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715A -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715A
KR20020055715A KR1020000084924A KR20000084924A KR20020055715A KR 20020055715 A KR20020055715 A KR 20020055715A KR 1020000084924 A KR1020000084924 A KR 1020000084924A KR 20000084924 A KR20000084924 A KR 20000084924A KR 20020055715 A KR20020055715 A KR 2002005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iron plate
roll
circumferential ring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박종영
임성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8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715A/ko
Publication of KR2002005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6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by using specific means
    • B21C47/3483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유기에서 도유된 후 진행하는 철판의 진행경로 상에서 핀치롤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철판에 의한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철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롤부와, 상기 핀치롤에 대한 상기 롤부의 수직이동거리와 수평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이동거리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진행하는 도유된 철판의 작업성 하락, 안전재해, 스너버롤 압력조정 불량에 따른 철판 사행현상 및 철판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lip of the oil-coated strip}
본 발명은 오일러에서 도유된 철판에 의하여 스너버롤타입의 핀치롤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철판두께에 따라 압하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마그네트봉이 내장되어 도유된 철판에 의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둔라인에서는 스트립이 가열대, 균열대, 서냉대, 급냉대, 과시효대의 구간을 통과하면서 소둔처리되며, 소둔처리된 스트립은 최종적으로 오일러에서 도유처리된다. 이러한 도유처리의 목적은 스트립 표면의 녹발생 방지와 수요가에서의 스트립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둔처리된 후 도유기(10)에서 도유처리된 철판이 플라잉 쉐어(12)에서 분할처리될 때 2번 권취릴에 미권취상태에서 스너버롤 타입의 핀치롤(11)이 철판을 눌러준 상태에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스너버롤 타입의 핀치롤에 묻은 오일에 의해 철판이 2번 권취릴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스너버롤 타입의 핀치롤(11)의 측단에 부착되어 있는 피엘지가 스너버롤 타입의 핀치롤(11)의 회전수를 검출한 후 오픈되므로, 철판의 선단부가 2번 권취릴에 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오픈되어 철판은 역텐션을 받아 도유기(10)의 하부롤 철판이 빠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철판의 선단부를 통판용 로프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철판의 선단부를 통판된 로프를 당겨 2번 텐션릴에 물려줘야 한다. 즉, 이러한 작업은 2번 텐션릴에 철판이 물려 있어야만 철판이 회전되는 롤과 함께 장력이 걸리면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스너버롤 타입의 핀치롤(11)의 조정밸브를 통해 누름압력을 강화시켜 오일러 하부로 철판의 빠짐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에 의해 과다한 압력이 인가되면, 특히 박판이 구부려지는 상황이 발생된다. 그 결과, 철판이 사행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께별 정확한 갭만큼 스너버롤 타입의 핀치롤(11)의 압력을 조정하고 또한 불균등 압력을 인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유된 철판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별 갭을 제어하는 인터매쉬장치와 도유된 철판을 잡아주는 마그네트롤에 의해서 진행하는 도유된 철판의 작업성 하락, 안전재해, 스너버롤 압력조정 불량에 따른 철판 사행현상 및 철판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도유된 철판에 의한 스너버롤의 슬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의 롤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유기
12 : 플라잉 쉐어
26 : 마그네트
27 : 내주링
29 : 외주링
28 : 세그먼트형 고무슬리브
44 : 검출센서
36 : 가이드
37 : 워엄기어
34 : 위치제어 실린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도유기에서 도유된 후 진행하는 철판의 진행경로 상에서 핀치롤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철판에 의한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철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롤부와, 상기 핀치롤에 대한 상기 롤부의 수직이동거리와 수평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이동거리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방지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롤부로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어실린더(34)는 한 쌍의 지지바(46)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바(46)는 로드핀(47)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지지바(46)는 사각형의 고정 베이스(45)위에 고정된다. 에어실린더(34)의 전단부에 장착된 둥근봉 형태의 작동로드(35)는 두개가 조립된 T형 가이드(36) 상단부의 측단부에 결합된다. T형 가이드(36)의 하단부에는 베이스(48)가 끼워지고 T형 가이드(36) 상단부에는 원통형의 워엄기어잭(37)이 안착된다.
워엄기어잭(37)의 좌측에는 모타(39)가 결합되고, 반대편 우측에는 나사형태의 스크류 봉(38)의 일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두개의 워엄기어잭(37, 37)은 스크류 봉(38)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T형 가이드(36) 하단부의 베이스(48)는 프레임(49)에 용접결속된다.
워엄기어잭(37)상단에는 사각형의 베어링블록(40, 41)이 있고, 베어링블록에는 터치바(40)가 용접된다.
프레임(49)의 홈에는 센서(44)가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프레임(49)에 수직으로 설치된 판에 형성된 홀(50)에는 센서(42)가 결합되고 홀(51)에는 센서(43)가 결합된다.
롤부에 있어서, 사각형의 베이스(22)에는 네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그 위에는 육각형의 고정볼트와 너트(20)에 의해 네개의 구멍이 뚫린 베어링블럭(23)이 결합된다. 베어링블럭(23)의 둥근 내측에는 O자형의 O-링 두개가 볼베어링(24)의 좌 우측에 덮여 베어링블럭(23)의 내부에 장착된다.
둥근형태에 가운데에 구멍을 가진 고정판(30)의 가운데 구멍쪽으로 마그네트봉(26)과 마그네트 배선관(32)이 용접 결합된다. 가는 관을 통하여 고정판(30)의 가운데 구멍으로 끼워지고 마그네트봉(26)은 많은 구멍이 뚫린 내주링(27)의 큰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고 고정판(30), 마그네트봉(26), 내주링(27)은 고정볼트(25)에 의해 체결된다.
내주링(27)은 골이 파인 외주링(29) 내측에 삽입되며 외주링(29)의 골에는 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I자형 세그먼트형 고무슬리브(28)를 잡아주며 고정볼트(25)에 의해 체결되고 O-링(21)과 볼베어링(24)는 베어링블럭(23)에 내장된다.
배선관(32)의 파이프관은 모타(32)에 연결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철판갭 제어 장치를 작동하면, 라인 스피드가 플라잉쉐어 컷트 스피드인 30mpm으로 저속가동될 때, 에어실린더(34)의 작동로드(35)가 작동하여 베이스(48)을 민다. 워엄기어잭(37)의 상부의 베어링블록(40, 41)이 전진하고 이를 검출센서(44)가 검출함으로써 장치의 전진이 종료된다.
워엄기어잭의 두께제어를 위한 상승동작으로 모타(39)의 구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워엄기어잭(37, 37)을 구동시켜 베어링블록(41, 41)을 승강시킨다. 터치바(40)는 센서(42)와 센서(43) 사이의 거리만큼 작동된다. 센서(42)와 센서(43) 사이의 구간거리는 50mm이며, scc상의 철판 두께를 전송받아 워엄기어잭을 1mm단위로 상승시킨다.
이는 모타(39)에 부착된 피엘지(연산장치)가 모타(39)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철판두께별 작동이 이루어진다.
장치의 마그네트롤의 마그네트작용을 위해 마그네트봉(26)에 배선관(32)을 통하여 자력화시키면 내주링(27)을 자화시키고 외주링(29)를 자화시킨다.
이때, 자력은 세그먼트형 고무슬리브가 삽입된 부분은 철판의 지지기능을 하고 세그먼트형 고무슬리브(28)의 삽입된 사이로 마그네트의 자력이 철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마그네트장치의 구동력은 모타(33)에 의해 구동된다. 이 후, 플라잉 쉐어에서 철판 절단이 이루어지고 이가 종료되면 장치의 스몰 포지션 후진을 위한 동작으로 마그네트봉(26)의 자력이 차단되고 에어실린더(34)의 작동로드(35)가 당겨진다.
베이스(48)를 당기면 워엄기어잭(37) 상부의 베어링블록(40, 41)을 후진시키면 검출센서(44)에서 미검출되므로, 장치의 스몰 포지션 후진이 종료된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진행하는 도유된 철판의 작업성 하락, 안전재해, 스너버롤 압력조정 불량에 따른 철판 사행현상 및 철판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4)

