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848B1 - Character input method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848B1
KR100380848B1 KR10-2000-0067095A KR20000067095A KR100380848B1 KR 100380848 B1 KR100380848 B1 KR 100380848B1 KR 20000067095 A KR20000067095 A KR 20000067095A KR 100380848 B1 KR100380848 B1 KR 10038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onsonant
vowel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7110A (en
Inventor
한재준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848B1/en
Publication of KR200200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8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자음 또는 모음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onant or vowel input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사용자가 손쉽게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Allows the user to easily enter consonants or vowels.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의 요지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별로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들이 할당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숫자 키의 입력에 의해 해당 키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 중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을 선택하는 제 1 단계; 숫자 키의 입력 후에 상기 숫자 키와는 상이한 특정 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숫자키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 중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의 좌측이나 우측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wo or more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for each numeric key of " 0 " to " 9 ", wherein among the consonants or vowel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y the input of the numeric keys.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sonant or a representative vowel;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sonant or a consonant or a vowel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epresentative vowel among consonants or vowel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by input of a specific key different from the numeric key after input of the numeric key; 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consonant or vowel.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의 자음 또는 모음 입력에 이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nsonant or vowel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METHOD}

본 발명은 자음 또는 모음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자음 또는 모음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sonant or vowel inp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onant or vowel input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휴대용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대부분의 기기는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키입력부가 숫자 및 최소한의 기능키만을 구비하고 있다.따라서, 한글이나 영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나의 키에 다수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다. 통상, 각각의 키에 3개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할당하고, 각각의 키 눌림 횟수에 따라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고 있다.In general, most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e only a number and a minimum function key in order to reduce the size.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and used. Typically, three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to each key, and the consonants or vowels assig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 presses are received.

하기의 그림은 일반적인 키패드를 나타낸 것이다.The figure below shows a typical keypad.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의 예를 들면, "5"번 키를 한번 누르면 "ㅈ"이 되고, 두 번 누르면 "ㅊ"이 되고, 세 번 누르면 "ㅎ"이 된다. 하기의 그림은 각각의 문제에 할당된 키 값을 나타낸 것이다.For example, to enter a consonant or vowel, press the "5" key once to become "ㅈ", twice to make "zh", and press the third time to "ㅎ". The figure below shows the key values assigned to each problem.

상기와 같은 경우,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키 누름 횟수는 산술적 평균에 60(총 누름 횟수)/30(자음 또는 모음 수) 에 의해 2회가 되어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누름 횟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key presses that the user must press to input one consonant or vowel is twice by 60 (total number of presses) / 30 (number of consonants or vowels) in the arithmetic mean, so that one consonant or vow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key presses of the user for inputting a number is large.

한편, 이와 같은 자음 또는 모음 입력 방법은 키의 누름 횟수에 의해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때문에 키 입력 시에 일정한 대기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즉, 제어부(도 1 참조)는 키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을 확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 "5"를 한번 누른 상태에서는 입력하기 위한 글자가 "ㅈ", "ㅊ", "ㅎ" 중 어느 것인지 모르는 상태가 된다. 왜냐하면, "ㅊ"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5"를 한번 더 눌러야 하고, "ㅎ"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5"를 두 번 더 눌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의 키 입력 후에 일정시간 동안 키 입력이 없으면 그때까지 입력된 해당 키의 눌림 횟수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확정하게 된다. 만일, 대기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입력되는 글자는 "5"를 누른 횟수와 무관하게 항상 "ㅈ"이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such a consonant or vowel input method, since a consonant or a vowel is input by the number of key presses,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set at the time of key input. That is, the controller (see FIG. 1) determines the input consonant or vowel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after the key is input.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5" once, the character for inputting is not known which is "j", "j", or "ㅎ". This is because “5” must be pressed once more to enter “” and “5” must be pressed twice to enter “”. That is, if there is no ke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user's key input, the consonant or vowel to be input by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key is pressed. If the waiting time is not set, the input character will always be "ㅈ"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mes "5" is pressed.

따라서, 각각의 자음 또는 모음입력 마다 설정된 대기 시간만큼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 시간이 더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more time to input consonants or vowels by the set waiting time for each consonant or vowel inpu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음 또는 모음 입력 시에 사용자의 키 누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자음 또는 모음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presses of a user when inputting a consonant or a vowel, and shortening the consonant or vowel inpu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2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eiving a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어부 120 : 표시부100 control unit 120 display unit

130 : 음성 처리부 140 : RF부130: voice processing unit 140: RF unit

150 : 메모리 160 : 키입력부150: memory 160: key input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별로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들이 할당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숫자 키의 입력에 의해 해당 키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 중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을 선택하는 제 1 단계; 숫자 키의 입력 후에 상기 숫자 키와는 상이한 특정 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숫자키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 중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의 좌측이나 우측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wo or more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for each numeric key of " 0 " to " 9, "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sonant or a representative vowel among consonants or vowels;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sonant or a consonant or a vowel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epresentative vowel among consonants or vowel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by input of a specific key different from the numeric key after input of the numeric key; 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consonant or vowe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등,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such as a specific configuration, which are provided to assist in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2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eiving consonants or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 및 전화번호 편집, 메일 송수신 등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calling, editing a phone number, sending and receiving mail, etc.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receiving consonants or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the operation.

