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499A -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499A
KR20020060499A KR1020010001624A KR20010001624A KR20020060499A KR 20020060499 A KR20020060499 A KR 20020060499A KR 1020010001624 A KR1020010001624 A KR 1020010001624A KR 20010001624 A KR20010001624 A KR 20010001624A KR 20020060499 A KR20020060499 A KR 2002006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ing
unit
microcomputer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1000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0499A/ko
Publication of KR2002006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절전 모드시에 별도의 회로 추가없이 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랜스를 구비한 모니터에 있어서, 1차측 인덕터로 입력되는 전압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 인덕터로 유기시키기 위한 PFC 리액터와, PFC 리액터의 2차측 인덕터에 유기된 전압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칭부와,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되어 트랜스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부와, 제 2 스위칭부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와,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가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이 입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에 상응하는 전압이 발생되어 마이컴에 인가되도록 구동부 또는 제 1 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신호를 절환시키는 절환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절전모드시 별도의 회로 추가없이 한 쌍의 인덕터로 이루어진 PFC 리액터를 이용하여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해당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of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전모드시 PFC 리액터를 통해 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인덕터(L1)와, 상기 인덕터(L1)를 통해 전송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발생하는 제 1 직류출력부(14)와, 상기 제 1 직류출력부(14)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1차측으로 입력받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으로 유기시키기 위한 제 1 트랜스(15)와, 상기 제 1 트랜스(15)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압을 발생하는 제 2 직류출력부(16)와,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 1 트랜스(15)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칭부(17)와, 상기 제 1 스위칭부(17)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인가하는 제 1 구동부(12)와, 상기 제 1 직류출력부(14)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1차측으로 입력받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으로 유기시키기 위한 제 2 트랜스(18)와, 상기 제 2 트랜스(18)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의 직류전압을 발생하는 제 3 직류출력부(20)와,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 2 트랜스(18)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부(19)와, 상기 제 2 스위칭부(19)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인가하는 제 2 구동부(13)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구동부(12)(13)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절환시키는 절환회로부(11)와,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가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을 입력받기 위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구동부(12)(13)로 소정신호가 절환되도록 상기 절환회로부(1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직류출력부(14)는 인덕터(L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병렬 연결된 브리지 다이오드(D1) 및 제 1 커패시터(C1)에 의해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이어서 제 1 트랜스(15)는 상기 제 1 직류출력부(14)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1 차측으로 입력받아 2 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 차측으로 소정전압을 유기시켜 제 2 직류출력부(16)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트랜스(18)도 상기 제 1 트랜스(15)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여기서 마이컴(10)은 모니터 시스템이 현재 정상동작 모드로 동작하는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절환회로부(11)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절환회로부(11)는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모니터 시스템이 정상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랜스(15)가 동작하여 정상동작 모드에 따른 전압이 상기 마이컴(10)에 전송되도록 제 1 구동부(12)로 소정신호를 절환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1 구동부(12)는 상기 절환회로부(11)에 의해 절환된 소정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제 1 스위칭부(17)로 소정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위칭부(17)는 제 1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17)는 상기 제 1 구동부(12)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되어 상기 제 1 트랜스(15)를 스위칭시킨다.
즉, 상기 제 1 스위칭부(17)의 제 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 1 구동부(12)로부터 '하이'신호가 전송되면 턴온되어 상기 제 1 트랜스(15)의 1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컬렉터 단으로 입력받아 접지 단으로 방전시켜 상기 제 1 트랜스(15)의 2 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지 않도록 스위칭한다.
한편,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 1 구동부(12)로부터 '로우'신호가 전송되면 턴오프되어 상기 제 1 트랜스(15)의 1 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해당 2 차측으로 유기되도록 스위칭한다.
결국, 정상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스위칭부(17)는 상기 제 1 구동부(12)의 출력신호 입력여부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 1 트랜스(15)의 1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2 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 차측으로 유기되도록 스위칭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직류출력부(16)는 상기 제 1 트랜스(15)의 2 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 1 트랜스(15) 및 제 2 직류출력부(16)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 입력받아 정상동작 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절환회로부(11)는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모니터 시스템이 절전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랜스(18)가 동작되어 절전모드에 따른 전압이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되도록 제 2 구동부(13)로 소정신호를 절환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부(12)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제 2 구동부(13)는 상기 절환회로부(11)에 의해 절환된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동작하여 제 2 스위칭부(19)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정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위칭부(19)는 상기 제 1 스위칭부(17)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 2 스위칭부(19)의 제 2 트랜지스터(Q2)는 상기 제 2 구동부(13)에서 '하이'신호가 전송되면 턴온되어 상기 제 2 트랜스(18)의 1 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컬렉터 단으로 입력받아 접지단으로 방전시켜 상기 제 2 트랜스(18)의 2 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지 않도록 스위칭한다.
