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920A -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및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920A
KR20020052920A KR1020010010953A KR20010010953A KR20020052920A KR 20020052920 A KR20020052920 A KR 20020052920A KR 1020010010953 A KR1020010010953 A KR 1020010010953A KR 20010010953 A KR20010010953 A KR 20010010953A KR 20020052920 A KR20020052920 A KR 2002005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list
stock
profit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809B1 (ko
Inventor
양용철
Original Assignee
양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용철 filed Critical 양용철
Priority to PCT/KR2001/0022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2057991A1/en
Priority to US10/451,946 priority patent/US20040078287A1/en
Publication of KR2002005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이버 증권거래 사용시 각 사용자가 주가손익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 종목의 종목명(코드)을 선택(입력)하면 메인 서버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 및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에 따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그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의 계산기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간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휴대단말기(PDA) 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전용 에뮬레이터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증권회사와 연결된 후 각 사용자가 여러 가지 메뉴 중 주가손익 계산기를 선택하면 계산기 윈도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며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명(코드)를 선택(입력)한 후 계산실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며,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에 따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 결과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계산기 윈도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선택하면 부가기능을 실행시키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의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각 사용자의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주식 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입력되면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를 이용하여 주가리스트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과 주가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비교하여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며,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목명만 선택하면 당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주가리스트 및 모든 가격대별로 매도하였을 경우의 각종 손익결과를 표 형태로 나타내므로 별도의 계산기를 사용하여 복잡하게 계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속, 정확, 다양한 손익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Stock Price and Profit List Calculator in Cyber Stock Trading System}
배경 및 목적 - 본 발명은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버 증권거래 사용시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명(코드)를 선택(입력)하면 메인 서버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를 이용 주가리스트를 산출하고,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과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비교하여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그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의 계산기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주식 등을 매매할 수 있는 사이버 증권거래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주식을 사고 파는 시간이 단축되고 하루에도 수 십번 사고 파는 데이트레이딩이 확산되고 있다. 한편 사이버 트레이딩이 증가하고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도 발전하여 온라인 증권사수 및 온라인 거래 비중이 세계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무선 인터넷, 개인전용단말기(PDA) 등을 이용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주식매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투자자가 특정주식을 1회 매매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단계의 계산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도 적지 않다. 또한 매매횟수가 증가하면 계산횟수가 크게 증가되어 주식매매 중 계산을 위해 소비해야 하는 노력과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투자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전통적인 계산과정이 지니는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계산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불편함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다수의 국민이 주식에 투자하고 있으므로 매일 매일 수행해야 하는 주가계산 및 매매손익 계산 업무는 이제 필수적으로 소비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으로서 인정해야 하는 현실이다.
대부분의 직장인이 주가계산에 소비하는 시간과 정신적 에너지를 업무로 전환시키거나 데이트레이더가 주가계산 대신 보다 정확한 상황파악과 의사결정을 한다면 개인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투자자들이 계산에 소비하는 모든 시간과 노력을 합산하여 경제적 비용으로 환산한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산출될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국내 증권사 사이버 증권거래 프로그램들은 하루가 다르게 급속하게 발전하여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권사들은 보다 편리한 계산기를 개발하고 있지 않거나 그러한 아이디어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것 같다. 즉 계산기 프로그램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은 크지 않은 반면 효과는 매우 크고 투자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계산기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아이디어 자체가 없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은 투자자들이 매일 수 십만번 수행해야 하는 주가계산 및 추정손익 산출과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투자자는 단지 종목선택만 하면 모든 주가 및 손익 계산 결과를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으며 매매의 판단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이익을 최대한 확대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자자를 계산 업무로부터 해방시켜 계산에 소비하는 시간과 노력을 다른 용도로 대체할 수 있게 하므로써 사회적/경제적 이익효과를 발생시켜 국가경제에 이바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식매매와 주가 및 손익계산 현황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주가 및 손익에 대하여 첨부된 자료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주식시장에서 사이버(온라인) 증권거래의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000년 기준으로 연간 주식거래 규모는 3,500조원이며 이중 온라인 거래는 1,939조원으로 전체의 55.9%(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주식을 당일에 사서 당일에 파는 데이트레이딩 비중이 45.2%를 차지하는데 주가 하락일에도 비슷한 거래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온라인 계좌수는 384만개(세계 1위)이며, 년간 주문회수는 온라인 계좌당 154회로 년 5억건 이상이 온라인으로 매매 체결되었다.
도 19는 주식 투자자가 주식매매시 수행해야 하는 주가 및 손익계산 회수와 그에 따라 소요된 경제적 비용을 추정한 것이다. 증권업협회에서 발표(2001. 1. 19)한 바에 따르면, 2000년 주식시장이 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증권거래(온라인)의 경우, 2000년 기준 연간 온라인 주식거래 규모는 약 1,939조원이며 1회 평균매매금액은 386만원으로 년간 총 매매건수는 5억건을 넘는다. 또한 오프라인상의 총 매매건수는 약 2억 5500만건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합한년간 매매체결건수는 7억 5천만건을 초과하는 것으로 산출된다. 실제로 매매 체결된 상기 7억 5천만건의 주가 및 손익계산에 투자자가 소비한 시간을 경제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년간 약 1,400억원∼2,300억원이 된다.
그 이외에 실제로 매매가 체결된 7억건 외에 모든 주문이 체결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문은 넣었으나 체결된 안된 미체결 주문과 매매정정주문 비용, 계좌잔고상의 손익조회에 소비된 시간적 비용도 년간 800억원∼1,100억원으로 산출된다. 여기서 사전동작시간 및 기타 부대비용은 제외하였다. 결과적으로 주가 및 손익계산에 소비된 년간 총 비용은 최소 2,200억원에서 최대 3,400억원 규모로 추정되며 향후 10년간의 비용은 3조원∼5조원 규모로 산출된다.
도 20은 주가의 가격대별 호가증감 단위와 가격대별 주가의 개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가가 속해있는 가격대에 따라 주가가 증감하는 단위가 다르므로 가격대별로 가격변동범위(상한∼하한)내의 주가의 개수도 다르다. 일반적으로 주가의 개수는 75개∼260개 범위이다. 2001년 하반기에 현재 호가단위를 변경하여 0.1%단위로 조정(상한 30%÷0.1%=300개) 한다고 하므로 평균적인 주가의 개수는 약 250개 내외가 될 전망이다.
도 21은 주가와 손익항목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가, 등락율, 등락폭을 포함하는 주가리스트는 기준가만 있으면 산출할 수 있으며, 손익항목은 근본적으로 매수한 가격과 현재가와의 차이에 의해 결정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주가 및 손익을 계산에 필요한 항목은 단 3가지로써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이다.
도 22는 특정종목의 당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주가리스트와 손익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001년 2월 6일 LG투자증권을 대하여 기준가 10,400원을 기준으로 상한∼하한범위 내의 모든 주가리스트와 함께, 투자자가 그 전에 1,350주를 11,650원에 매수한 경우에서의 가격대별 모든 손익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주가리스트를 살펴보면 주가관련 항목은 단지 3가지만 존재하는데 현재가, 전일대비 등락율 및 등락폭이다. 현재가리스트를 보면 1만원이상의 가격대는 비교적 호가단위가 커 주가의 개수가 가장 적은데, 현재가의 개수는 총 155개이며 상한가 11,950에서 하한가 8,850원 사이의 현재가를 리스트 형태로 제 2칼럼에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제 2칼럼의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1번부터 155번)와 기준가를 비교하여 전일대비 등락율과 등락폭을 각각 제1, 3칼럼에 나타내며 주가리스트내의 총 데이터수는 465개이다. 그 다음은 투자가가 가장 관심있는 얼마를 벌었나 잃었나를 나타내는 손익으로서 전체 손익항목은 10개로 구성된다. 모든 손익은 근본적으로 자신이 매수한 가격과 현재가와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여러 손익항목은 그 차이를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13개의 항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가 리스트와 총손익리스트이며 나머지는 보조 지표에 해당한다. 손익리스트내의 총 데이터수는 1,395개이며 전체 데이터 수는 2,015개이다. 만약 주가의 개수가 300개 정도인 종목의 주가 및 손익의 데이터는 총 3,900개로 늘어나며 총 A4용지로 4페이지 분량으로 도 22의 2배가 된다. 상기 모든 데이터(Cell)를 수작업으로 산출한다면 총 33∼54시간이 소요(3900cell÷30초 내지 50초=1950분∼3250분≒33∼54시간) 된다.
도 23은 주식시장에 실제로 존재하는 주식종목의 개수와 함께 종목당 가격의 개수를 고려할 때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 표시(제공)하는 주가 및 손익정보의 범위한계를 분석한 것이다. 2001. 2. 9일 현재 총 주식종목의 수는 1,473종목이며, 종목당 주가의 개수는 상기 도 20에서 살펴본 바에 따라 평균값 이하인 종목당 230개를 적용하면, 특정일에 존재하는 주식시장의 총 주가의 개수는 약 34만개이다.
한편 특정종목이 지니는 주가 및 손익항목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가 3개 항목과 손익 10개 항목이이므로 특정시점에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주가 및 손익의 개수는 총 370만개 정도이다. 결론적으로 주식종목의 수는 1500정도이고 종목당 230개의 가격을 지니므로 총 주가의 개수는 34만개이고, 34만개의 가격당 12개의 주가 및 손익항목이 추가로 덧붙게 되므로 총 370만개의 주가 및 손익의 개수가 존재하는 셈이 된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바에 따라 370만개의 데이터가 실제로 존재하는데 반해 국내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는 몇 개 정도의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3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1년 1월 기준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가 및 손익의 개수는 모두 16,000∼32,500개로서 전체 370만개의 데이터의 0.87%이내만을 나타내고 있다. 경이로운 사실은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주가 및 손익 367만여개(전체의 99.0% 이상)의 데이터를 투자가가 개인적으로 수작업으로 산출하고 있다는 현실이다.
