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242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242A
KR20020055242A KR1020000084656A KR20000084656A KR20020055242A KR 20020055242 A KR20020055242 A KR 20020055242A KR 1020000084656 A KR1020000084656 A KR 1020000084656A KR 20000084656 A KR20000084656 A KR 20000084656A KR 20020055242 A KR20020055242 A KR 20020055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riable attenuator
repeater
receives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문재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8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242A/ko
Publication of KR2002005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7Bidirectional amplification
    • H04B10/2971A single amplifier for both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중계기에 설치된 듀플렉서, 대역 통과 필터, 및 디렉셔널 커플러를 하나의 트리플렉서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의하면, 중계기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중계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REPEA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중계기에 설치된 듀플렉서, 대역 통과 필터, 및 디렉셔널 커플러를 하나의 트리플렉서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통신 장비인 중계기나 소형 기지국의 원격 RF(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함.) 유닛 및 기지국 FEU(Front End Unit; 이하 FEU라 칭함.)등에는 듀플렉서, 대역 통과 필터, 및 디렉셔널 커플러 등이 개별 유닛(Unit)으로 각각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신호를 송수신하는 WDM(Wave Division Multiplex; 이하 WDM이라 칭함.)(11),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전기신호 변환기(12),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2)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한 후 30dB 감쇠시키는 제 1 디렉셔널 커플러(13), 상기 제 1 디렉셔널 커플러(1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의 이득(Gain)을 조정하는 제 1 가변 감쇠기(14), RF 신호를 일정 레벨로 먼저 증폭하는 프리 증폭기(Pre Amplifier)(15), 케리어(FA) 수에 관계없이 선형적으로 증폭하는 선형 전력 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16),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6)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출력하는 듀플렉서(17), 상기 듀플렉서(17)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일정 레벨 감쇠시켜 이득을 조정하는 제 2 가변 감쇠기(18),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18)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한 후 30dB 감쇠시키는 제 2 디렉셔널 커플러(19), 상기 제 2 디렉셔널 커플러(19)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20), 상기 저잡음 증폭기(2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WDM(11)으로 출력하는 제 1 광신호 변환기(21), 안테나(RX_1)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중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22), 상기 대역 통과 필터(22)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일정 레벨 감쇠시켜 이득을 조정하는 제 3 가변 감쇠기(23),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한 후 30dB 감쇠시키는 제 3 디렉셔널 커플러(24), 상기 제 3 디렉셔널 커플러(24)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도시에 그 RF 신호를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25),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25)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WDM(11)으로 출력하는 제 2 광신호 변환기(26)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는, 듀플렉서, 대역 통과 필터, 및 디렉셔널 커플러가 개별 유닛으로 각각 장착됨에 따라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중계기의 크기가 소형화되지 못하고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플렉서를 이용하여 중계기의 부품을 최소화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중계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는, WDM, 전기신호 변환기, 디렉셔널 커플러, 제 1 가변 감쇠기, 프리 증폭기, 선형 전력 증폭기, 제 2 가변 감쇠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제 1 광신호 변환기, 제 3 가변 감쇠기, 제 2 저잡음 증폭기, 및 제 2 광신호 변환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 제 2 가변 감쇠기, 및 제 3 가변 감쇠기에 접속되어,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로부터 선형적으로 일정 레벨 이상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안테나(Tx/Rx_0)를 통해 출력하는 반면에, 상기 안테나(Tx/Rx_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안테나(Rx_1)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중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이후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하여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로 출력하는 트리플렉서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WDN 102 : 전기신호 변환기
103 : 디렉셔널 커플러 104 : 제 1 가변 감쇠기
105 : 프리 증폭기 106 : 선형 전력 증폭기
107 : 제 2 가변 감쇠기 108 : 제 1 저잡음 증폭기
109 : 제 1 광신호 변환기 110 : 제 3 가변 감쇠기
111 : 제 2 저잡음 증폭기 112 : 제 2 광신호 변환기
113 : 트리플렉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는 WDM(101), 전기신호 변환기(102), 디렉셔널 커플러(103), 제 1 가변 감쇠기(104), 프리 증폭기(105), 선형 전력 증폭기(106), 제 2 가변 감쇠기(107), 제 1 저잡음 증폭기(108), 제 1 광신호 변환기(109), 제 3 가변 감쇠기(110), 제 2 저잡음 증폭기(111), 제 2 광신호 변환기(112), 및 트리플렉서(Triplexer)(1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WDM(101)은 주 장비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광 신호를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02)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제 1 광신호 변환기(109) 및 제 2 광신호 변환기(112)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광 신호를 상기 주 장비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02)는 상기 WDM(101)으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광 신호를 RF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렉셔널 커플러(10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렉셔널 커플러(103)는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02)로부터 RF 전기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전기 신호의 파워를 확인한 후 30dB 정도 감쇠시킨 후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는 상기 디렉셔널 커플러(10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운용자의 출력 레벨 요구에 따라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프리 증폭기(105)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의 가변 감쇠 범위는 최소 40dB 이상을 유지한다.
