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636B1 -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636B1
KR100461636B1 KR10-2000-0087403A KR20000087403A KR100461636B1 KR 100461636 B1 KR100461636 B1 KR 100461636B1 KR 20000087403 A KR20000087403 A KR 20000087403A KR 100461636 B1 KR100461636 B1 KR 10046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ember
surface forming
heat
heater
hea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140A (ko
Inventor
유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8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6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상면형성부재에 맺히는 이슬을 제거하기 위한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김치냉장고(21)의 상면형성부재(26)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히터(40)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히터(40)를 끼울 수 있는 한 쌍의 리브(42)가 발열히터(40)를 사이에 두고 상면형성부재(26)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히터(40)에 접하면서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면형성부재(26)에 알루미늄 테이프(44)가 설치된다. 따라서, 발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상면형성부재에 다량으로 원활하게 전달되어서, 상면형성부재에 맺히는 이슬이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Prevention Apparatus for Dewing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의 상면형성부재에 발열 히터를 금속테이프로 감싸서 설치함으로서,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맺히는 이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상자형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김치냉장고는 저장공간에 반입된 김치에 적당한 온도를 가하여 숙성시킨 다음, 저온의 보관온도를 유지하면서 김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동기기이다.
김치냉장고는 구조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상자형 김치냉장고 (이하에서는 간단히‘김치냉장고’라고도 칭한다)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상하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저장공간 내에 김치를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김치냉장고 내부에는 김치의 숙성시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숙성용 히터와, 보관시 일정한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현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새로 담근 김치가 투입되면 숙성을 위한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일련의 숙성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숙성과정은 상기 히터의 발열에 의해 김치의 숙성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김치의 숙성이 완료되면, 상기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이동작하는 것에 의하여 김치를 보관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보관과정은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서 김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도 1과 도 2에는 일반적인 상자형 김치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 김치냉장고(1)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본체(2)의 내부에는 김치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인너케이스(4)가 구비된다.
상기 인너케이스(4)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은 좌우 두개의 저장실(S)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실(S)은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냉기가 공급되어 저온의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김치냉장고의 본체(2) 상부에는 상면형성부재(6)가 설치된다. 상기 상면형성부재(6)는 본체(2)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덮어져서 본체(2)의 상단 외관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는 상기 저장실(S)로 김치를 반입하거나 저장실(S)에서 김치를 반출하기 위한 2개의 입출구부가 상기 저장실(S)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형성부재(6)의 상부에는 상기 좌우 두개의 저장실(S)을 개폐하는 도어(8)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8)는 그 일측에 설치된 힌지(10)에 의해 본체(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8)를 상기 힌지(10)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시켜 본체(2) 내부에 마련된 저장실(S)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8)는 상기 상면형성부재(6)와 접하여서 상기 저장실(S)을 실링한다.
그리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4)의 둘레를 따라서 숙성용히터 (16)가 설치된다. 상기 숙성용 히터(16)는 저장실(S)에 반입된 김치를 숙성시키기 위한 적당한 온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S)의 하부에는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 기계실(C)이 마련된다. 상기 기계실(C)에는 먼저 압축기(12)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2)는 냉매관(14)을 통해서 유입된 고온의 기상 냉매를 압축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도시 생략)가 상기 기계실(C)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도시 생략)를 통과한 냉매는 캐필러리 튜브(도시 생략)에 의하여 감압된 후, 저장실(S)에 설치된 증발기(도시 생략)로 유입된다. 상기 증발기(도시 생략)에서 냉매는 저장실(S)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에 의해서 저장실(S)에는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저온의 냉기가 생성되고, 상기 저장실(S)은 저온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는 저장실(S)은 외부로 부터의 완전 실링이 어렵고, 또한 상기 저장실(S)과 외부 공기의 온도차는 매우 크다. 따라서, 외부의 고온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S)의 냉기와 접촉하면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강하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상면형성부재(6)에 이슬이 맺혀서 물기가 다량으로 되면, 김치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사용자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아울러 불쾌함을 느낀다.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불만은 김치냉장고 제품 자체에 대한 불만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점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때문에, 상면형성부재(6)에 발생하는 이슬 맺힘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6)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김치냉장고(1)의 일반적인 구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관(18)을 상면형성부재(6)에 설치한다. 상기 열관(18)은 상기 압축기 (12)에서 응축기(도시 생략)로 연결되는 냉매관이다. 따라서, 상기 열관(18)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1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열관(18)을 통과한 냉매는 응축기(도시 생략), 캐필러리 튜브(도시 생략), 증발기(도시 생략)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기(12)로 유입되어 냉동사이클을 순환한다.
상기 열관(18)을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상면형성부재 (6)로 상기 열관(18)의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맺힌 이슬이 제거된다.