이러한 수많은 불편한 수작업 계산의 문제점을 투자자나 증권사가 인식하지 못하고 관행적으로 수작업 계산을 되풀이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한 개인이 370만개의 데이터를 산출한다고 가정하면 3년 6개월∼6년이 소요된다.(370만개÷30초=3년 6개월)
도 24는 주식매매시 일반 투자자가 수행해야 하는 주가 또는 손익계산의 전형적인 계산예를 나타낸 것이다. 주가 및 손익항목은 총 13개이며 각각의 개별항목에 대한 계산도 하지만 주식매매에서는 사고 팔기 때문에 여러개의 항목이 얽힌 복합계산을 요하는 경우가 더 많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계산도 일부 있겠으나 대부분 암산으로는 계산이 쉽지 않다. 또한 상기 예는 특정 현재가를 대상으로 한 세포(Cell) 단위의 한가지 경우만을 예로 하고 있으나, 일반투자자가 현재가를 순서대로 바꾸어 가면서 전체 데이터(유기체, Table 형태)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몇 번만 해도 시간이 너무 소요되고 골치가 아프기 때문이며, 근무중의 직장인 또는 나이드신분들이 지속적으로 계산을 반복할 수는 더더욱 없기 때문에 보통 약산이나 암산으로 하는데 오차가 많아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데이트레이딩에서 수수료 계산은 매우 중요한데 수수료 계산이 쉽지가 않으며, 그에 따라 수수료를 제한 손익분기점을 파악하기도 힘들다. (주가계산의 상세한 예는 특허출원 접수번호 1-1-2000-539605628, 20001.12.16, 인터넷을 이용한 주식계산기(7쪽∼13쪽)를 참조 바랍니다.)
도 25는 대우증권의 수수료율 및 정부세금율을 나타낸 것이다. 수수료체계는복잡하고 매수와 매도에 대해 각각계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은 수수료체계를 잘 알지 못하며 알더라도 수수료를 계산하는 과정은 쉽지가 않다.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계산의 범위 및 문제점 -상기에서 살펴본 바대로, 1일에 발생하는 주가 및 손익은 약 370만개이며, 투자자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370만개의 데이터(Cell)를 대상으로 계산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현재 많은 국민이 경제활동시간(근무시간)에 주가, 손익계산을 위해 정신적 에너지와 시간을 소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사회경제적 비용손실도 년간 수 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산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고수준을 자랑하는 국내 사이비 트레이딩 시스템에서는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 사이버 트레이딩에서 제공하는 주가 및 손익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가를 제공하는 화면 -도 26는 동시호가시의 LG투자증권의 현재가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증권사의 현재가 화면도 거의 동일하다. 현재가 화면에는 손익은 없고 단지 주가에 관한 사항만 있는데 먼저 현재가 창(26-1)를 보면, 현재가는 9,650원으로 전일종가이며, 그 이외에 상한가, 하한가가 있다. 현재 장시작전이므로 등락율과 등락폭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이버 증권거래 현재가화면에서 결과적으로 제공하는 주가 데이터는 총 5개이다. 그러나 실제로 존재하는 현재가는 상한 11,050원부터 하한 8,210까지 201개이며 등락율과 등락폭을 포함하면 총 603개가 된다.
한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 어디에서도 주가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기 않기때문에 투자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가격 또는 등락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기 위해 계산기를 두드려야 하며, 또 맞지 않을 경우 여러번의 다른 가격대를 찾아다니게 된다. 현재 기준가가 9,650원인 상태에서 -8.00%∼-9.00% 부근의 가격을 산출하고 계좌잔고 1,300만원으로 몇 주를 살수 있는지를 계산하는 매수 프로세스, 또는 +5.00%∼+6.00% 정도에 매도하려면 해당 주가를 계산해야 하고 매도가 이루어진 경우, 남는 이익이 얼마인지를 추정하는 매도 프로세스에는 수 십번의 자판입력과 수십초 또는 1분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딱 한번에 계산이 끝나는 것이 아니고 개장직전(08시 59분)에 들어오는 매도매수주문수량의 비율을 보고 상승 또는 하락정도를 추정하여 개장직전에 다시 가격을 산출하여 정정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중요한 시간에 주가계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이버 트레이딩이 안고 있는 문제는 호가단위가 복잡하게 적용되고 많게는 900∼3,900여개의 데이터가 실제로 필요하지만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 일부 제한적으로 만 제공하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자신이 스스로 계산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에 따라 주가를 잘 계산하는 투자자도 있겠으나, 많은 투자자는 호가단위체계를 잘 이해하지 못할 뿐더러, 실수, 오차, 개략계산, 약산 등으로 계산함에 따라 원치 않는 손실, 이익의 최소화, 불안한 상태에서 주문을 넣고 있다는 문제도 포함하고 있다.
도 27은 개장중의 대한유화의 현재가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현재가 화면에는 호가공개 범위(27-1)내의 10개의 현재가와 매매체결가 8,480원에 대한 등락율과등락폭만을 포함한 총 12개의 주가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존재하는 대한유화의 현재가는 상한 9,990원부터 하한 7,390원 까지 251개이며, 등락율과 등락폭을 포함하면 총 753개가 된다. 나머지 또는 호가공개범위를 벗어난 가격은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 어디에서도 알 수 없으므로 투자자가 개인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손익결과를 제공하는 화면 -도 28은 계좌잔고 조회화면이며 손익을 조회할 수 있는 유일한 화면이기도 하다. 계좌잔고 화면에는 10개의 손익항목 중 단지 총손익과 수익률에 대한 2개의 데이터를 나타(28-1)내고 있으며, 나머지 8개의 손익항목은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총손익과 수익률은 현재가 화면상의 매매체결 현재가에 매도하였을 경우의 손익결과이며, 다른 가격대에서의 손익은 제공하지 않는다. 즉, 260여개의 현재가 중 단지 1개의 현재가를 대상으로 한 최소한의 손익을 제공한다. 따라서 매매체결 현재가가 아닌 다른 가격에서의 손익은 알수 가 없다. 그러나 실제로 존재하는 당일의 손익은 2,600개(260개의 현재가×10개 손익항목)이며 나머지 손익은 사이버 트레이딩 어디에서도 제공하지 않으므로 투자자가 개인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대로,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는 특정종목에 대하여 단지 몇 개의 주가 및 손익만을 제공하므로 투자자는 개인적으로 계산을 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에는 계산기에 대한 기존의 기술을 도 29 내지 도 29-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9는 특허검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허검색에서는 다음의 검색엔진상에서 stock calculator 또는 quote calculator라는 검색어로서 검색한 결과 기존출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한 검색엔진은 IBM 특허 DB(제목), 유럽특허청(EPO)의 특허 DB(제목), PCT 특허(IBM의 제목+초록, EPO의 제목), 대한민국 특허정보(검색어 : 주식용 계산기, 주가계산기, stock calculator)이다.
도 29-1은 국내 5대 증권사의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내의 계산기를 조사한 결과이다. 2000년 5대 증권사의 사이버거래는 1천 200조원(전체 사이버거래의 62.0%)을 넘어썼다. 회사별 사이버 거래금액은 대신증권이 500조원(25.8%), 삼성이 202조원(10.4%), LG 193조원(10%), 대우 168조원(8.7%), 현대증권이 140조원(7.2%)이다. 한편 전체 사이버거래의 25%이상을 차지하는 대신증권은 홍콩에서 아시아 베스트 온라인 증권사로 선정되었다.(연합통신 2001-02-22)
이들 5대 증권사의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계산기의 화면을 살펴보면, 먼저 대신증권과 LG증권은 자체 개발한 계산기없이 원도우즈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사칙연산 계산기를 링크하여 사용하고 있다. 삼성과 대우는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이며 한가지 가격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키보드로 숫자를 입력하여 매매규모를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현대의 경우는 매수수량 정도만을 자동으로 산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나머지 기타 증권사들은 아예 계산기가 없거나 대신증권처럼 윈도우 계산기를 사용하고 있다.
도 29-2는 미국 상위 증권사의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미국 온라인 거래 1위인 찰스 슈왑을 비롯하여 어느 증권사에서도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제공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9-3은 일본 사이버 트레이딩의 증권사의 현황 및 계산기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일본은 온라인 비중이 2%도 안되지만, 최근 온라인 증권사가 증가하고 있다. 업계 1위인 노무라(野村) 증권을 포함한 일본 전체 54개의 온라인 트레이딩 시스템 중 손익을 계산하는 계산기를 제공하는 증권사는 국제증권과 H.I.S협력증권 2개뿐으로 조사되었다. 도 29-4의 계산기 예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직접 키보드 입력으로 한가지 경우의 가격에 대해 손익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9-5는 인터넷상에서 찾을 수 있는 계산기의 예이다. 야후에서 stock calculator로서 검색하면 다수의 web page가 나오며 각각을 조사하면 도 29-5와 같은 종류의 샘플들이 있다. 각국의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직접 한가지 경우의 가격을 입력하고 매매손익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여러 가지 계산기를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점 또는 한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키보드로 숫자를 입력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오류의 위험성이 있다. 수많은 주가 손익 데이터를 대상으로 오직 한가지 경우에 대해서만 계산이 가능하며 다수의 계산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접속시간이 계산시간만큼 소요된다. 결과적으로 현재 기준으로는 국내외 온라인 증권사 및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주식관련 계산기는 일반 전자계산기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하는 방식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자가 기 출원한 특허 또는 개발 완료한 전산프로그램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1. 특허출원 : 접수번호 1-1-2000-5396056-08, 2000. 12. 26 인터넷을 이용한 주식, 주가지수 선물, 옵션계산기 2. 프로그램 심의조정위원회에 주가손익 계산기 프로그램 등록 3건 ①등록 번호 : 2000-01-15-5258 양용철 2000/08/02, ②등록번호 2000-01-15-6206 양용철 2000/09/26, ③ 등록번호 2001-01-15-245 양용철 2001/01/19 (※참고로 아이디어 착상은 2000년 초이나 특허에 무지하여 프로그래밍을 독학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시간을 소비함)
상기 기 출원한 특허와 본 특허출원과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기 출원에서는 주가리스트상의 특정값(줄)을 더블 클릭하면 매도가로 입력되고 그에 따라 모든 손익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종합계산창에 표시하였으나, 본 출원에서는 모든 손익을 사전에 연산하여 각 칼럼에 나타내는 방식이다. 따라서 내용은 동일하나 표현방식이 다소 다른점만 있으며 부가기능은 상호 동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이버 증권거래를 하는 각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수작업으로 계산하지 않고 단지 종목선택만으로 모든 주가 및 손익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하고자 한다.
