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049A - 연료 활성화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활성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049A
KR20020050049A KR1020000079414A KR20000079414A KR20020050049A KR 20020050049 A KR20020050049 A KR 20020050049A KR 1020000079414 A KR1020000079414 A KR 1020000079414A KR 20000079414 A KR20000079414 A KR 20000079414A KR 20020050049 A KR20020050049 A KR 2002005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acceleration
cylinder
dispersion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종
Original Assignee
황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호종 filed Critical 황호종
Priority to KR102000007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049A/ko
Publication of KR2002005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 F02M29/06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generating whirling motion of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솔린, 증유, 경유, 등유 등의 연료유을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는 연료유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소 중공관과 확대 중공관이 일체인 본체의 양단에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갖는 덮개가 결합되도록 하고,
축소 중공관에는 외면에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된 가속봉의 가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속부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원뿔형 돌기와 톱니형 외표면 및 구멍이 형성된 중심 분산통을 중앙에 삽입하면서 그 외부에는 톱니형 외표면과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 분산통들을 적층하여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분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산부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경사면과 작은 공급공이 일체인 분쇄링을 내장한 분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부와 철망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에 의해 통과홈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을 다수 적층한 유속부를 3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연료유를 가속, 압축, 팽창 및 분산시켜 연료유를 순간 미세하게 세절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와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소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활성화장치{.}
본 발명은 연료유(가솔린, 증유, 경유, 등유 등등)가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는 연료유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관(PIPE)속을 흐르는 연료유를 가속, 분산, 분쇄, 및 유속에 의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유를 순간 미세하게 세절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와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져 연소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료유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기타 동력 장치의 엔진에서는 연료를 밀폐된 용기의 내부로 유입시켜 압축시킨 뒤 점화에 의한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폭발시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연료 등의 유체를 전처리하여 그 물리적 성질을 개선된 상태에서 압축과 점화에 의한 폭발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유류 전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연비가 높아짐은 물론, 불완전 연소에 의한 대기의 오염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연료 등의 유체를 노즐을 통해 고속으로 분사시키게 되면 노즐을 통해 빠져나감과 동시에 압력이 해제되어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유체가 작은 미립자 상태로 되고, 이와 같이 미립자 상태로 된 유체는 주변의 공기와 많이 접하면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유체에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하거나, 고속으로 분사시키게 되면 유체의 결합관계가 불안정한 상태로 되며, 그 입자사이에 발생하게 되어 다량의 산소가 흡착되어 유체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활성화가 이루어진 연료는 이를 연소시킬 때 완전 연소가 이루어져 매연이나 그을음 등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어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소 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에는 유체를 압축 및 팽창시켜 분산토록 하는 가속봉을 삽치하여 연료를 활성화토록 하거나, 연료를 고속으로 회전토록 하는 회전 가속봉을 가짐과 동시에다단으로 적층된 원통형 분산판에 의해 압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가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 활성화장치는 연료탱크의 연료유를 가속봉이나 회전 가속봉으로 공급시켜서 연료유의 분산이 원활하게 발생되지 않아 연료의 연소효율이 극대화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관(PIPE)속을 흐르는 연료유를 가속, 분산, 분쇄, 및 유속에 의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유를 순간 미세하게 세절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와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져 연소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소 중공관과 확대 중공관이 일체인 본체의 양단에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갖는 덮개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축소 중공관에는 외면에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된 가속봉을 내장한 가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속부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원뿔형 돌기와 주연부의 톱니형 외표면이 일체이며 그 아래 다수의 구멍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중심 분산통을 중앙에 삽입하면서 그 외부에는 톱니형 외표면을 가지며 그 아래에 다수의 구멍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분산통들을 나란히 적층하여 사이에 미세한 공간들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 분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산부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경사면과 작은 공급공이 일체인 분쇄링을 내장한 분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부와 철망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에 의해 통과홈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을 다수 적층한 유속부를 3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연료유를 가속, 압축, 팽창 및 분산시켜 연료유를 순간 미세하게 세절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와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소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품인 유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5 : 유입구
7 : 배출구 11 : 가속부
12 : 가속봉 21 : 분산부
22 : 중심 분산통 26 : 원통형 분산통
31 : 분쇄부 32 : 분쇄링
41, 51, 61 : 유속부 42, 52, 62 : 원통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축소 중공관(2)과 확대 중공관(3)이 일체인 본체(1)의 양단에는 유입구(5)와 배출구(7)를 각각 갖는 덮개(4)(6)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축소 중공관(2)에는 외면에 다수의 나선홈(13)이 형성된 가속봉(12)을 내장한 가속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가속부(11)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원뿔형 돌기(23)와 주연부의 톱니형 외표면(24)이 일체이며 그 아래 다수의 구멍(25)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중심 분산통(22)을 중앙에 삽입하면서 그 외부에는 톱니형 외표면(27)을 가지며 그 아래에 다수의 구멍(28)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분산통(26)들을 나란히 적층하여 사이에 미세한 공간(29)들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 분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분산부(21)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경사면(33)과 작은 공급공(34)이 일체인 분쇄링(32)을 내장한 분쇄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부(31)와 철망(4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43)(44)에 의해 통과홈(45)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42)을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 적층한 제 1 유속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속부(41)와 철망(5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53)(54)에 의해 통과홈(55)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52)을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 적층한 제 2 유속부(6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유속부(51)와 철망(6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63)(64)에 의해 통과홈(65)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62)을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 적층한 제 3 유속부(61)의 3중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은 본체(1)의 외면에 형성한 고무층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연료유 활성화 장치는 축소 중공관(2)과 확대 중공관(3)이 일체인 본체(1)의 양단에는 유입구(5)가 일체인 덮개(4)를 결합하면서 배출구(7)가 일체인 덮개(6)가 결합하여 유입구(5)를 통하여 연료유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축소 중공관(2)에는 외면에 다수의 나선홈(13)이 형성된 가속부(11)의 가속봉(12)을 내장하여 연료유가 가속을 가지고 흐르도록 한다.
