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568A -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568A
KR20020051568A KR1020000080941A KR20000080941A KR20020051568A KR 20020051568 A KR20020051568 A KR 20020051568A KR 1020000080941 A KR1020000080941 A KR 1020000080941A KR 20000080941 A KR20000080941 A KR 20000080941A KR 20020051568 A KR20020051568 A KR 2002005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legend
vowels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성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1568A/en
Publication of KR2002005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56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combine corresponding legend keys and numerical keys using the legend keys, so as to input all consonants and vowels with two pressing operations. CONSTITUTION: Main consonants and main vowels are set as basic keys(S1). The vowels, to be inputted only when the basic keys corresponding to the main consonants are pressed with duplicate, are set as duplicate keys, and the basic keys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s are combined with the duplicate keys and allocated(S2). Legend keys are set, and inputable consonants and vowels are allocated by combining the basic keys and legend keys(S3). The key # is set as a lock key(S4). The press of the basic keys is detected, to display corresponding main consonants and main vowels on a character input screen, and open a legend window to press the legend keys and display inputable consonants and vowels(S5,S6,S7). The press of the legend keys is detected, to combine the basic keys with the legend keys and display corresponding consonants and vowels instead of the main consonants and main vowels(S8,S9). And the press of the duplicate keys is detected to combine the basic keys and duplicate keys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s and display corresponding vowels instead of the main vowels(S10,S11).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Hangul inpu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범례 키를 사용하여 해당 범례 키와 숫자 키를 조합해 모든 자음과 모음을 두 번의 누름으로 입력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ll consonants and vowels are inputted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a corresponding legend key and a number key using a legend key in two presse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근저로 한 한글은 초성 19개, 중성 21개 및 종성 28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해당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이론상의 글자 수는 11,172(즉, 19×21×28)개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약 2,500개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에는 1,800 개부터 1,900개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In general, Hangul, which i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consists of 19 consonants, 21 neutrals, and 28 consonants. The theoretical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formed by combining the consonants, neutrals, and species is 11,172 (i.e., 19 x 21 x 28) pieces.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haracters commonly used is about 2,500, and in the case of a commonly used completed code or combined code, 1,800 to 1,900 Korean characters can be expressed.

이러한 기존의 코드 체계에서는 키보드로 입력할 경우에 'ㄲ', 'ㄸ', 'ㅃ', 'ㅆ' 및 'ㅉ'과 'ㅑ', 'ㅕ', 'ㅛ', 'ㅠ', 'ㅒ', 'ㅖ', 'ㅔ' 및 'ㅐ'를 할당하고 있는데, 해당 한글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숫자 키(즉, 1 ~ 9, 0, * 및 #)로 각각의 모음 및 자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existing code system, 'ㄲ', 'ㄸ', 'ㅃ', 'ㅆ' and 'ㅉ' and 'ㅑ', 'ㅛ', 'ㅛ', 'ㅠ', 'ㅒ' ',' ㅖ ',' ㅔ 'and' ㅐ 'are assigned. In order to display the Hangul as a complete Hangul using the keys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are about 12 numeric keys (ie, 1 to 9, 0, *, and #) to perform input corresponding to each vowel and consonant.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본체에 많은 크기로 설치되고 있으며, 인터넷, SMS(Short Message Service)에 의한 단문 메시지나 메일 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짐에 따라서 한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한글 입력도 한층 더 중요하게 되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installed in many sizes in the main body, and as data services such as short messages or e-mails by the Internet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become available, not only Korean display but also Korean input can be further improved. It became more important.

이러한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11)와, 해당 중앙 프로세서(11)에 연결되고 화면 전환 키, 숫자 키, 입력 완료 키 등 다수 개의 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키 입력부(12)와, 해당 중앙 프로세서(11)와 키 입력부(12)에 연결되고 해당 중앙 프로세서(11)에서 처리한 결과를 표시해 주고 해당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키 값을 표시해 주는 액정 표시부(13)와, 해당 중앙 프로세서(11)에 연결되고 한글 폰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Korean input device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entral processor 11 controlling a system and a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creen switch key and a numeric ke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1. And a key input unit 12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such as an input completion key and allows a user to input a key value, and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entral processor 11 and the key input unit 12 and in the central processor 11.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13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and displays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key input unit 12, and a memory 14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1 and storing the Hangul font consist of.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한글 입력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숫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된 키 값을 중앙 프로세서(11)에서 감지하고 확인하여 처리해 준다.Referring briefly to the operation of the Hangul inpu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a number or Hangul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the central processor 11 detects and checks the corresponding input key value and processes it. give.

이 때, 상기 중앙 프로세서(11)에서는 상기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숫자는 액정 표시부(13)를 통해 그대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며, 상기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한글은 메모리(14)에 내장된 한글 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키 값을 검색하여 한글 입력 키에 의한 한글 입력 내부 오토마타에 따라 한글 조합형 코드에서 한글 완성형 코드로 전환되도록 한 후에 해당 액정 표시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준다.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or 11 displays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as it is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3, and the Hangu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is the memory 14. The inputted key value is searched by using the Korean font embedded in the display, and then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liquid crystal display 13 after the Korean input code is converted from the Korean combination code to the Korean complete code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internal automata by the Korean input key.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 한글 입력의 일 예를 도 2에 도시된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Hangul input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key matrix of the terminal shown in FIG. 2.