즉,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명(코드)를 선택(입력)만 하면 각 증권회사의 메인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에 따라 모든 가격대에서의 3개 항목에 대한 주가리스트와 함께 10개 항목의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최대 3,900에 달하는 그 결과값들을 해당 클라이언트 PC의 계산기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하므로 투자가가 아무런 계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손익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내지 도 9는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산기 윈도우의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산기 윈도우상의 부가기능의 상세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커창의 일 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프 윈도우의 일 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계산창의 일 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계산 윈도우의 일 예,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락율 기준으로 산출 윈도우의 일 예,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기 윈도우의 일 예,
도 18은 온라인(사이버) 증권거래 현황,
도 19는 거래회수 및 소요비용 추정,
도 20은 가격대별 호가단위 및 주가의 개수,
도 21은 주가와 손익항목의 상관관계,
도 22는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일 예,
도 23은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가&손익정보의 한계,
도 24는 주가 또는 손익계산의 전형적인 계산 예,
도 25는 수수료율 및 세금율 예,
도 26은 동시호가시의 현재가 화면의 예,
도 27은 개장중의 현재가 화면의 예,
도 28은 잔고조회 화면의 예,
도 29 내지 도 29-5는 기존의 기술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클라이언트 PC 20 : 네트워크 통신망
30 : 메인 서버 31 : 데이터 입력부
32 : 메인 제어부 33 : 데이터베이스부
34 : 통신 제어부
100 : 계산기 윈도우
a : 주가리스트 데이터 디스플레이창 a1 : 등락율 리스트
a2 : 현재가 리스트 a3 : 등락폭 리스트
b : 손익리스트 데이터 디스플레이창 b1 : 수익률 리스트
b2 : 손익폭 리스트 b3 : 총손익 리스트
b4 : 수수료 리스트 b5 : 순손익 리스트
b6 : 총손익율 리스트 b7 : 수수료율 리스트
b8 : 순손익율 리스트 b9 : 총매도금액 리스트
b10 : 총매도율 리스트
c : 부가기능 창 c1 : 종목명(코드) 데이터 입력창
c2 : 주가손익 계산실시 버튼 c3 : 종목정보 디스플레이창
c4 : 매수정보 디스플레이창 c5 : 자동계산 버튼
c6 : 수동계산 버튼 c7 : 현재가 기준으로 산출 버튼
c8 : 등락율 기준으로 산출 버튼 c9 : 등락율 증감단위 선택 버튼
c10 : 티커창 실행버튼 c11 : 그래프 윈도우 실행 버튼
c12 : 종합계산창 실행버튼 c13 : 정렬 버튼
c14 : 찾기·이동버튼
110 : 티커창 120: 그래프 윈도우
130 : 종합계산창
200 : 수동계산 윈도우 300 : 등락율 기준으로 산출 원도우
400 :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기 윈도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는, 불특정 다수간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휴대단말기(PDA) 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전용 에뮬레이터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증권회사와 연결된 후, 각 사용자가 여러 가지 메뉴 중 주가손익 계산기 기능을 선택하면 계산기 윈도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며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 종목의 종목명(코드)를 입력한 후 계산실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며,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와 기준가에 따른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결과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계산기 윈도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주가 및 손익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계산기 윈도우상에서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선택하면 부가기능을 실행시키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의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각 사용자의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주식 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입력되면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를 이용하여 주가리스트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과 주가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비교하여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며,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술한 메인 서버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사이버 증권거래와 관련된 운영프로그램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프로그램이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와;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각 사용자들의 사이버 증권거래를 제어하고,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사용자에 의한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해당 주식 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한 후 연산결과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를 사용하여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하는 각 사용자의 신상정보, 증권계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사이버 증권거래 데이터,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를 입력받아 메인 제어부로 출력하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사용자별 증권계좌 데이터와 연산된주가 및 손익리스트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은, 전용 에뮬레이터의 실행 또는 웹 페이지의 접속을 통해 메인 서버로 접속을 진행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 의한 주가손익 계산기 기능을 선택에 따라 계산기 윈도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주가 및 손익을 확인하기 위해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를 메인 서버로 출력하는 과정과; 메인 서버에서 각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와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에 따라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는 과정과; 메인 서버로부터 연산 결과를 입력받아 계산기 윈도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계산기 윈도우상에서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선택하면 부가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는 네트워크 통신망(20)을 통해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휴대단말기(PDA) 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전용 에뮬레이터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후술되는 메인 서버(30)에 연결된 후 각 사용자가 여러 가지 메뉴 중 계산기 기능을 선택하면 계산기 윈도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명(코드)를 선택(입력)한 후 계산실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20)을 통해 메인 서버(30)로 출력하며,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와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에 따른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결과를 메인 서버(30)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계산기 윈도우에 디스플레이한다.
네트워크 통신망(20)은 상술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와 후술되는 각 증권회사의 메인 서버(3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종목코드와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 연산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망(20)은 메인 서버(30)와 증권거래소 전산 시스템(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상호 연결하여 실시간 증권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메인 서버(3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의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사용자의 계산실시 키신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종목잔고와 기준가에 따라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며,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PC(10(1),··,10(N))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술한 메인 서버(3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기업의 주식 매매 데이터에 따라 증권거래소 전산 시스템과 연결하여 해당 주식의 매매를 체결한 후 보유한 주식관련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도 2는 상술한 도 1의 메인 서버(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31)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후술되는 메인 제어부(32)에서 사용하는 사이버 증권거래와 관련된 운영프로그램과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프로그램이 입력된다.
메인 제어부(32)는 데이터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 사용자들의 사이버 증권거래를 제어하고,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 사용자들의 증권계좌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증권계좌 요구데이터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보유종목의 종류, 보유수량, 매수가격을 포함한 증권계좌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며, 각 사용자의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한 후 연산결과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33)는 메인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를 사용하여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하는 각 사용자의 신상정보, 증권 계좌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제어부(34)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로부터 사이버증권거래 데이터,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 해당 주식 종목의 종목명(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인 제어부(32)로 출력하며, 메인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주가 및 손익리스트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2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PC(10(1),··,10(N))로 출력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4)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10(1),··,10(N)) 사용자들로부터 사이버 증권거래 데이터를 입력받는 메인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증권거래소 전산 시스템과 연결하여 주식매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기 위해 메인 서버(30)에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은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와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보유종목의 매수수량, 매수가격에 따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상술한 연산프로그램은 해당 종목의 기준가를 기준으로 주가변동범위(상한∼하한)내에서 호가단위를 적용한 모든 현재가를 산출하는 현재가 리스트;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가 기준가(전일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오르고 내렸는지를 의미하는 등락율(((현재가 ÷기준가)-1) ×100))을 산출하는 등락율리스트; 각각의 현재가가 기준가(전일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가격 차이가 있는지를 의미하는 등락폭(현재가 - 기준가) 리스트;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와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가격의 차이를 의미하는 각각의 현재가별 손익폭(현재가-매수가)리스트; 각각의 현재가가 매수가격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오르고 내렸는지를 의미하는 각각의 현재가별 수익률(((현재가 ÷매수가)-1) ×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에 매도하였을 경우, 남는 금액을 의미하는 총매도금액(현재가 ×수량) 리스트;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과 매수가격을 곱하여 총매수금액 산출;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율((총매도금액÷총매수금액)×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에서 총매수금액을 마이너스하는 총손익(주당 손익폭 ×수량, 또는 (현재가 - 매수가) ×수량))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총손익율(((주당 손익폭 ×수량) ÷총매수금액))×100, 또는 ((((현재가-매수가)×수량)÷(매수가 ×수량))×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에 매도하였을 경우, 증권사에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 및 세금(농어촌특별소비세, 거래세)을 산출한 수수료((총매수금액 ×수수료율)+(총매도금액 ×(수수료율+세금율)))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수수료·세금이 총매수한 금액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인지를 의미하는 수수료율((수수료 ÷총매수금액)×100, 또는 ((수수료 ÷평균매매금액)×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에서 수수료·세금를 제하고 증권계좌에서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산출하는 순손익(총손익 - 수수료) 리스트; 및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율((순손익÷총매수금액) ×100) 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그 이외에 주가 및 손익산출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다르게 프로그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각 클라이언트 PC(10(1),··,10(N))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계산기 윈도우(100)는, 각 사용자에 의해 종목명(코드)가 선택 또는 입력되는 종목명(코드) 데이터 입력창(c1), 각 사용자에 의해 종목명(코드)가 선택 또는 입력된 후 주가 및 손익계산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되는 주가손익 계산실시 버튼(c2), 각 사용자의 상기 종목명(코드) 선택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상에서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연산된 해당종목의 현재가 리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열하는 현재가 리스트(a2),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기준가로 나눈 결과인 등락율 리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열하는 등락율 리스트(a1),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에서 기준가를 마이너스 한 결과인 등락폭 리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열하는 등락폭 리스트(a3),
상기 메인 서버상에서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 매수가격과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비교하여 연산된 데이터를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수익율(b1), 손익폭(b2), 총손익(b3), 수수료(b4), 순손익(b5), 총손익율(b6), 수수료율(b7), 손손익율(b8), 총매도금액(b9), 총매도율 리스트(b10),
각 사용자에 의한 종목명(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종목의 종목번호, 종목명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종목정보 디스플레이창(c3),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주식 종목의 매수수량, 매수가격, 총매수금액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매수정보 디스플레이창(c4), 해당 주식종목의 금일 기준가 및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가 및 손익을 연산하도록 하는 자동계산 버튼(c5),
사용자가 가상의 주가 및 손익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가 및 손익을 연산하도록 하는 수동계산 버튼(c6), 주가리스트 산출시 기준가를 기준으로 주가변동범위(상한율∼하한율)내에서 호가단위를 적용한 현재가리스트를 먼저 산출하고 그 다음으로 등락율과 등락폭을 연산하도록 하는 현재가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 버튼(c7), 주가리스트 산출시 주가변동범위(상한∼하한)내에서 등락율을 순서대로 먼저 산출하고 그 그 다음으로 현재가와 등락폭을 연산하도록 하는 등락율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 버튼(c8), 상기 등락율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시 등락율 증감단위를 설정하는 등락율 증감단위 선택 버튼(c9),
사용자가 선택한 주가리스트 또는 손익리스트상의 특정줄(Row)을 기준으로 상승 5개, 하락 5개 범위의 줄(Row)에 있는 주가리스트, 손익리스트상의 데이터와함께 수량, 총매수금액, 총매도금액 데이터를 조금마한 티커창으로 생성시키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티커창 실행 버튼(c10), 주가리스트상의 한 항목을 X축 데이터로 하고, 손익리스트상의 한 항목 또는 한 항목 이상을 Y축 데이터로 하여 그 상관관계를 연산하여 그래프 윈도우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그래프 윈도우 실행버튼(c11),
주가 및 손익리스트 상의 특정줄(Row, 현재가(N))내의 주가 및 손익데이터가 한 줄로 길게 좌우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표 형태로 집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종합계산창 실행 버튼(c12),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상의 데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시키는 정렬 버튼(c13),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상의 많은 데이터를 찾거나 해당 데이터로 화면과 커서를 이동시키는 찾기·이동 버튼(c14)으로 구성되어 있다.(첨부 도면 10, 11 참조)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의 작용을 도3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의 동작과정(Process)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산기 윈도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클라이언트 PC(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온라인 상으로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주식종목의 주가리스트 또는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알고자 할 경우에는 각 증권회사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휴대단말기(PAD)를 설치하여야 하며, 그 이외에 인터넷 등에 개설된 각 증권회사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처럼 각 사용자가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PC(10)에 설치된 전용 에뮬레이터 또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면, 클라이언트 PC(10)는 네트워크 통신망(20)을 통해 각 증권회사의 메인 서버(30)로 접속을 진행한다(S11). 즉, 사이버 증권거래를 사용하기 위한 각 사용자에 의해 클라이언트 PC(10)에 구비된 전용 에뮬레이터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면 설정된 통신환경에 따라 메인 서버(30)로 각 사용자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고(S1), 메인 서버(30)와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면 클라이언트 PC(10)는 메인 서버(3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2).
그리고, 클라이언트 PC(10)는 메인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화면을 통해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로그인 데이터를 메인 서버(30)로 출력하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의 로그인 데이터에 따른 메인 서버(30)의 정식 사용자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메인 서버(30)로의 접속을 진행한다(S13).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PC(10)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들의 메인 서버(30)로의 접속이 이루어진 후, 클라이언트 PC(10)는 각 사용자가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가격대의 주가를 찾고자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매수한 주식을 매도하기 위해 가격대별 손익을 알아보기 위해 계산기 메뉴를 선택하는 지를판단하고(S21), 사용자가 계산기 메뉴를 선택하면 메인 화면상에 계산기 윈도우(100)를 디스플레이한다(S22).
여기서, 클라이언트 PC(10)는 각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주식 종목의 주가리스트 또는 손익리스트를 알기 위해 계산기 윈도우(100) 상의 종목코드 데이터 입력창(c1)에 해당 주식 종목의 종목명 선택 또는 코드를 입력(S23) 한 후, 주가 및 손익 계산실시 버튼(c2)을 선택하는 지를 판단한다(S24).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주가 및 손익 계산실시 버튼(c2)이 선택되면, 클라이언트 PC(10)는 각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주식 종목의 종목코드와 해당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메인 서버(30)로 출력한다(S25).
이제, 메인 서버(30)에서는 사용자의 계산실시 버튼(c2)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함께 종목코드 데이터 입력창(c1)에 입력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PC(10)로부터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31), 계산실시 키신호와 종목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전일종가)를 파악하고(s32), 기준가를 기준으로 주가변동범위(상한∼하한)내에서 호가단위를 적용한 당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현재가를 크기 순서대로 자동으로 연산하여 현재가 리스트(a2)를 산출한다(S33).
그 다음으로 상기 단계(S33)에서 산출한 현재가 리스트(a2상의 각각의 현재가(a2(1),··,a2(N))가 기준가(전일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오르고 내렸는지를 연산하여 등락율(((현재가÷기준가)-1)×100)) 리스트(a1)를 연산하며(S34), 또한 현재가 리스트(a2)상의 각각의 현재가(a2(1),··,a2(N))가 기준가에 비해 어느 정도 가격 차이가 있는지를 연산하여 등락폭(현재가 - 기준가) 리스트(a3)를 산출(S35)하므로써 주가리스트(a)의 연산을 종료한다..
그리고, 메인 서버(30)에서는 사용자의 계산실시 기능 버튼(c2)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증권 계좌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종목과 해당 주식종목을 비교하여 해당 주식종목의 잔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36).
상기단계(S36) 판단결과, 해당 주식종목의 잔고가 있는 경우, 현재가 리스트(a2)상의 각각의 현재가(a2(1),··,a2(N))에서 매수가격을 마이너스하여 각각의 현재가별 손익폭(현재가-매수가) 리스트를 연산하고(S37), 단, 상기단계(S36) 판단결과, 해당 주식종목의 잔고가 없는 경우에는, 손익리스트 연산을 시행하지 않고 연산을 모두 종료한다.
현재가 리스트(a2)상의 각각의 현재가(a2(1),··,a2(N))를 매수가격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재가별 손익폭(((현재가÷매수가)-1)×100)) 리스트(b2)를 연산하고(S38),각각의 현재가와 주식수량을 곱하여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현재가 ×수량) 리스트(b9)를 연산하고(S39),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과 매수가격을 곱하여 총매수금액을 연산하고(S40), 상기 단계(S39)에서 산출한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을 상기 단계(S40)에서 산출한 총매수금액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율((총매도금액÷총매수금액)×100) 리스트(b10)를 연산하고(S41),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b9)에서 총매수금액을 마이너스하여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주당 손익폭 ×수량, 또는 (현재가 - 매수가) ×수량)) 리스트(b3)를 연산하고(S42),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b3)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어 총손익율(((주당 손익폭 ×수량) ÷총매수금액))×100, 또는 ((현재가-매수가)×수량÷(매수가 ×수량)×100)) 리스트(b6)를 연산하고(S43),
각각의 현재가에 매도하였을 경우, 매매금액에 증권사에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율 및 정부세금율(농어촌특별소비세, 거래세)을 곱하여 수수료((총매수금액 ×수수료율)+(총매도금액 ×(수수료율+세금율))) 리스트(b4)를 연산하고(S44), 각각의 현재가별 수수료·세금(b4)이 총매수한 금액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인지를 의미하는 수수료율((수수료 ÷총매수금액)×100, 또는 (수수료 ÷평균매매금액×100)) 리스트(b7)를 연산하고(S45),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b3)에서 수수료·세금(b4)를 제하고 증권계좌에서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산출하는 순손익(총손익 - 수수료) 리스트(b5)를 연산하고(S46), 마지막으로,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b5)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율((순손익 ÷총매수금액) ×100) 리스트(b8)를 자동으로 연산한다(S47). 결과적으로 상기 과정(S38∼S47)에 걸쳐 모든 손익리스트(b) 연산을 종료한다. 이때, 상술한 단계(S32∼S47)의 연산과정은 주가리스트(a) 및 손익리스트(b)는 산출방식의 수정, 조정, 변경에 따라 프로그램을 적절히 변경할 수 도 있다.
이제, 메인 서버(30)에서는 상기 해당 주식종목의 주가리스트(a) 및 손익리스트(b)의 연산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8),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단계(S32∼S47)에서와 같이 연산된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 연산결과 데이터와 함께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정보(종목명(코드), (c3)), 매수정보(매수수량, 매수가격, 총매수금액,(c4)), 데이터수 (현재가수(a2(N)), 총 데이터수)를 해당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PC(10)으로 출력하며(S49),
해당 클라이언트 PC(10)는 메인 서버(30)에서 입력된 연산 결과와 종목정보(c3), 매수정보(c4), 테이터수를 해당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계산기 윈도우(100)의 주가리스트창(a), 손익리스트창(b), 부가기능창(c)에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51). 이로써 상기단계(S1∼S51)를 통해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표시방법이 1차적으로 완료된다.