즉, 상기 압축기(1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열관(18)을 따라서 유동하여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고온의 열을 전달한다. 상기 열관(18)에 의해 고온으로 된 상면형성부재(6)는 외부의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이슬이 맺히지 않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 이슬 맺힘방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6)의 이슬 맺힘 방지는, 김치냉장고 냉동사이클의 압축기(12)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2)의 구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을 통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사이클이 구동되지 않아서 상기 압축기(12)가 구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을 통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상기 상면형성부재 (18)에 맺힌 이슬은 제거되지 못한다.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보관모드에서 저장실(S)의 온도가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에 세팅된 설정온도보다 고온일 경우에만 구동하고, 상기 저장실(S)의 온도가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에 세팅된 설정온도보다 저온일 경우에는 상기 냉동사이클은 구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냉동사이클이 구동하지 않게되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는 압축기(12)도 함께 구동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열관(18)을 통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상면형성부재(6)로 전달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결과, 냉동사이클이 동작하여 상기 압축기(12)가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이 고온으로 되지만, 냉동사이클이 동작하지 않아서 상기 압축기(12)가 구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열관(18)은 고온으로 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2)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서,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설치된 열관(18)의 온도가 고온 또는 저온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상면형성부재(6)에 맺힌 이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에 맺힌 이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열전달부재가 설치된 발열 히터를 구비한 김치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장착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 ..... 김치냉장고 22 ........ 본체
4,24 ..... 인너 케이스 6,26 ...... 상면형성부재
8,28 ..... 도어 10,30 ...... 힌지
12,32 .... 압축기 14,34 ...... 냉매관
16,36 .... 숙성용 히터 18 ......... 열관
40 ....... 히터 42 ......... 리브
44 ....... 알루미늄 테이프 46 ......... 단자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는, 본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면형성부재와;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설치되고, 상면형성부재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홈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 히터와; 상기 발열 히터의 열이 상면형성부재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발열 히터에 접하면서 상기 홈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설치되는 열전도성이 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발열 히터가 상면형성부재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상기 발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상기 상면형성부재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의 이슬맺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는, 상기 홈이, 상기 발열 히터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돌출 성형된 한 쌍의 리브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발열 히터를 상기 홈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상기 발열 히터가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이점이 생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기초로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자형 김치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조와 냉동사이클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이면에는 발열 히터(40)가 설치된다. 상기 발열 히터(40)는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열을 제공하여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히는 이슬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는 독립된 전원(도시 생략)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서 작동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이면에는 한 쌍의 리브(rib)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에 상기 발열히터 (40)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에 접하면서 상기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알루미늄 테이프(44)가 설치된다.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는 상기 발열 히터(40)의 열을 상면형성부재 (26)로 원활하게 전달시킴과 동시에, 발열 히터(40)가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설명의 도면 부호 46은 전원이 접속되는 단자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상면형성부재 이슬맺힘 방지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기(32)가 구동되면 냉동사이클이 동작해서 저장실(S)에 냉기가 발생하여 저장실(S)은 저온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저장실(S)이 외부와 완전 실링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실(S)의 저온의 공기와 외부의 고온의 공기가 접촉하면, 온도차에 의해서 이슬이 생기게 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힌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저장실(S)이 오랫동안 저온으로 유지되고 있으면, 상기 저장실(S)의 저온이 열전도에 의해서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되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도 저온으로 된다. 이 때 고온의 외부공기가 상기 저온의 상면형성부재 (26)와 접촉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히는 이슬을 제거하기 위해서 발열 히터(40)를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이면에 설치한다. 상기 발열 히터(40)의 고온의 열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 역시 고온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형성부재(26)가 고온으로 되면,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힌 이슬은 증발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는 독립된 전원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서 동작하므로,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동 여부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고온의 열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발열 히터(40)에서 직접적으로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되는 열은많지 않다. 왜냐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ABS 수지이므로 열전도율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발열 히터(40)의 고온의 열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더욱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발열 히터(40)의 고온의 열이 상기 상면형성부재(26)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열 히터(40)에 접하도록 알루미늄 테이프(44)를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는 상기 발열 히터(40)의 전부를 커버하도록 상면형성부재(26)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발열 히터(4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면형성부재(26)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를 부착함으로서, 발열히터(40)의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어려운 발열 히터(4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까지 상기 발열 히터(40)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와 상면형성부재(26)의 접하는 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상기 발열 히터(40)에서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되는 열의 양은 많아 진다.
