100399883B1 (ko) * 1999-04-23 2003-09-29 이수성 음성인식 프로세서를 내장한 휴대폰의 음성인식 시스템
KR20000049864A (ko) * 2000-05-03 2000-08-05 임정택 음성 인식 셀룰러폰 및 그 제어방법
KR100341595B1 (ko) * 2000-05-23 2002-06-22 송정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번호 표시방법
KR100383053B1 (ko) * 2000-10-24 2003-05-22 한태현 이동전화용 음성 인식 전화번호 저장 및 안내, 자동연결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777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131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RU223304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в беспроводном связ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20040035515A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제어 방법
KR100713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6577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JP3033666B2 (ja) 通信装置間のデータ登録方法及び通信装置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277070B1 (ko)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WO2001047225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call waiting functionality via voice recognition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100315711B1 (ko) 통신 단말기에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40066957A (ko) 교환기 서버로 전송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인식다이얼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101085731B1 (ko)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를 액세스 할 수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0358093A (ja) 携帯型通信機器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JP2001127913A (ja) 移動通信端末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JP2002218540A (ja) サービスエリア圏外を通知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用交換機
KR2003003915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KR20030047041A (ko) 다양한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