다음에는, 계산기 윈도우(100)상에 주가리스트(a) 및 손익리스트(b)가 디스프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다른 형태로 가공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만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부가기능(c)을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상술한 단계(S1∼S51)들을 통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PC(10)상의 계산기 윈도우(100)내에 주가리스트(a), 손익리스트(b) 및 종목정보(c3), 매수정보(c4)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 후, 해당 사용자가 추가적인 부가기능(c)을 실시하기 위하여 부가기능을 선택하면(S52) 클라이언트 PC(10)상에서 그에 해당하는 결과값을 별도의 윈도우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부가기능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의 티커창 실행 버튼(c10)을 선택한경우 실행되는 티커창(110)의 일 예(S53)를 나타낸 도면이다.
티커창(110)의 목적은 사용자가 매매주문 화면에서 매매주문 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매매주문 절차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매매를 하기 위해 매수 또는 매도주문 윈도우를 활성화하면 매매주문 화면에는 일반적으로 증권전산원에서 제공하는 호가공개범위내의 호가가 10개만 나타나고 각각의 호가에 매도수량과 매수수량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가격은 현재 공개되는 호가가 아닌 경우도 많으므로, 공개호가범위를 벗어난 다른 가격대를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찾아서 판단하고 가격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가격을 결정한 후에는 수량과 총매수금액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매매의사 결정을 완료하게 된다.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매매주문 입력을 하게 되는데 매매수량과 매매가격 입력창에 사용자가 직접 숫자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게 현실이다. 현재 일부 증권사의 시스템에서는 계좌잔고 기준으로 수량과 신용매수를 적용한 미수수량을 자동으로 제공하고 자동으로 수량을 입력하는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계좌잔고금액 전부를 이용하여 매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방법은 투자자가 개인적으로 주가와 수량, 총매수금액을 산출해야 하는 큰 문제점을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티커창(110)은 계산기 윈도우(100)상의 주가리스트(a) 및 손익리스트(b)의 일정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매매주문 윈도우상에 나타낸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매매주문화면에서 제공하는 호가공개 범위내의 10개의현재가를 벗어난 가격도 별도로 계산할 필요 없이 계산기 윈도우상의 데이터를 활용하면 된다. 또한 매도 입력시에는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보유수량, 매수가격과 함께 총매도금액도 함께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종합적인 매매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매매주문 윈도우상의 주가변화 추이를 잠시 관찰하면서, 사용자가 결정한 가격을 위 아래로 몇 칸 정도 쉽게 변경할 수 도 있다.
매매수량, 매매가격 입력시에는, 기존의 방식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량, 매매가격 입력창에 입력하므로써 입력오류(에러), 번거로움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티커창(110)내의 특정가격을 선택하고 매매입력 버튼(112)을 선택하면 가격과 수량이 자동으로 매매주문 입력창에 입력되어 사용자가 직접 키보드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예방과 신속, 편리성, 심리적 안정성 등이 향상된 특징이 있다.
이하, 티커창(110)이 실행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100)상에서 티커창에 나타낼 항목들을 미리 설정하고(도시되어 있지 않음), 주가리스트(a) 또는 손익리스트(b)상의 특정줄((111), Row, 현재가 a2(N))을 선택한 후 부가기능(c)내의 티커창 실행 버튼(c10)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줄(111)을 기준으로 위로 5줄, 아래로 5줄 영역내의 데이터와 함께, 수량, 총매수금액, 총매도금액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금마한 티커창(110)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티커창(110)은 매매주문 화면보다 항상 화면 앞쪽에 위치하므로 시각적으로 항상 볼 수 있고, 최종적으로 이동시킨 위치에 활성화되어 최적의 위치에 다시 뜨게된다. 티커창(110)내의 특정줄(111)을 선택하고 매매주문입력 버튼(112)을 선택하면 수량과 가격이 매매주문 입력창으로 자동 입력되게 된다.(도 (S53)
도 13는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의 그래프 윈도우 실행 버튼(c11)을 선택한 경우 실행되는 그래프 윈도우(12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래프 윈도우(120)의 목적은 주가대비 손익현황의 많은 데이터를 그래프로 단순하게 나타내어 사용자가 자신의 손익진행 추이를 거시적,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하므로써 정확한 현황파악과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매매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기존에는 주가 대비 손익 그래프가 없었으므로 투자자는 몇 개의 주가에 해당하는 손익만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연상하여 전체적인 손익의 진행추이를 개인적으로 연상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지 특정부분의 데이터만을 파악할 수밖에 없없고 전체적인 손익진행 추이 파악이 곤란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가 대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손익항목과의 상관관계를 별도의 그래프 윈도우(120)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그래프 윈도우(120)의 실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그래프 윈도우(120)에 표시될 항목을 미리 설정한 후(도시되어 있지 않음), 계산기 윈도우(100)상에서 그래프 윈도우 실행 버튼(c11)을 선택하면 해당항목의 데이터를 그래프 윈도우(120)으로 디스플레이한다.(S54)
여기서, 그래프 윈도우(120)는 주가리스트(a) 중의 한 항목(등락율(a1), 현재가a2), 등락폭 (a3)중의 하나)으로 하고, 종속변수 Y는 손익리스트(b) 중의 한 항목 또는 두 항목이상을 한다.
도 14는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의 종합계산창 실행 버튼(c12)을 선택한 경우 실행되는 종합계산창(13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합계산창(130)의 목적은 계산기 윈도우(100)상의 특정줄(Row, 현재가(N))내의 주가 및 손익데이터가 한 줄로 길게 좌우로 나열되어 있는데, 이들 데이터를 집약하여 표 형태로 집약하여 나타내므로써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현재가에 매도하고자 할 경우, 특정줄상의 여러 손익자료를 검토하게 되는데 데이터가 한 줄로 분산되어 있어, 이들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종합계산창은 매수정보와 매도정보, 손익정보를 금액과 비율(%)로 나타낸다.
이하, 종합계산창(120)의 실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자신이 매도하고자 하는 가격(특정 현재가)을 주가리스트(a) 상에서 검색한 후, 자신이 원하는 특정줄을 선택한 후, 부가기능(c)내의 종합계산창 실행 버튼(c12)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종합계산창(120)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줄상의 모든 주가 및 손익데이터와 함께 기준가, 매수정보((c4), (매수수량, 매수가격, 총매수금액))를 조그마한 창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55)
다음은 정렬(c13), 찾기·이동(c14)의 실행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정렬(c13)의 목적은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데이터가 상한부터 하한까지 줄수가 많아(최대 300개 정도) 양끝단간을 이동하는데 시간과 여러번의 동작이 필요한 것을 단번에 반대편으로 이동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상한에서 하한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여러번의 페이지 다운 또는 스크롤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당초 내림차순상태에서 오름차순으로 하면 데이터가 반대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반대편 데이터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S56)
찾기·이동(c14)의 목적은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데이터 량이 최고 3,900개 정도에 달하여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 값을 찾거나 해당 데이터로 이동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검색 또는 이동버튼을 선택한 후 특정값을 입력하고 완료버튼을 선택하면 화면과 커서가 해당데이터가 있는 셀로 바로 이동하게 된다.(S57)
도 15는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의 수동계산 버튼(c6)을 선택한 경우(S61) 실행되는 수동계산 윈도우(2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가 및 손익의 수동계산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상의 매매를 시뮬레이션하고자 할 경우, 실제로 주식 매매를 하지 않고도 주가 및 손익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자동계산방식에는 해당 주식종목의 당일 주가변동 범위와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만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당일 주가변동범위를 벗어나 미래 시점의 많이 오른 가격 또는 많이 내린 가격은 제공하지 않으므로 계산할 수 가 없다. 또한 실제로 주식을 사지 않고도 가상의 매매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손익결과도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동계산 윈도우(200)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키보드 입력한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의 단지 3가지의 입력데이터를이용하여 주가리스트(a) 및 손익리스트(b)를 연산한다.
이하 수동계산(c6)의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내의 수동계산 버튼(c6)을 선택하면 수동계산 윈도우(200)와 데이터 입력창(201)이 활성화된다. 사용자는 데이터 입력창(201)에서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을 직접 수작업으로 입력한 후 입력계산실시 버튼(202)을 선택한다. 클라이언트 PC는 사용자의 수동계산 실시 키신호에 따라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메인서버로 출력한다. 메인서버는 클라이언트 PC로 부터 입력되는 수동계산 키신호와 함께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며, 클라이언트 PC는 연산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S62)
도 16은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의 등락율 기준으로 산출버튼(c8)을 선택한 경우(S63) 실행되는 등락율 기준으로 산출한 계산기윈도우(3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등락율 기준으로 현재가를 산출하는 목적은 주식 투자자의 절반이상이 현재가 대신 등락율로서 주가를 판단하기 때문에 등락율을 기준한 주가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주가는 가격대가 여러가지 이며, 호가단위가 적용되어 가격을 잘 알 수 없고 가격 또는 수익이 얼마이든지 간에 최종적으로는 수익률로서 귀결되기 때문에 등락율을 선호하는 투자자가 많은게 현실이다.
이하 등락율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c8)의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100)의 부가기능(c)내의 등락율 기준으로 산출버튼(c8), 등락율 증감단위 버튼(c9)을 선택하고 계산실시 버튼(c2)를 실행하면, 메인서버(30)에서는 주가리스트(a) 산출시 먼저 상한부터 하한까지 등락율 증감단위가 적용된 등락율 리스트(예 0.2% 단위)를 먼저 산출(301)하고, 각각의 등락율과 기준가를 비교연산하여 현재가와 등락폭 리스트를 산출한다. 이후 손익리스트의 연산과정은 현재가 기준으로 연산과정과 동일하다(생략)(S64).
