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986A - 내성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 - Google Patents

내성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986A
KR20020057986A KR1020027005465A KR20027005465A KR20020057986A KR 20020057986 A KR20020057986 A KR 20020057986A KR 1020027005465 A KR1020027005465 A KR 1020027005465A KR 20027005465 A KR20027005465 A KR 20027005465A KR 20020057986 A KR20020057986 A KR 2002005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
inhibitor
drug
resistance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빌켄스
Original Assignee
바이오네트워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네트워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오네트워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5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61K39/36Allergens from pol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61K38/443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e.g. glucose oxidase, lactate dehydrogenase (1.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Preparations to induce tolerance to non-self, e.g. prior to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1/00Drugs used in surgical methods, e.g. surgery adjuvants for preventing adhesion or for vitreum sub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3DNA (RNA) vacc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euro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sychia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성 유도를 개선 및 최적화하기 위하여 항원과 더불어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저해제를 포함하는 약물에 관한다.

Description

내성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MEDICAMENT IN ORDER TO INDUCE TOLERANCE}
본 발명은 적절할 경우 항원과 함께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11β-HSD)의 저해제를 포함하는, 내성 유도, 면역 변조 또는/및 염증 억제를 위한 약물에 관한다.
면역 시스템은 유해한 질병-유발의 내인성 및/또는 외인성 항원 및 무해 항원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내성이라 일컬어지는 상태란 특정 항원에 대하여 면역 시스템의 시스템적 "수동성" 또는 "무시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항원이 내인성(자기-항원) 또는 외인성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내인성 항원이 계속적으로 면역 방어를 유지할 경우 내성의 붕괴는 자기면역 질환을 일으킨다. 본래 병을 촉발하는 것이 아닌 환경 항원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알레르기란 용어로 통칭된다. 이식 의료 분야에서 원하지 않는 면역 반응이 있을 경우 이식에 대한 거부 반응이라고 하고, 수급자에 대하여 이식된 부분이 방어 반응하는 경우 그래프트 대 호스트 질환(GVHD)라고 한다. 내성이란 특정 과민반응이 해소되어 외인성 물질을 견디고 메카니즘적으로 내인성 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면역학적 내성의 성질은 항원 타입 및 이것이 면역 시스템에 나타나는 형태 및 양에 따라 달라진다. 내성은 3 이상의 상이한 메카니즘에 기초를 둘 수 있다고 사료된다. 먼저, 흉선에서 존재하는 항원과 반응하는 위험한 자기반응 잠재성 T 세포를 마이너스 선택, 즉 제거(삭제)하는 것이다. 또다른 메카니즘은 클론 아네르기이다. 이것은 항원-표현 세포 상에서 항원을 인식하나 신호가 없을 경우 비활성화되는 동시에 이 항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더이상 유도하지 않는 T 세포를 포함한다. 제3의 내성 구성원은 이미 개시된 면역학적 과정에서 면역 변조를 할 수 있는 억제 T세포로 불리는 보통의 T세포인 것으로 사료된다.
예를들어 바이러스 제거 또는 비특이적 염증에서의 면역 반응의 경우, 보통 T 세포는 면역학적 균형을 회복시키고 면역 반응을 종결시키는데 공헌한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자기-통제력 결함 또는 예를들어 약물에 의한 이의 예방은 자기면역 및 알레르기와 같은 병리학적 상태 또는 이식 의료 분야에서 원하지 않는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면역 질환은 내성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붕괴된 상태를 나타낸다. 인간에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만성 퇴화 과정을 가진다. 차도, 자발적 또는 면역 억제하에서의 치료는 지금까지 드물게만 관찰되었다. 질환의 진행이 오래 지속될수록 만성 퇴화 염증의 악순환을 깨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소위 에피토프 전파와 같은 메카니즘이 이것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Craft 및 Fatenejad 1997; Moudgil 1998; Vaneden, Vanderzee등 1988).
구강 내성은, 입으로 들어온 항원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데다 후에 통상적으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루트로 체내에 들어올 경우 면역 반응이 따르는 동일한 항원을 방지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것은, 적당한 특정 항원 또는 질병-관련 항원과 유사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또다른 항원을 (특히 점막 투여로) 도입하여 개선 또는 회복시키려는 활발한 시도를 이끌어 왔다(Liblau, Tisch등 1977; Weiner 1997; Bonnin 및 Albani 1998; Strobel 및 Mowat 1998).
내성 유도는 의약, 특히 자기면역 질환의 조절, 또한 예를들어 건초열 및 기타 알레르기 및 천식의 치료에서와 같이 환경 항원에 대한 민감성 경감에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Tsitoura등 1999; Tsitoura등 2000).
매우 최근의 발견들도 또한 종래의 백신 분야에서의 내성 유도에 중요성을 돌리고 있다(McSorley등 1999).
그러나 현대의 면역억제 치료는 여전히 상당한 부작용을 보이고 있고 질병이 이미 개시되어, 즉 치료 방법이 없을 경우 부적절하다.
최근의 지식 수준에 따르면, 내성 유도 또는 면역 변조의 성공은 항원의 도입 방법 및 바람직한 면역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직/유기체의 면역학적 환경에 달려있다.
생체내에서 내성 유도를 이끄는 면역학적 과정에 대한 여러가지 이론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들 중 몇몇은 상당히 논쟁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내성, 특히 구강 유도된 내성은 어떤 세포질분열 패턴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왔다. 이들 세포질분열 패턴은 이번에는 여러가지 T-헬퍼 세포군을 제안한다. Thi, Th2 및 최근 Th3 세포들이 구별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기면역은 주로 Th1 세포에 지배되고 내성은 오히려 Th2 세포에 더 지배되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 모델에서 면역학적 내성은 심지어 관능Th1 및 Th2 세포가 없을 경우에도 유지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었다.
몇몇 전문가들은 다량의 점막 투여 항원으로 특정 항원을 인식하는 자기반응 T 세포가 선택적 제거(클론 제거)된다고 생각한다(Gutgemann, Fahrer등 1998). 소량의 항원의 사용에 대하여, 이 이론은 병리학적 면역 반응을 활발히 억제하는(방관자 억제) 보통 T 세포의 유도에서 출발한다. 이들 항원-특이적 T 세포는 Th2 또는 그밖에 Th3 타입 또는 특징이 상세히 밝혀지지 않은 T 세포류에 배열된다(Weiner 1997; Manson 및 Powrie 1998; Seddon 및 Mason 1999). 또한 병리학적 상태는 일반적으로 Th1 T 세포에 의하여 야기된다는 식으로 종종 정의된다. 또다르 이론은 지금까지 특징이 상세히 밝혀지지 않은, 가능한 메카니즘으로서 방관자 억제를 개별 T 세포간의 직접적 접촉에 의존하는 조절법을 기술한다(Tsitoura, DeKruyff등 1999). 다시 다른 가정은 각 경우 내성 유도에 대하여 상이한 시토킨 또는 시토킨 의존 메카니즘이 상이한 영향을 기술한다(Segal 및 Shevach 1998; Lundin, Karlsson등 1999; Rizzo, Morawetz등 1999; Seddon 및 Mason 1999).