한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는 상기 제 2 구동부(13)에서 '로우'신호가 전송되면 턴오프되어 상기 제 2 트랜스(18)의 1 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2 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 차측으로 유기되도록 스위칭시킨다.
결국, 상기 제 2 스위칭부(19)는 상기 제 2 구동부(13)의 출력신호 입력여부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 2 트랜스(18)를 스위칭시킨다.
이어서 제 3 직류출력부(20)는 상기 제 2 트랜스(18)의 2 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시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 3 직류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절전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0)은 정상동작 모드시 상기 제 2 트랜스(18) 및 제 3 직류출력부(20)를 통해 전송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이컴(10)은 정상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트랜스(15) 및 제 2 직류출력부(16)를 통해 전송되는 전압을 받지 않을 경우 상기 절환회로부(11)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구동부(13)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 2 트랜스(18) 및 제 3 직류출력부(20)를 통해 전송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절전모드시 마이컴의 전원공급을 위해 별도의 구동부, 스위칭부 및 트랜스 회로 등을 추가 구비해야 함으로써 제품 생산비용 증가 및 회로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절전모드시 별도의 회로 추가없이 한 쌍의 인덕터로 이루어진 PFC 리액터를 이용하여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컴 110 : 절환회로부
120 : 제 1 스위칭부 130 : 구동부
140 : PFC 리액터 150 : 제 2 스위칭부
160 : 제 2 직류출력부 170 : 제 1 직류출력부
180 : 트랜스 190 : 제 3 직류출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트랜스를 구비한 모니터에 있어서, 1차측 인덕터로 입력되는 전압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 인덕터로 유기시키기 위한 PFC 리액터와, PFC 리액터의 2차측 인덕터에 유기된 전압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칭부와,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되어 트랜스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부와, 제 2 스위칭부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와,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가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이 입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에 상응하는 전압이 발생되어 마이컴에 인가되도록 구동부 또는 제 1 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신호를 절환시키는 절환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트랜스(180)를 구비한 모니터에 있어서, 1차측 인덕터로 입력되는 전압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 인덕터로 유기시키기 위한 PFC 리액터(140)와, 상기 PFC 리액터(140)의 2차측 인덕터에 유기된 전압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칭부(120)와,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트랜스(180)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부(150)와, 상기 제 2 스위칭부(150)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30)와, 상기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가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이 입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0)과, 상기 마이컴(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에 상응하는 전압이 발생되어 상기 마이컴(100)에 인가되도록 상기 구동부(130) 또는 제 1 스위칭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신호를 절환시키는 절환회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PFC 리액터(140)의 1 차측 인덕터를 경유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트랜스(180)로 전송하는 제 1 직류출력부(170)와, 상기 제 1 스위칭부(120)에 의해 스위칭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마이컴(100)에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직류출력부(160)와, 상기 트랜스(18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마이컴(100)에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직류출력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PFC 리액터(140)의 2 차측 인덕터 코일 권선수는 조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150)는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FC 리액터(140)는 소정 전압을 1차측 인덕터로 입력받아 2차측 인덕터의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전압을 2차측으로 유기시켜 제 1 스위칭부(12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 1 직류출력부(170)의 브리지 다이오드(D110)는 상기 PFC 리액터(140)의 1 차측 인덕터를 통해 전송되는 전압을 정류하며 정류된 전압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D110)에 병렬 연결된 제 1 커패시터(C110)에 의해 평활되어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 1 직류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출력전압은 트랜스(180)로 전송된다.
이어서 상기 트랜스(180)는 상기 제 1 직류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1차측으로 입력받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으로 소정 전압을 유기시킨다.
그리고 제 3 직류출력부(190)는 상기 트랜스(180)의 2 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하여 마이컴(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100)은 모니터 시스템이 현재 정상동작 모드로 동작하는지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을 입력받기 위해 절환회로부(110)를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절환회로부(110)는 상기 마이컴(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칭부(120) 또는 구동부(130)로 소정신호를 절환시킨다.
즉, 상기 절환회로부(110)는 상기 마이컴(100)으로부터 정상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정상동작 모드에 따른 전압이 상기 마이컴(100)에 인가되도록 상기 구동부(130)로 소정신호를 절환시킨다.
이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절환회로부(110)의 절환에 의해 소정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제 2 스위칭부(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2 스위칭부(150)는 상기 구동부(13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되어 상기 트랜스(180)를 스위칭시킨다.