도 17은 호가공개범위 현재가가 추가된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기 윈도우(4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가가 추가된 현재가&손익 윈도우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장 관심있고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가 가장 많이 보는 현재가 화면과 계산기 윈도우(100)을 결합하여 주가의 실시간 진행상황과 함께 해당손익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하여 정보의 극대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의 현재가 화면상에서는 사용자가 가장 관심있는 손익자료가 없어, 잔고 조회 화면을 활성화한 후, 손익을 조회하고 다시 현재가 화면으로 전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계산기 화면에는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데이터가 전부 있지만, 현재 호가범위내의 현재가가 어떤 가격대이고 매도매수수량이 어느 정도 인지 알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두 가지의 문제점을 한번에 해결하기 위해 현재가화면과 계산기 윈도우(100)를 결합하였으며 그에 따라 계좌잔고 조회화면, 현재가 화면, 계산기 윈도우(100)를 활성화하고 상기 화면들을 번갈아가면서 전환할 필요 없이 한 화면상에서 모든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
호가범위 현재가가 추가된 현재가&손익 윈도우(400)의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호가공개범위 현재가가 추가된 현재가&손익 윈도우(400) 메뉴를선택하면 실행 키신호와 함께 메인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종목코드의 현재가 정보(호가공개범위내의 현재가 10개 및 호가별 매매수량 데이터)와 함께 기설정된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연산된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고, 클라이언트 PC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현재가 정보창(401)은 호가공개범위내의 매도수량(402), 매수수량(403)와 함께 사용자가 매수한 가격의 위치를 주가리스트상에서 시각적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매수가격 표시칼럼(404)상에서 * 기호(405)로 표시한다.(S65)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제성 - 2000년 주식 거래규모는 약 3,500조원이며 매매체결 건수는 7억건 이상(증권업 협회 자료)이며, 그 이외의 미체결주문, 정정주문, 손익조회는 약 5억건으로 추정되어 총 12억건 이상의 주가 및 손익계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에 따라 주식 투자자가 주가 및 손익계산에 소비한 시간적 비용만도 년간 2,200억∼3,400억원, 10년간 기준으로는 3조원∼5조원에 달한다. 이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주가 또는 손익을 계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년간 년간 3천억원 정도의 시간적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시간을 생산적 업무 또는 활동에 사용하므로써 사회·경제적으로 보다 생산성이 높아져 국가 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9참조)
2) 정신적 에너지 절약 - 주식매매에는 많은 정신적 에너지가 소비되며 특히가장 많은 정신적 에너지를 소비하는 계산 중의 하나는 주가 및 손익계산이다. 특히 손실을 보고 있는 경우에는 업무가 안될 정도로 에너지 소비가 심한데, 이제 계산에 소비되는 정신적 에너지가 없으므로 다른 생산적인 업무 또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3) 2차원 계산 - 기존에는 한 번에 한 가지 경우만 계산할 수 밖에 없어, 실제로 존재하는 전체 데이터 면적(Area) 중 특정줄 상의 특정가격(Cell)만을 대상으로 한 선(Line) 개념의 1차원 계산만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줄 개념이 아닌 면(Area, 13칼럼×300개 줄(Row)) 개념의 2차원 개념의 모든 데이터 산출이 한 번에 가능해졌다.
4) 신속성 - 단지 주식종목선택만으로 전체 주식시장의 주가 및 손익 데이터 370만개(1,500종목 기준)를 1초 내에 산출하며, 종목별로는 최대 3,900개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한다.
5) 범위 - 단지 종목선택만으로 당일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주가 및 손익을 생성시킨다.
6) 편리성 - 주식 투자자는 이제 어떠한 수작업의 키보드 입력이나 전자계산기를 이용하여 계산할 필요가 없으며, 언제 어디서나 사이버 트레이딩 시스템과 연결되면 마우스 한번의 동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어떠한 경우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7) 정확성 - 기존에는 사용자가 직접 숫자를 입력하므로 인한, 오류, 에러, 실수 등으로 인한 뜻밖의 손실을 보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제 컴퓨터가 모든 데이터를 자동 연산하므로 오류가 없다.
8) 다양한 부가기능 제공 - 매매주문시 호가공개범위를 벗어난 가격과 손익을 볼 수 있는 티커창을 이용하여 가격대를 일부 변경할 수 도 있으며, 매매가격과 수량을 시각적으로 보면서 입력하거나 자동으로 입력하므로 오류, 에러의 방지로 원치않는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윈도우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집약하여 볼 수 있고 주가대비 각종 손익의 진행추이를 거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적정매도가, 손절매 한계점 설정, 손익분기점 파악 등으로 효과적인 매매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종합계산창을 통해 20여개의 달하는 주가 및 손익항목을 체계적으로 집약하여 표 형태로 나타내므로 사용자가 많은 데이터를 신속·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정렬·검색을 통해 넓은 데이터 영역공간상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을 한번의 키 조작을 통해 공간이동하게 하고, 검색은 수많은 셀 중 특정셀을 빠르게 찾아 해당 셀로 화면과 커서가 이동할 수 있으며, 수동계산을 통해 당일 주가변동범위를 벗어난 가격대에서의 손익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실제 매수를 하지 않고도 가상으로 매매를 하고 그 결과를 가격대별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매매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9) 등락율로 주가파악 - 모든 가격을 등락율을 이용하여 결정하거나 판단하는 투자자를 위한 등락율 기준으로 한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제공하여 투자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10) 핵심자료의 용이한 파악 - 주식은 돈을 벌기 위해서 하는데 손익은 근본적으로 산 가격과 판 가격의 차이이므로 주식의 수 많은 항목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주가와 손익이다. 이제 주가와 손익의 핵심을 모두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11) 개장직전의 신속대응 - 동시호가시 개장직전(08:59)에는 주문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밀려 들어오므로 매수매도수량의 비율을 보고서 상승하락을 예측하여 매매가격을 정하거나 정정을 하는 경우, 장이 몇 초 후 시작되기 때문에 매우 급박한 상황이나 기존에는 몇 초 사이에 가격을 재산출할 수 없으므로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으나 이제 주가·손익리스트를 보면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12) 보다 치밀해진 매매전략 수립가능 - 장이 개장되기 전에 주가·손익리스트를 출력하여 모니터 옆에 붙여놓고 매매를 하면 모든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과적인 매매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13) 주식문화의 선진화 - 단지 마우스 클릭만으로 모든 데이터가 생성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증권사 입장에서는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증권사 직원, 증권 전문가들은 고객에게 보다 빠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상호간에 만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증권사의 지점 객장의 투자자는 손익파악을 위한 잔고조회를 하러 단말기로 왔다 갔다할 필요없이 주가 및 손익리스트를 사전에 출력하여 보면 된다.
14) 증시활성화 - 개미투자자는 자신이 어느 정도 이익을 보게 되는지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어 보다 큰 이익을 굳히지 못하고 조금 오르면 팔아버리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속성이 있었다. 이제 주가 대비 손익을 보면서보다 장기적, 안정적, 거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조급한 매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어 결과적으로 증시가 활성화되는데 걸림돌이 상당부분 제거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력된 당 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각 증권회사의 메인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불특정 다수간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휴대단말기(PDA) 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용 에뮬레이터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증권회사와 연결된 후, 클라이언트 PC상에서 사용자가 여러 가지 메뉴 중 계산기 메뉴를 선택하면 계산기 윈도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명(코드)를 선택(입력)한 후 계산실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를 외부로출력하며,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와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을 이용하여 연산된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계산기 윈도우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실행하면 해당 부가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및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의 계산기 윈도우에서 각 사용자가 선택한 계산실시 기능 키신호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입력되면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와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을 이용하여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며, 주가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사이버 증권거래와 관련된 운영프로그램과 주가리스트와 손익리스트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프로그램이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각 사용자들의 사이버 증권거래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가 입력한 종목코드에 따른 해당 주식종목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며, 각 사용자의 계산실시 기능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해당 주식종목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한 후 연산결과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를 사용하여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하는 각 사용자의 신상정보, 증권계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사이버 증권거래 데이터, 계산실시 기능선택에 따른 키신호, 해당 사용자의 보유종목 요구데이터, 그리고 주가 및 손익리스트 계산요구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연산된 주가 및 손익리스트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은,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와 해당 사용자의 증권계좌 보유종목의 매수수량, 매수가격에 따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종목의 기준가를 기준으로 주가변동범위(상한∼하한)내에서 호가단위를 적용한 모든 현재가를 산출하는 현재가 리스트;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가 기준가(전일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오르고 내렸는지를 의미하는 등락율(((현재가 ÷기준가)-1) ×100))을 산출하는 등락율리스트;
    각각의 현재가가 기준가(전일종가)에 비해 어느 정도 가격 차이가 있는지를 의미하는 등락폭(현재가 - 기준가) 리스트;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와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가격의 차이를 의미하는 각각의 현재가별 손익폭(현재가-매수가)리스트;
    각각의 현재가가 매수가격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로 오르고 내렸는지를 의미하는 수익률(((현재가 ÷매수가)-1) ×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에 매도하였을 경우, 남는 금액을 의미하는 총매도금액(현재가 ×수량) 리스트;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과 매수가격을 곱한 총매수금액;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율((총매도금액÷총매수금액)×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에서 총매수금액을 마이너스하는 총손익(주당 손익폭×수량, 또는 (현재가 - 매수가) ×수량))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총손익율(((주당 손익폭 ×수량)÷총매수금액)) ×100, 또는 ((((현재가-매수가)×수량)÷(매수가 ×수량))×100))리스트;
    각각의 현재가에 매도하였을 경우, 증권사에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 및 세금(농어촌 특별소비세, 거래세)을 산출한 수수료((총매수금액 ×수수료율)+(총매도금액 ×(수수료율+세금율)))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수수료·세금이 총매수한 금액에 비해 어느 정도 비율인지를 의미하는 수수료율((수수료 ÷총매수금액)×100, 또는 ((수수료 ÷평균매매금액)×100)) 리스트;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에서 수수료·세금를 제하고 증권계좌에서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산출하는 순손익(총손익 - 수수료) 리스트; 및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율((순손익 ÷ 총매수금액) ×100) 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는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 윈도우는,
    각 사용자에 의해 종목명(코드)가 선택 또는 입력되는 종목명(코드) 데이터 입력창;
    각 사용자에 의해 종목코드가 입력된 후 주가 및 손익계산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되는 주가손익 계산실시 버튼;
