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940A -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 Google Patents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940A
KR20020057940A KR1020020036140A KR20020036140A KR20020057940A KR 20020057940 A KR20020057940 A KR 20020057940A KR 1020020036140 A KR1020020036140 A KR 1020020036140A KR 20020036140 A KR20020036140 A KR 20020036140A KR 20020057940 A KR20020057940 A KR 2002005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frame
carrier
rail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홍장희
Original Assignee
최병철
홍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철, 홍장희 filed Critical 최병철
Priority to KR102002003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940A/ko
Publication of KR2002005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 온실 또는 유리 온실 내에서의 시설재배에 있어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중 작업 장치 운반, 제초용 바닥 비닐 깔기, 자동 농약 살포, 수확물 운반 등의 모든 작업을 무인 운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골조(2)에 비닐(1)을 씌워 사용하는 시설용 하우스 내부에 있어서, 하우스 길이방향으로 적정 간격으로 지지기둥(11)을 입설하고 그 위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레일 지지대(12)를 연결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 골조(2)와 결합된 상측 길이방향 연결보(15)에 고정하고, 하부 이송레일(13)을 구비한 다음, 모터(122)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이송레일(13)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롤러(114)를 동작하는 구동부(110)와, 그 하부에 결합되어 적정하게 구획 되어 필요한 것을 적재할 수 있되, 농약 및 물 공급을 할 수 있도록 분무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적재부(130)로 구성함으로써, 하우스 내 운반 및 농약살포와 같은 작업을 무인자동화가 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종래 시설하우스 내에서의 작업에 따른 인력난과 작업의 힘든 여건으로 인한 작업성의 문제를 개선하고,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를 제공하여 비닐하우스 온실 또는 유리 온실 내에서의 시설재배에 있어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중 작업 장치 운반, 제초용 바닥 비닐 깔기, 자동 농약 살포, 수확물 운반 등의 모든 작업을 무인 운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있을 뿐 아니라, 시설재배 작업의 자동화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및 작업의 편의성 증대는 물론, 그에 따른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사람이 직접 일일이 농약을 살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독 농약에 의한 인체 위해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The multipurpose control equipment for a greenhouse}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 온실 또는 유리 온실 내에서의 시설재배에 있어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중 작업 장치 운반, 제초용 바닥 비닐 깔기, 자동 농약 살포, 수확물 운반 등의 모든 작업을 무인 운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회 전반이 산업화, 현대화 되어가면서 농촌에서도 전통적인 벼농사 대신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온실과 같은 하우스를 이용하여 고소득을 얻을 수 있는 특수작물, 즉, 토마토, 방울 토마토, 참외, 수박, 딸기, 장미 등과 같은 과일 및 화훼작물 등을 재배하는 가구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우스재배는 보다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함에 반해, 농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일손부족 현상으로 작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하우스 안의 고온 상태에서 많은 일을 장시간 하게 되므로 하우스 고열병에 시달리고, 보다 나은 상품 가치를 갖는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 살균, 살충 및 영양공급 등을 위해 농약살포를 하게 될 때에도 사람이 직접 하우스 안에서 하게 되므로 농약중독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부작용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 하우스 내에서의 대부분의 작업은 사람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이뤄지는 것이어서, 작업 인력이 많이 요구되는 반면 작업 능률은 떨어지는 것이며, 열악한 환경에서의 작업 기피로 인력난이 가속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고 작업성 및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화훼류를 경작하는 연동 시설하우스 내에 사용되는 농약살포기나 운반용 전동수레 등과 같은 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작업성을 좀 더 높이기 위한 것이어서 수동운반 또는 농약살포와 같은 단일 목적만 행할 수 있는 한계가 있어, 여러 가지 작업을 하기 위해 각각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시설하우스 내에서의 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비닐하우스 온실 또는 유리 온실 내에서의 시설재배에 있어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중 작업 장치 운반, 제초용 바닥 비닐 깔기, 자동 농약 살포, 수확물 운반 등의 모든 작업을 무인 운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재배 작업의 자동화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및 작업의 편의성 증대는 물론, 그에 따른 생산성 증대를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이 직접 일일이 농약을 살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독농약에 의한 인체 위해성을 예방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스 내에 비닐을 씌우는 파이프 골조와는 별개로 하우스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지지기둥을 입설하고, 상기 지지기둥에 지지되어 레일 지지대를 사다리꼴로 연결 형성하여 중앙 상부에서 파이프 골조와 결합하여 고정한 다음, 그 아래로 이중의 이송레일을 구비하여 이를 따라 유동되는 캐리어로 구성된 다목적 관리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비닐 개방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다목적 관리기가 내부 레일에 장착된 확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관리기 본체의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목적 관리기 기동부의 회동 롤러축 결합부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목적 관리기가 내부 레일에 장착된 상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목적 관리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목적 관리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기둥 12 : 레일 지지대 13 : 이송레일