Th1 및 Th2/3 간의 대향-조절에 기초한 이론에서, 면역 반응이 진행되는 시토킨 환경은 활성 방관자억제의 유도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즉 보호적으로 사료되는 Th2/3 T 세포의 확산은 주로 적당한 환경에서만 일어날 수 있(Liblau, Tisch등 1997; Weiner 1997; Strobel 및 Mowat 1998).
면역학의 맥락에서 "환경"이란 항원-유도 면역 반응의 방향을 결정하는 여러가지 순수하게 면역학적인 인자의 조합을 의미한다. 그러나 면역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 및 기타 인자들은 이러한 고전적인 면역학적 개념에 포함되지 않는다.
신규한 물질 및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목표는 이러한 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도하는 바는 먼저 의도하는 면역 반응을 목표하는 방식으로 확실하게 진행시키는 것이고 다음으로 요구되는 항원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현 기술 상태에서, 예를들어 류머티스 관절염의 경우에서와 같이, 진보된 단계의 내성의 치료적 유도는 아직 정복되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규한 치료 방법은 병의 진행이 2년 미만인 경우에만 성공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후의 에피토프 전파 및 비특이 염증 반응과 같은 메카니즘이 구강 내성 유도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Albani, UCSD, personal communication).
제WP98/21951호(Haas등)는 보조제로서 유도된 아미노산과 함께 항원을 사용하여 구강 내성 유도를 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Weiner등의 미국 특허 제5,935,577호에서는, 메토트렉세이트와 함께 방관자 항원을 투여함으로써 내성 유도를 개선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독성으로 인하여 여러가지 부작용과 관련이 있는 메토트렉세이트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한 목표이다. 그러나, 현재의 관점은 메토트렉세이트는 축적되는 독성을 가져 어떤 향 이상에서 간 손상이 일어나므로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물질을 전면 제외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특히 예를들어 시토킨 및 시토킨에 대한 항체와 같은 여러가지 보조 물질로써 보통의 Th-2/3의 확산을 조장하는 보호적으로 사료되는 환경의 방향으로 면역학적 환경을 개선시키려는 시도들이 또한 있었다(미국 특허 제WO95/27500호, 제WO98/16248호). 제WO95/27500호는, 면역 시스템을 타입 2의 T-헬퍼 세포(Th2)에 의하여 보다 많이 지배되는 반응으로 이끄는, 시토킨, 특히 IL-4와 함께 방관자 항원을 사용하여 구강 내성 유도를 하려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표적 내성 유도에 필요한 면역학적 과정을 내인성 메카니즘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연구는 매우 소수였다.
그러나, 면역 조절에서 시토킨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에 따라 조절할 수 없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시토킨을 면역 반응을 최적화하는 가능한 수단으로 조작하는데, 즉 임상학적으로 사용하여 내성을 유도하는데 큰 문제점이 있다. 유해한 부작용 및 산출가능하지 않은 위험성과 더불어 시토킨 네트워크에 대한 간섭이 부각되어 왔다. 따라서, FDA는 최근 기본적인 류머티스 질환 이외의 다른 질환과 관련한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없어 치명적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이유로 류머티스 치료에 TNF 항체를 투여한 것과 관련하여 이미 10건의 사망이 있었다는데 주목하였다. 공지된 부작용으로 인하여 IL-12 중화 항체 및 IL-14의 사용과 관련하여도 유사한 우려점이 있다.
현 치료 방법과 관련한 또다른 양상은 몇몇의 경우 구강 내성 유도는 몇주간 매일 항원을 취해야 하는 치료 싸이클을 포함한다는 사실이다. 어떤 환경에서 내성 상태는 적어도 완전한 치료가 이루어질때까지 항원을 계속 존재시킬 것을 요하므로 현재 이들 싸이클은 1회 이상 반복되어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완전한 치료의 가능 여부를 지금까지 공개된 데이타로부터 추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내성 유도를 위한 방법은 통상적으로 항원 및 보조제를 둘다 초생리학적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고농도의 항원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단점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과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들어 메토트렉세이트 사용에서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다.
지금까지 시행 및 공개된 내성 유도 연구의 또다른 단점은, 치료된 동물에서 대조구 동물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개시가 없는 것으로써 내성 유도를 증명하는 동물 모델을 대부분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존재하는 질병 또한 침범할 수 있는 항원이 훨씬 더 중요하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소염 및 면역 억제 특성으로 공지되어 있다(Cupps 및 Fauci 1982; Chrousos 1995; Marx 1995; Almawi, Beyhum등 1996, Wilckens 및 Derijk, 1997). 따라서 이것은 염증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데 선호적으로 사용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어떤 시토킨의 생성을 하향조절할 수 있다고 한때 공지된 적이 있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소염 효과는 인터루킨-2(IL-2) 및 인터페론-γ(IFN-γ)을 저해시킬 수 있는 능력 뿐만 아니라 IL-1, 종양 괴사 인자 α(TNF-α) 및 IL-6를 하향조절할 수 있는 능력에도 기초한다. 조직 및 플라스마내 GC 농도는 여러개의 메카니즘, 즉 시토킨, GC 수용체 발현 및 예를들어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11-β-HSD)와 같은 혹종의 효소에 의하여 조절된다; Hult, Jornvall등 1998; Krozowski 1999; Stewart 및 Krozowski 1999).
