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030A -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030A
KR20020061030A KR1020010001722A KR20010001722A KR20020061030A KR 20020061030 A KR20020061030 A KR 20020061030A KR 1020010001722 A KR1020010001722 A KR 1020010001722A KR 20010001722 A KR20010001722 A KR 20010001722A KR 20020061030 A KR20020061030 A KR 2002006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torage unit
information
unit
annou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340B1 (ko
Inventor
최성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340B1/ko
Priority to US09/998,205 priority patent/US6725063B2/en
Priority to CNB011440430A priority patent/CN1163089C/zh
Publication of KR2002006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66Message disposing or creating aspects
    • H04M3/53375Message broad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안내 메시지 송출 요구시 상기 메시지 저장부로부터 독출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와,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수의 안내 메시지의 위치 정보 및 메시지 크기 정보를 구비하여 메시지 송출 요구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안내 메시지 송출 요구 수신시 메시지 송출에 대한 패턴 데이터에 따라 각 음소의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를 상기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배열을 형성한 후, 상기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롤 통해 상위 프로세서로 송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ANNOUNCEMENT BROADCAST APPARATUS IN THE SYSTEM OF UMTS}
본 발명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UMTS시스템내 안내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내방송장치는 교환기의 운용중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일반 사용자가 특수한 목적으로 특수한 사항에 대한 서비스를 요구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 교환기의 호 발생 때에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여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내부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호를 요구한 일반 사용자에게 송출하여 시스템의 현재 장애 상태를 알리는데 사용된다. 또한 부가적인 특수 서비스로서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요구하거나 일반 사용자가 현재 시스템을 부재 혹은 착신 거부와 같은 기능을 일시적으로 시스템에 요구하여 다른 사용자가 호를 요구하였을 경우에 호 접속을 거부하거나 접수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 안내메시지를 시스템에서 제공할 때 사용된다.
한편, 종래 UMTS시스템에서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식은 시스템의 장애가 발생했을 때에 제공하는 고정형 메시지 서비스 방식과 일반 사용자가 부가적인 서비스를 요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집형 메시지 서비스 방식이 있다. 안내방송 장치는 내부에 시스템의 장애가 발생했을 때에 송출하는 고정형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메시지 번호와 메시지 반복 송출 회수 정보를 받아 서비스한다. 이때 일반 사용자가 요구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는 안내방송 장치가 서비스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위프로세서의 부가적인 서비스의 요구에 의해 프로세서의 가변적인 정보와 안내방송 장치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조합하여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한다. 안내 메시지의 저장은 고정형 메시지와 편집형 메시지를 구분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메모리 구조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로 되어 있어 정보를 저장하면 메모리를 지우기 전까지는 정보가 항상 존재한다. 그리고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여 고정형 메시지와 편집형메시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 및 연결 정보 그리고 편집형 서비스의 메시지 형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어 보드를 실/탈장하여도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UMTS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안내방송 장치는 프로세서 블록인 제어부(100)과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록(102,104),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106), 상위 프로세서와 통신을 위한 uP정합부(108),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직렬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110) 그리고 아날로그 신호 및 직렬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아날로그 정합부(112)로부터 들어오는 직렬 스트림 신호 그리고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TempBuff정합부(114)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MC68306 프로세서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128K×16Word의 크기를 가지며 임시 데이터 메모리인 S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기능으로는 내부의 각 블록에 대한 제어와 상위 블록과의 통신을 제어하며 상위로부터 명령을 받아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의 상태와 알람상태를 감지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보고를 하거나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표시를 하도록 한다. 그리고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주기적인 스캐닝과 인터럽트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해 128mS의 인터럽트를 외부로부터 받아 들여 송출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update)시킨다. uP정합부(108)는 uP정합 및 내부의 기본 상태를 관리하며 상위프로세서와 내부의 프로세서의 통신을 위해 ASIC Chip과 DPRAM을 구비하고, 내부의 상태 및 알람상태를 모아 상위프로세서가 읽어 갈 수 있도록 하며 상위프로세서의 통신을 이중화를 적용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아날로그 정합부(112)는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칩과 시간정보와 메시지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구조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구물과 마이크 폰 잭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기능으로는 메시지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입력하여 저장시키는 기능을 하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출력시킨다.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110)는 8KHz의 프레임(Frame)에 동기화를 기준으로 2.048MHz의 PCM 스트림(stream)으로 음성정보를 주고 받으며 데이터를 직/병렬 변환과 병/직렬 변환을 수행하고, 메시지를 송출할 경우에는 고정형 메모리와 편집형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로직적으로 읽어 메시지를 송출하며 PCM 스트림의 다양한 경로를 제공한다. 