먼저, 키 매트릭스의 숫자 키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에 'ㅡ', '2'번에 'ㆍ', '3'번에 'ㅣ', '4'번에 'ㄱ'과 'ㅋ', '5'번에 'ㄴ'과 'ㄹ', '6'번에 'ㄷ'과 'ㅌ', '7'번에 'ㅂ'과 'ㅍ', '8'번에 'ㅅ'과 'ㅎ', '9'번에 'ㅈ'과 'ㅊ', '0'번에 'ㅇ'과 'ㅁ'이 배치되며, '*'에 한영 전환 및 영자의 대소문자를 지원하며, '#'에 글자 사이에 입력되도록 한다.First, look at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of the key matrix: 'ㅡ' at '1', '·' at '2', 'ㅣ' at '3' and 'ㄱ' at '4' 'ㅋ', '5' at '5', 'ㄹ', 'ㄷ' at '6' and 'ㅌ', '7' at '7' and 't', '8' at 'ㅅ' 'And' ㅎ, '9', 'ㅈ' and 'ㅊ', '0' and 'ㅇ' and 'ㅁ' are placed, '*' supports Korean-English conversion and English capitalization. Make sure you enter between the letters '#'.

그리고, 모음의 구성은 '1', '2' 및 '3'번 키를 이용하여 조합하는데, 예를 들어 '3'번의 'ㅣ'와 '2'번의 'ㆍ'를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ㅏ'로 조합하며, '3'번 및 '2'번 두 번으로 'ㅑ'를 조합하며, '2'번과 '3'번을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ㅓ'로 조합하는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vowels are combined using the '1', '2' and '3' keys. For example, the '모음' of the '3' and the '·' of the '2' are consecutively inputted to 'ㅏ'. Combination of ',' '3' and '2' twice 'ㅑ' combination, '2' and '3' by inputting consecutively 'ㅓ' and so on.

상기 한글 입력 방법은 모음 입력에 있어 단순하여 기억하기 편하고 입력하기에도 편리하기는 하지만, 모음을 여러 번의 키를 반복해서 선택한 후 조합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키의 수가 많아진다. 특히, 이중 모음의 경우에는 모음 하나를 입력하기 위해서 4 ~ 5회를 눌러야 한다.The Hangul input method is simple in vowel input and convenient to store and convenient to input. However, since the vowel must be repeatedly selected after combining several keys, the number of keys to be pressed by the user increa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ouble vowel, you have to press four or five times to enter one vowel.

예를 들어, "뭘"은 숫자 키 0, 0, 3, 2, 2, 1, 5, 5의 순으로 8번을 눌러야 하며, "봐"는 숫자 키 7, 2, 3, 1, 3의 순으로 5번을 눌러야 하며, "왜'는 숫자 키 0, 2, 3, 1, 2, 1의 순으로 6번을 눌러야 한다.For example, "what" should press 8 for the numeric keys 0, 0, 3, 2, 2, 1, 5, 5, and "look" for the numeric keys 7, 2, 3, 1, 3. You must press 5 in order, and "why" should press 6 in number key 0, 2, 3, 1, 2, 1.

이와 같이, 복잡한 이중 모음의 경우에는 여러 번에 걸쳐서 모음 하나에 심지어 5회까지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As such, complex double vowels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enter a vowel multiple times even multiple times.

또한, 다른 한글 입력의 예로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n example of another Korean inp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key matrix of th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3.

먼저, 키 매트릭스의 숫자 키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에 'ㄱ', '2'번에 'ㄴ', '3'번에 자 키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 개의 모음이 선택되는 'ㅏ'와 'ㅓ', '4'번에 'ㄹ', '5'번에 'ㅁ', '6'번에 자 키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 개의 모음이 선택되는 'ㅗ'와 'ㅜ', '7'번에 'ㅅ', '8'번에 'ㅇ', '9'번에 자 키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 개의 모음이 선택되는 'ㅣ', '0'번에 'ㅡ'가 배치되며, '*'와 '#'는 자음 키(1, 2, 4, 5, 7, 8) 또는 모음 키(3, 6, 9, 0)와 조합되어 상기에서 할당되지 않은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될 수 있도록 자음 키 또는 모음 키의 앞 또는 뒤에 각각 눌려지도록 이루어진다.First, if you look at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in the key matrix, one vowe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child key is pressed at '1', 'b' at '2', and 'b' at '3'. 'ㅗ' and 'ㅓ', 'ㄹ' at '4', 'ㅁ' at '5', '6' at '6' ',' 7 ',' 8 ',' ㅇ ',' 9 ',' 9 ', one vowe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 presses,' ㅣ ',' 0 ',' ㅡ ' Consonants and vowels not assigned above in combination with consonant keys (1, 2, 4, 5, 7, 8) or vowel keys (3, 6, 9, 0) It is made to be pressed before or after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respectively so that it can be assigned.