    각 사용자의 상기 종목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상에서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연산된 해당종목의 현재가 리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열하는 현재가 리스트;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기준가로 나눈 결과인 등락율 리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열하는 등락율 리스트;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에서 기준가를 마이너스 한 결과인 등락폭리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열하는 등락폭 리스트;
    상기 메인 서버상에서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 매수가격과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비교하여 연산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수익율, 손익폭, 총손익, 수수료, 순손익, 총손익율, 수수료율, 손손익율, 총매도금액, 총매도율리스트;
    각 사용자에 의한 종목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번호, 종목명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종목정보 디스플레이창;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 매수가격, 총매수금액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매수정보 디스플레이창;
    해당 주식종목의 금일 기준가 및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가 및 손익을 연산하도록 하는 자동계산 버튼;
    사용자가 가상의 주가 및 손익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가 및 손익을 연산하도록 하는 수동계산 버튼;
    주가리스트 산출시 기준가를 기준으로 주가변동범위(상한∼하한)내에서 호가단위를 적용한 현재가 리스트를 먼저 산출하고 그 다음으로 등락율과 등락폭을 연산하도록 하는 현재가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 버튼;
    주가리스트 산출시 주가변동범위(상한율∼하한율)내에서 등락율을 순서대로 먼저 산출하고 그 다음으로 현재가와 등락폭을 연산하도록 하는 등락율 기준으로주가리스트 산출 버튼;
    상기 등락율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시 등락율 증감단위를 설정하는 등락율 증감단위 선택 버튼;
    사용자가 선택한 주가리스트 또는 손익리스트상의 특정줄(Row)을 기준으로 상승 5개, 하락 5개 범위의 줄(Row)에 있는 주가리스트, 손익리스트상의 데이터와 함께 수량, 총매수금액, 총매도금액 데이터를 조금마한 티커창으로 생성시키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티커창 실행 버튼;
    주가리스트상의 한 항목을 X축 데이터로 하고, 손익리스트상의 한 항목 또는 한 항목 이상을 Y축 데이터로 하여 그 상관관계를 연산하여 그래프 윈도우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그래프 윈도우 실행버튼;
    주가 및 손익리스트 상의 특정줄(Row, 현재가(N))내의 주가 및 손익데이터가 한 줄로 길게 좌우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표 형태로 집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종합계산창 실행 버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상의 데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시키는 정렬 버튼;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상의 많은 데이터를 찾거나 해당 데이터로 화면과 커서를 이동시키는 찾기·이동 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5. 각 증권회사의 메인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시스템에 있어서,
    (1)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휴대단말기(PDA)의 실행 또는 웹 페이지의 접속을 통해 메인 서버로 접속을 진행하는 과정;
    (2)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 의한 계산기 메뉴의 실행에 따라 계산기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종목코드에 따라 종목코드 데이터와 계좌번호를 메인 서버로 출력하는 과정;
    (3) 각 사용자의 계산실시 기능 선택에 따른 키신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입력되면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를 이용하여 주가리스트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증권계좌 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과 주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비교하여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는 과정;
    (4) 메인 서버로 부터 입력된 연산 결과와 종목정보, 매수정보, 테이터수를 계산기 윈도우의 주가리스트창, 손익리스트창, 부가기능창에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부가가능 중 어느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1-1) 각 사용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PC에 설치된 전용 에뮬레이터, 개인단말기(PDA) 또는 웹 브라우저의 실행을 통해 메인 서버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1-2) 통신접속이 이루어진 후 메인 서버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로그인 화면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1-3) 로그인 화면을 통해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로그인 데이터를 메인 서버로 출력하고, 메인 서버의 정식 사용자 판단에 따라 메인 서버로 접속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사용자에 의한 계산기 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2) 사용자에 의한 계산기 기능이 선택되면 계산기 윈도우를 클라이언트 PC상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2-3) 계산기 윈도우에서 사용자에 의한 종목코드가 입력되는 단계;
    (2-4) 계산기 윈도우에서 사용자에 의한 계산실시 기능버튼이 선택되는 단계;
    (2-5) 계산실시 기능이 선택되면 계산실시 키신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와 증권 계좌번호를 메인 서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각 사용자에 의해 계산실시 키신호와 함께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 데이터와 증권계좌번호가 메인 서버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2) 계산실시 키신호와 종목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전일종가)를 파악하는 단계;
    (3-3) 기준가를 기준으로 주가변동범위(상한∼하한)내에서 호가단위를 적용한 당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현재가를 자동으로 연산하는 현재가 리스트 산출 단계;
    (3-4) 상기 단계(3-3)에서 산출한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a2(1),··,a2(N)를 기준가로 나누어 증감 비율을 연산하는 등락율 리스트 산출 단계;
    (3-5)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a2(1),··,a2(N))가에서 기준가를 마이너스하는 등락폭 리스트를 연산 단계;
    (3-6)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에 해당 주식종목의 잔고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7) 상기단계(3-6)의 판단결과 해당 주식종목의 잔고가 있는 경우,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에서 주식종목 잔고상의 매수가격을 마이너스하여 각각의 현재가별 손익폭 리스트를 연산하는 단계;
    (3-8)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를 매수가격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재가별 수익율 리스트를 연산하는 단계;
    (3-9) 각각의 현재가와 주식수량을 곱하여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 리스트를 연산하는 단계;
    (3-10) 증권계좌 종목잔고상의 해당 주식종목의 매수수량과 매수가격을 곱하여 총 매수금액을 연산하는 단계;
    (3-11) 상기 단계(3-9)에서 산출한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을 상기 단계(3-10)에서 산출한 총매수금액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율 리스트를 연산하는 단계;
    (3-12) 각각의 현재가별 총매도금액에서 총매수금액을 마이너스하여 각각의 현재가 별 총손익 리스트를 연산하는 단계;
    (3-13)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는 총손익율 리스트를 연산 단계;
    (3-14) 각각의 현재가별 수수료 및 정부세금을 산출하는 수수료 리스트 연산 단계;
    (3-15) 각각의 현재가별 수수료·세금을 총매수한 금액으로 나누는 수수료율 리스트 연산 단계;
    (3-16) 각각의 현재가별 총손익에서 수수료·세금를 제하여 순손익 리스트를 연산하는 단계;
    (3-17)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을 총매수금액으로 나누어 각각의 현재가별 순손익율 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는 단계;
    (3-18) 해당 주식종목의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의 연산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19) 연산이 종료되면 연산된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 연산결과 데이터와 함께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정보(종목명(코드)), 매수정보(매수수량, 매수가격, 총매수금액), 데이터수를 해당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는,
    (4-1) 메인 서버로 부터 입력된 연산 결과와 종목정보, 매수정보, 테이터수를 계산기 윈도우의 주가리스트창, 손익리스트창, 부가기능창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4-2) 연산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부가가능 중 어느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4-3)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티커창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 티커창을 실행하는 단계;
    (4-4)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그래프 윈도우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 그래프 윈도우를 실행시키는 단계;
    (4-5)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종합계산창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 종합계산창을 실행시키는 단계;
    (4-6)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오름차순 정렬 또는 내림차순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정렬을 실행시키는 단계;
    (4-7)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찾기 또는 이동 버튼이 선택되면 찾기 또는 이동을 실행시키는 단계;
    (4-8)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수동계산 버튼이 선택되면 수동계산을 실행시키는 단계;
    (4-9)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등락율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 버튼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4-10) 판단결과 상기단계(4-9)가 선택되면 해당 사용자에 의해 등락율 증감단위 0.1%, 0.2%, 0.3%, 0.4%, 0.5% 중 어느 증감단위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4-11) 판단결과 상기단계(4-9)(4-10)들을 통해 등락율 증감단위가 결정되면 해당 등락율 증감단위로 주가리스트를 연산하도록 실행시키는 단계;
    (4-12) 상기단계(4-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실시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주식종목의 호가공개 범위내의 호가 및 매매수량을 포함하는 현재가 정보, 주가 및 손익리스트 연산결과, 매수정보 데이터를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계산기 윈도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0. 제 4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티커창은,
    (4-3-1) 사용자에 의해 계산기 윈도우의 주가리스트 또는 손익리스트 영역에서 특정줄(Row)이 선택되고 티커창 실행버튼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4-3-2) 상기단계(4-3-1)의 판단결과 티커창 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줄(Row)을 기준으로 위의 5줄, 아래로 5줄 영역 내의 주가리스트, 손익리스트상의 데이터 중 사용자 기 설정한 항목(칼럼)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수량, 총매수금액, 총매도금액(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줄 기준) 데이터를 조그마한 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4-3-3) 상기 티커창은 이전에 최종적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매매주문 화면보다 항상 앞쪽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
    (4-3-4) 매매주문상에 티커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특정줄이 선택되는 단계;
    (4-3-5)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매매주문 입력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3-6)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매매주문 입력 키신호가 입력되면, 수량과 사용자가 선택한 줄(Row)상의 현재가를 매매입력창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1. 제 4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윈도우는,
    (4-4-1) 사용자에 의해 계산기 윈도우상에서 그래프 윈도우 실행버튼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4-2) 상기단계(4-4-1)의 판단결과 그래프 윈도우 실행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 기 설정한 조건에 따라 주가리스트상의 등락율, 현재가, 등락폭리스트 중 한 항목(칼럼)을 X축 데이터로 하고, 손익리스트상의 한 항목(칼럼) 또는 한 항목 이상을 Y축 데이터로 하여 그 상관관계를 연산하는 단계; 및
    (4-4-3) 상기 연산결과를 그래프 윈도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2. 제 4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계산창은,