예를들어 시토킨이 하는 역할에 대한 폭넓은 지식은 내성 유도 연구시 축적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영향에 대하여는 거의 또는 전부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면역 시스템에 미치는 효과면에서 면역억제제로서 분류되는(Jansson 및 Holmdahl 1998) 에스트로겐이 내성 유도를 방지한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 흥미롭다(Mowat, Lamont등 1988). 에스트로겐은 본질적으로 몇몇 시스템에서 구강 내성을 돕는다고 하는 TH2 면역 반응을 촉진한다는 것도 특히 놀랍다(Weiner 1997).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함께, 각 경우 단독으로 투여되는 에스트로겐의 비활성 또는 최적이 못되는 농축물을 조합하면 상승적인 면역억제를 유발한다(Carlsten, Verdrengh등 1996). 이로부터 일반적으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또한 내성 유도를 저해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내성 유도에 미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효과에 대한 공개된 데이타는 없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샌디에고 대학의 임상전 상태 I 연구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는 구강 내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시도된 치료와 충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또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치료한 환자는 자기면역 질환에서의 내성 유도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배제된다는 사실로도 반영된다. 저농도 스테로이드의 투여로도 내성의 활성적 유도를 억제한다(샌디에고 캘리포니아 대학의 S. Albani 및 보스톤 하바드 대학의 H. Weiner, personal communication, (Weiner 1997; Bonnin 및 Albani 1998)).
어떤 조건하에서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영향으로 Th2-류 시토킨 프로파일의 방향에 시토킨 패턴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내성을 유도하는 방법의 틀내에서 자기면역 과정의 치료로서 부적당하다. Th2 시토킨의 투여 및 Th2 세포의 이동 모두 자기면역 반응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Mason 및 Powrie 1998; Segal 및 Shevach 1998). 또한, 최근 연구에서 11-β-HSD의 저해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주사와 마찬가지로 흉선에서 미성숙 T 세포를 죽이게 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Gruber, Sgonc등 1994; Horigome, Horigome등 1999).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주변 T 세포 및 미분화된 무해 미성숙 T 세포에 대하여 비슷한 효과를 가진다고 공지되어 있다(Cupps 및 Fauci 1982). 다른 한편 내성 유도는 특히 이들 미성숙 T 세포의 활성 및 확산을 촉진하나 내성은 명백히 기억 세포에서 유도될 수 없다(Chung, Chang등 1999). 또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항원 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지는데(Piemonti, Monti등 1999; Piemonti, Monti등 1999) 이 점이 정의에 의한 내성 유도의 보조와 충돌된다.
따라서, 내성 반응 조절력 부족 및 사람에서 적절한 임상적 효과를 내기 위하여 매우 다량의 단백질 및 펩티드 항원 및 DNA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 때문에 면역학적 치료 방법은 현재 실패적이다. 가능한 항원 확인에서는 상당한 진보가 있었으나 현재 사람에 대하여 장기간 사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적당한 방법은 없다. 면역학적 방법은 현재 조절 불가능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한 보조제와 조합하여 특정 항원을 투여함으로써 내성 유도를 개선 및/또는 최적화하려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하나 이상의 항원과 더불어 활성 성분 저해제로서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를 포함하는 신규한 약물 및 이 약물을 내성 유도에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11-β-HSD)는 생물학적 활성 형태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비활성 형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놀랍게도 코르티솔 대사를 조절하는 효소의 저해자, 특히 11-β-HSD의 저해자가 내성을 유도하는 항원과 조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과 조합하면 특히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것은 (예를들어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투여시) 플라스마에서 코르티솔 농도 증가는 면역 억제 효과를 가진다고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예상밖이다. 그러나, 시스템 효과를 가지는 혈액 플라스마내 코르티솔 농도 및 매우 특정 세포 또는 조직에만 한정될 수 있는 코르티솔 농도 증가 간에는 구별을 하여야 한다. 11-β-HSD의 저해에 응용하는 메카니즘은 명백히 시스템 코르티솔 투여에서 얻어지는 것과 상이한다. 11-β-HSD의 저해가 가능하게는 억제자 T 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내성 유도에 대한 면역자극 과정을 유도함은 명백하다.
11-β-HSD는 단사슬 탈수소효소/환원효소(SDR)의 일원이다. SDR 군의 일원들은 일반적으로 약 250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N-말단 코엔자임 결합 패턴(일반적으로 GXXXGXG) 및 서열 YXXXK와의 활성 결합 부위를 가진다. SDR 군은 각각의 멤버간에 상동성이 일반적으로 15-30%로 매우 개산성이다. SDR 군의 효소는 스테로이드, 알콜 및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특정 물질을 포함한다(Jornvall등 1999; Oppermann등 1996).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는 예를들어 코르티솔 및 프레니손과 같은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의 그 불활성 대사물로의 간외 전환에 있어 주요 효소이다.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는 환경 및 이성질에 따라 환원효소 또는/및 탈수소효소 활성을 보이는 2방향성 효소이다.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환원 효소 활성은 예를들어 비활성 코르티손과 같은 11-케토스테로이드를 예를들어 활성 코르티솔과 같은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로 전환시킨다. 탈수소효소 활성은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를 11-케토스테태로이드로 전환시킨다.
여러가지 11-β-HSD의 이성질이 존재한다. 예를들어 타입 1의 11-β-HSD는 생체내에서 환원효소로 주로 작용하는 2방향성 효소이다. 타입 2의 11-β-HSD는 반대로 생체내에서 1방향성 효소이고 배타적으로 NAD-의존성 탈수소효소로서 작용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저해제는 바람직하게는 환원효소 활성 저해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11-β-HSD-1의 저해제이다.
