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138A -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138A
KR20020057138A KR1020000087401A KR20000087401A KR20020057138A KR 20020057138 A KR20020057138 A KR 20020057138A KR 1020000087401 A KR1020000087401 A KR 1020000087401A KR 20000087401 A KR20000087401 A KR 20000087401A KR 20020057138 A KR20020057138 A KR 2002005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ember
surface forming
temperature
kimchi refrigerator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138A/ko
Publication of KR2002005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4Controll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의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형성부재(26)에는,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발열 히터(40)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2)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42)의 온도를 인식해서 기준설정온도와 비교한 후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44)가 온도감지센서(42)에 연결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44)에 연결되는 릴레이(46)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면형성부재의 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발열 히터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비전력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Prevention Apparatus for Dewing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의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면형성부재로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이슬을 제거하기 위한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김치냉장고는 저장공간에 반입된 김치에 적당한 온도를 가하여 숙성시킨 다음, 저온의 보관온도를 유지하면서 김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동기기이다.
김치냉장고는 구조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상자형 김치냉장고 (이하에서는 간단히‘김치냉장고’라고도 칭한다)는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상하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저장공간 내에 김치를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김치냉장고 내부에는 김치의 숙성시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숙성용 히터와, 보관시 일정한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현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새로 담근 김치가 투입되면 숙성을 위한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일련의 숙성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숙성과정은 상기 히터의 발열에 의해 김치의 숙성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김치의 숙성이 완료되면, 상기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는 것에 의하여 김치를 보관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보관과정은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서 김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도 1과 도 2에는 일반적인 상자형 김치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 김치냉장고(1)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본체(2)의 내부에는 김치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인너케이스(4)가 구비된다.
상기 인너케이스(4)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은 좌우 두개의 저장실(S)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실(S)은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냉기가 공급되어 저온의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김치냉장고의 본체(2) 상부에는 상면형성부재(6)가 설치된다. 상기 상면형성부재(6)는 본체(2)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덮어져서 본체(2)의 상단 외관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는 상기 저장실(S)로 김치를 반입하거나 저장실(S)에서 김치를 반출하기 위한 2개의 입출구부가 상기 저장실(S)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후면(미도시) 상부에는 상기 좌우 두개의 저장실(S)을 개폐하는 도어(8)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8)는 그 일측에 설치된 힌지(10)에 의해 본체(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8)를 상기 힌지(10)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시켜 본체(2) 내부에 마련된 저장실(S)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8)는 상기 상면형성부재(6)와 접하여서 상기 저장실(S)을 실링한다.
그리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4)의 둘레를 따라서 숙성용히터(16)가 설치된다. 상기 숙성용 히터(16)는 저장실(S)에 반입된 김치를 숙성시키기 위한 적당한 온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S)의 하부에는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 기계실(C)이 마련된다. 상기 기계실(C)에는 먼저 압축기(12)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2)는 냉매관(14)을 통해서 유입된 고온의 기상 냉매를 압축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도시 생략)가 상기 기계실(C)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도시 생략)를 통과한 냉매는 캐필러리 튜브(도시 생략)에 의하여 감압된 후, 저장실(S)에 설치된 증발기(도시 생략)로 유입된다. 상기 증발기(도시 생략)에서 냉매는 저장실(S)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에 의해서 저장실(S)에는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저온의 냉기가 생성되고, 상기 저장실(S)은 저온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는 저장실(S)은 외부로 부터의 완전 실링이 어렵고, 또한 상기 저장실(S)과 외부 공기의 온도차는 매우 크다. 따라서, 외부의 고온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S)의 냉기와 접촉하면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강하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상면형성부재(6)에 이슬이 맺혀서 물기가 다량으로 되면, 김치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사용자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아울러 불쾌함을 느낀다.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불만은 김치냉장고 제품 자체에 대한 불만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점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때문에, 상면형성부재(6)에 발생하는 이슬 맺힘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6)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김치냉장고(1)의 일반적인 구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관(18)을 상면형성부재(6)에 설치한다. 상기 열관(18)은 상기 압축기 (12)에서 응축기(도시 생략)로 연결되는 냉매관이다. 따라서, 상기 열관(18)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1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열관(18)을 통과한 냉매는 응축기(도시 생략), 캐필러리 튜브(도시 생략), 증발기(도시 생략)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기(12)로 유입되어 냉동사이클을 순환한다.
