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555A -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555A
KR20020051555A KR1020000080928A KR20000080928A KR20020051555A KR 20020051555 A KR20020051555 A KR 20020051555A KR 1020000080928 A KR1020000080928 A KR 1020000080928A KR 20000080928 A KR20000080928 A KR 20000080928A KR 20020051555 A KR20020051555 A KR 2002005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anager
user
service manager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효상
문영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1555A/ko
Publication of KR2002005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5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댁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경우 시스템 설계시에 정의된 형태로만 운용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시에 기능 업그레이드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정기기 및 시스템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댁내의 기기에 범용으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오픈 소스 코드인 지니 테크놀로지를 적용하여 웹과의 연동에 의해 댁내에 설치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 등의 각종 기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인터넷과 연동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댁내의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들을 선택하여 원격 제어케 하므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시에 별도의 업그레이드 없이 사용 가능하고 댁내의 기기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Method for In House Equipment Control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과 연동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댁내의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들을 선택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댁내에서는 여러가지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댁내의 기기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모든 제어 대상 기기에 연결된 중앙 제어국에서 미리 정의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 기기들을 제어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 제어국에서는 제어하고자 하는 각 기기의 개별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를 하는데 기능이 복잡해 질수록 제어부가 복잡해지며,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처음에 설계되어진 형태로 운용되거나 새로운 모듈을 추가시키는 경우 프로그램 자체를 업데이트 해주어야 한다,
예를들어, 안방 전등의 전원을 오프(off) 시키고자 할 경우 중앙의 제어부에 위치한 점등 버튼을 수동 조작해야 하고, 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을 경우 이를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홈 자동화(Home Automation)의 개념은 외부에서 집안의 진일보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한 국부적 시스템이 대부분이므로, 외부에서 집안의 진일보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상용화된 시스템에서는 전화선로를 이용한 자동 응답에 의한 펄스신호로 단순한 기능 제어만이 가능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댁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경우 시스템 설계시에 정의된 형태로만 운용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시에 기능 업그레이드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정기기 및 시스템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댁내의 기기에 범용으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댁내에 설치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 등의 각종 기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인터넷과 연동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댁내의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들을 선택하여 원격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시에 기능 업그레이드가 용이케 하고 댁내의 기기에 범용으로 적용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등록을 도시한 도.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검색을 도시한 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의 홈 게이트웨이와 웹과의 연동을 도시한 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등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검색 및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비스 제공자 20 : 서비스 이용자
30 : 서비스 관리자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관리자에게 접근하여 자신의 서비스 목록을 등록하는 등록과정과;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접근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과정과;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관리자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댁내의 기기를 원격 제어한후 해당 제어 결과를 확인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한편, 상기 등록과정은, 서비스 제공자가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자를 검색한후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등록 객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을 위한 객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객체를 통해서 서비스 관리자에게 서비스 목록을 보내어 서비스 목록을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과정은.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관리자에게 접근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검색 객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객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검색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과정은, 서비스 이용자가 브라우져에 보여진 화면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후, 원하는 기능을 입력하여 제어명령을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 수행한후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수행결과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동작 수행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산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댁내의 각종 기기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되, 선 마이크로 시스템즈사에서 제안한 JINI(이하,"지니"라 칭함)라는 분산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지니는 자바(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기기나 소프트웨어를 동적으로 연계시키는 기술로서 특정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어떤 것이든지 상관없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네트워크상에서 서로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때, 지니를 장착한 기기들은 하나의 서비스 개념으로 처리되는데 이러한 서비스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서 서로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연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연합체는 지니를 장착한 기기끼리 특정한 