메시지 송출은 최대 64메시지까지 송출할 수 있다. TempBuff정합부(114)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로 구성되고 메모리의 크기는 512K바이트의 크기이며 최대 64초크기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주 기능은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아날로그 정합부(112)와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110) 그리고 uP정합부(108)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uP의 제어를 의해 고정형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고정형 메시지 저장부(102)는 2Mbyte(메가 바이트)의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여 모듈화를 하여 한 모듈당 8Mbyte 크기를 가지며 최대 4개의 모듈을 실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 기능으로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이며 저장된 메시지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되어 있어 영구히 보존된다. 플래쉬 메모리의 구조는 64Kbyte 크기인 블록으로 하여 칩당 32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별 Erase와 Program을 수행한다. 고정형 메시지의 전체 메모리는 메시지를 8초 단위를 기준으로 512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편집형 메시지 저장부(104)는 고정형 메시지 저장부(102)와 동일한 구조이며 같은 모듈을 사용하며 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주기능으로는 편집형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용량은 최대 8Mbyte까지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106)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512kbyte이고, Erase와 Program기능이 있으며, 주 기능으로는 고정형 메시지의 저장블록에 메시지가 저장될 때에 저장되는 메시지의 위치정보와 메시지의 크기 그리고 종료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편집형 메시지의 패턴정보를 가지고 있어 uP가 초기에 초기화될 때에 프로세서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시켜 메시지 서비스를 하며 서비스 중간에 메시지에 대한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업데이트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안내방송장치의 녹음 방식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아날로그 정합을 통한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시켜 TempBuff저장부(114)에 저장하여 입력이 종료되면 uP의 제어를 받아 고정형 메시지 저장부(102)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110)를 통한 64Kbps의 PCM 스트림으로 입력되어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TempBuff저장부(114)에 저장하여 입력이 종료되면 uP의 제어를 받아 고정형 메시지 저장부(102)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 방식은 메시지를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uP정합부(108)를 통하여 TempBuff저장부(114)에 저장하여 완료되면 uP의 제어를 받아 고정형 메시지 저장부(102)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도 2에는 상기 저장방식에 따른 파일 포맷을 도시하였다. 상기 도 2의 파일 포맷에서 TempBuff저장부(114)에 저장할 때에는 raw data만 상위 프로세서에서 로딩(loading)된다. 편집형 메시지 녹음 방식은 외부에서 편집형 데이터를 생성하여 uP의 직렬포트를 이용하여 TempBuff저장부(114)에 저장하고 uP의 제어를 받아 편집형 메시지 저장부(104)에 저장한다. 즉, 종래 안내방송 장치의 재생방식은 Bargin-In과 Non-Bargin-In을 혼용하여 사용하며 재생 경로는 아날로그 정합부(112)와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110)인 두 경로를 통해 재생한다. 이때 메시지 재생은 uP의 제어를 받아 송출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메모리 위치정보와 크기를 배열로 관리하여 메모리 위치를 이동하며 크기를 감소시켜 메시지를 송출하며 메시지 중간에 메시지 중단을 요구하면 uP가 위치정보와 크기를 클리어(clear) 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교환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는 편집형 메시지의 경우 녹음방식이 복잡하여 안내방송 장치의 보드 생산 및 형상관리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내 메시지의 서비스를 고정형 메시지와 편집형 메시지로 구분하여 서비스하기 때문에 편집형 메시지의 경우 새로이 생성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별도로 다시 제작하여야함에 따라 운용자가 신규 메시지 생성에 있어 변경 및 추가가 용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시지의 기본 단위를 최소 64kbytes로 구성하고 메시지의 최대 크기를 512kbytes로 고정시킴에 따라 메모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예를 들어 저장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9초 크기를 가지면 메모리의 기본 단위인 64kbytes 두 블록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7초의 크기에 해당하는 메모리는 더미(Dummy)로 손실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MTS시스템에서 송출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해 메시지 패턴 정보를 보냄으로써 고정형과 편집형 구분없이 메시지를 구현할 수 있는 안내방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안내 메시지 송출 요구시 상기 메시지 저장부로부터 독출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와,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수의 안내 메시지의 위치 정보 및 메시지 크기 정보를 구비하여 메시지 송출 요구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안내 메시지 송출 요구 수신시 메시지 송출에 대한 패턴 데이터에 따라 각 음소의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를 상기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배열을 형성한 후, 상기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롤 통해 상위 프로세서로 송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안내 메시지의 wav파일 포맷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메시지의 패턴 데이터 저장 일예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환기의 안내방송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방송 장치는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302)와 메시지 저장부(304), 메시지 고유 정보 저장부(306)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방송 장치는 하드웨어적인 면에서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저장되어 있는 상태정보만을 유지하며 자체적으로 메시지를 형성하여 송출할 수 없으며 상위의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는 음소단위 혹은 음절단위의 데이터를 상위 프로세서에서 디스크에 보관하고 있으며 서비스할 메시지의 패턴 정보를 가지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 기능인 메시지 재생방식은 Bargin-In방식과 Non-Bargin-In 방식을 제공한다. 