따라서, 발열히터(4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은, 직접 상면형성부재(26)로도 전달되고,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를 매개로 해서도 상면형성부재(26)로 전달된다. 그 결과, 상기 발열 히터(40)에서 상면형성부재(26)로의 열전달은 더욱 원활해져서, 상기 상면형성부재(26)의 열은 더욱 고온으로 된다. 따라서, 상면형성부재(26)에 맺히는 이슬은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 히터(40)에서 상면형성부재(26)로의 열전달부재로서 알루미늄 테이프(44)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아니며, 상기 발열 히터(40)에서 상면형성부재(26)로의 열전달을 원활하게 매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를 상면형성부재(26)에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열 히터(40)를 상면형성부재(26)에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의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발열 히터(40)를 장착 또는 분리한다. 즉,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설치된 홈에, 상기 발열 히터(40)를 상기 홈의 개방부를 통해서 삽입해서 고정한 후,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를 상기 발열히터(40)에 접하면서 상기 홈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를 상면형성부재(26)에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면형성부재(26)에 돌출 성형된 한 쌍의 리브(42)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에 상기 발열 히터(40)를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끼워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 히터(40)가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가 상기 발열 히터(40)에 접하면서 상기 상면형성부재(40)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는 상기 발열 히터(40)의 열을 상면형성부재(26)로 원활하게 전달하는 한편, 발열 히터(40)의 장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역할도 아울러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에 상기 발열 히터(40)를 끼움으로서 상기 발열 히터(40)의 유동이나, 상기 발열 히터(40)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즉, 알루미늄 테이프(44)에 의해서만 상기 발열 히터(40)를 상면형성부재 (26)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발열 히터(40)의 장착이 견고하지 못하여 발열 히터 (40)가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상기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에 발열 히터(40)를 끼움으로서 상기와 같은 유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량의 열량을 상면형성부재(26)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발열 히터(40)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44)만에 의해서 발열 히터(40)가 장착되면 상기 이중으로 설치된 발열 히터(40)가 상호 접촉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리브(42)가 형성하는 홈에 발열 히터(40)를 끼움으로서 상기와 같은 발열 히터(40) 상호간의 접촉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먼저, 발열 히터는 독립된 전원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김치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동 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상면형성부재에 고온의 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열 히터가 끼워져서 상면형성부재에 장착되도록 하는 홈을 성형함으로서, 상기 발열 히터는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열전도성이 높은 열전달부재를 상기 발열 히터에 접하면서 상면형성부재에 설치함으로서, 상기 발열 히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상기 상면형성부재로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Claims (3)

  1. 본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면형성부재와;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설치되고, 상면형성부재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홈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 히터와;
    상기 발열 히터의 열이 상면형성부재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발열 히터에 접하면서 상기 홈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설치되는 열전도성이 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발열 히터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상면형성부재에 돌출성형된 한 쌍의 리브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3. 삭제
KR10-2000-0087403A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100461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403A KR100461636B1 (ko)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403A KR100461636B1 (ko)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40A KR20020057140A (ko) 2002-07-11
KR100461636B1 true KR100461636B1 (ko) 2004-12-14

Family

ID=2769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403A KR100461636B1 (ko) 2000-12-30 2000-12-30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655B1 (ko) * 2005-06-03 2012-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100704361B1 (ko) * 2005-12-30 2007-04-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장치
KR100704363B1 (ko) * 2005-12-30 2007-04-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장치
KR101505675B1 (ko) * 2008-01-22 2015-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1793U (ko) * 1973-10-05 1975-06-06
JPS5148767U (ko) * 1974-10-09 1976-04-12
JPS5499172U (ko) * 1977-12-26 1979-07-12
JPS5758880U (ko) * 1980-09-25 1982-04-07
KR880018324U (ko) * 1987-12-22 1988-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보조응축장치
JPH01109770U (ko) * 1988-01-13 1989-07-25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1793U (ko) * 1973-10-05 1975-06-06
JPS5148767U (ko) * 1974-10-09 1976-04-12
JPS5499172U (ko) * 1977-12-26 1979-07-12
JPS5758880U (ko) * 1980-09-25 1982-04-07
KR880018324U (ko) * 1987-12-22 1988-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보조응축장치
JPH01109770U (ko) * 1988-01-13 1989-07-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40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636B1 (ko)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EP3715751B1 (en) Refrigerator
KR20020057136A (ko)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200170050Y1 (ko) 직냉식냉장고의증발기
KR100334650B1 (ko) 김치냉장고
KR100469781B1 (ko) 도어 증발관이 설치된 김치저장고
KR100406042B1 (ko) 김치저장고 도어의 증발관 설치 구조
KR10037928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김치저장고
KR200314307Y1 (ko) 홈바도어를갖는냉장고
KR200376659Y1 (ko) 냉장고의 중간앞판
JP7058871B2 (ja) 除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200264115Y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 증발관 결합구조
KR100379279B1 (ko)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온도보상 구조
KR100572600B1 (ko) 김치냉장고
KR200142513Y1 (ko) 분리형 냉장고
KR20020057138A (ko)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KR100353033B1 (ko) 냉동실에 냉장용기를 갖는 냉장고
KR200217744Y1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KR100398632B1 (ko) 김치저장고 야채실의 증발관 설치구조
KR0117766Y1 (ko) 냉장고의 김치실 응축수 배수장치
KR200160155Y1 (ko) 압축열을 이용한 쇼케이스 제상장치
JPH04129087U (ja) 冷凍冷蔵庫
JPS5824142Y2 (ja) 冷蔵庫の露付防止装置
KR100660103B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에 장착된 증발기의 소음개선구조
KR100248632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523

Effective date: 2004100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