업무를 실행,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의 집합으로서 서로간에 상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지니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는 소정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지니를 장착한 기기에 어떤 형식으로든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고, 랜(LAN), 무선, 전화선, 전용선 등의 형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야 하며, 운영체제와 더불어 지니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자바 버추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을갖추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지니 시스템을 적용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10), 서비스 이용자(20) 및 서비스 관리자(30)로 이루어진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10), 서비스 이용자(20) 및 서비스 관리자(30)는 모두 지니 테크콜로지를 채택하고 있는 기기로서 그 역할에 따라 구분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제공자(10), 서비스 이용자(20) 및 서비스 관리자(30)의 삼자간에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지니 시스템이 구동된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20)는 클라이언트(client)가 되고, 서비스 제공자(10)는 지니 시스템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프린터, 팩스, 가전기기 등과 같은 서비스가 될 수 있으며, 서비스 관리자(30)는 지니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고 제어하며 서비스 이용자(20)와 서비스 제공자(10)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자신을 서비스 이용자(20)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관리자(30)가 어디에 있는지 검색하여 해당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자신의 서비스 목록을 등록하고, 서비스 이용자(20)는 서비스 관리자(30)에 등록된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 관리자(30)는 서비스 이용자(20)에게 원하는 서비스가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려주게 되고, 어떤 서비스 이용자(20)로부터 어떤 서비스 요구가 있는지를 서비스 제공자(10)에게 알려 줌으로써 서비스 제공자(10)와 서비스 이용자(20)가 반응하여 작용케 한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자(30)가 서비스 이용자(20)와 서비스 제공자(10)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자(10)와 서비스 이용자(20)가 서비스 관리자(30)와의 통신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게 함으로써 최초 네트워크 상에 접속하였을 때 서비스 관리자(30)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10)가 자신을 서비스 관리자(30)에게 등록하는 방법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관리자(30)를 검색해 내었을때 자신을 서비스 관리자(30)에게 등록할 수 있게 하며, 서비스 이용자(20)가 서비스 제공자(30)를 검색하여 서비스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과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관리자(30)를 통해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이용자(20)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고, 서비스 제공자(10)는 프린터, 팩스, 가전기기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기기에 해당하며, 서비스 관리자(30)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비스 로케이터(Service Locator)에 해당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10), 서비스 이용자(20) 및 서비스 관리자(30)의 각각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되며, 서비스 관리자(30)는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20)에 대하여 댁내에 설치된 서비스 제공자(10)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이용자(20)와 서비스 제공자(10)의 사이는 자바 RMI(Remote Method Invocation)를 통해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객체 방송은 각 구성들 사이에서 실행코드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자바 소켓을 통해서 실행코드가 실질적으로 이동되며, 서비스 관리자(30)는 포트 4160(디폴트)를 사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받을 수 있다. 또한, 자바 RMI를 이용하여 다른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중인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끼리 상호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자(10)가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서비스 목록을 등록하는 처리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먼저, 서비스 제공자(10)가 네트워크에 접속을 함과 동시에 서비스 관리자(30)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가까운 서비스 관리자(30)를 검색한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자(30)에게 등록 객체를 요청한다(스텝 S11). 이때, 서비스 제공자(10)의 요청 메시지를 받은 서비스 관리자(30)는 서비스 제공자(10)에게 등록을 위한 자바 객체를 전송하는데(스텝 S12), 이 객체는 서비스 제공자(10)와 같은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되며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자신의 서비스 목록을 등록하되, 도4에 도시되 바와 같이 객체를 통해서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서비스 목록을 보냄으로써 하나의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20)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관리자(30)에게 등록한다(스텝 S13). 이와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관리자(30)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서비스 제공자(10)에 대한 서비스 목록을 등록하여 수용한다(스텝 S1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이용자(20)가 서비스관리자(30)를 통해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서비스를 이용케 하는 처리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먼저, 서비스 이용자(20)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관리자(30)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가까운 서비스 관리자(30)를 검색하여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웹으로 접근한후(스텝 S31),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20)는 서비스 관리자(30)에게 검색 객체를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검색을 요청한다(스텝 S32). 이때, 서비스 관리자(30)는 서비스 이용자(20)에게 객체를 전송하는데 해당 객체는 서비스 이용자와 같은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 된다. 이에따라 서비스 관리자(30)는 검색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20)에게 제공하여 서비스 이용자(20)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여 주고(스텝 S33), 서비스 이용자(20)는 브라우져에 보여진 화면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후(스텝 S34), 원하는 기능을 입력하여 제어명령을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전송한다(스텝 S35). 그때, 서비스 관리자(30)는 서비스 이용자(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을 서비스 제공자(10)에게 전송하고(스텝 S36), 서비스 제공자(10)는 서비스 관리자(3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 수행한후 결과를 서비스 관리자(30)에게 전송하며(스텝 S37), 서비스 관리자(30)는 서비스 제공자(1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수행결과를 서비스 이용자(20)에게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20)의 단말기 화면에 해당 수행결과를 표시한다(스텝 S38).