본 발명의 약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혼합물 또는 조제물로서, 예를들어 키트와 같이 별도로 존재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한편, 본 약물은 특정 면역학적 내성 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항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항원으로서 적당한 물질은 모두 예를들어 류머티스 관절염(미숙형 포함), 홍반성 낭창, 다발성 경화증, 포도막염, I형 당뇨병(자기면역 당뇨병)과 같은 자기면역 질환과 관련된 것 및 알레르기 또는/및 천식과 관련된 것과 같이원하지 않는 면역 반응을 제거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감염을 유발하는 항원 물질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 약물은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불리하거나 병리학적 반응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내성을 유도할 수 있다. 감염성 병원의 예는 예를들어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기타 미생물이다. 본 발명 약물은 이러한 감염성 병원균의 특정 항원 또는 에피토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전체 미생물 또는 이의 부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전적 백신은 일반적으로 환자에 병원균을 정맥 투여하여 보호 면역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제 백신 보호는 종래의 방법으로 뿐만 아니라 항원의 점막 투여를 통하여 내성 유도를 통하여도 달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McSorley, 1999). 본 발명의 약물 조합은 또한 이러한 효과를 개선시켜 11-β-HSD 저해제 및 항원 조합물이 구강 백신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놀랍게도 내성 유도는 자기면역 질환의 경우에서 뿐만 아니라 감염성 질환의 경우에서도 차후 감염에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내성 유도를 통하여 감염 문제를 풀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내성 유도를 통한 백신 보호는 다음 활성 메카니즘에 기초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수의 감염성 병원균은 여러개의 항원을 포함하는데 명백히 몇몇 이들 항원은 숙주에서 과민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과민반응은 예를들어 Th2 세포가 침입한 병원균을 조절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T 세포를 Th2 세포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감염성 질환의 경우, 이러한 항원은 유해한 방식으로 숙주 면역 시스템의 과민반응을 초래하나 동시에 감염성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불리한 효과를 제거하는 것은 예를들어 항원의 점막 투여 및 11-β-HSD 저해제의 동시 투여에 의하여 내성을 유도하여 면역 시스템의 나머지가 보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감염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내성 유도에서, 통상적으로는 Th1-류 반응을 촉진하고 Th2-류 반응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Th2-류 반응을 이끄는 항원에 대한 내성을 발생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원에 주어진 지시에 따라 항원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원칙적으로 실질적으로 모든 감염성 질환에 대하여 내성 유도를 통하여 백신 예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되는 항원은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것, 예를들어 인플루엔자, 레이슈마니아, 곰팡이 감염, 시토메갈리, 뉴모니아, 스트렙토코시 B, 클라미디아스, 헬리코박터, 헤파티티스 C, 헤르페스, 휴먼 파필로마 바이러스, 미코박테리아 투베르쿨로시스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항원은 천연 또는 합성 단백질, 단백질 구성원 또는 펩티드, 특히 소위 변형 펩티드 리간드(APL)가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나 생물학적 공급원에서 얻은 항원 뿐만 아니라 폴리사카라이드 및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카보하이드레이트도 적당하다. 생물학적 공급원에서 얻는 항원은 자기면역 질환, 알레르기 또는 이식 의료의 틀내에서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면역 반응의 진행 및/또는 치료에 역할을 하는 항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유발되는 내성 유도는 이식에서도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항원은 면역 반응이 직접 발생되는 항체에 대한 것일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단백질 상에서 관련 또는 인접 에피토프에 대한 (자기)면역 반응을 이끄는 소위 방관자 항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변형 펩티드 리간드(APL)는 본질적으로 면역 반응이 유도되는 항원에 해당하는 펩티드이다. 그러나, 개별 아미노산[lacna] APL은 교환되었다. 구강 내성 유도의 틀에서 APL의 투여에는 추가적 보조제가 거의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알레르기 예방 분야에서,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적당한 항원으로서 모든 비독성 환경 항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벤질페니실로일, 인슐린, 오브알부민, 락트알부민이 선호되나 여러가지 화분, 식품 항원, 주택 먼지 진드기 및 이들의 성분, 이들의 분비물등 또한 선호된다.
다른 적당한 항원은 내인성 및 다른 열충격 단백질(Prakken등(1997); Prakken등 1998)), 티로글로부린, 포도막, 피부, 여러가지 상피 조직, 갑상선, 기초막, 근육, 신경 세포, 흉선의 세포성분, 적혈구, 또다른 혈액 성분 및 세포, 프로테오리피드, 미엘린 기초 단백질(MBP), 미엘린-올리고덴드로사이트 글리코프로테인(MOG) 또는 정상적인 또는 병리적인 신체 조직의 다른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Rock등(2000)이 기술한 백신, 특히 박테리아 백신을 포함하는 조합물도 선호된다.
항원은 핵산 또는 올리고누클레오티드로서 본 발명 약물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핵산 또는 올리고누클레오티드 자체가 항원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핵산은 특정 펩티드 항원을 코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정맥,근육, 피하로 주사하거나 유전자 총의 도움으로 여러가지 루트로 투여하여 도입될 수 있다.
항원 도입은 바람직하게는 수상돌기 세포에 의하여도 행해질 수 있다. 수상돌기 세포는 내인성 및 외인성 항원의 도입에 대한 면역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세포이다. 따라서 이들은 면역 반응의 매우 유력한 자극제이다.
수상돌기 세포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들어 단핵 세포 또는 골수 세포로부터 배양될 수 있다(D.Rea등(2000); E. Dejong등(1999); M. Mathiszak등(2000)). 수상돌기 세포는 항원-특이 면역 치료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Fairchild등(2000); Reid등(2000); Kapsenberg등(1998). 이러한 목적에서, 이들은 요구되는 항원과 함께 시험관에서 박동, 즉 완전히 흡수하여 표면에 나타날 때까지 인큐베이팅된다. 그러나, 수상돌기 세포는 또한 유전자 전달에 의하여 자극되어 특정 항원을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스스로 이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항원이 로딩되어 있는 세포의 확산을 생체 밖에서 자극한 다음 이를 신체내 재주입시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를들어 코르티손과 함께 시험관내에서 수상돌기 세포를 내성-유도 표현형을 발생시키는 매질로 성숙시킨 다음 이를 재주입함으로써 본 발명 수상돌기 세포를 이용하여 항원을 도입한다. 이들 수상돌기 세포는 이후 11-β-HSD 저해제와 조합시켜 효과를 더욱 조장할 수 있다. 놀랍게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를들어 코르티손으로 수상돌기 세포를 처리하여 수상돌기 세포에 의한 항원 도입시 면역 반응에서 통상 발생하는 증가 이상으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11-β-HSD 저해제와 항원-도입 수상돌기 세포와의 본 발명 조합물은 수상돌기 세포가 더 안정한 환경을 임파선에 창출하는 사실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요구되는 항원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수상돌기 세포를 유전자 조작하는 외에, 해당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얻은 필요한 항원으로 수상돌기 세포를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인공 항원-도입 세포 또는/및 인공 수상돌기 세포를 항원 도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alcioni등(1999); Latouche등(2000); Wu등(2000)).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T 세포에 의하여 항원을 도입한다. 보통의 또는/및 항원-특이적 T 세포는 예를들어 시험관내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Ramirez등(2000); Shevach(2000)). 이 경우, 항원은 T 세포에 의하여 도입되거나 또는/및 항원-특이적 T 세포가 보통의 T 세포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원칙적으로 안정한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저해제는 모드 지금까지 공개된 것들이나 적절할 경우 아직 확인되지 않은 저해제이기도 하다.
저해제는 바람직하게는 11-β-HSD의 모든 이성질을 저해하나 특히 11-β-HSD-1,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직-특이적 이성질 뿐만 아니라 기타 이성질을 저해한다. 아직 확실히 확인되지 않았으나 마찬가지로 저해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성질은 11-β-HSD-3이다.