그런데, 이런 한글 입력 방법은 이중 모음이나 쌍자음의 전획 또는 후획이 사용되어 그 원리를 깨닫지 못해 키에 적혀져 있지 아니한 자음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면 입력하기가 너무 힘들며, 'ㅍ', 'ㅊ', 'ㅎ', 'ㅃ', 'ㅉ', 'ㄸ' 등의 자음과 여러 이중 모음 등은 3번 이상 눌러야 입력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Hangul input method is too difficult to input if you do not know where the consonants that are not written on the key because you do not realize the principle of double vowels or double consonants are used. ㅎ ',' ㅃ ',' ㅉ ',' ㄸ 'consonants and multiple double vowels, etc. is a disadvantage that is entered more than three times.

예를 들어, "짜"는 7, *, #, 3의 순으로 4번을 눌러야 하며, "파"는 5, *, *, 3의 순으로 4번을 눌러야 한다.For example, "ja" should press four times in the order 7, *, #, 3, and "wave" should press four times in the order of 5, *, *, 3.

또한, 상술된 방법과 또다른 한글 입력의 예로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referring to the key matrix of th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a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nother Korean inpu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ade.

먼저, 키 매트릭스의 숫자 키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에 'ㄱ'과 'ㄴ', '2'번에 'ㄷ', 'ㄹ' 및 'ㅋ', '3'번에 'ㅁ', 'ㅂ' 및 'ㅌ', '4'번에 'ㅅ', 'ㅇ' 및'ㅍ', '5'번에 'ㅈ', 'ㅊ' 및 'ㅎ', '6'번에 'ㅏ', 'ㅐ' 및 'ㅑ', '7'번에 'ㅓ', 'ㅔ' 및 'ㅕ', '8'번에 'ㅡ', 'ㅗ' 및 'ㅛ', '9'번에 'ㅜ', 'ㅠ' 및 'ㅒ', '0'번에 'ㅣ'와 'ㅖ'가 배치되며, '*'는 한영 전환 및 영자의 대소문자를 지원하고 '#'는 글자열 사이에 입력되도록 한다.First, look at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in the key matrix: 'a' and 'b' at '1', 'c', 'ㄹ' and 'ㅋ' at '2', ' ',' ㅂ 'and' ㅌ ',' 4 'at' ㅅ ',' ㅇ 'and' t ',' 5 'at' ㅈ ',' ㅊ 'and' ㅎ 'at' 6 ' 'ㅏ', 'ㅐ' and 'ㅑ', 'ㅓ' at '7', 'ㅔ' and 'ㅕ', 'ㅡ' at '8', 'ㅗ' and 'ㅛ', '9' 'ㅣ', 'ㅠ' and 'ㅒ', 'ㅣ' and 'ㅖ' are placed at '0', '*' supports Korean-English conversion and English capitalization, and '#' is between character strings. To be entered.

그리고, 상기 키들에는 자음 및 모음을 3개 정도씩 한 키에 할당하여 특정 키의 누르는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자소가 변경되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자소를 찾아 입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keys are assigned to one key each of three consonants and vowels, so that the corresponding phonemes are changed and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 specific key.

그런데, 해당 방법도 동일한 키를 4번씩 눌러야 나오는 자음들도 있고 거의 모든 키에 3번 눌러야 나오는 자음이나 모음들이 배치되어 있다.By the way, there are some consonants coming out by pressing the same key four times, and almost every key has three consonants or vowels arranged.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 외에도 기호를 입력할 때 하나의 기호 입력 후에 다시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시켜야 하므로, 여러 개의 기호를 사용하려면 동일한 작업, 즉 한글에서 기호로 변경하는 작업, 희망하는 페이지를 찾는 작업, 스크롤하는 작업 등을 매번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o the shortcomings described above, when entering a symbol, it is necessary to switch back to the Hangul input mode after inputting a single symbol. Therefore, to use multiple symbols, the same operation, changing from Hangul to a symbol, finding a desired page,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a scrolling operation every time.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범례 키를 도입하여 해당 범례 키를 포함하여 모든 자음과 모음을 두 번 이하의 누름(단, 예외적으로 단 하나의 중모음 'ㅢ'만 세 번 누름)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는 일을 없애 한글 입력에 편리함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legend key, pressing all the consonants and vowels two times or less, including the legend key (except, only one vowel 'ㅢ' three times as an exception) Pressing),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Hangul, the user does not have to repeat the same operation several times to input the Hangul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Hangul input, the purpose is.

또한, 본 발명은 자음을 왼쪽에, 모음의 'ㅏ'와 'ㅓ'를 오른쪽에, 모음의 'ㅗ'와 'ㅜ'를 아래쪽에 배치시켜 한글 자모 배치 모양을 따르게 하고 양손으로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는 회수를 감소시키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consonants on the left, 'ㅏ' and 'ㅓ' of the vowels on the right side, 'ㅗ' and 'TT' of the vowels to follow the Hangul alphabet arrangement shape and can be input simultaneously with both hands.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number of keystrokes a user enters and make it user friendly.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gul input device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있어 한글 입력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키 매트릭스를 나타낸 도면.2,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a key matrix for explaining examples of Hangul input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display por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배열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6, 7 and 8 illustrate examples of key arran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중앙 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11 central processor 12 key input unit

