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914A - 다단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단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914A
KR20020048914A KR1020020027986A KR20020027986A KR20020048914A KR 20020048914 A KR20020048914 A KR 20020048914A KR 1020020027986 A KR1020020027986 A KR 1020020027986A KR 20020027986 A KR20020027986 A KR 20020027986A KR 20020048914 A KR20020048914 A KR 20020048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biofilm
tank
pip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혜
Original Assignee
양기해
(주)세기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해, (주)세기종합환경 filed Critical 양기해
Priority to KR102002002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914A/ko
Publication of KR2002004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잡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및 오폐수 등을 상하 한쌍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식의 생물막접촉조를 이용하여 순환 정화함으로써 폐수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면서 콤팩트화를 이루어 설치부지를 최소화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모생물막을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된 상태로 내장되는 침지생물막(2)를 이용하여 낙하하는 폐수를 정화한 후, 수집호퍼(4)로 배출하는 생물막반응조(12)와 폐수수집조(14)의 폐수와 상기 수집호퍼(3)의 정화폐수를 집수하여 침강되는 폐수슬러지를 슬러지배출배관(7)을 통해 배출하는 침전조(8)와 순환펌프(9)를 이용하여 상기 침전조(8)의 상등수를 제1,2순환배관(13,5)을 통해 상기 생물막반응조(12)로 순환시키는 폐수순환부(10)와 상기 제2순환배관(5)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수를 다수의 노즐(1-1)을 통해 상기 생물막반응조(12)의 상부로 살수하여 노즐배관(1)과 상기 침전조(9)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월류벽(11)을 월류하는 정화수를 수집한 후, 월류수배관(6-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월류조(6)와 수위상승방지를 위한 통수구(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접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폐수처리장치 {Multistep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및 오폐수 등을 상하 한쌍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되는 다단적층식의 생물막접촉조를 이용하여 정화하는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방법에는 살수여상법, 활성슬러지법 그리고 접촉산화법 등이 있는데, 살수여상법은 1차침전지의 유출수를 미생물로 된 점막으로 덮인 쇄석이나 기타 매개층 등의 접촉재 위로 뿌려져 생물막과 폐수내의 유기물과 접촉시키는 고정상법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이다. 여기서 미생물 막층은 주로 박테리아, 원생동물, 균류로 구성되며 환경이 양호한 경우에는 슬러지벌레, 파리의 유충 및 로티퍼(Rotifer)등의 고등동물이 존재하기도 한다. 또한 깊은 여상 바닥 부근에는 질산화 박테리아가 서식하여 질산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살수여상은 호기성처리법으로 분류하지만 접촉재표면의 미생물막은 표층 0.1∼0.2mm만 호기성이고 그 내부는 혐기성이다. 이 방법은 부하변동에 대해 대응능력이 있고 슬러지 반송이 필요 없으며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기타 포기에 동력이 필요 없다. 건설비와 유지비가 적게 든다. 운전이 간편하다. 슬러지 벌킹의 문제가 없다는 반면에 접촉재의 깊이를 크게 하면 냄새가 발생하고, 폐쇄현상 등이 발하고 파리발생의 단점이 지적되어 활성슬러지법으로 대치되게 되었다.
활성슬러지법은 포기조에서 용존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하여 섭취 분해되고 성장한 미생물은 종말침전지에서 응결 침전되어 활성슬러지로서 포기조로 일부 반송되며 일부는 폐슬러지로 내보내는 공법으로 처리 효과가 좋아 현재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소규모의 폐수처리에 적용시켰을 때 부하변동에 약하고 슬러지(미생물) 및 송기량의 조정에 전문적인 관리를 요하며 동력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스러지 벌킹 등의 문제점등이 있다. 이런 살수여상법과 활성슬러지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양자의 장점을 살린 방법이 접촉산화법이다.
이 접촉산화법은 고정상식 활성슬러지법이라고 하며 회전원판법이나 살수여상법 등과 같이 생물막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즉, 포기조내에 접촉재를 충전하여 폐수와 접촉재표면에 생성된 생물막을 접촉시키면서포기를 함으로써 폐수중의 유기물을 제거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접촉재에 생성되는 생물량은 부하조건에 의해 결정되며 운전관리 조건에 의해 생물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과 부하량에 비례하여 생물슬러지가 생성하므로 부하가 클 경우 접촉재가 폐쇄되므로 부하조건에 한계가 있으며 포기조내 균일하게 포기시키기가 어렵고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생길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수 및 오폐수 등을 상하 한쌍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되는 다단적층식의 생물막접촉조를 이용하여 순환 정화함으로써 폐수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면서 콤팩트화를 이루어 설치부지를 최소화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따른 다단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폐수처리장치중 중간막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노즐배관 1-1: 노즐 2: 침지생물막 3: 수집호퍼 4: 폐수공급배관 5: 제2순환배관 6: 월류조 6-1: 월류수배관 7: 슬러지배출배관 8: 침전조 9: 순환펌프 10: 폐수순환부 11: 월류벽 12: 생물막반응조 13: 제2순환배관 14: 폐수수집조 15: 통수관 20: 중간막 20-1: 배출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모생물막을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된 상태로 내장되는 공기접촉생물막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폐수를 정화한 후, 수집호퍼로 배출하는 생물막반응조와 폐수수집조의 폐수와 상기 수집호퍼의 정화폐수를 집수하여 침강되는 폐수슬러지를 슬러지배출배관을 통해 배출하는 침전조와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를 제1,2순환배관을 통해 상기 생물막반응조로 순환시키는 폐수순환부와 상기 제2순환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수를 다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생물막반응조의 상부로 살수하는 노즐배관과 상기 침전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월류벽을 월류하는 정화수를 수집한 후, 월류수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월류조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접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접촉장치중 접촉조 받침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기존의 폐수처리장치에서 채택하고 있는 살수여상법, 활성슬러지법 그리고 접촉산호법의 장점을 모두 취하고, 그 단점을 개선시킨 낙차를 이용한 다단적층식 생물막법을 채택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에서 생물막반응조(12)에서 공기접촉생물막이 상하 한쌍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되는 다단적층식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생물막접촉조(2)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섬모형 고정상 접촉여재 다시 말하면, 구(球)나 로프(rope)의 외주면에 고정 부착된 섬모에 생물막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접촉생물막(2)의 하부측에 마련된 중간막(20)에는 다수의 배출구(20-1)가 형성되어 있는데, 낙하되는 폐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낙차에 의해 충돌되면서 주위로 살수가 이루어져 섬모의 생물막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생물막반응조(12)에는 그 하부측에 수집호퍼(3)가 설치되어 다단적층식의 침지생물막(2)을 거친 정화폐수를 수집하여 침전조(8)로 낙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생물막반응조(12)의 수집호퍼(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침전조(8)에는 폐수공급배관(4)을 통해 폐수수집조(14)의 폐수가 공급되고, 폐수중의 슬러지가 자연 침천되면서 슬러지배출배관(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괴어있다.