저해제는 바람직하게는 내인성 및 외인성 저해제에서 선택된다. 내인성 저해제의 예는 다음과 같은데: 예를들어 11-OH-프로게스테론, 3-알파,5-베타-테트라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 3-알파,5-베타-테트라하이드로-11-데옥시코르티소스테론, 11-에피코르티솔, 케노데옥시-콜산, 콜산과 같은 11-β-HSD 기질이다. 외인성 저해제의 예는 글리키르헤틴산 (3β-하이드록시-11-옥소올레안-12-엔-30-오익 산) 및 예를들어 글리키르히진, 글리키르히즈산 및 카벤옥솔론과 같은 이의 유도체; 푸로세미드 및 이의 유도체; 플라보노이드 및 예를들어 나린게닌과 같은 이의 유도체; 트리테르피노이드(예를들어 CHAPS), 케토코나졸, 사이보쿠-토, 고시폴, 메티라폰, 11-에피프레드니솔론이다. 기타 적당한 저해제는 예를들어 덱사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데플라자코르트 및 스타노졸일과 같은 스테로이드-류이다. ACTH-의존 저해제 사이에 확인되지 않은 유도체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글리키르헤틴산 및 유도체, 특히 글리키르히즈산, 글리키르히진, 글리키르히트산 및 이의 유도체 및 특히 카벤옥솔론이 특히 선호된다.
글리키르헤틴산(GA)은 리커아이스(Glycyrrhiza glaba)에서 추출되고 효소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차단을 통하여 외인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대사를 저해한다.
카벤옥솔론은 11-β-HSD에 대한 친화도가 더 높은 GA 유도체이다(Hult, Jornvall등 1988). GA와 마찬가지로 카벤옥솔론은 약물역학, 독성, 가능한 사용량 요법 및 인간에의 투여 방식에 대한 다수의 연구에서 조사되었으며 이미 사람에 대한 용도가 입증되었고 가능한 부작용이 예상되지 않으며 무해하고 가역적이다(Ulick, Wang등 1993; Bernardi, D'Intino등 1994; Krahenbuhl, Hasler등 1994; Schambelan 1994).
11-β-HSD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11-β-HSD의 저해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다. 이러한 11-β-HSD에 대한 항체는 예를들어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와 같이 당업자에 공지된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때 11-β-HSD의 저해제란 11-β-HSD의 전사를 규제하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신체에 사용가능한 11-β-HSD의 양은 이러한 전사 조절제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11-β-HSD에 대한 적당한 전사 조절자는 예를들어 Williams등(2000)에 기술되어 있고 특히 C/EBP 군의 일원들을 포함한다.
항원 또는/및 11-β-HSD 변조제, 특히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500 Da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0 Da 이하인 저분자량 물질인 저해제를 선택하는 것이 더 선호된다.
상기 11-β-HSD의 저해제, 특히 글리키르헤틴산 및 이의 유도체는 고농도로 사용해도 무독성이고 심각한 부작용이 없다. 이와 관하여, GA 또는 유사한 11-β-HSD 저해제의 치료적 사용이 가능하다. 11-β-HSD의 저해제/항원을 이용한 저해 방법의 조합은 따라서 여러가지 면역학적 질환을 치료하는 신규한 치료 방법이다.
특히 GA 및 유도체 저해제의 인간에 대한 가능한 용량은 단위 사용량 당 1g 이하이다.
저해제는 체중 1kg당 바람직하게는 0.01m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m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mg 이상으로, 1일당 100m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mg 이하,특히 바람직하게는 10mg 이하로 투여한다. 11-β-HSD의 저해제는 생체내에서 11-β-HSD의 활성을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저해하는 화합물로 간주된다. 그러나, 생체내에서 11-β-HSD의 활성을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저해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저해제는 바람직하게는 태반 마이크로솜에서 측정되는 IC50값 또는 100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μM 미만의 MCF-7 세포를 가진다. 특히 효과적인 저해제의 IC50값은 10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nM 미만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해제의 Ki값은 바람직하게는 1200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μM 미만이다. 저해제, 특히 GA 및 유도체의 사람에 대한 가능한 사용량은 단위 사용량당 1g 이하이다.
상기 저해제의 사용과는 별도로,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11-β-HSD를 코드하는 물질과 잡종형성한 안티센스 핵산을 저해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구체적으로 특정 조직내에서 11-β-HSD를 저해할 것을 의도할 경우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저해제 및 항원 성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1:99.9 - 99.9:0.1, 특히 바람직하게는 90:10 - 10:90이다.
본 발명 약물은 두 성분 항원(들) 및 저해제의 혼합물 또는 조제물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조제물로서가 아니라 별도로투여한다. 약물 또는 두 활성 성분이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예를들어 적당한 용매 또는 희석제) 및/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면역 반응, 특히 자기면역 질환에 유리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를 위한 약물을 얻기 위하여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다. 놀랍게도, SDR 군의 대표로서 11-β-HSD에 영향을 줌으로써 면역 질환 및 특히 자기면역 질환에 유리하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11-β-HSD를 사용함으로써 알레르기, 이식 거부반응 및 GVHD가 치료적으로 또는/및 예방적으로 처치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면역변조 물질은 특히 예를들어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를 위한, 특히 자기면역 질환, 알레르기, 이식 거부반응 또는/및 GVHD를 조절하기 위한 11-β-HSD의 저해제 또는 촉진제와 같은 변조제이다.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면역변조 물질은 11-β-HSD 저해제 또는 11-β-HSD와 상호작용하는 물질로 공지되어 있고 예를들어 force field 산출법과 같은 컴퓨터 보조 방법 또는 스크리닝으로 발견된다. SDR 군의 다른 멤버의 저해제로 공지된 물질을 사용하여, 간단한 실험으로 이들 물질과 11-β-HSD와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전술한 11-β-HSD 변조제의 면역억제 효과와는 대조적으로 놀랍게도 상기의 효과는 11-β-HSD 변조제를 단독으로, 특히 저해제를 사용할 경우에도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를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저해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다. 놀랍게도, 면역억제제 효과가 아닌, 내성 유도, 면역 변조 또는/및 염증 억제는 11-β-HSD 저해제의 사용으로 달성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11-β-HSD의 저해제는 일반적으로 화농 쇼크 및 패혈증을 포함하는 급성 또는/및 만성 염증 과정에서 염증을 억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감염성 및 비감염성 염증 둘다에서 유리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 약물, 특히 하나 이상의 항원과 11-β-HSD 저해제 조합물의 바람직한 사용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를 위한 것이다. 응용 분야는 예를들어 류머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기면역 질환 및 알레르기 및 이식 의료, 특히 이식 거부반응 및 GVHD이다.
