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493A -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493A
KR20020051493A KR1020000080766A KR20000080766A KR20020051493A KR 20020051493 A KR20020051493 A KR 20020051493A KR 1020000080766 A KR1020000080766 A KR 1020000080766A KR 20000080766 A KR20000080766 A KR 20000080766A KR 20020051493 A KR20020051493 A KR 2002005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bluetooth
voice
transmitting
acc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설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1493A/ko
Publication of KR2002005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를 내장한 통합 액세스 장치(Integrated Access Device : IAD)가 전화, PC(Personal Computer) 또는 전기 제품을 무선으로 연결되여 제어하도록 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Voice over Digital Subscriber Line)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입자가 집안에 설치해야 하는 장치는 통합 액세스 장치로, 해당 통합 액세스 장치는 PC와 전화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모두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무실 또는 집안에서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통합 액세스 장치에 PC 또는 전화를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통합 액세스 장치와 해당 PC 또는 전화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유선을 길게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통합 액세스 장치에 블루투스를 추가하여 데이터와 음성이 외부로 나가기 전에 블루투스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무선으로 다수의 전화 및 PC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전화 또는 PC를 이용하여 통합 액세스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기 제품의 시간 예약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Access Device Using Bluetooth}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를 내장한 통합 액세스 장치(Integrated Access Device : IAD)가 전화, PC(Personal Computer) 또는 전기 제품을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도록 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Voice over Digital Subscriber Line : VoDSL)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합 액세스 장치(Integrated Access Device : 10)와, 가입자 댁내의 통합 액세스 장치와 대부분 전화국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여러 고객의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다중화 기술을 사용하여 ATM 가상 채널을 통해 ATM 망으로 전송하는 DSLAM(Digital Access Line Access Multiplexer : 20)과, 비동기식으로 시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특히 일정한 길이를 갖는 데이터를 패킷 교환하는 ATM 망(30)과, 데이터 게이트웨이(40)와, 음성 게이트웨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기존의 데이터 서비스 만을 제공하는 디지털가입자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 DSL)에 음성을 첨가함으로써, 통합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은 데이터망을 통해 패킷화된 음성을 제공하는데, 이는 음성과 데이터를 위해 동일한 망을 사용함으로써, 망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회선 교환 품질의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신뢰성 있게 제공하는 것이다.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가입자가 집안에 설치해야 하는 장치는 통합 액세스 장치(10)로,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11)와, 프로토콜 처리부(12)와,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13)와, 슬릭 및 코덱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PC와 전화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모두 사용할 수 있었다.
해당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11)는 통합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해당 프로토콜 처리부(12)는 통합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해당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13)는 패킷화되어 수신된 음성을 PCM(Pulse Code Modulation)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슬릭 및 코덱부(14)는 감쇠된 음성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 서비스를 사무실 또는 일반 주택에 제공하려면 통합 액세스 장치(10)에 PC와 전화를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통합 액세스 장치(10)와 해당 PC 또는 전화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유선을 길게 설치해야 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합 액세스 장치에 블루투스를 추가하여 데이터와 음성이 외부로 나가기 전에 블루투스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무선으로 다수의 전화 및 PC를 이용하는데 있다.
또한, 외부에서 전화 또는 PC를 이용하여 통합 액세스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기 제품을 예약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ATM 망을 이용한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2는 일반적인 통합 액세스 장치를 나타낸 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를 나타낸 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루투스부를 나타낸 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합 액세스 장치
110 :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Digital Subscriber Line Physical Layer)
120 : 프로토콜 처리부
130 : 블루투스부
140 :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Voice Digital Signal Processing)
150 : 슬릭 및 코덱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는 통합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와; 통합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처리부와; 패킷화되어 수신된 음성을 PCM으로 전환하는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와; 감쇠된 음성 신호 및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슬릭 및 코덱부와; 근거리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방법은 음성 게이트웨이 또는 데이터 게이트웨이와 DSLAM을 통해 제어할 장치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DSLAM에 전송된 정보가 DSLAM이 포함하는 IP이면, 통합 액세스 장치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를 통해 제어할 장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에서 음성디지털가입자회선의 구성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합 액세스 장치(Integrated Access Device : 100)와, 가입자 댁내의 통합 액세스 장치(100)와 대부분 전화국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여러 고객의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다중화 기술을 사용하여 ATM 가상 채널을 통해 ATM 교환망으로 전송하는 DSLAM(Digital Access Line Access Multiplexer : 200)과, 비동기식으로 시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특히 일정한 길이를 갖는 데이터를 패킷 교환하는 ATM 망(300)과, 상기 ATM 망(300)으로 들어가는 길목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400) 및 음성 게이트웨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기존의 데이터 서비스 만을 제공하는 디지털가입자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 DSL)에 음성을 첨가함으로써, 통합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통합 액세스 장치(100)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110)와, 프로토콜 처리부(120)와, 블루투스부(130)와,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140)와, 슬릭 및 코덱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PC와 전화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110)와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통합된 프로토콜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해당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140)는 패킷화되어 수신된 음성을 PCM(Pulse Code Modulation)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슬릭 및 코덱부(150)는 감쇠된 음성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블루투스부(130)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131)와, 메모리부(132)와, 블루투스 칩(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해당 블루투스 칩(133)은 전화,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등의 근거리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CPU(131)는 메모리부(132)와 블루투스 칩(133)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메모리부(132)는 블루투스 칩(133)으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의 동작은 도6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전화를 이용하여 음성 게이트웨이(500)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PC를 이용하여 데이터 게이트웨이(400)로 정보를 전송한 후(단계 S61), 해당 정보는 DSLAM(200)으로 전송된다(단계 S62). 이때, 해당 정보란 블루투스를 포함한 통합 액세스 장치(100)에 무선으로 연결된 전화, PC 또는 전기 제품에 대한 기능 코드를 말한다.