상기 프리 증폭기(105)는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시킨 후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06)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선형 전력 증폭기(106)는 상기 프리 증폭기(105)로부터 일정 레벨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케리어(Carrier)수에 관계없이 선형적으로 고출력 증폭시킨 후 상기 트리플렉서(11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107)는 상기 트리플렉서(11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운용자의 출력 레벨 요구에 따라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108)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108)는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107)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RF 신호의 저잡음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적정 레벨까지 증폭시킨 후 상기 제 1 광신호 변환기(109)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광신호 변환기(109)는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108)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WDM(101)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110)는 상기 트리플렉서(11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운용자의 출력 레벨 요구에 따라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1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111)는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11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RF 신호의 저잡음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적정 레벨까지 증폭시킨 후 상기 제 2 광신호 변환기(11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광신호 변환기(112)는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111)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WDM(101)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트리플렉서(113)는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06), 제 2 가변 감쇠기(107), 및 제 3 가변 감쇠기(110)에 접속되어,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06)로부터 선형적으로 고출력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안테나(Tx/Rx_0)를 통해 출력하는 반면에, 상기 안테나(Tx/Rx_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상기 안테나(Rx_1)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중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이후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하여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로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WDM(101)은 주 장비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광 신호를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0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02)는 상기 WDM(101)으로부터 입력받은 광 신호를 RF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렉셔널 커플러(103)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디렉셔널 커플러(103)는 상기 전기신호 변환기(102)로부터 입력받은 RF 전기 신호의 파워를 확인한 후 30dB 정도 감쇠시킨 후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로 출력한다.
그런후,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는 상기 디렉셔널 커플러(10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운용자의 출력 레벨 요구에 따라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프리 증폭기(10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프리 증폭기(105)는 상기 제 1 가변 감쇠기(104)로부터 입력받은 RF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시킨 후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06)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06)는 상기 프리 증폭기(105)로부터 일정 레벨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케리어(Carrier)수에 관계없이 선형적으로 고출력 증폭시킨 후 상기 트리플렉서(11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트리플렉서(113)는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106)로부터 선형적으로 고출력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안테나(Tx/Rx_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상기 트리플렉서(113)는 상기 안테나(Tx/Rx_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107)는 상기 트리플렉서(11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운용자의 출력 레벨 요구에 따라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108)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108)는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107)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의 저잡음 특성을 유지하면서 그 RF 신호를 적정 레벨까지 증폭시킨 후 상기 제 1 광신호 변환기(10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광신호 변환기(109)는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108)로부터 입력받은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WDM(101)으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WDM(101)은 상기 제 1 광신호 변환기(109)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광 신호를 상기 주 장비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트리플렉서(113)는 상기 안테나(Rx_1)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중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며, 이후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하여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1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110)는 상기 트리플렉서(113)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를 운용자의 출력 레벨 요구에 따라 일정 레벨로감쇠시킨 후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111)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111)는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11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의 저잡음 특성을 유지하면서 그 RF 신호를 적정 레벨까지 증폭시킨 후 상기 제 2 광신호 변환기(11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광신호 변환기(112)는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111)로부터 입력받은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WDM(101)으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WDM(101)은 상기 제 2 광신호 변환기(112)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광 신호를 상기 주 장비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의하면, 기존의 중계기에 설치된 듀플렉서, 대역 통과 필터, 및 디렉셔널 커플러를 하나의 트리플렉서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중계기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중계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WDM, 전기신호 변환기, 디렉셔널 커플러, 제 1 가변 감쇠기, 프리 증폭기, 선형 전력 증폭기, 제 2 가변 감쇠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제 1 광신호 변환기, 제 3 가변 감쇠기, 제 2 저잡음 증폭기, 및 제 2 광신호 변환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 제 2 가변 감쇠기, 및 제 3 가변 감쇠기에 접속되어, 상기 선형 전력 증폭기로부터 선형적으로 일정 레벨 이상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안테나(Tx/Rx_0)를 통해 출력하는 반면에, 상기 안테나(Tx/Rx_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2 가변 감쇠기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안테나(Rx_1)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RF 신호중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이후 그 RF 신호의 파워를 확인하여 그에 상응한 일정 레벨로 감쇠시킨 후 상기 제 3 가변 감쇠기로 출력하는 트리플렉서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KR1020000084656A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KR20020055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56A KR20020055242A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56A KR20020055242A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242A true KR20020055242A (ko) 2002-07-08

Family

ID=2768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656A KR20020055242A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2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895B1 (ko) 서큘레이터를 이용한 송/수신부 결합 시스템 및 그의송신신호 소거방법
US10374697B2 (en) Distributed duplexer configuration for blocking and linearity
EP24333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radio-frequency signals
KR20020063644A (ko) 중간주파수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20110024543A (ko) 타워 장착 부스터
WO2002071632A2 (en) Improved channel booster amplifier
KR100329262B1 (ko) 중계기에서 고주파 수동소자 상호변조 왜곡신호의 제거회로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KR20030026698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링크의수신신호의 간섭억제장치 및 방법
KR2002005524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KR100473992B1 (ko) 시분할 방식 중계기에 파워 스위치 모듈을 사용함으로써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의 중계기
KR100204266B1 (ko) 코드분할다원접속 디지탈 셀룰라 이동통신용 중계기
KR100537412B1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저출력 스위치를 이용한무선 송수신 스위칭 회로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KR20060088255A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의 rf 송수신기
JPH04306922A (ja) マイクロ波帯送受信共用無線装置
KR101911356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KR101041853B1 (ko) 송수신기
RU216339U1 (ru)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ия сигналов сотовой связи
KR20010046182A (ko) 인공 위성 시스템의 카 밴드 중계기용 시뮬레이터
KR20050012059A (ko) 기지국의 수신 감도 개선장치
KR200100971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JP2855989B2 (ja) 高周波信号増幅回路
KR100424623B1 (ko) 직접 변환 방식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수신 장치
KR2002004591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고조파 성분 억제를 위한 송신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