그러나, 내성 유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감염 병원균에 대한 면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약물은 여러가지 루트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원(들) 및 적절할 경우 추가의 보조제와 함께 11-β-HSD의 저해제(들)을 투여할 수 있는데 상기 성분들은 조제물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두 활성 성분 및 임의로 추가적 부형제 또는 보조제는 여러가지 투여 루트로 주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예를들어 코, 구강, 혀및과 같은 점막 루트 또는 호흡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ㄹ들어 정맥, 피하, 근육 및 복막을 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핵산의 투여에 유전자 총이 적당하다.
항원의 도입에 적당한 투여 가능성은 특히 다음과 같은데: 소위 점막, 즉 구강 또는 코의 내성 유도 및 최근에는 적당한 항원을 코드하며 에를들어 사람과 같이 처리될 유기체에 도입되는 DNA 투여(Ragno, Colston등 1997; Lee, Corr등 1998: Lobell, Weissert등 1999; McCluskie 및 Davis 1999; McCluskie, Millan등 1999)를 통하는 것이다.
이 이외에, 상기한 바와 같이 T 세포 또는 수상돌기 세포를 이용하여 항원을 도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점막 내성 유도에 사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점막 수단은 점막 멤브레인을 통하여 흡수하며 특히 구강 흡수 또는 코 안으로의 적하 또는 흡입 및 폐를 통한 흡수로 항원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피하, 정맥 및/또는 근육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저해제 및 항원은 함께 또는 상이한 루트를 통하여 별도로, 또한 순차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사용 형태는 외부적으로 예를들어 글리키르히즈산 또는 글리키르헤틴산과 같은 11-β-HSD로 이루어지고 항원을 내부에 포함하는 캡슐로서 이다.
저해제는 모든 공지된 루트로 투여할 수 있고 이러한 목적에서 각 경우 예를들어 주사용의 적당한 용매내 용해되는 적절한 형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하여 먼저 저해제를 투여한 다음 점막 루트로 항원(들)을 투여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량으로 저해제를 투여할 것이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 및 첨부도면으로 추가 기술된다.
도1은 11-β-HSD 저해제로 처리되지 않거나(블루) 또는 처리된(레드) 실험적으로 유도된 관절염의 추이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저해제, 글리키르헤틴산(GRA)은 완전 Freund 보조제(CFA)의 주입 0, 2, 4일후 올리브 오일 200㎕ 당 2mg의 용량으로 주의 꼬리 저부에서 피부내 주사하였다. CFA는 0.4mg의 용량으로 피하 투여하였다. 저해제 및 항원(CFA에서 미코박테리아 t.로 존재)의 조합물은 질환의 추이를 온건하게 유도, 즉 면역변조 효과를 가진다.
도2는 펩티드 항원을 이용하여 코의 내성 유도에 대한 11-β-HSD 저해제의 효과가 증대한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병원군 에피소드의 도입 15, 11, 7 및 3일전에 3% 소듐 비카보네이트 용액내에서 비강으로 투여되는 펩티드 176-190(Prakken등(1997))를 포함한다. GRA는 콧구멍 하나마다 25㎕내 0.5mg의 양으로, 즉 1mg의 양으로 비강 투여하였다. 레드 곡선은 대조구 그룹을 나타낸다. 블루 곡선은 GRA를 가하지 않은 펩티드 처리(항원)시 질환의 추이를 나타낸다. 옐로우 곡선은 코로 투여한 본 발명의 펩티드(항원) 및 GRA 조합물을 나타낸다.
보조제-유도 관절염의 모델에서 내성 유도의 증대
관절염-류 자동면역 질환이 유도될 수 있는 이러한 동물 모델은 선행 기술에서 공지되었다(Leech, Metz등 1998; Prakken, Wauben등 1998; Vaneden, Vanderzee등 1998):
이것은 오일 및 미코박테리아 현탁액을 꼬리(미코박테리아 투베르쿨로시스와의 현탁액 1ml당 10g의 150㎕)에 주입하여 감염시킨 쥐를 포함한다. 약 10-13일후, 동물들은 인간의 류머티스 관절염의 혹종의 특성을 반영하는 관절부 염증을 일으킨다. 이러한 타입의 관절염의 발병은 관절 연골(Vaneden, Vanderzee등 1998) 및 미코박테리아(열 충격 단백질 60, hsp 60) 둘다에 대한 항원에 대하여 면역 방어의 소위 교차 반응의 결과로 해석된다.
실시예 1
질환의 발병 예방
질환의 발병 및 진행은 유리하게 영향을 받거나 예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쥐에 실험적 관절염을 유도하기 전에 미코박테리아의 특정 항원에 대한 내성을 유도한다. 이것은 항원을 포함하는데, 예를들어 오일/미코박테리아 혼합물로 과민화 시키기 전에 hsp60 또는 소위 변형된 펩티드 리간드는 구강 또는 비강 경로로 단백질 또는 펩티드로서 면역 시스템에 도입되거나(Prakken, Wauben등 1998) DNA로서 투여된다(Ragno, Colston등 1997).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들어 APL은 과민화시키기 15, 10, 5일 전에, 그리고 당일에 투여한다(코 안으로 100㎍).
이 실험에 사용되는 11-β-HSD 저해제는 각 경우 글리키르헤틴산(GA) 및 이의 수용성 유도체, 즉 카벤옥솔론이었다.
오일/펩티드 혼합물을 주입하기까지, 즉 과민화시키기 전에 항원과 더불어 저해제를 투여할 경우, 효과가 증대되고 내성 유도에 필요한 항원의 양은 감소한다. 사용량에 따라 예방이 되기도 하고 또는 쥐의 질병의 추이의 심각성 및 발병률이 감소한다. 이로써 내성 유도에 필요한 펩티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자동면역 관절염의 유도 및 증상이 나타난 후 질환의 추이의 조작
유도된 자기면역 관절염은 미코박테리아 또는 hsp60과 Freund 보조제를 주사한 10일후 염증 반응이 개시된 후 급격한 단일상 추이를 보이는데 병리학적 피크는 대략 27일째이고; 40일후에는 증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첫 증상이 나타난후 24-48시간내에 치료를 하고 매일 계속할 경우, 염증 반응의 추이는 증상 개시후에도 변형된 펩티드 리간드에 의하여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쥐는 APL 또는 단백질 항원(hsp60)을 코로 투여하는 동안 동시에 코를 통하여 적하 또는 주사에 의하여 저해제 카벤옥솔론(농도는 실시예1에서와 같음)를 받는다.