100 : 캐리어 110 : 구동부 111 : 하부프레임
114 : 이송롤러 114' : 종동롤러 122 : 모터
130 : 적재부 131 : 외측프레임 135 : 구획프레임
141 : 결착구 144 : 공급관 142 : 분무노즐대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 온실 또는 유리 온실 내에서의 시설재배에 있어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중 작업 장치 운반, 제초용 바닥 비닐 깔기, 자동 농약 살포, 수확물 운반 등의 모든 작업을 무인 운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이송레일을 따라 캐리어가 이동하면서 운반 및 농약살포 등의 작업을 자동제어에 의해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스 내에 비닐(1)을 씌우는 파이프 골조(2)와는 별개로 하우스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지지기둥(11)을 입설하고, 상기 지지기둥(11)에 지지되어 레일 지지대(12)를 사다리꼴로 연결 형성하여 중앙 상부에서 파이프 골조(2)와 결합하여 고정한 다음, 그 아래로 이중의 이송레일(13)을 구비하여 이를 따라유동되는 캐리어(100)로 구성되며, 상기의 자세한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스 길이 방향으로 아치형의 하우스 비닐(1) 및 파이프 골조(2) 내측으로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지지기둥(11)을 바닥에 고정시켜 수직으로 입설하고, 그 상부로 복수의 레일 지지대(12)를 연결구(14)를 사용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결합하여 구비하며, 상기 레일 지지대(12)는 중앙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보(15)를 설치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그 위로 파이프 골조(2)와 결합 고정하고, 그 아래로 2중으로 형성된 이송레일(13)이 직선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의 이송레일(13)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전,후로 유동되는 캐리어(100)는 상부 구동부(110)와 하부 적재부(1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우선, 구동부(1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다리 형상의 하부 프레임(111) 중앙에 구비된 모터(122)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구성을 갖는데, 상기 하부 프레임(111) 양단에 마주 보도록 지지대(112)가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마주 보는 지지대(112)의 상, 하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113)(113')을 구비하여 결합 고정하며, 상기 상,하 회전축(113)(113')은 지지대(112) 내측에서 각각 크고 작은 유동롤러(115)가 구비되어 벨트(116)에 결합됨으로써 동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12)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회전축(113) 상에는 두 개의 이송롤러(114)가 내측 단부측으로 결합 구비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송레일(13) 위로 자유롭게 이동가능케 구성되며, 상기 하부 회전축(113')의 중앙에는 하나의 큰 유동롤러(117)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122)와 양측단 지지대(112)의 상,하 회전축(113)(113') 및 이에 구비된 이송롤러(114) 및 각 유동롤러(115)(117)가 결합 구성된 사이 중간에는 상기 하부 회전축(113')에 구비된 유동롤러(117)에 모터(122)의 동력을 전달하여 동기화 구동할 수 있도록 또 다른 회전축(113")을 구비하는데, 이를 위해 하부 프레임(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일부 돌출된 결합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123)는 상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상태에서 옆면을 이루는 네 면에 타원형의 홈(124')을 형성한 직육면체 사각프레임(124)과, 상기 사각프레임(124)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고 중앙에 원형 통공(126)을 형성하며 사각프레임(124)과의 결합 고정을 위한 볼트공(127)이 적정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베어링을 내장한 사각결합구(125)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일측 결합부재(123)의 내측으로 모터(122)와 벨트(121) 결합되어 회동하는 큰 유동롤러(120)가 구비되고 이를 관통하는 회전축(113")의 양단이 상기 결합부재(123)의 사각프레임(124) 타원형 홈(124')과 내부 사각결합구(125) 원형 통공(126)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고, 그 회전축(113") 중앙에 작은 유동롤러(119)가 양측단의 지지대(112)에 결합된 하부 회전축(113')의 유동롤러(117)와 벨트(118)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에서의 모터(122) 구동 및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전기 및 제어신호 등의 공급을 위한 전선 가이드 롤(149)이 상기 일측 지지대(112)의 상단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11)의 중앙 즉, 모터(122)가 구비된 양편으로도 상기 지지대(112)와 같은 보강대(112')를 구비하고, 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축에 상기 이송롤러(114)와 동일한 형태의 종동롤러(114')를 구비하여, 이송레일(13) 상에서 이송롤러(114)의 회동에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전체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게 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111) 양측단 하부로는 각 모서리 하단에 적재부(120)와의 결합이 용이토록 하는 결합편(128)이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111)의 중앙으로는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가공 형성된 원형 결합봉(129)이 구비되어 있다.