  1. 도유기에서 도유된 후 진행하는 철판의 진행경로 상에서 핀치롤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철판에 의한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롤부와,
    상기 핀치롤에 대한 상기 롤부의 수직이동거리와 수평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이동거리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부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순차적으로 체결된 고정판과, 마그네트봉과, 내주링이 제공되고, 내주링의 외측에는 외주링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링에는 세그먼트형 고무슬리브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조정수단은 진행하는 철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롤부의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KR1020000084924A 2000-12-29 2000-12-29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KR20020055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924A KR20020055715A (ko) 2000-12-29 2000-12-29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924A KR20020055715A (ko) 2000-12-29 2000-12-29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715A true KR20020055715A (ko) 2002-07-10

Family

ID=2768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924A KR20020055715A (ko) 2000-12-29 2000-12-29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2832A (zh) * 2017-03-02 2017-05-17 温州任和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铁片条用卷扬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314A (ja) * 1982-11-05 1984-05-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材の蛇行防止装置
JPS59191510A (ja) * 1983-04-13 1984-10-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材の蛇行制御方法及び装置
JPS60148613A (ja) * 1984-01-10 1985-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蛇行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314A (ja) * 1982-11-05 1984-05-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材の蛇行防止装置
JPS59191510A (ja) * 1983-04-13 1984-10-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材の蛇行制御方法及び装置
JPS60148613A (ja) * 1984-01-10 1985-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蛇行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2832A (zh) * 2017-03-02 2017-05-17 温州任和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铁片条用卷扬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5715A (ko) 도유된 철판의 슬립방지장치
KR20170127824A (ko) 철판코일의 평판성형장치
CN106185160A (zh) 一种轮毂输送线
KR100719756B1 (ko) 매설물 표시용 라인마커 설치장치
KR102310787B1 (ko) 스트립 축방향 육성 용접 장치
KR100598427B1 (ko) 스트립 공급용 언코일러장치
KR100406416B1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KR200191513Y1 (ko) 전선 권취 장치
CN103866110B (zh) 用于加热炉入炉端的钢坯平托对齐系统
KR101078838B1 (ko) 리본와이어 제조설비의 리본와이어 권취장치
KR100905615B1 (ko) 전단기의 강판 스트립 유도장치
KR100797265B1 (ko) 밴딩 슬라브 터닝 유도 장치
KR100895080B1 (ko) 비자성체 날판 정렬장치
KR20200134797A (ko)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KR100961356B1 (ko) 자력을 이용한 슬라브 푸셔장치
KR20040057705A (ko) 열연소재 구동롤의 오일도포 및 소재의 롤끼임 해제장치
KR200175355Y1 (ko) 디스켈러 워크롤 교환 장치
KR100920635B1 (ko) 다단식 선재 핀치롤장치
KR200364875Y1 (ko) 스트립 공급용 언코일러장치
KR19980032300U (ko) 열간압연소재 안내장치
KR100328045B1 (ko) 선재제조설비의나선코일형선재이송테이블
CN108678463B (zh) 一种横移框的一机多板横移系统及控制方法
KR940007720Y1 (ko) 냉연 코일의 장력 조절 장치
RU73242U1 (ru) Подводящий рольганг толстолистового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CN109079040B (zh) 硅钢片缝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