상기 열관(18)을 상기 본체상부덮개(6)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상면형성부재 (6)로 상기 열관(18)의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맺힌 이슬이 제거된다.
즉, 상기 압축기(1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열관(18)을 따라서 유동하여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고온의 열을 전달한다. 상기 열관(18)에 의해 고온으로 된 상면형성부재(6)는 외부의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이슬이 맺히지 않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 이슬 맺힘 방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6)의 이슬 맺힘 방지는, 김치냉장고 냉동사이클의 압축기(12)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2)의 구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을 통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사이클이 구동되지 않아서 상기 압축기(12)가 구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을 통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맺힌 이슬은 제거되지 못한다.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보관모드에서 저장실(S)의 온도가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에 세팅된 설정온도보다 고온일 경우에만 구동하고, 상기 저장실(S)의 온도가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에 세팅된 설정온도보다 저온일 경우에는 상기 냉동사이클은 구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냉동사이클이 구동하지 않게되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는 압축기(12)도 함께 구동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열관(18)을 통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전달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결과, 냉동사이클이 동작하여 상기 압축기(12)가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이 고온으로 되지만, 냉동사이클이 동작하지 않아서 상기 압축기(12)가 구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은 고온으로 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2)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서, 상기 상면형성부재(18)에 설치된 열관(18)의 온도가 고온 또는 저온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맺힌 이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에 발열 히터를 설치하여 상면형성부재에 맺힌 이슬을 온도편차 없이 연속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상면형성부재의 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발열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김치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 ..... 김치냉장고 22 ........ 본체
4,24 ..... 인너 케이스 6,26 ...... 상면형성부재
8,28 ..... 도어 10,30 ...... 힌지
12,32 .... 압축기 14,34 ...... 냉매관
16,36 .... 숙성용 히터 18 ......... 열관
40 ....... 히터 42 ......... 온도감지센서
44 ....... 마이크로컴퓨터 46 ......... 릴레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는, 본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형성부재와,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설치되어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 히터와, 상기 상면형성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면형성부재의 온도를 기준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발열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온도를 읽어들이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 히터를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발열 히터를 구동하므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기초로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자형 김치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조와 냉동사이클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간단하게 기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21) 본체(22) 내부에는 저장실(S)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24)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22)의 인너케이스(24) 상부에는 상면형성부재(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2)의 후면(도시 생략) 상부에는 도어(28)가 힌지(30)에 의해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는 발열 히터(40)가 설치된다. 상기 발열 히터(40)는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열을 제공하여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히는 이슬을 제거한다.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42)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42)는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센서(42)에는 마이크로컴퓨터(44)가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2)가 인식한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를 읽어들여서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에는 릴레이(46)가 연결된다. 상기 릴레이 (46)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을 온/오프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 이슬맺힘 방지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기(32)가 구동되면 냉동사이클이 동작해서 저장실(S)에 냉기가 발생하고 저장실(S)은 저온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저장실(S)이 외부와 완전 실링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실(S)의 저온의 공기와 고온의 외부공기가 접촉하면, 온도차에 의해서 이슬이 생기게 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힌다.
또한 상기 저장실(S)이 오랫동안 저온으로 유지되고 있으면, 상기 저장실(S)의 저온이 열전도에 의해서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 (26)도 저온으로 된다. 이 때 고온의 외부공기가 상기 저온의 상면형성부재(26)와 접촉하면, 상기 고온의 외부공기는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내려가게 되어서,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면형성부재(26)에 이슬이 맺히는 경우, 상면형성부재(26)에 설치된 발열 히터(4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이슬을 제거한다. 즉,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설치된 발열 히터(40)의 고온의 열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는 고온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상면형성부재(26)가 고온으로 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힌 이슬은 증발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는 독립된 전력을 공급 받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 히터(40)는 압축기(50)를 구동하는 전원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압축기(50)에 과부하가 인가되어 과부하보호장치(54)가 오프되는 경우 또는 고내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되어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고내온도조절기(52)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50)는 구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50)에 연결되는 회로 구성이 오프되더라도 발열 히터 (40)는 상기 압축기(50)를 구동하는 전원과 독립의 전원으로 연결되어 있어므로 발열 히터(40)에는 연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설치된 발열히터(40)는 온도 편차 없이 연속적으로 고온의 열을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공급할 수 있게된다. 그 결과,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히는 이슬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발열 히터(40)의 열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는 이슬점 온도를 훨씬 초과하여 고온으로 된다. 이러한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42)에 의해서 감지되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로 입력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42)로부터 상면형성부재(26)의 현재의 온도를 입력받은 마이크로컴퓨터(44)는, 현재의 온도와 마이크로컴퓨터(44)에 세팅된 기준설정온도를 비교한다. 상기 기준설정온도란, 마이크로컴퓨터(44)에 세팅되어 있는, 상기 발열 히터(40) 구동의 기준 온도이다.