즉, 구동부(110)는 네 개의 모서리 하단에 결합편(128) 및 중앙 하부로 원형 결합봉(129)을 형성하고 사다리처럼 일정간격 구획된 형상의 하부 프레임(111)의 상부로는 양측단 및 중앙에 마주보도록 지지대(112) 및 그 사이 결합부재(123)를 입설하고, 이에 회전축(113)(113')(113")을 결합하여 모터(122)로부터 구동되어 벨트(116)(118)(121) 결합된 유동롤러(115)(117)(120)를 통해 이송롤러(114)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송레일(13)을 따라 캐리어(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도5의 단면도에서 볼 때, 모터(122)가 구동되어 모터의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벨트(121) 결합된 양편의유동롤러(120)와 회전축(113")을 따라 유동롤러(117)(119)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다시 양측단의 회전축(113)(113')과 유동롤러(115)를 거쳐 이송롤러(1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캐리어(10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동작들이 반대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캐리어(10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동부(110)의 하부로는 적재부(130)가 구성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구동부(110) 보다 약간 더 큰 크기의 장방형 외측 프레임(131)을 이루되, 양측단의 적정 위치에 상기 구동부(110)의 하부 프레임(111) 결합편(128)과 결합되는 동일 형상의 결합편(132)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외측 프레임(131)을 가로질러 구비된 가로대(133) 중앙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외주연에 수나사부를 형성, 상기 구동부(110)의 하부 프레임(111) 원형 결합봉(129)과 나사 결합되는 원형 결합봉(13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외측 프레임(131)와 일정한 사이 간격을 두고 상기 구동부(110)의 하부 프레임(111)과 같이 사다리처럼 구획된 구획 프레임(135)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넓은 공간부(136)를 형성하여 하부 받침판(137)을 구비하며, 이때, 받침판(137)의 하중 분산을 위해 적정하게 세로 지지대(138)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받침판(137)의 저면 중앙으로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회전봉(139)의 단부에 흡반(140)을 장착하고 있다.
즉, 상기의 적재부(130)는 하우스 내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농약살포 및 물공급을 위한 탱크, 고압분무기, 운반을 위한 수확물 등의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 구동부(110)와의 결합시에는 바닥에 일정 높이의 상자 등을 두고 그 위에 상기 흡반(140)으로 흡착 고정시키고 상부 원형 결합봉(134)이 하부 프레임(111)의 원형 결합봉(129)의 내주연에 삽입되게 맞추어 외측 프레임(131) 전체를 회전시키면 하부 회전봉(139)이 용이하게 회전함과 동시에 원형 결합봉(129)(134) 간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져 고정된다.