증상 빈도의 증가는 이 경우 11-β-HSD를 저해하지 않는 것 보다 현저히 좋은 영향을 받는다. 카벤옥솔론 없이 효과를 보이지 않는 병원균 hsp60과 같은 혹종의 항원은 카벤옥솔론과 조합하면 마찬가지로 질환의 추이를 개선시킨다. 카벤옥솔론을 APL과 함께 사용하면, 펩티드 농도가 최적이 아니어도 질환의 추이를 경감 및 단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치료용으로 적당하지 않았던 펩티드를 사용한 11-β-HSD의 저해로 질환의 추이를 경감시킬 수 있거나 APL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은 말기 단계일지라도 구강 내성 유도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을 강하게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따라서 동물 실험에서 얻은 데이타는 임시적인 치료의 시도로 사람에 내성 유도를 조장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3
11-β-HSD 저해제 단독으로 치료하여 실험적으로 유도한 관절염의 완화
Freund의 완전 보조제(CVA; 피부내 0.4mg)를 투여하여 쥐에 실험적으로 자기면역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에는 CVA 주사후 0, 2 및 4일에 꼬리 저부에 200㎕ 올리브 오일내 2mg GRA(글리키르히트산)을 피부내 주사하였다. 두 그룹에 대한 결과는 도1에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11-β-HSD 저해제로 치료하지 않거나(블루) 치료한(레드), 실험적으로 유도된 관절염의 추이를 나타낸다. 도1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해제 및 항원(CVA내 미코박테리아 투베르쿨로시스로 존재)의 조합물은 질환의 추이를 경감시킨다.
다른 실험들은 저해제 단독으로도 질환의 추이가 완화되고 CVA의 질환-촉진 효과를 약화시키므로 면역 변조 효과를 가짐을 보였다.
실시예 4
시스템 투여와 비교할때 점막 내성 유도를 통한 개선된 효율
항원 및 11-β-HSD 저해제(예를들어 글리키르헤틴산)를 비강으로 투여할때가 동일한 항원을 단독으로 또는 항원 및 11-β-HSD 저해제(예를들어 글리키르히즈산)을 시스템적으로(구강으로)투여할때에 비하여 뚜렷이 개선된 효율이 관찰됨이 밝혀졌다. 도2는 펩티드 항원을 이용하여 코 내성 유도시 11-β-HSD 저해제의 효과가 증대됨을 보인다. 이로한 목적에서, 펩티드 176-190은 3% 소듐 비카보네이트 용액내에서 실험적으로 유도된 관절염(실시예3에 기술한 바와 같이 CFA에 의하여 야기)의 병리학적 에피소드의 유도전 15, 11, 7 및 3일에 모든 실험 그룹에 비강으로 투여하였다. GRA는 비강으로 콧구멍 하나당 25㎕내 0.5mg의 양으로, 즉 총 사용량 1mg으로 가하였다. 레드 곡선은 음료수내 글리키르히즈산을 시스템적으로 투여한 대조구 그룹을 나타낸다. 블루 곡선은 GRA를 가하지 않은 펩티드 치료시 질환의 추이를 나타내고 옐로우 곡선은 펩티드(항원) 및 11-β-HSD 저해제(예를들어 GRA)(둘다 비강으로 투여)의 본 발명 조합물을 나타낸다.

Claims (33)

  1. 활성 성분으로서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저해제를 항원과 조합하여 포함하는 약물.
  2. 제1항에 있어서, 저해제 및 항원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성 유도를 위한 약물.
  4. 제3항에 있어서, 점막 내성 유도를 위한 약물.
  5.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변조를 위한 약물.
  6.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해제가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이성질 1 또는 3에 특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7.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해제가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및 11-β-HSD를 코드하는 서열과 잡종형성되는 안티센스 핵산의 내인성및 외인성 저해제,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에 대한 항체 또는/및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에 대한 전사 억제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8. 제7항에 있어서, 저해제가 글리키르헤틴산 및 이의 유도체, 글리키르히진, 글리키르히즈산 및 카벤옥솔론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9. 제7항에 있어서, 저해제가 푸로세미드 및 이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0. 제7항에 있어서, 저해제가 플라보노이드 및 이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1.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합성 및 천연 단백질, 펩티드, 핵산, 변형된 펩티드 리간드(APL),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사카라이드,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생물학적 공급원에서 얻어지는 항원 및 저분자량 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2. 제11항에 있어서, 항원을 이를 코드하는 핵산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3.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방관자 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4.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포도막염, I형 당뇨병, 홍반성 낭창과 관련된 항원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5.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내인성 및 기타 열충격 단백질, 프로테오리피드, MBP, MOG 및 포도막, 피부, 상피 조직, 갑성선, 기초막, 근육, 신경 세포, 흉선 또는 적혈구의 세포 성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6.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벤질페니실로일, 인슐린, 오브알부민, 락트알부민, 화분 성분, 식품 성분 및 주택 먼지 진트기 성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7.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첨가제 또는/및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8.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상돌기 세포를 이용하여 항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19.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세포를 이용하여 항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20.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를 위한 약물을 얻는데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를 사용하는 용도.
  21. 자기면역 질환, 알레르기, 이식 거부반응 및 그래프트 대 호스트 질환의 치료 또는/및 예방을 위한 약물을 얻기 위하여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를 사용하는 용도.
  22.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를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저해제를 사용하는 용도.
  23. 내성 유도, 염증 억제 또는/및 면역 변조에 항원과 함께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저해제를 사용하는 용도.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탈수소효소의 하나 이상의 이소엔자임에 대하여 특이적인 물질을 저해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티센스 핵산 또는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내인성 또는 외인성 저해제를 저해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6. 제25항에 있어서, 글리키르헤틴산 또는 이의 유도체, 특히 글리키르히진, 글리키르히즈산 또는 카벤옥솔론을 저해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막 내성 유도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합성 및 천연 단백질, 펩티드,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카보하이드레이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및 생물학적 공급원에서 얻는 항원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9. 제28항에 있어서, 항원이 방관자 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류머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포도막염, I형 당뇨병, 홍반성 낭창과 관련된 항원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내인성 및 기타 열충격 단백질, 프로테오리피드, MBP, MOG 및 포도막, 피부, 상피 조직, 갑성선, 기초막, 근육, 신경 세포, 흉선 또는 적혈구의 세포 성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 제20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이 벤질페니실로일, 인슐린, 오브알부민, 락트알부민, 화분 성분, 식품 성분 및 주택 먼지 진트기 성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3. 항원의 점막 투여 또는 항원을 코드하는 핵산의 투여와 더불어 효과량의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저해제로써,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 또는 인간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면역 질환, 알레르기 및 이식 거부반응 및 GVHD를 조절하는 내성을 유도하는 방법.