표시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사용 모드에 따른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10 may be configur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use mode of the terminal.

음성처리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voice processor 130 outputs a digital signal by processing 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converts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RF부(14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 및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변조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업컨버팅(UP CONVERTING) 및 필터링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The RF unit 140 down-converts and filter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outputs the signal, and up-converts the signal output by modulating th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rom the controller 100. CONVERTING) and filter and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메모리(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The memory 150 stores various programs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data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erminal. In particular, the memory 150 stores a program for receiving consonants or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하기의 그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것이다.The following figure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그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입력에 의해 할당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예로 든 것이다.The following figure is an example of Hangul consonants or vowels assigned by key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한글을 입력받기 위하여 그룹 및 그룹의 대표자음 또는 모음 선택을 위한 제 1 키(0~9까지의 숫자 키)와 선택된 그룹의 하위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제 2 키("*"와 "#")로 나뉘어 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key (number keys 0 to 9) for selecting a consonant or a vowel of a group and a group and a second key for inputting a lower consonant or a vowel of a selected group to receive a Hangul input "*" And "#").

이를 정리하면 하기 표와 같다.This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제 1 키(그룹)First key (group) 제 1 키 입력 후"*"가 입력될 경우When "*" is input after the first key input 제 1 키만 입력될 경우 대표 자음 또는 모음Representative consonants or vowels when only the first key is entered 제 1 키 입력 후"#"이 입력될 경우When "#" is entered after the first key input 00 ~To 1One A N 22 C D Lol 33 M 44 S 55 H 66 77 88 99 T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키의 설정하여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때문에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평균 키 누름 수는 50/30 약 1.67회로 종래와 비교하여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숫자적인 비교에 의해 종래(2회)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할 수 있으나 실제 100개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데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167회의 키를 눌러야 하지만 종래에는 200개의 키를 눌러야해 30회 이상의 누름 횟수 차이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keys are set to receive consonants or vowels, the average number of key presses that the user must press to input the consonants or vowels is about 50/30 to about 1.67 times. It can be seen that compared to the improvement. By the numerical comparison, there may be no difference in the conventional (two times), but the actual input of 100 consonants or vowels requires the press of 167 time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esses above occur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자음 또는 모음 입력에 따른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ing flow according to consonant or vowel inp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의 3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전화번호의 이름을 입력하거나, 단문 메시지 작성을 위해 글자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310 단계로 진행하여 제 1 키(0~9의 숫자 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키입력부(160)로부터 제 1 키가 입력되면 320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제 1 키에 따른 해당 그룹의 자음 또는 모음들을 화면 출력하고, 대표자음 또는 모음은 여타의 그룹 자음 또는 모음과 구별하여 출력한다. 하기 표는 사용자가 "텔슨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ㅈ"을 입력하기 위해 제 1 키인 "5"키를 눌렀을 때의 표시부(120) 출력 예를 나타낸 것이다.In step 300 of FIG. 2, if the controller 100 enters a name of a phone number or selects a text input mode for writing a short message,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10 and checks whether a first key (number keys of 0 to 9) is input. do. When the first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60,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320 and outputs consonants or vowels of the corresponding group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key, and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or vowels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group consonants or vowels. do. The following table shows an example of output of the display unit 120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key “5” to input “” to input “telson information”.

ㅈ ㉩ ㅎ* #텔슨ㅊ# ㅎㅎ * #telson

330 단계에서 제 2 키(*)가 입력되면 340 단계로 진행하여 제 1 키 및 제 2 키에 따른 자음 또는 모음을 검색한다(표 1).When the second key (*) is input in step 33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40 to search for consonants or vowels according to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Table 1).

35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인 "ㅈ"을 출력하고 360 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350, the controller 100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 and proceeds to step 360.

한편 330 또는 340 단계에 의해 계속해서 제 2 키("*" 또는 "#")가 눌려지면 키 눌림에 따라 기 입력된 제 1 키에 따른 해당 그룹의 자음 또는 모음들을 토글하여 버퍼링한다. 즉, "*"가 두 번 눌려지면 "ㅎ"을, 세 번 눌려지면 "ㅊ"을, 네 번 눌려지면 "ㅈ"을 출력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key ("*" or "#") is continuously pressed by the step 330 or 340, the consonants or vowels of the corresponding group according to the first key is toggled and buffered as the key is pressed. In other words, if "*" is pressed twice, "ㅎ" is printed three times, "ㅊ" is pressed three times, and "ㅈ" is printed four times.