    (4-5-1) 사용자에 의해 계산기 윈도우의 주가리스트 또는 손익리스트 영역에서 특정줄(Row)이 선택되고 종합계산창 실행버튼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4-5-2) 상기단계(4-5-1)의 판단결과 종합계산창 실행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줄(Row)상의 주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 데이터 중 사용자가 기 설정한 항목(칼럼)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기준가, 매수수량, 매수가격, 총매수금액, 총매수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4-5-3) 상기의 수집된 데이터를 소정의 표 형태로 재배치하여 조그마한 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3. 제 4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4-6-1) 사용자에 의해 오름차순 정렬, 내림차순 정렬 중 어느 기능의 키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4-6-2) 상기 단계(4-6-1)의 판단결과 오름차순 정렬 키신호인 경우 현재가 리스트 칼럼을 기준열로 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4-6-3) 상기 단계(4-6-1)의 판단결과 내림차순 정렬 키신호인 경우 현재가 리스트 칼럼을 기준열로 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4. 제 4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찾기·이동은,
    (4-7-1) 사용자에 의해 찾기, 이동 중 어느 기능의 키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4-7-2) 상기 단계(4-7-1)의 판단결과 찾기 키신호인 경우 찾기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값 또는 가장 근사한 값으로 화면을 이동하는 단계;
    (4-7-2) 상기 단계(4-7-1)의 판단결과 이동 키신호인 경우 이동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값 또는 가장 근사한 값으로 화면과 커서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 기 설정된 수동계산 연산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직접 입력된 기준가를 이용하여 주가리스트를 산출하며, 주가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매수수량과 매수가격을 이용하여 손익리스트를 자동으로 연산하는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 기 설정된 등락율 기준으로 주가리스트 산출 연산프로그램은,
    등락율 증감단위를 적용한 등락율을 연산하여 등락율 리스트를 연산하고, 기준가와 상기 등락율을 이용하여 등락폭 및 현재가 리스트를 산출하며, 그 다음으로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와 매수수량, 매수가격을 비교하여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는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프로그램은,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를 입력한 후 계산실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주식종목의 종목코드를 외부로 출력하며, 해당종목의 기준가 및 증권계좌 보유잔고상의 매수수량, 매수가격 데이터를 증권사의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계산기 윈도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된 해당 주식종목의 기준가를 이용하여 현재가,등락율, 등락폭을 포함하는 주가리스트를 연산하고, 현재가 리스트상의 각각의 현재가값과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된 매수수량, 매수가격을 비교하여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는 클라이언트 PC내에 설치된 연산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실시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주식종목의 호가공개 범위내의 호가 및 매매수량을 포함하는 현재가 정보, 주가 및 손익리스트 연산결과, 매수가격 정보 표시 데이터를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기 윈도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가&손익리스트 계산기 윈도우는, 해당 주식종목의 현재가 호가공개범위내의 각각의 매도호가와 해당호가별 매도수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매도수량 디스플레이창;
    해당 주식종목의 현재가 호가공개범위내의 각각의 매수호가와 해당호가별 매수수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매수수량 디스플레이창;
    해당 사용자의 주식계좌 종목잔고상의 매수가격을 현재가 리스트상의 현재가를 기준으로 표시하는 매수가격 표시 디스플레이창; 및
    주가리스트창, 손익리스트창, 부가기능창이 더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20.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에 기설정된 연산 프로그램은,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에 대하여 각 사용자가 계산기 윈도우 상에서 해당 주가지수선물, 주가지수 옵션의 종목코드를 입력한 후 계산실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선물/옵션의 종목코드를 외부로 출력하며, 해당 선물/옵션의 기준호가 및 선물/옵션계좌 보유잔고상의 매수(매도) 계약수량, 매도(매수)호가를 이용하여 연산한 호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선물/옵션계산기 윈도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및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FC의 선물/옵션계산기 윈도우에서 각 사용자가 선택한 계산실시 기능 키신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선물/옵션 종목코드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입력되면 기 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선물/옵션의 기준호가, 계좌 보유잔고상의 매수(매도) 계약수량, 매수(매도)호가를 이용하여 호가리스트 및 손익리스트를 연산하며, 호가 및 손익의 연산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메인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
KR10-2001-0010953A 2000-12-26 2001-03-02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및 표시방법 KR10053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1/002200 WO2002057991A1 (en) 2000-12-26 2001-12-18 A method and apparatus on stock price list and profit calculation in cyber stock trading system
US10/451,946 US20040078287A1 (en) 2000-12-26 2001-12-18 Method and apparatus on stock price list and profit calculation in cyber stock tra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82386 2000-12-26
KR1020000082386 2000-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920A true KR20020052920A (ko) 2002-07-04
KR100530809B1 KR100530809B1 (ko) 2005-11-23

Family

ID=276863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953A KR100530809B1 (ko) 2000-12-26 2001-03-02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및 표시방법
KR10-2001-0015814A KR100445403B1 (ko) 2000-12-26 2001-03-26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현재가 화면에 부착된손익리스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2001-0080073A KR100469607B1 (ko) 2000-12-26 2001-12-17 손익분석 기능을 갖는 사이버 트레이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814A KR100445403B1 (ko) 2000-12-26 2001-03-26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현재가 화면에 부착된손익리스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2001-0080073A KR100469607B1 (ko) 2000-12-26 2001-12-17 손익분석 기능을 갖는 사이버 트레이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0530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737B1 (ko) * 2003-01-17 2007-02-09 (주)포넷 선물 옵션 트레이딩 방법
CN112365346A (zh) * 2020-10-30 2021-02-12 北京数秦科技有限公司 股票交易委托大单的判定及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66B1 (ko) * 2002-03-13 2005-11-28 양용철 손익분석 기능을 갖는 사이버 트레이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10894B1 (ko) * 2008-09-29 2012-03-14 신한금융투자 주식회사 이엘더블유 종목 틱환산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062699B1 (ko) 2011-01-20 2011-09-07 주식회사 씽크풀 주문오류 방지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893747B1 (ko) * 2012-06-28 2018-08-30 양용철 주식 또는 파생상품 거래의 마우스 드래그 분할매매주문과 손익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126976B1 (ko) * 2018-02-09 2020-07-07 이정일 주기적 성질을 갖는 금융투자상품에 기반한 금융투자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2021265B1 (ko) * 2019-04-02 2019-09-11 백종윤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287A (en) * 1975-05-29 1983-10-25 Braddock Iii Walter D Automated stock exchange
US5347452A (en) * 1991-07-12 1994-09-13 Bay Jr William P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display of current trading volume and cumulative average trading volume for preselected time intervals
US6014643A (en) * 1996-06-28 2000-01-11 Minton; Vernon F. Interactive securities trading system
KR20000053696A (ko) * 1999-12-07 2000-09-05 유석열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문가능 수량 표시장치 및표시방법
KR20000053962A (ko) * 2000-05-13 2000-09-05 양용철 주식 동시호가시의 매도매수정보를 이용한 선물지수 및주가지수 사전예측 시스템
KR20020004066A (ko) * 2000-06-30 2002-01-16 김지민 인터넷을 이용한 주식투자 클리닉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이용한 투자습관 분석방법
KR20020006095A (ko) * 2000-07-11 2002-01-19 엄도명 통신망을 통한 주식정보 서비스 방법
KR100381037B1 (ko) * 2000-07-20 2003-04-18 유진석 투자 위험 분석 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16499A (ko) * 2000-12-15 2001-03-05 류희중 주식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사이버증권정보 제공시스템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737B1 (ko) * 2003-01-17 2007-02-09 (주)포넷 선물 옵션 트레이딩 방법
CN112365346A (zh) * 2020-10-30 2021-02-12 北京数秦科技有限公司 股票交易委托大单的判定及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809B1 (ko) 2005-11-23
KR20020052938A (ko) 2002-07-04
KR100469607B1 (ko) 2005-02-02
KR20020059210A (ko) 2002-07-12
KR100445403B1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6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Spread Trading
US84126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d optimizing transaction costs
US7562047B2 (en) User interface for semi-fungible trading
US8630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searching financial instrument data
US200501656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orders in electronic trading systems
US200902045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trades in a user preferred security
CA2613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nvestment product suitability
KR100530809B1 (ko)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주가 및 손익리스트 표시장치및 표시방법
US20040078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on stock price list and profit calculation in cyber stock trading system
JP2020198140A (ja) 金融商品取引管理装置、金融商品取引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20010096128A (ko)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28947A (ja) 資産運用支援サーバ、資産運用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10036A (ko) 선물 옵션 트레이딩 시스템의 실계좌와 예비 포지션을결합한 포지션 매니저 및 그 포지션 매니저를 이용한포지션 구축과 일괄주문 방법
KR100714429B1 (ko) 공급사 선정을 위한 평가 자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93747B1 (ko) 주식 또는 파생상품 거래의 마우스 드래그 분할매매주문과 손익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786820B1 (ko) 매수수량 분석 기능을 갖는 사이버 트레이딩 서비스 장치및 방법
KR20010055430A (ko)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상위호가 순매수/순매도잔량표시장치 및 방법
KR101608414B1 (ko) 신뢰 기반 상호작용을 이용한 금융 상품 거래 시스템, 금융 상품 제공 방법 및 금융 상품 제조방법
KR20030027132A (ko)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매도주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040003388A (ko) 수익률 특정집단의 매매 데이터를 이용한 종합 매매신호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1595A (ko) 주식 또는 파생상품 거래의 마우스 랜덤 단가 선택에 따른 분할매매주문과 손익분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6

Effective date: 200504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