즉, 본 발명에서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한 지니 테크놀로지를 내장한 자바 서브랫(JAVA Servlet) 프로그램이 웹의 페이지 요청에 대응하여 댁내에 제어 가능한 기기의 서비스를 검색하고, 이를 결과 화면으로 보여주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기기들에게 전달하고, 해당 제어명령을 받은 기기들에서 각자의 자바/지니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서비스 이용자(20)가 인터넷을 통해 댁내의 각종 기기들을 원격 제어케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관리자(30)에 해당하는 홈 게이트웨이가 웹과 연동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20)가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여 댁내의 각종 기기를 원격 제어케 하는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으로 인터넷을 경유하여 홈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핸드폰 화면으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TV, VTR, 냉장고 또는 조명 등을 원격제어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핸드폰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해서도 원격지에서 댁내의 TV, VTR, 냉장고 또는 조명 등을 원격제어케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픈 소스 코드인 지니 테크놀로지를 적용하여 웹과의 연동에 의해 댁내에 설치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 등의 각종 기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인터넷과 연동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댁내의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들을 선택하여 원격 제어케 하므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시에 별도의 업그레이드 없이 사용 가능하고 댁내의 기기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관리자에게 접근하여 자신의 서비스 목록을 등록하는 등록과정과;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접근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과정과;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관리자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댁내의 기기를 원격 제어한후 해당 제어 결과를 확인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서비스 제공자가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자를 검색한후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등록 객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을 위한 객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객체를 통해서 서비스 관리자에게 서비스 목록을 보내어 서비스 목록을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은.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관리자에게 접근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검색 객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객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검색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서비스 이용자가 브라우져에 보여진 화면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후, 원하는 기능을 입력하여 제어명령을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 수행한후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자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수행결과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동작 수행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KR1020000080928A 2000-12-22 2000-12-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KR20020051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28A KR20020051555A (ko) 2000-12-22 2000-12-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28A KR20020051555A (ko) 2000-12-22 2000-12-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555A true KR20020051555A (ko) 2002-06-29

Family

ID=2768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928A KR20020051555A (ko) 2000-12-22 2000-12-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155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69A (ko) * 2001-10-25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뉴 구성방법
KR100653464B1 (ko) * 2005-11-18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서비스 응용의 라이프 사이클 관리 방법 및이를 이용한 서비스 분배 관리 장치
KR100667153B1 (ko) * 2004-11-25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한 원격 가전기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8951B1 (ko) * 2005-01-1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제품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9028B1 (ko) * 2004-12-07 200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KR100708467B1 (ko) * 2001-02-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57896B1 (ko) * 2006-05-24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원격 홈서비스설치 방법
WO2008031251A1 (fr) * 2006-08-15 2008-03-20 Zte Corporation Système de stockage en réseau par passerelle domestique et procédé d'accès réseau corresponda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67B1 (ko) * 2001-02-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0033869A (ko) * 2001-10-25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뉴 구성방법
KR100667153B1 (ko) * 2004-11-25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한 원격 가전기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9028B1 (ko) * 2004-12-07 200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KR100678951B1 (ko) * 2005-01-1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제품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53464B1 (ko) * 2005-11-18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서비스 응용의 라이프 사이클 관리 방법 및이를 이용한 서비스 분배 관리 장치
KR100757896B1 (ko) * 2006-05-24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원격 홈서비스설치 방법
WO2008031251A1 (fr) * 2006-08-15 2008-03-20 Zte Corporation Système de stockage en réseau par passerelle domestique et procédé d'accès réseau correspond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04988B2 (en)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2174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EP1402102B1 (en) Internet-wash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7383036B2 (en) Home network system
KR100646478B1 (ko) 댁내 기기와 사용자 단말간의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방법
US86400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mote user interface in a home network
KR100713045B1 (ko) 네트워크 가전 제어 시스템
CN103533432A (zh) 一种启动电视应用的方法和系统
KR20020041193A (ko)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CN102404413B (zh) 一种实现数字家庭设备间功能应用自动匹配的方法及系统
KR20030057298A (ko) 네트워크 장치, 네트워크 접속 관리 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증설 방법
JP4589696B2 (ja) ネットワーク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KR20020051555A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
CN104880955A (zh) 一种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和智能家居设备
EP1131735B1 (en) A smart molecule system for processing network information in any physical object
JP2002218572A (ja)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及びマイクロサーバ
CN114615307B (zh) 设备控制方法、控制终端及服务端设备
KR100522234B1 (ko) 리모콘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방법
JP200422914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50078544A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
KR20030059367A (ko)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서버
JP2004096234A (ja) ローカルサーバ装置、制御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1103308A (ja) 被制御機器、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媒体
Lucenius et al. Implementing mobile access to heterogeneous home environment
KR100523387B1 (ko) 리모콘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