메시지 저장 방식은 파일 로드방식이며 파일생성은 상용적으로 사용하는 웨이브(wav)파일 형태를 수정없이 운용자가 생성하여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메모리의 기본 단위를 1024byte로 하여 메시지의 길이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 즉 운용자 입장에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서 새로운 메시지 형태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하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방송장치의 각 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MPC8260uP)(300)는 MPC8260 프로세서와Boot프로그램 메모리와 Application프로그램 메모리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인 SD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상태요구가 있는 경우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306)를 초기화하여 메시지 저장부(304)에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보고한다. 이때 저장된 메시지에 대해서는 저장된 메시지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위 프로세서에 보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메시지 저장요구가 있는 경우 저장상태에 대한 응답을 보고하며 저장할 수 있으면 상위로부터 메시지 번호와 저장할 파일을 받아 SDRAM에 저장한 후, 파일의 헤더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일의 크기를 알아낸 후, 메시지 저장블록에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되는 메시지의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가 메시지 고유 정보 저장부(306)에 업데이트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메시지 송출에 대한 패턴 데이터(Pattern Data)를 받으면 송출해야할 각 음소의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를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306)로부터 찾아 배열을 형성한 뒤에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302)로부터 발생되는 인터럽트에 맞추어 128ms마다 위치 정보 값을 변경하여 주고 크기 정보를 감소시킨다.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302)는 EPLD와 DPRAM으로 구성되며, 제어부(300)의 제어를 받아 메시지 저장부(304)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8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즉, 8KHz의 프레임을 받아 64kbps의 PCM 스트림 데이터를 128개 송출한다. 상기 메시지 송출시에는 제어부(300)와 DPRAM을 두고 상위 프로세서에 의해서 메시지 송출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방식으로 제어부(300)와 PCM 스트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302)는 상기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 생성부(address generation part)(400)와 DPRAM(402), 인버터(404) 등의 회로로 구현되며, 이때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302)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메시지 저장부(304)에서 데이터를 읽어 직렬로 송출한다. 메시지 저장부(304)를 액세스하는 방법은 로직적으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3.9μS동안에 최대 4번 읽기가 가능하다. 메시지 저장부(304)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모리의 크기는 40Mbyte이며 8Mbyte 크기의 모듈로 되어 있어 실/탈장이 가능하다.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저장하며, 메시지 송출 요구시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최소 단위로 1024byte를 기본단위로 하여 저장한다.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306)는 512kbyte 크기의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메시지 저장부(304)에 저장되는 메시지 위치 정보와 메시지 크기 그리고 메시지의 하프(half) 위치에 있는 메시지 한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보는 상위 프로세서에서 메시지 저장부(304)에 새로운 메시지를 저장하면 반드시 업데이트되며, 재부팅시 초기에 제어부(300)의 메모리 SDRAM으로 초기화 정보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형 메시지의 경우 메시지의 고유번호와 반복 회수 정보를 상위 프로세서에서 주면 보드 내의 제어부(300)는 메시지의 상태를 판단하여 서비스 가능한지를 상위 프로세서에 보고한다. 상기 편집형 메시지 서비스에 대해서는 편집형 메시지 데이터와 제어부(300)가 가지고 있는 편집형 메시지 패턴을 초기에 초기화하여 상위 프로세서에서 요구해 오면 상태를 판단하여 서비스가 가능하지를 상위 프로세서에 보고한다. 이때 상위에서 안내방송 장치에 송출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해 메시지 패턴정보를 보냄으로써 고정형과 편집형 구분없이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며, 메시지의 품질 저하 방지를 위해 아날로그 정합과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302)를 통한 메시지의 저장은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녹음 파일의 생성은 운용자 누구나 작업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생성하며, 메모리 저장에 있어서는 고정형과 편집형 구분없이 최소 메시지의 크기를 1024byte 단위로 저장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가 음소단위로 저장되어 메시지의 단위가 최소화되어 메모리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방송 장치에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메시지의 저장이 음소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용자가 음소단위로 저장된 패턴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신규 메시지 생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UMTS시스템에서 안내방송 장치의 기능을 단순화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고정형과 편집형에 구분없이 혼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드웨어의 형상관리가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메시지의 저장이 음송단위의 패턴 데이터로 이루어짐에 따라 패턴 데이터의 조합을 통한 신규 메시지 생성이 용이하며, 메시지 저장 메모리를 1024byte 단위로하여 메모리의 효율도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안내 메시지 송출 요구시 상기 메시지 저장부로부터 독출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와,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수의 안내 메시지의 위치 정보 및 메시지 크기 정보를 구비하여 메시지 송출 요구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안내 메시지 송출 요구 수신시 메시지 송출에 대한 패턴 데이터에 따라 각 음소의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를 상기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배열을 형성한 후, 상기 메시지 송/수신 정합부롤 통해 상위 프로세서로 송출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저장부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로 구성되며 1024바이트를 최소 메모리 기본 단위로 설정하여 메시지를 저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는,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새로운 메시지 저장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크기 정보가 갱신 저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상태 요구 수신시에는 상기 메시지 고유정보 저장부를 초기화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내 메시지 저장상태 정보를 상위 프로세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메시지 저장요구 수신시에는 상위로부터 메시지 번호와 저장할 파일을 수신하여 SDRAM에 저장하고 파일의 헤더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일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UMTS시스템의 안내방송장치.