330 단계에서 제 2 키가 입력되지 않고 331 단계에서 제 1 키가 다시 입력되면 332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작품"라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 첫 번째 글자 "작"의 마지막 자음 또는 모음인 "ㄱ"을 입력하고 두 번째 글자인 "품"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1 키인 "4"를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품"을 입력하기 위해 "4"을 누르면 332 단계로 진행하여 선입력된 제 1 키에 따른 자음 또는 모음을 검색하고, 333 단계에 의해 출력 한다.If the second key is not input in step 330 and the first key is input again in step 331, the flow proceeds to step 332. For example, if you enter the word "work", the user enters the first key "4" in order to enter the last consonant or vowel "ㄱ" of the first letter "work" and the second letter "work". You have to press this, which is the case. When the user presses "4" to input the "produc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32 to search for consonants or vowels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key, and outputs by step 333.

334 단계에서 사용자의 종료 요구가 있으면 370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단어나 문장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330 단계로 돌아간다.In step 334, if there is a user's termination reque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70, and the entered word or sentence is stored; otherwise, the flow returns to step 330.

333 단계에서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을 버퍼링 한 다음은 320 단계로 돌아가 해당 그룹의 자음 또는 모음들을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출력되는 그룹은 331 단계에서 입력받은 제 1 키에 의한다.After buffering the consonants or vowels in step 333,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20 and outputs the consonants or vowels of the corresponding group, where the output group is based on the first key received in step 33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자음 또는 모음의 확정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 1 키 또는 제 2 키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었을 시에 자음 또는 모음을 확정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입력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or the vowel is determined by the first key or the second key input by the user, and thu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sonant or the vowel when a certain time elapses.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time is reduced.

예를 들어 "텔슨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he flow for entering "telson information" is as follows.

이상의 설명에서는 한글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여타 영문 등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has been described, but it can be applied to other English.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음 또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그룹 및 상기 그룹의 대표 자음 또는 모음 선택을 위한 제 1 키와, 상기 제 1 키와는 상이하며 상기 제 1 키에 의해 선택된 그룹의 하위 자음 또는 모음 선택을 위한 제 2 키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 1 키 또는 상기 제 1 키와 상기 제 2 키에 의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을 저장함으로써, 자음 또는 모음 입력 시에 사용자의 키 누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자음 또는 모음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p input from a user by a consonant or vowel input mode, a first key for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sonant or a vowel of the group, and a group different from the first key and selected by the first key. Pressing a user's key at the time of inputting a consonant or a vowel by receiving a second key for selecting a lower consonant or a vowel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the vowel by the first key or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received The number of times can be minimized and the consonant or vowel input time can be shortened.

Claims (3)

삭제함Deleted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별로 두 개 이상의 문자들이 할당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wo or more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number key from "0" to "9", 숫자 키가 입력되고 상기 숫자 키와는 상이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숫자 키에 할당된 문자들 중 상기 특정키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저장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storing a character selected by the specific key among the let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when a numeric key is input and a specific key different from the numeric key is input; 상기 특정 키가 2회 이상 눌려지면 상기 특정 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들을 토글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 후 숫자 키가 입력되면 상기 토글하여 출력한 해당 문자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press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by inputting the specific key when the specific key is pressed two or more times;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utput by toggling the numeric key when the numeric key is input after the display. ; And, 숫자키가 입력되고 다시 숫자키가 입력되면 선 입력된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들 중 대표 문자를 저장하는 3 단계When the numeric key is input and the numeric key is input again, step 3 of storing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mong the letters assigned to the pre-entered numeric keys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th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숫자 키가 입력되면 해당 그룹의 문자들을 표시하고, 대표 문자는 여타의 문자들과 구별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number of the group is displayed when the numeric key is input,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characterized in that distinguished from other characters to display.
KR10-2000-0067095A 2000-11-13 2000-11-13 Character input method KR100380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095A KR100380848B1 (en) 2000-11-13 2000-11-13 Character inpu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095A KR100380848B1 (en) 2000-11-13 2000-11-13 Character input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110A KR20020037110A (en) 2002-05-18
KR100380848B1 true KR100380848B1 (en) 2003-05-01

Family

ID=1969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095A KR100380848B1 (en) 2000-11-13 2000-11-13 Character inpu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8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91B1 (en) * 2001-12-15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electronic product
KR100905575B1 (en) * 2002-11-04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Two dimensio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823A (en) * 2000-08-09 2002-02-20 안재우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823A (en) * 2000-08-09 2002-02-20 안재우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110A (en)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312B1 (en) Character input method in wireless telephone set
EP1835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EP1282031A2 (en) A method of entering characters into a text string and a text-editing terminal using the method
US20020135579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8084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20060020603A1 (en) Word database compression
KR20030000712A (en) The method of arrangement English letter key pad i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obile phone and English letter key pad i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obile phone
KR100324096B1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lephone
KR100557129B1 (en) Appratus for inputting key in mobile terminal
US20030023792A1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text input aid and dictionary function
KR20020039421A (en) Text input method for terminal unit
KR20000044417A (en)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simply
KR100397509B1 (en)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20020084905A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437323B1 (en) A Korean charater entr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73332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2272A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0927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1007389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10076411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672343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hereof
KR1007389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20040029599A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