13 : 액정 표시부 14 : 메모리13 liquid crystal display 14 memor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은 주 자음과 주 모음을 기본 키로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주 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키를 중복적으로 눌러야 입력되는 모음을 중복 키로 설정하여 상기 주 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키와 중복 키를 조합시켜 할당하는 과정과; 범례 키를 설정하여 입력 가능한 자음과 모음을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시켜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주 자음이나 주 모음을 문자 입력 창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범례 창을 띄워 상기 범례 키를 눌러 입력 가능한 자음이나 모음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범례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시켜 이에 대응하는 자음이나 모음을 상기 주 자음이나 주 모음 대신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중복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상기 주 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키와 중복 키를 조합시켜 이에 대응하는 모음을 상기 주 모음 대신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음은 왼쪽과 위쪽의 위치에 키를 할당하고 상기 모음은 오른쪽과 아래쪽에 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ssigning a main consonant and a main vowel as a primary key; Assigning a vowel inputted by pressing the primary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 as a duplicate key and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duplicate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 Assigning an input consonant and a vowel by combining a basic key and a legend key by setting a legend key; Detecting a press of the primary key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in a text input window and displaying a consonant or vowel which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legend key; Detecting pressing of the legend key and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legend key to display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hereto instead of the main consonants or vowels; And detecting a pressing of the duplicate key,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duplicate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vowel instead of the main vowel. Here, the consonants assign keys to the left and upper positions, and the vowels assign keys to the right and lower positions.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은 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한 후에도 계속해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락 키를 설정하는 과정과; 기호 입력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에 상기 락 키의 누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락 키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기호를 범례 창에 기억시키는 과정과; 취소를 누르거나 락을 풀 경우에 상기 범례 창에 저장된 기호를 한 번에 문자 입력 창에 입력시켜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lock key for continuously inputting a symbol even after continuously inputting the symbol; Checking whether the lock key is pressed after checking whether a symbol is input; Storing the input symbol in a legend window when the lock key is press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putting a symbol stored in the legend window into the text input window at a time when pressing cancel or unlocking.

또한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한 자음과 모음이나 상기 중복 키에 대응하는 자음과 모음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기본 키, 중복 키 및 범례 키에 대응하는 자음과 모음을 키에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lternatively,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input consonants and vowels combining the basic and legend keys or directly input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uplicate keys. And a step of setting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keys, duplicate keys, and legend keys to the key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을 도 9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9 as follows.

먼저, 기본 키, 중복 키 및 범례 키를 아래의 표 1과 같은 예로 설정해 준다. 여기서, 괄호 안의 숫자나 기호는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구성되어 있는 키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키 배열의 예와 같이, 숫자 키 '1'에 'ㄱ', '2'에 'ㄷ', '3'에 'ㅏ'와 'ㅡ', '4'에 'ㅁ', '5'에 'ㅅ', '6'에 'ㅓ'와 'ㅣ', '7'에 'ㅈ', '8'에 'ㅗ' 및 '9'에 'ㅜ'를 할당하고 '*' 키에 'ㆍ', 숫자 키 '0'에 '‥' 및 '#' 키에 '…'를 할당해 주는데, 이때 사용자가 양손으로 이용하여 친근감이 있고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한글의 구성 원리에 맞게 초성인 자음은 왼쪽과 위쪽의 위치(1, 2, 4, 5 및 7)에 할당하고 모음은 오른쪽과 아래쪽(3, 6, 8 및 9)에 할당해 준다.First, set the primary key, duplicate key, and legend key to the example shown in Table 1 below. Here, numbers or symbols in parentheses indicate keys configured in the key input unit of the terminal. That is, as in the example of the key arrangement shown in FIG. 6, the number keys '1' to 'a', '2' to 'c', '3' to 'ㅏ' and 'ㅡ', '4' to 'ㅁ' ',' 5 ',' 6 ',' ㅓ 'and' ㅣ ',' 7 ',' ㅈ ',' 8 '' ㅗ 'and' 9 'and' TT 'and' * ' 'Key to' · ', numeric key' 0 'to' ‥ 'and' # 'key to'… ' ', Where the user uses both hands to feel friendly and easy to input, the consonan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Hangul left and top positions (1, 2, 4, 5 and 7) The vowels are assigned to the right and bottom (3, 6, 8, and 9).

기본 키Primary key 중복 키Duplicate key 범례 키Legend key ㆍ(*)ㆍ (*) ‥(0)‥(0) …(#)… (#) ㄱ(1)A (1) ㄴ(1*)B (1 *) ㅋ(10)(10) ㄲ(1#)ㄲ (1 #) ㄷ(2)C (2) ㄹ(2*)D (2 *) ㅌ(20)ㅌ (20) ㄸ(2#)ㄸ (2 #) ㅁ(4)ㅁ (4) ㅂ(4*)ㅂ (4 *) ㅍ(40)P (40) ㅃ(4#)ㅃ (4 #) ㅅ(5)S (5) ㅇ(5*)ㅇ (5 *) ㅎ(50)ㅎ (50) ㅆ(5#)ㅆ (5 #) ㅈ(7)(7) ㅊ(7*)(7 *) ㅉ(7#)ㅉ (7 #) ㅏ(3)ㅏ (3) ㅡ(33)ㅡ (33) ㅑ(3*)ㅑ (3 *) ㅐ(30)ㅐ (30) ㅒ(3#)ㅒ (3 #) ㅓ(6)ㅓ (6) ㅣ(66)ㅣ (66) ㅕ(6*)ㅕ (6 *) ㅔ(60)ㅔ (60) ㅖ(6#)ㅖ (6 #) ㅗ(8)ㅗ (8) ㅛ(8*)ㅛ (8 *) ㅘ(80)ㅘ (80) ㅙ(8#)ㅙ (8 #) ㅜ(9)TT (9) ㅠ(9*)ㅠ (9 *) ㅝ(90)ㅝ (90) ㅞ(9#)ㅞ (9 #) ㅢ(336)ㅢ (336) ㅚ(86)ㅚ (86) ㅟ(96)ㅟ (96)