KR1020010001722A 2001-01-12 2001-01-12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KR10036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22A KR100365340B1 (ko) 2001-01-12 2001-01-12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US09/998,205 US6725063B2 (en) 2001-01-12 2001-12-03 Announcement broadcasting apparatus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NB011440430A CN1163089C (zh) 2001-01-12 2001-12-28 通用移动通信系统中的公告广播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22A KR100365340B1 (ko) 2001-01-12 2001-01-12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30A true KR20020061030A (ko) 2002-07-22
KR100365340B1 KR100365340B1 (ko) 2002-12-18

Family

ID=1970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22A KR100365340B1 (ko) 2001-01-12 2001-01-12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25063B2 (ko)
KR (1) KR100365340B1 (ko)
CN (1) CN116308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8166A1 (en) * 2001-12-07 2003-06-12 Coppinger Cliff L. Integrated voice mail display system
KR100605528B1 (ko) * 2003-04-07 2006-07-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0551135C (zh) * 2003-04-25 2009-10-14 济南开拓科技有限公司 小区短信发布方法及其专用装置
US7079629B1 (en) * 2004-02-18 2006-07-18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post-call audio logo/message
US7613283B1 (en) * 2005-02-24 2009-1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voicemail
US20070002753A1 (en) * 2005-06-30 2007-01-04 Bailey Michael 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packet data communications device
US8818802B2 (en) * 2008-10-10 2014-08-26 Spansion Llc Real-time data pattern analysi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0042631A2 (en) * 2008-10-10 2010-04-15 Fastow Richard M Real-time data pattern analysi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3618615B (zh) * 2013-11-22 2019-03-29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终端实时获取信息公告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200A (en) * 1989-05-02 1991-07-02 At&T Bell Laboratories Voice message system using synthetic speech
AU5803394A (en) * 1992-12-17 1994-07-0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echanized directory assistance
CA2242065C (en) * 1997-07-03 2004-12-14 Henry C.A. Hyde-Thomson Unified messaging system with automatic language identification for text-to-speech conversion
US6385196B1 (en) * 1997-12-16 2002-05-07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a management control agent and operating protocol therefor
US6298043B1 (en) 1998-03-28 2001-10-02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a connection verification mechanism therefor
US6173250B1 (en) * 1998-06-03 2001-01-09 At&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peech-text-transmit communication over data networks
KR100384943B1 (ko) * 1999-12-30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증 실패/권한 부정 가입자에 대한 지능망적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25063B2 (en) 2004-04-20
CN1163089C (zh) 2004-08-18
US20020094802A1 (en) 2002-07-18
CN1365238A (zh) 2002-08-21
KR100365340B1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1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oading audio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EP1046243B1 (en) User interface for voice message access
US7027568B1 (en) Personal message service with enhanced text to speech synthesis
AU651605B2 (en) Portable transceiver and ESN transfer system therefor
US6070053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independent calling sound notification
EP0584666B1 (en) Digital radio telephone with speech synthesis
KR100365340B1 (ko)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US5896442A (en) Voice announcement technique of an electronic exchange system
KR100216236B1 (ko)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EP0713343B1 (en) Portable multi-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US64903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on-hold service in key telephone system
KR10020825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 방송 장치
US5982871A (en) Transmission of originator subscriber number after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US5923732A (en) Talki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switched network system
KR100248612B1 (ko) 전전자교환기의 고정형 안내방송장치
JPH1098562A (ja) 通信端末装置
KR100270739B1 (ko) 사설교환기용다기능자동중계기
KR200170153Y1 (ko) 교환 시스템의 음성 서비스 장치
KR20010035609A (ko) 교환 시스템의 안내 방송 메시지 기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38313A (ko) 전전자 교환기의 지능형 안내방송 시스템
KR20010004864A (ko)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방송 메시지 녹음방법
KR20010027387A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안내방송 장치 및 그 방법
JPH06164739A (ja) 留守番電話機システム
KR20010011044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회화 학습방법
KR20020067262A (ko)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방송 서비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