즉, 상기 현재의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가 상기 기준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은 오프되고, 반대로, 현재의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가 상기 기준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은 계속해서 진행된다.
이제, 마이크로컴퓨터(44)에 입력된 현재의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가 기준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는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이 오프되도록 릴레이(46)를 제어한다. 상기 릴레이(46)의 오프동작에 의해 상기 발열 히터(40)의 구동이 오프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으로의 열공급은 중단된다.
상기와 같이 상면형성부재(26)로 발열 히터(40)가 열공급을 중단하더라도,상면형성부재(26)는 기준설정온도보다 고온이므로,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는 이슬맺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시간이 경과하여 저장실(S) 내의 저온의 냉기에 의하여 상면형성부재 (26)의 온도가 상기 기준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발열 히터(40)는 다시 구동한다.
즉, 낮아진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를 온도감지센서(42)가 감지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로 입력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는 상기 현재의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와 기준설정온도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에 의해서 현재의 상면형성부재(26)의 온도가 기준설정온도보다 저온인 겨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는 상기 발열 히터(40)가 구동되도록 상기 릴레이(46)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률적이고 지속적으로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상면형성부재의 온도에 따라,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 히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상면형성부재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인식되며, 상기 발열 히터 구동은 마이크로컴퓨터와 릴레이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먼저, 발열 히터는 독립된 전원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동 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상면형성부재에 고온의 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면형성부재의 온도에 따라 발열 히터가 구동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서, 상면형성부재의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발열 히터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또한, 상면형성부재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로의 열공급원인 발열 히터의 구동이 오프되므로, 상기 상면형성부재는 더 이상 온도 상승이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쾌적한 사용환경에서 도어를 열어서 저장실의 보관중인 음식물을 반출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본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형성부재와;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설치되어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 히터와;
    상기 상면형성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면형성부재의 온도를 기준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발열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온도를 읽어들이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 히터를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1020000087401A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20020057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401A KR20020057138A (ko)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401A KR20020057138A (ko)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38A true KR20020057138A (ko) 2002-07-11

Family

ID=2769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401A KR20020057138A (ko)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1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04762A1 (en) Supercooling apparatus
JPH04260771A (ja) 冷蔵庫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KR2010006547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308529B1 (ko) 냉장고용에어커튼팬구동방법및그장치
KR100593632B1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213149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JPH10111064A (ja) 冷蔵庫の冷却ファン制御方法
KR20020057138A (ko)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100461636B1 (ko)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20020057136A (ko)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100713818B1 (ko) 김치저장고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JP3819815B2 (ja) 冷蔵庫の冷媒洩れ検出方法
KR200272686Y1 (ko) 숙성기능을 위한 히터를 가진 김치냉장고
KR20000015415A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KR100406042B1 (ko) 김치저장고 도어의 증발관 설치 구조
KR100349708B1 (ko) 김치저장고
JPH05126458A (ja) 高湿冷却貯蔵庫
KR200297813Y1 (ko) 김치저장고의 냉매 제어 장치
KR19980023142A (ko) 냉장고용 살균램프의 제어방법
JP3851246B2 (ja) 可燃性冷媒冷蔵庫の制御方法
KR20010029011A (ko) 김치냉장고와 그 제어방법
JPH02130381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20030065667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장고
KR100786246B1 (ko) 김치저장고의 냉각시스템
KR100210193B1 (ko) 냉장실 에어커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523

Effective date: 200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