다시 말해서, 상기 기본 키는 'ㄱ', 'ㄷ', 'ㅁ', 'ㅅ' 및 'ㅈ'의 주 자음 5개와 'ㅏ', 'ㅓ', 'ㅗ' 및 'ㅜ'의 주 모음 4개로 이루어지며, 해당 5개의 주 자음과 4개의 주 모음을 숫자 키 '1'번에서 '9'번까지 각각 할당하여 상기 기본 키로 설정해 준다(단계 S1). 이때,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에서의 초성 자음 빈도를 나타낸 아래의 표 2를 참고하면 해당 주 자음 5개는 사용 빈도가 높은 자음들에 해당되므로, 이로 인해 키 누름의 회수가 실제 평균 1.5회 이하로 가능하다. 또한, 해당 주 모음 4개도 사용 빈도가 높은 모음들에 해당되므로, 이로 인해 키 누름의 회수가 실제 평균 1.6 ~ 1.7회 정도 미만으로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primary key includes five main consonants of 'ㄱ', 'ㄷ', 'ㅁ', 'ㅅ' and 'ㅈ' and a main collection 4 of 'ㅏ', 'ㅓ', 'ㅗ' and 'TT' It consists of five, and assigns the five main consonants and the four main vowels from the number keys '1' to '9' and set them as the primary keys (step S1). At this time, referring to Table 2 below, which shows the consonant frequency of Korean consonants in the Korean Dictionary, the five main consonants correspond to the most frequently used consonants. Therefore, the number of key presses is actually less than 1.5 times. It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four main vowels are also frequently used vowels, the number of key presses can be reduced to less than 1.6 to 1.7 times on average.

자음Consonant A N C D M S H Lol 빈도(%)frequency(%) 14.514.5 3.93.9 7.47.4 0.50.5 6.36.3 9.59.5 13.513.5 15.415.4 11.811.8 4.54.5 1.01.0 2.32.3 2.82.8 6.66.6

그리고, 상기 주 모음 4개에 해당되는 숫자 키(예로, 3, 6, 8, 9)를 중복적으로 눌러야 입력되는 5개의 모음(ㅡ, ㅣ, ㅚ, ㅟ 및 ㅢ)을 상기 주 모음 4개에 해당되는 숫자 키와 중복적으로 눌릴 2개의 숫자 키(3, 6)를 조합하여 각각 할당하여 상기 중복 키로 설정해 주는데, 4개의 모음(ㅡ, ㅣ, ㅚ, ㅟ)의 경우에는 해당 중복 키를 두 번만 누르면 입력이 되나, 예외적으로 'ㅢ'의 경우에만 3, 3, 6번 순으로 세 번 눌러야 한다(단계 S2).In addition, the five vowels (ㅡ, ㅣ, ㅚ, ㅟ and ㅢ) inputted by pressing the numeric keys (eg, 3, 6, 8, 9) corresponding to the four main vowels repeatedly are displayed. Combining the two numeric keys (3, 6) to be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and assigns each of them to set the duplicate key, in the case of four vowels (ㅡ, ㅣ, ㅚ, ㅟ) If you press only two times, you can input, except in the case of 'ㅢ' only three times in the order of 3, 3, 6 (step S2).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기본 키에 해당되는 숫자 키를 누르는 경우에 해당 기본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창과 범례 창을 디스플레이시켜 해당 문자 입력 창을 통해 누른 키를 디스플레이해 주고 해당 범례 창을 통해 상기 기본 키 외 확장 가능한 자음이나 모음을 디스플레이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즉 각 '*', '0'번 및 '#'의 키를 상기 범례 키(ㆍ, ‥ 및 …)로 각각 할당하여 상기 기본 키에 해당되는 9개의 숫자 키 다음에 눌러 입력할 확장 가능한 자음이나 모음을 상기 각 기본 키와 각 범례 키를 조합하여 각각 할당해 준다(단계 S3).When the user presses the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key, the user detects the pressing of the primary key and displays the character input window and the legend window as shown in FIG. 5 to display the pressed key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window. In order to display and select an expandable consonant or vowel in addition to the primary key through the corresponding legend window, that is, the keys of the '*', '0' and '#' keys are selected from the legend keys (... Each of the primary keys and the legend keys is assigned to each of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vowels (step S3).