상기 전송된 정보가 DSLAM(200)에 포함된 IP인지를 판단하는데(단계 S63), 해당 정보가 DSLAM(200)에 포함되지 않는 IP이면, 해당 S61로 귀환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정보가 DSLAM(200)에 포함되는 IP이면, 가입자 댁내의 통합 액세스 장치(1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64). 해당 정보를 전송할 장치가 통합 액세스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화, PC 또는 전기 제품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65). 해당 정보를 전송할 장치가 통합 액세스 장치(100)를 포함한 전화인 경우, 전송할 전화의 주파수와 메시지를 결정한 후(단계 S66), 해당 전화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화로 전송하면, 호가 착신되어 통화가 성립된다(단계 S67).
또, 해당 정보를 전송할 장치가 통합 액세스 장치(100)를 포함한 전기 제품인 경우, 전송할 전기 제품의 주파수와 메시지를 결정한 후(단계 S68), 해당 전기 제품을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단계 S69), 해당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기 제품으로 전송하면, 전기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진다(단계 S70).
또, 해당 정보를 전송할 장치가 통합 액세스 장치(100)를 포함한 PC인 경우, 전송할 PC의 주파수와 메시지를 결정한 후(단계 S71), 해당 PC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단계 S72), 해당 제어 신호를 PC로 전송하면, 해당 제어 신호를 통해통합 액세스 장치(100)를 포함한 PC의 동작이 이루어진다(단계 S73).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 액세스 장치에 블루투스를 추가하여 데이터와 음성이 외부로 나가기 전에 블루투스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무선으로 다수의 전화 및 PC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전화 또는 PC를 이용하여 통합 액세스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기 제품을 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통합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디지털가입자회선 물리적 계층부와;
    통합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처리부와;
    패킷화되어 수신된 음성을 PCM으로 전환하는 음성 디지털신호처리부와;
    감쇠된 음성 신호 및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슬릭 및 코덱부와;
    근거리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부는, 전화, PC, 개인용 디지털 장치 등의 근거리 무선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블루투스 칩과;
    상기 블루투스 칩으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와 블루투스 칩을 제어하는 CPU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3. 음성 게이트웨이 또는 데이터 게이트웨이와 DSLAM을 통해 제어할 장치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DSLAM에 전송된 정보가 DSLAM이 포함하는 IP이면, 통합 액세스 장치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를 통해 제어할 장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치가 전화인 경우, 전송할 전화의 주파수와 메시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화로 전송하면, 호가 착신되어 통화가 성립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치가 전기 제품인 경우, 전송할 전기 제품의 주파수와 메시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기 제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제품으로 전송하면,전기 제품의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치가 PC인 경우, 전송할 PC의 주파수와 메시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PC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PC로 전송하면, PC의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00080766A 2000-12-22 2000-12-22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KR20020051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766A KR20020051493A (ko) 2000-12-22 2000-12-22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766A KR20020051493A (ko) 2000-12-22 2000-12-22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493A true KR20020051493A (ko) 2002-06-29

Family

ID=2768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766A KR20020051493A (ko) 2000-12-22 2000-12-22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14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29B1 (ko) * 2001-01-04 2004-03-10 주식회사 블루윈크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KR100424764B1 (ko) * 2001-03-05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치 클래스를 이용한질의 결과 검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29B1 (ko) * 2001-01-04 2004-03-10 주식회사 블루윈크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KR100424764B1 (ko) * 2001-03-05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치 클래스를 이용한질의 결과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5279B (fi) Menetelmä ja laite audiotakaisinkytkennän aikaansaamiseksi digitaalisella kanavalla
US5033062A (en) Digital modem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KR100378953B1 (ko) 호출음과 화중음 선택형 통신기기
US64008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criber line to telephone call distribution
JPH10336325A (ja) ネットワーク独立型通信システム
US20030137973A1 (en) VoDSL integrated access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0051493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액세스 장치 및 방법
KR20020006864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411224B1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JPH11275232A (ja) 電話交換網システム
JP3737627B2 (ja) 音声サービス機能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TWI404401B (zh) 多工通訊裝置以及多工通訊方法
CN216793069U (zh) 一种基于vdf智能设备的电话语音报警系统及装置
KR20000030120A (ko) 다채널 훅 스위치가 장착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전화통화방법
KR20040039548A (ko) 사설 교환기를 이용한 인터넷 폰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A237693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2290628A (ja) マルチコーデック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0490911B1 (ko) 모바일 집중화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377989B1 (ko)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10086840A (ko) 단절없는 음성통화를 위한 배경음악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9419B1 (ko) 대용량 통합 액세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1345804A (ja) 電話システム、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及び電話機
KR200201946Y1 (ko) 씨티아이 전용 키보드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