또한, 구동부(110)와 적재부(1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111) 하부와 외측 프레임(131) 상부에 각각 형성된 네 쌍의 결합편(128)(132)을 서로 맞접하게 위치를 맞추어 놓고, 그 외측에 두 결합편(128)(132)의 길이를 감싸도록 하여 ㄷ자 단면형상을 갖는 결착구(141)를 구비하여 측면에서의 볼트 및 너트 결합으로 일체화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결합편(128)(132) 결합용 결착구(141)는 전면에 ㄴ자 형상으로 받침고리(141')를 형성하고 있어, 이에 조립가능하고 속이 빈 원형관(142)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원형관(142)은 중앙에 ┸ 와 같은 단면상을 갖는 연결구(143)를 구비하여 그 뒤로 탱크와 연결되는 공급관(144)을 결합하여 농약 또는 물 등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원형관(142)의 양단은 조립가능케 되어 탈부착이 용이한 분무 노즐(146)을 구비한 수평의 분무노즐대(145)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분무노즐대(145)를 활용하여 작물에 씌울 보온 비닐(3) 두루마리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100) 하부 적재부(130)의 외측 프레임(131)의 세로부와 구획 프레임(135) 및 받침판(137) 상에 적정한 간격으로 사각홈(147)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 프레임(135)은 물론 측면 추가 프레임(148) 등을 더 구비하여 사각홈(147)에 결합시켜 조립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다목적 관리기는 내부에 별도 설치된 이송레일(13)과 이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송롤러(114) 등이 구비된 구동부(110)의 구동을 통해 무인 자동 제어에 의해 이동되는 캐리어(100)를 구성함으로써,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캐리어(100)의 적재부(130)에 농약 살포를 위한 농약탱크나 물 공급을 위한 물 탱크 등을 적재하여 상기 공급관(144) 및 원형관(142)을 연결하여 이와 조립 결합된 분무노즐대(145)에 탈부착된 분무노즐(146)을 통해 분사하여 작물에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며, 하우스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 무인 살포할 수 있어 농약중독과 같은 위험요소를 미연에 해소하여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기는 부피가 많은 폐비닐 및 보온덮개 등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으며, 모종시 하우스 바닥에 까는 비닐 및 작물의 성장 촉진을 위한 내부 보온 비닐(3) 등의 설치시에도 구비된 분무노즐대(145)에 걸어 작업을 편리하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퇴비나 비료 등을 뿌릴 때에도 사람 걸음걸이 정도의 속도로 캐리어(100)가 이동하도록 조정하고 적재부(130)에 퇴비 및 비료를 실어 이동하면서 손으로 자유롭게 뿌릴 수 있어 적은 시간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확시에도 상하기 쉬운 작물이나 부피가 작은 작물을 많은 매우 편리하게 외부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며, 이상의 운반 및 농약살포 등의 다목적 관리기는 고온 및 농약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경제적 이득을 높이는 자동화 시설인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시설하우스 내에서의 작업에 따른 인력난과 작업의 힘든 여건으로 인한 작업성의 문제를 개선하고,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를 제공하여 비닐하우스 온실 또는 유리 온실 내에서의 시설재배에 있어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중 작업 장치 운반, 제초용 바닥 비닐 깔기, 자동 농약 살포, 수확물 운반 등의 모든 작업을 무인 운전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재배 작업의 자동화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및 작업의 편의성 증대는 물론, 그에 따른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사람이 직접 일일이 농약을 살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독 농약에 의한 인체 위해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파이프 골조(2)에 비닐(1)을 씌워 사용하는 시설용 하우스 내부에 있어서,
    하우스 길이방향으로 적정 간격으로 지지기둥(11)을 입설하고 그 위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레일 지지대(12)를 연결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 골조(2)와 결합된 상측 길이방향 연결보(15)에 고정하고, 하부 이송레일(13)을 구비한 다음,
    모터(122)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이송레일(13)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롤러(114)를 동작하는 구동부(110)와, 그 하부에 결합되어 적정하게 구획 되어 필요한 것을 적재할 수 있되, 농약 및 물 공급을 할 수 있도록 분무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적재부(130)로 캐리어(100)를 구성함으로써,
    하우스 내 운반 및 농약살포와 같은 작업을 무인자동화가 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2.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0)의 구동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적정 위치에 벨트로 결합되어 동기되는 회전축 및 유동롤러를 대칭되게 구비하여 이송롤러(114)에 동력을 전달 회전시킴으로써 모터(122)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롤러(144)가 회전하여 이동토록 하며, 중간에 보강대(112') 및 상기 이송롤러(114)에 따라 이동하는 종동롤러(1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3.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0)의 적재부(120)는 장방형체의 외측 프레임(131) 하부에 받침판(137)을 구비하고 그 내부는 적정하게 가로 및 세로로 구획되어 공간부(136)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131) 및 받침판(137)에 추가 프레임(148) 조립을 위한 사각홈(147)을 형성하고,