그리고, 상기 '#' 키를 락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설정해 줌으로써, 기호의 연속적인 입력 시에 상기 '#' 키를 누르는 경우에 기호가 입력된 후에는 빠져 나오지 않고 계속해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단계 S4). 여기서, 기호 입력 방식에 있어 '#' 키를 락 키로 사용함으로써, 기호 입력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에 해당 기호 입력 상태에서 '#' 키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 빠져나가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된 기호들이 한글 입력 방식에서 사용했던 범례 창에 기억된 후에 취소(즉, 돌아가기)를 누르거나 락을 풀었을 때(즉, '#' 키를 다시 눌렀을 때)에 해당 범례 창에 저장되어 있던 기호들이 한 번에 입력 창에 입력되도록 하여 동일한 일을 반복하는 경우를 제거해 준다.By setting the '#' key as a key for performing a lock function, when the '#' key is pressed during continuous input of a symbol, the symbol can be continuously entered without exiting after the symbol is input. To perform a func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step S4). Here, the symbol input method uses the '#' key as a lock key, and after checking whether the symbol is in the symbol input state and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 key in the symbol input state, the symbol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without exiting Symbols stored in the legend window when they are canceled (ie return) or unlocked (that is, when the '#' key is pressed again) are remembered in the legend window used by the Korean input method. Eliminate the need to repeat the same thing by typing in the input window at once.

이에, 사용자가 상기 기본 키에 해당되는 숫자 키(즉, 1 ~ 9)를 누르는 경우, 해당 기본 키에 해당되는 숫자 키의 누름을 감지하는데(단계 S5), 이때 감지된 숫자 키에 대응하는 기본 키(즉, 주 자음이나 주 모음)를 문자 입력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줌과 동시에(단계 S6) 해당 문자 입력 창 밑에 범례 창을 띄워서 상기 범례 키를 이용하여 입력 가능한 자음이나 모음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준다(단계 S7).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a numeric key (ie, 1 to 9)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key, the user detects the pressing of the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rimary key (step S5). The key (i.e., main consonant or main vowel)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step S6), and a legend window is displayed below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window to read and display the consonants or vowels that can be input using the legend key. (Step S7).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범례 키에 해당되는 '*', '0' 및 '#' 키의 누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8), 이때 해당 제8단계(S8)에서 상기 범례 키에 해당되는 키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7단계(S7)에서 디스플레이된 자모를 삭제하고 이것 대신에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하여 이에 대응하는 자모를 디스플레이시켜 준다(단계 S9).Then, the user checks whether the '*', '0' and '#' keys corresponding to the legend key are pressed (step S8), in which case the eighth step (S8) corresponds to the legend key. If it is detected that the key is pressed, the Jamo displayed in the seventh step S7 is deleted, and instead, the corresponding key is displayed by combining the basic key and the legend key (step S9).

반면에, 상기 제8단계(S8)에서 상기 범례 키에 해당되는 키의 누름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중복 키에 해당되는 숫자 키(즉, 3, 6)의 누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10), 이때 해당 제10단계(S10)에서 상기 중복 키에 해당되는 숫자 키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중복 키에 대응하는 모음을 디스플레이시켜 준다(단계 S11).On the other hand, if the eighth step (S8) does not detect the pressing of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legend key, to check whether there is a pressing of the numeric key (ie, 3, 6) corresponding to the duplicate key (step S10) In this case, when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the duplicated key in the tenth step (S10),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duplicated key is displayed (step S11).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즉 상기 제5단계(S5)에서부터 상기 제11단계(S11)까지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두 번의 키 누름으로 모든 자모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By repeatedly perform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peration from the fifth step S5 to the eleventh step S11, all the letters are input by pressing two keys.

그러면, 첫 번째로, 자음의 입력 방법을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9개의 자음이 있는데, 상기 주 자음 5개('ㄱ', 'ㄷ', 'ㅁ', 'ㅅ' 및 'ㅈ')를 기본 키로 설정하여 각각 숫자 키 '1', '2', '4', '5' 및 '7'에 할당해 두며, 'ㆍ', '‥' 및 '…'를 범례 키로 설정하여 각각 '*', '0' 및 '#'의 키에 할당해 두며, 해당 각 기본 키를 눌렀을 경우에 범례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자음을 해당 각 기본 키와 각 범례 키를 조합하여 각각 할당해 둔다.First, as shown in Table 1, there are 19 consonants, and each of the five main consonants ('ㄱ', 'ㄷ', 'ㅁ', 'ㅅ', and 'ㅈ') is set as a primary key, and each number key ' 1 ',' 2 ',' 4 ',' 5 'and' 7 ', and' · ',' ‥ 'and'… '. 'As the legend key and assign it to the keys of' * ',' 0 'and' # 'respectively, and each primary key and each legend key will be displayed when the corresponding primary key is pressed. Allocate them in combination.

이에, '1'을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ㄱ'을 디스플레이해 주고 범례 창에 'ㄴ', 'ㅋ' 및 'ㄲ'을 디스플레이해 주며, '1'을 누른 후에 '*'를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ㄱ' 대신에 'ㄴ'을 디스플레이해 주며, '2'를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ㄷ'을 디스플레이해 주고 범례 창에 'ㄹ', 'ㅌ' 및 'ㄸ'을 디스플레이해 주며, '2'를 누른 후에 '*'를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ㄷ' 대신에 'ㄹ'을 디스플레이해 주는 등과 같이, 모든 자음을 두 번 이하의 키 누름으로 입력이 가능하다.Therefore, press '1' to display 'ㄱ' in the text input window, 'b', 'ㅋ' and 'ㄲ' in the legend window, and press '*' after pressing '1' to enter text. Display 'b' instead of 'ㄱ' in the window, press '2' to display 'b'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d', 'ㅌ' and 'ㄸ' in the legend window, After pressing '2' and pressing '*', all consonants can be entered by pressing the key twice or less, such as displaying 'ㄹ' instead of 'ㄷ'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두 번째로, 모음의 입력 방법을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econdly, the input method of the vowel is described again as an example.