상기 가속부(11)를 경유하는 중에 가속도를 얻은 연료유는 확대 중공관(3)에 형성한 분산부(21)에 의해 분산되도록 한다,
즉, 원뿔형 돌기(23)와 주연부의 톱니형 외표면(24)이 일체이며 그 아래 다수의 구멍(25)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중심 분산통(22)을 중앙에 삽입하면서 그 외부에는 톱니형 외표면(27)을 가지며 그 아래에 다수의 구멍(28)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분산통(26)들을 나란히 적층하여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간(29)들을 연료유가 고속으로 지나는 중에 분산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분산부(21)에서 분산력을 가진 연료유는 확대 중공관(3)에 형성한 분쇄부(31)의 경사면(33)과 작은 공급공(34)이 일체인 분쇄링(32)을 통과하는 중에 결합구조가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다음에 산소와의 혼합이 더욱 원활해지도록 한다.
상기 분쇄부(31)와 철망(4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제 1 유속부(41)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43)(44)에 의해 통과홈(45)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원통(42)을 적층함으로써 연료유의 유속이 빨라지는 동시에 원통의 재질에 의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예컨대 원통(42)들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라면 원적외선에 의한 상승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 1 유속부(41)와 철망(5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제 2 유속부(51)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53)(54)에 의해 통과홈(55)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원통(52)을 적층하여 유속이 더 빨라 지도록 한다.
상기 제 2 유속부(51)와 철망(6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제 3 유속부(61)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63)(64)에 의해 통과홈(65)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원통(62)을 적층함으로써 유속의 빠르기가 더욱 빨라지게 된 연료유가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료 활성화 장치에 의하여서는 축소 중공관과 확대 중공관이 일체인 본체의 양단에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갖는 덮개가 결합되도록 하고,
축소 중공관에는 외면에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된 가속봉의 가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속부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원뿔형 돌기와 톱니형 외표면 및 구멍이 형성된 중심 분산통을 중앙에 삽입하면서 그 외부에는 톱니형 외표면과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 분산통들을 적층하여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분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산부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경사면과 작은 공급공이 일체인 분쇄링을 내장한 분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부와 철망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에 의해 통과홈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을 다수 적층한 유속부를 3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연료유를 가속, 압축, 팽창 및 분산시켜 연료유를 순간 미세하게 세절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와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소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축소 중공관(2)과 확대 중공관(3)이 일체인 본체(1)의 양단에는 유입구(5)와 배출구(7)를 각각 갖는 덮개(4)(6)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축소 중공관(2)에는 외면에 다수의 나선홈(13)이 형성된 가속봉(12)을 내장한 가속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가속부(11)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원뿔형 돌기(23)와 주연부의 톱니형 외표면(24)이 일체이며 그 아래 다수의 구멍(25)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중심 분산통(22)을 중앙에 삽입하면서 그 외부에는 톱니형 외표면(27)을 가지며 그 아래에 다수의 구멍(28)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분산통(26)들을 나란히 적층하여 사이에 미세한 공간(29)들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 분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분산부(21)와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경사면(33)과 작은 공급공(34)이 일체인 분쇄링(32)을 내장한 분쇄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분쇄부(31)와 철망(40)(50)(6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확대 중공관(3)에는 내면과 외면에 형성한 작은 돌기(43,44)(53,54)(63,64)에 의해 통과홈(45)(55)(65)이 이루어지도록 한 원통(42)(52)(62)을 큰 원통의 내부에 작은 원통이 끼워지도록 다수 적층한 제 1 내지 제 3 유속부(41)(51)(61)를 3중으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활성화 장치.
KR1020000079414A 2000-12-20 2000-12-20 연료 활성화장치 KR20020050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414A KR20020050049A (ko) 2000-12-20 2000-12-20 연료 활성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414A KR20020050049A (ko) 2000-12-20 2000-12-20 연료 활성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049A true KR20020050049A (ko) 2002-06-26

Family

ID=2768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414A KR20020050049A (ko) 2000-12-20 2000-12-20 연료 활성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0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207B1 (ko) 연료분사장치
RU2569797C2 (ru) Распылитель топлива, способ распыления топли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ивания топлива с воздухом и способ испарения топлива
JP5225110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処理の装置及び方法
US3977604A (en) Fuel injection nozzle assembly
ES2161296T3 (es) Dispositivo de encendido para motor de combustion interna.
KR101908826B1 (ko) 노즐 헤드 및 유체 분사 밸브
KR20000068170A (ko) 연료 활성화 장치
US3849086A (en) Supercharg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buretion
KR100608552B1 (ko) 내연기관의 흡기장치
JP2004332543A (ja) 燃料噴射弁
KR20020050049A (ko) 연료 활성화장치
KR100284391B1 (ko) 연료 혼합 장치
US4633829A (en)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189478C2 (ru) Топливная форсунка
JP2007224930A (ja) 混合気製造噴射ノズル
CN205532855U (zh) 一种转子发动机
KR20180000865U (ko) 배기 파이프용 보조 네킹 채널 구조물
RU2059100C1 (ru) Форсунка для впрыска топлива в дизель (ее варианты)
CN105545467B (zh) 一种转子发动机
KR19990022108U (ko) 엔진의연료미립화장치
KR20050025693A (ko) 연료 절감장치
RU20335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сеобразования в двигателе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9980033040U (ko) 유체(Fluid) 활성화 장치
JP2000087706A (ja) 内燃機関用燃料空気供給装置
JPH02204612A (ja) フィルタトラップ再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