KR1020027005465A 1999-10-28 2000-10-27 내성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 KR20020057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970.6 1999-10-28
DE19951970A DE19951970A1 (de) 1999-10-28 1999-10-28 Arzneimittel für die Toleranzinduktion
PCT/EP2000/010594 WO2001030383A2 (de) 1999-10-28 2000-10-27 Arzneimittel für die toleranzinduk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986A true KR20020057986A (ko) 2002-07-12

Family

ID=792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465A KR20020057986A (ko) 1999-10-28 2000-10-27 내성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23974A2 (ko)
JP (1) JP2003512438A (ko)
KR (1) KR20020057986A (ko)
CN (1) CN1391479A (ko)
AU (1) AU784245B2 (ko)
CA (1) CA2388974A1 (ko)
DE (1) DE19951970A1 (ko)
NZ (1) NZ518567A (ko)
WO (1) WO20010303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0351D0 (en) 2000-08-17 2000-10-04 Catalyst Biomedica Ltd Treat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eases
JP3785508B2 (ja) * 2002-04-15 2006-06-14 学校法人慶應義塾 遺伝子治療における免疫応答を解析できる実験モデルマウス
US20030198965A1 (en) 2002-04-19 2003-10-23 I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modulation of hydroxysteroid 11-beta dehydrogenase 1 expression
US8012505B2 (en) 2003-02-28 2011-09-06 Alk-Abello A/S Dosage form having a saccharide matrix
AU2004216559B2 (en) * 2003-02-28 2010-05-27 Alk-Abello A/S Dosage form having a saccharide matrix
SI1663185T1 (sl) * 2003-09-22 2009-04-30 Onepharm Res & Dev Gmbh Preprečevanje in zdravljenje z vnetjem inducirane in/ali imunsko posredovane izgube kosti
WO2006059507A1 (ja) * 2004-11-30 2006-06-08 Sankyo Company, Limited 11β-HSD1アンチセンス化合物
EP1866298A2 (en) 2005-03-31 2007-12-19 Takeda San Diego, Inc.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inhibitors
CA3182519A1 (en) * 2011-04-29 2012-11-01 Selecta Bioscience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for antigen-specific deletion of t effector cells
AU2014262163A1 (en) 2013-05-03 2015-11-19 Selecta Biosciences, Inc. Delivery of immunosuppressants having a specified pharmacodynamic effective-life and antigen for the inducation of immune tolerance
CN107073091A (zh) 2014-09-07 2017-08-18 西莱克塔生物科技公司 用于减弱外显子跳读抗病毒转移载体免疫应答的方法和组合物
CN110612122A (zh) 2017-03-11 2019-12-24 西莱克塔生物科技公司 与用抗炎剂和包含免疫抑制剂之合成纳米载体进行的组合治疗相关的方法和组合物
JP2019182845A (ja) * 2018-04-02 2019-10-24 学校法人藤田学園 キヌレニンアミノトランスフェラーゼ2(kat2)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3815A (en) * 1963-10-01 1967-09-20 Wellcome Found Vaccine adjuvants
GB8824835D0 (en) * 1988-10-24 1988-11-30 Univ Court Of The University O Administrations of corticosteroids
DE69033541D1 (de) * 1989-09-25 2000-06-15 Univ Utah Res Found Verwendung von steroidhormonen in zubereitungen zur induzierung von t-zell-lymphokin-erzeugung
JPH04243833A (ja) * 1991-01-28 1992-08-31 Tsumura & Co 11β−ヒドロキシ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剤
US5591771A (en) * 1991-12-17 1997-01-07 Michel Fockerman Use of propolis components as an adjuvant
US5527890A (en) * 1993-04-16 1996-06-18 Glycomed Incorporated Derivatives of triterpenoid acids and uses thereof
US5883240A (en) * 1995-08-24 1999-03-16 Baker Medical Research Institute Genetic sequences encoding glucocorticoid dehydrogenases and us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0383A2 (de) 2001-05-03
DE19951970A1 (de) 2001-05-03
AU1997201A (en) 2001-05-08
WO2001030383A3 (de) 2001-11-08
JP2003512438A (ja) 2003-04-02
NZ518567A (en) 2004-09-24
AU784245B2 (en) 2006-02-23
CN1391479A (zh) 2003-01-15
EP1223974A2 (de) 2002-07-24
CA2388974A1 (en) 200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7986A (ko) 내성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
US845496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JP3001638B2 (ja) 自己免疫疾患の発症を遅延または予防するための組成物
Horner et al. Optimized conjugation ratios lead to allergen immunostimulatory oligodeoxynucleotide conjugates with retained immunogenicity and minimal anaphylactogenicity
CA2684453A1 (en) Medicaments and methods to treat autoimmune disease and cancer
JP2005247709A (ja) 制御性t細胞の活性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EP1267921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or the treatment of der pii allergy
ES2347566T3 (es) Inmunomodulador que comprende celulas enteras de bacterias tsukamurella.
Li et al. Intradermal or oral delivery of GAD-encoding genetic vaccines suppresses type 1 diabetes
JPH09511745A (ja) 経口寛容および/またはタイプiインターフェロンを用いた自己免疫疾患の治療
JP2018516985A (ja) ハウスダストダニアレルギーの処置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アレルギー特異的免疫療法組成物
Arai et al. Administration of a determinant of preproinsulin can induce regulatory T cells and suppress anti-islet autoimmunity in NOD mice
AU2009100451A4 (en) Medicinal formulation containing a combination of HIV Type I and HIV Type II
Chadwick et al. Levamisole therapy for HBsAg-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
US20070274949A1 (en) Cd25 Dna Vaccine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Cell Mediated Diseases
CN113476600A (zh) Avc-29作为疫苗佐剂的用途以及含有该佐剂的疫苗组合物
CN113185586B (zh) SARS-CoV-2编码蛋白来源的T细胞表位多肽及其应用
Verhagen et al. Advances in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KR20120064981A (ko) 다발성신경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WO2006008881A1 (ja) 経口ワクチンキャリアシステム
CN115337393A (zh) 一种过表达结核分枝杆菌c-di-AMP合成酶的重组卡介苗rBCG-DisA的应用
Campana et al. CLINICAL THERAPY RESEARCH INALLERGIC DISEASES
Borkowsky et al. Dialyzable lymphoid extract (DLE) from mice resistant to STZ-induced diabetogenesis can interrupt the progress of diabetes in STZ-treated CD-1 mice
Gupta Vaccines for Type 1 Diabetes
Wolf et al. 912 The LQC-study: Quality of life and compliance of patients treated with specific immunotherapy against grass and rye allerg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