    상기 분무장치는 캐리어(100) 전면에 결합 고정된 원형관(142)과 탈착가능한 분무노즐(146)을 구비한 분무노즐대(145)를 결합하고, 상기 원형관(142)에 구비된 연결구(143)를 통해 농약 또는 물이 담겨진 탱크와 연결할 수 있는 공급관(144)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KR1020020036140A 2002-06-26 2002-06-26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KR20020057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140A KR20020057940A (ko) 2002-06-26 2002-06-26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140A KR20020057940A (ko) 2002-06-26 2002-06-26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361U Division KR200288932Y1 (ko) 2002-06-26 2002-06-26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940A true KR20020057940A (ko) 2002-07-12

Family

ID=2772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140A KR20020057940A (ko) 2002-06-26 2002-06-26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9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0809287B1 (ko) * 2006-07-18 2008-03-04 문종옥 비닐하우스용 현가식 이동작업설비
KR101257192B1 (ko) * 2011-07-28 2013-04-22 손상훈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150110164A (ko) * 2014-03-24 2015-10-02 김현수 이동가능한 조립식 봉사
KR2018013038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대길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35U (ko) * 1995-01-10 1996-08-17 윤상연 비닐하우스, 온실내의 다용도 운반장치
KR19990039184A (ko) * 1997-11-06 1999-06-05 배홍기 비닐하우스용 현수식 이동기
KR20000015613U (ko) * 1999-01-12 2000-08-05 박귀식 비닐하우스용 다목적 핸디레일
KR200195650Y1 (ko) * 1999-09-10 2000-09-01 유재옥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000066487A (ko) * 1999-04-14 2000-11-15 한승두 비닐하우스의 레일식 이동장치용 전원공급방법 및 그 장치
KR200207770Y1 (ko) * 2000-06-24 2000-12-15 양인수 비닐하우스의 수확물 공중 운반장치
KR200221559Y1 (ko) * 1999-04-14 2001-04-16 한승두 비닐하우스의 레일식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35U (ko) * 1995-01-10 1996-08-17 윤상연 비닐하우스, 온실내의 다용도 운반장치
KR19990039184A (ko) * 1997-11-06 1999-06-05 배홍기 비닐하우스용 현수식 이동기
KR20000015613U (ko) * 1999-01-12 2000-08-05 박귀식 비닐하우스용 다목적 핸디레일
KR20000066487A (ko) * 1999-04-14 2000-11-15 한승두 비닐하우스의 레일식 이동장치용 전원공급방법 및 그 장치
KR200221559Y1 (ko) * 1999-04-14 2001-04-16 한승두 비닐하우스의 레일식 이동장치
KR200195650Y1 (ko) * 1999-09-10 2000-09-01 유재옥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0207770Y1 (ko) * 2000-06-24 2000-12-15 양인수 비닐하우스의 수확물 공중 운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0809287B1 (ko) * 2006-07-18 2008-03-04 문종옥 비닐하우스용 현가식 이동작업설비
KR101257192B1 (ko) * 2011-07-28 2013-04-22 손상훈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150110164A (ko) * 2014-03-24 2015-10-02 김현수 이동가능한 조립식 봉사
KR2018013038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대길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0505A1 (en) Growing systems and methods
EP3393233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483391B1 (ko)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KR101643553B1 (ko)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EP4037472A1 (en) High density plant growth systems and methods
IT201900001789A1 (ko)
KR102382163B1 (ko) 밀폐형 재배시설 내부 행거타입 딸기재배 시설용 대기 습도 유지를 위한 수분액 분사장치
CN216254278U (zh) 一种农业用大棚喷洒装置
KR20150080116A (ko) 안개분무를 이용한 재배장치
KR20020057940A (ko)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EP3305067B1 (en)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KR200288932Y1 (ko) 시설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JP2012090609A (ja) 海上コンテナ式植物工場
KR200290945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프레임 연결구
CN213404611U (zh) 一种农业暖棚打药设备
CN213784455U (zh) 一种新型大棚内用的喷洒装置
KR102214546B1 (ko) 육묘 재배장치
KR102134629B1 (ko)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101378467B1 (ko) 작물 재배 장치
CN215380323U (zh) 农业种植灌溉装置
KR200290947Y1 (ko) 시설하우스용 이송레일의 가변 전철기
JP2832733B2 (ja) 園芸用多目的走行台車及び該走行台車の走行レール支持ブロック
CN212116436U (zh) 一种智能连栋温室大棚的喷水装置
KR101707857B1 (ko) 비닐하우스 작업용 운반장치
CN214709164U (zh) 一种农业种植大棚用蔬菜灌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