즉, 상기 제 2 스위칭부(150)의 트랜지스터(Q110)는 상기 구동부(13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해당 '하이'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턴온되어 상기 트랜스(180)의 1 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컬렉터 단으로 입력받아 접지단으로 방전시켜 상기 트랜스(180)의 2 차측에 소정전압이 유기되지 않도록 스위칭한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110)는 상기 구동부(130)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해당 '로우'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턴오프되어 상기 트랜스(180)의 1 차측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2 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 차측으로 유기되도록 스위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직류출력부(190)는 상기 트랜스(180)의 2 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마이컴(100)으로 전송한다.
결국, 상기 마이컴(100)은 상기 제 2 스위칭부(150)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트랜스(180) 및 제 3 직류출력부(190)를 통해 전송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정상동작 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100)은 절전모드시에 그에 상응하는 전압이 입력되도록상기 절환회로부(110)를 제어하며, 상기 절환회로부(110)는 상기 마이컴(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칭부(120)로 소정신호를 절환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절환회로부(110)의 절환에 따른 소정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120)는 상기 절환회로부(110)의 절환에 의해 소정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PFC 리액터(140)의 2 차측 인덕터에 발생하는 전압을 제 2 직류출력부(160)로 스위칭시킨다.
여기서 상기 PFC 리액터(140)의 2 차측 인덕터 코일 권선수는 상기 마이컴(100)이 필요로 하는 전압이 해당 2 차측 인덕터에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조정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제 2 직류출력부(160)는 상기 제 1 스위칭부(120)에 의해 스위칭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00)은 상기 제 2 직류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입력받는다.
즉, 상기 마이컴(100)은 상기 제 1 스위칭부(120)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제 2 직류출력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 전압을 입력받아 절전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00)은 정상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스위칭부(120)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제 2 직류출력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 전압을 입력받아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이컴(100)은 정상동작 모드시에 상기 제 2 스위칭부(150)의 스위칭에 따른 상기 트랜스(180) 및 제 3 직류출력부(190)를 통해 소정전압이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절환회로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스위칭부(120) 및 제 2 직류출력부(160)를 통한 전압을 입력받아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전모드시 마이컴의 전원공급을 위해 2 차측 인덕터가 장착되어 한 쌍의 인덕터로 이루어진 PFC 리액터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절전모드시 한 쌍의 인덕터로 이루어진 PFC 리액터를 이용하여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해당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트랜스를 구비한 모니터에 있어서,
    1차측 인덕터로 입력되는 전압을 2차측 코일 권선수에 비례하여 해당 2차측 인덕터로 유기시키기 위한 PFC 리액터;
    상기 PFC 리액터의 2차측 인덕터에 유기된 전압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칭부;
    소정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트랜스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부;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구동되도록 소정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모니터의 시스템 각 부가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이 입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그리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동작 모드 또는 절전모드에 상응하는 전압이 발생되어 상기 마이컴에 인가되도록 상기 구동부 또는 제 1 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신호를 절환시키는 절환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FC 리액터의 1 차측 인덕터를 경유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트랜스로 전송하는 제 1 직류출력부와,
    상기 제 1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마이컴에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직류출력부와,
    상기 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마이컴에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직류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FC 리액터의 2 차측 인덕터 코일 권선수는 조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KR1020010001624A 2001-01-11 2001-01-11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KR20020060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624A KR20020060499A (ko) 2001-01-11 2001-01-11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624A KR20020060499A (ko) 2001-01-11 2001-01-11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499A true KR20020060499A (ko) 2002-07-18

Family

ID=2769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624A KR20020060499A (ko) 2001-01-11 2001-01-11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04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0343B1 (en) Device for turning on light and illumination apparatus
KR100229604B1 (ko) 역률보정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전원 공급 장치
EP1239577B1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6980446B2 (en) Circuit for starting power source apparatus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JP295668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US20040109335A1 (en) Synchronous rectifier with burst mode control
US6297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electric power in a display system
JPH04299070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786922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51491A (ko) 전기기기의 저소비전력 대기전원회로
KR20020060499A (ko)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KR20120070953A (ko) 원격제어기기의 대기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JP2002095246A (ja) 電源装置
JP3751943B2 (ja) 変圧制御装置および電源装置
KR0127031B1 (ko) 절전형 전원회로 및 제어방법
JPH07170730A (ja) 直流ー直流変換器
JP346443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20045442A (ko) 역률 보상 회로
JP200407287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1161028A (ja) 直流電源装置
KR100426585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소프트 스위칭모드 전원공급회로
KR20030063816A (ko) 역률보정회로를 이용한 정전압공급장치
JPH11233281A (ja) 高圧アーク放電ランプの点灯回路
KR100385615B1 (ko) 전력 계수 정정 방식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