먼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1개의 모음이 있는데, 상기 주 모음 4개('ㅏ', 'ㅓ', 'ㅗ' 및 'ㅜ')를 기본 키로 설정하여 각각 숫자 키 '3', '6', '8' 및 '9'에 할당해 두며, 상기 주 모음 4개에 해당되는 숫자 키(예로, 3, 6, 8, 9)를 중복적으로 눌러야 입력되는 5개의 모음(ㅡ, ㅣ, ㅚ, ㅟ 및 ㅢ)을 중복 키로 설정하여 상기 주 모음 4개에 해당되는 숫자 키와 중복적으로 눌릴 2개의 숫자 키(3, 6)를 조합하여 각각 할당해 두며, 'ㆍ', '‥' 및 '…'를 범례 키로 설정하여 각각 '*', '0' 및 '#'의 키에 할당해 두며, 해당 각 기본 키를 눌렀을 경우에 범례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모음을 해당 각 기본 키와 각 범례 키를 조합하여 각각 할당해 둔다. 여기서, 자음의 오른쪽에 항상 위치하는 'ㅏ'나 'ㅓ'는 오른쪽(3, 6)에 배치하고 자음의 아래쪽에 항상 위치하는 'ㅗ'나 'ㅜ'는 아래쪽(8, 9)에 배치해 줌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이고 양손으로 입력하기에 편리하도록 설정해 둔다.First, as shown in Table 1, there are 21 vowels. The four main vowels ('ㅏ', 'ㅓ', 'ㅗ' and 'TT') are set as primary keys, respectively, and the numeric keys' 3 'and' 6 ',' 8 'and' 9 ', and the five vowels (ㅡ, ㅣ must be pressed repeatedly by pressing the number keys corresponding to the four main vowels (eg, 3, 6, 8, 9). , ㅚ, ㅟ, and ㅢ) are set as duplicate keys and assigned by combining the numeric keys corresponding to the four main vowels and the two numeric keys (3, 6) to be pressed repeatedly, respectively. 'And'… 'As the legend key and assign it to the keys' *', '0' and '#' respectively, and if you press each of those primary keys, a collection of lines will be displayed in the legend window. Allocate them in combination. Here, 'ㅏ' or 'ㅓ' alway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should be placed on the right side (3, 6), and 'ㅗ' or 'TT' always on the bottom side of the consonant. By setting it to be user-friendly and convenient for both hands to type.

이에, '3'을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ㅏ'를 디스플레이해 주고 범례 창에 'ㅑ', 'ㅐ' 및 'ㅒ'를 디스플레이해 주며, '3'을 누른 후에 '3'을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ㅏ' 대신에 'ㅡ'를 디스플레이해 주며, '3'을 누른 후에 '*'를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ㅏ' 대신에 'ㅑ'를 디스플레이해 주며, '6'을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ㅓ'를 디스플레이해 주고 범례 창에 'ㅕ', 'ㅔ' 및 'ㅖ'를 디스플레이해 주며, '6'을 누른 후에 '6'을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ㅓ' 대신에 'ㅣ'를 디스플레이해 주며, '6'을 누른 후에 '*'을 누르면 문자 입력 창에 'ㅓ' 대신에 'ㅕ'를 디스플레이해 주는 등과 같이, 모든 모음을 두 번 이하의 키 누름으로 입력이 가능하다.Thus, pressing '3' displays 'ㅏ' in the text input window and displays 'ㅑ', 'ㅐ' and 'ㅒ' in the legend window.Press '3' and then press '3' to enter text. Display 'ㅡ' instead of 'ㅏ' in window, press '*' after pressing '3', display 'ㅑ' instead of 'ㅏ' in character input window, press '6' to input character Display 'ㅓ' in the window, 'ㅕ', 'ㅔ' and 'ㅖ' in the legend window, press '6' and then press '6'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instead of 'ㅓ' You can enter all vowels with two or fewer keystrokes, such as displaying ',' and pressing '6' followed by '*' instead of 'ㅕ' in the text input window. .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뭘"을 입력하려면 4, 9, 0, 2, *의 순으로 5번만 누르면 되며, "봐"는 4, *, 8, 0의 순으로 4번만 누르면 되며, "왜'는 5, *, 8, #의 순으로 4번만 누르면 된다.To enter "what" in the same way as above, just press 5 times in the order of 4, 9, 0, 2, *. "Look" just press 4 times in the order of 4, *, 8, 0. 'Is just 4 times in order of 5, *, 8, #.

이와 같이,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일반 단자음이나 단모음에서는 약간의 수치 차이로 입력 횟수가 낮으나, 자음이 중복되거나 복잡한 이중 모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례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이 입력 횟수가 월등히 낮음을 알 수 있다.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number of inputs due to a slight numerical difference in a general terminal sound or a short vowel, but in the case of a double vowel consonant or a complex consonant, the legend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Hangul input method used is much lower.

한편, 상기 범례 창이 없는 경우에 단지 기본 키만 있으면 자음을 입력할 때에 혼선이 빚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배열의 예들을 도 7 및 도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해당 키 배열을 보고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한 자모나 상기 중복 키에 대응하는 자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legend window, if there is only a primary ke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rosstalk occurs when inputting consonants, and examples of key arran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liminate this problem. This allows the user to view the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and input a letter combination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legend key or a letter corresponding to the duplicate ke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범례 키를 도입하여 해당 범례 키를 포함하여 모든 자음과 모음을 두 번 이하의 누름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는 일을 없애 한글 입력에 편리함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a legend key so that all consonants and vowels including the legend key can be input by pressing two or less times, the user may input the same operation several times. It can be provided as a convenience for Korean input by eliminating repetitive work.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자음을 왼쪽에, 모음의 'ㅏ'와 'ㅓ'를 오른쪽에, 모음의 'ㅗ'와 'ㅜ'를 아래쪽에 배치시켜 한글 자모 배치 모양을 따르게 하고 양손으로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는 회수를 감소시키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들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s are placed on the left side, 'ㅏ' and 'ㅓ' on the right side, and 'ㅗ' and 'TT' on the bottom side of the vowel to follow the shape of the Hangul alphabet and input simultaneously with both hands. By doing so, the user can reduce the number of keystrokes and make the user friendly.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기호 입력 방식에도 락 키를 사용하여 기호 입력 상태에서 해당 락 키를 누르면 눌러 사용자가 선택한 여러 개의 기호들이 한 번에 입력 창에 쓰여지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는 일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mbol input metho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lock key in the symbol input state by using the lock key, a plurality of symbols selected by the user are written at a time to be written in the input window. Can be removed.

Claims (4)

주 자음과 주 모음을 기본 키로 할당하는 과정과;Assigning a main consonant and a main vowel as primary keys; 상기 주 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키를 중복적으로 눌러야 입력되는 모음을 중복 키로 설정하여 상기 주 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키와 중복 키를 조합시켜 할당하는 과정과;Assigning a vowel inputted by pressing the primary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 as a duplicate key and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duplicate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 범례 키를 설정하여 입력 가능한 자음과 모음을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시켜 할당하는 과정과;Assigning an input consonant and a vowel by combining a basic key and a legend key by setting a legend key; 상기 기본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주 자음이나 주 모음을 문자 입력 창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범례 창을 띄워 상기 범례 키를 눌러 입력 가능한 자음이나 모음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Detecting a press of the primary key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in a text input window and displaying a consonant or vowel which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legend key; 상기 범례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시켜 이에 대응하는 자음이나 모음을 상기 주 자음이나 주 모음 대신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Detecting pressing of the legend key and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legend key to display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hereto instead of the main consonants or vowels; 상기 중복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상기 주 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키와 중복 키를 조합시켜 이에 대응하는 모음을 상기 주 모음 대신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Detecting a press of the duplicate key, and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duplicate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vowel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vowel instead of the main vowel. Input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은 왼쪽과 위쪽의 위치에 키를 할당하고 상기 모음은 오른쪽과 아래쪽에 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And the vowels assign keys to the left and top positions and the vowels assign keys to the right and bottom 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한 후에도 계속해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락 키를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a lock key for continuously inputting a symbol even after continuously inputting the symbol; 기호 입력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에 상기 락 키의 누름을 감지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lock key is pressed after checking whether a symbol is input; 상기 락 키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기호를 범례 창에 기억시키는 과정과;Storing the input symbol in a legend window when the lock key is pressed; 취소를 누르거나 락을 풀 경우에 상기 범례 창에 저장된 기호를 한 번에 문자 입력 창에 입력시켜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And a step of inputting a symbol stored in the legend window into a text input window at a time when pressing cancel or unlock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 키와 범례 키를 조합한 자음과 모음이나 상기 중복 키에 대응하는 자음과 모음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기본 키, 중복 키 및 범례 키에 대응하는 자음과 모음을 키에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Setting a consonant 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key, the duplicate key, and the legend key to a key such that the consonant and the vowel combining the primary key and the legend key or the consonant and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duplicate key can be directly inputted. Hangul input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KR1020000080941A 2000-12-22 2000-12-22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515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41A KR20020051568A (en) 2000-12-22 2000-12-22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41A KR20020051568A (en) 2000-12-22 2000-12-22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568A true KR20020051568A (en) 2002-06-29

Family

ID=2768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941A KR20020051568A (en) 2000-12-22 2000-12-22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15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5345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200100015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20000020929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of telephone and keypad the same
KR10035164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25297A (en) How to enter text on a mobile phone
KR20020051568A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65826A (en) Hangul Character Input System and Hangul Vowel Input Method
KR19990069519A (en) Message input device of communication terminal
KR0164404B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phone key-pad
KR19980013987A (en) How to input Hangul signal using Tenki
JPH04281514A (en) Input device
KR200217167Y1 (en) A device of displaying the upper character, codes and marks on keyboard by double-times consecutive typing with mode-switching function in computer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KR10038084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20030034787A (en)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JP2649139B2 (en) Keyboard for inputting Roman characters
KR20010091439A (en) Method for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20020022973A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KR200900101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KR20050013921A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