특히, 어느정도 슬러지침전이 이루어지거나 생물막반응조(12)를 거치면서 정화된 침전조(8)의 상등수는 순환펌프(9)의 펌핑작용에 의해 제1,2순환배관(13,5)을 통해 노즐배관(1)으로 압송되어지게 된다.
또한, 침전조(8)에 담겨지는 폐수중 침전에 의한 슬러지제거와 생물막반응조(12)의 반복적인 순환에 의해 정화 처리된 상등수는 월류벽(11)을 통해 오버플로(Overflow)되어 월류조(6)에 담겨진 다음, 다시 월류수배관(6-1)을 통해 최종적으로 정화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침전조(8)내의 폐수는 월류수배관(6-1)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과정까지 침전과 순화정화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그 침전지의 체류시간이 길어져 혐기성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생물막반응조(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즐배관(1)은 제2순환배관(5)을 통해 압송되는 순환폐수를 다수의 노즐(1-1)을 통해 생물막반응조의 상부로 살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접촉장치는 생물막반응조(12)내에 공기접촉생물막이 상하 한쌍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되는 다단적층식 구조로 내장됨으로써 폐수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면서 콤팩트화를 이루어 설치부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배출구(20-1)를 통과한 물보다 많도록조정하여 생물막이 항상 침지 될 수 있도록 하며 과도한 수위상승을 막도록 하기 위하여 통수관(15)을 설치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접촉장치는 침전조(8)에서 유입폐수와 순환폐수의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공기접촉생물막에 부하가 되는 강한 유기물질의 농도를 희석할 수 있게 되고,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의 부하량에 따른 관리가 용이하며, 유입폐수의 수리적 부하율과 전단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점막을 계속적으로 탈리시키고, 미생물의 과도한 성장과 파리번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자연 낙하과정에서 정화함으로써 송풍기와 같은 산소공급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폐수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면서 콤팩트화를 이루어 설치부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강한 유기물질의 농도를 희석함으로써 설비의 부하를 줄이며,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의 부하량에 따른 관리가 용이하며, 유입폐수의 수리적 부하율과 전단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점막을 계속적으로 탈리시키고, 미생물의 과도한 성장과 파리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폐수가 자연 낙하과정에서 정화함으로써 송풍기와 같은 산소공급장치가 불필요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섬모생물막을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상하적층된 상태로 내장되는 침지생물막(2)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폐수를 정화한 후, 수집호퍼(3)로 배출하는 생물박반응조(12)와 폐수수집조(14)의 폐수와 상기 수집호퍼의 정화폐수를 집수하여 침강되는 폐수슬러지를 슬러지배출배관(7)을 통해 배출하는 침전조(8)와 순환펌프(9)를 ld용하여 상기 침전조(8)의 상등수를 제1,2순환배관(13,5)을 통해 상기 생물막반응조(12)로 순환시키는 폐수순환부(10)와 상기 제2순환배관(5)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수를 다수의 노즐(1-1)을 통해 상기 생물막반응조(12)의 상부로 살수하는 노즐배관(1)과 상기 침전조(8)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월류벽(11)을 월류하는 정화수를 수집한 후, 월류수배관(9-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월류조(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KR1020020027986A 2002-05-14 2002-05-14 다단폐수처리장치 KR20020048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86A KR20020048914A (ko) 2002-05-14 2002-05-14 다단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86A KR20020048914A (ko) 2002-05-14 2002-05-14 다단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914A true KR20020048914A (ko) 2002-06-24

Family

ID=2772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986A KR20020048914A (ko) 2002-05-14 2002-05-14 다단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9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72A (ko) * 2002-10-31 2002-12-12 양기해 공기접촉생물막과 침지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CN106069972A (zh) * 2016-06-24 2016-11-09 北京市水产科学研究所 养鱼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A (ja) * 1991-06-25 1993-0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槽の浄化装置
KR940006405A (ko) * 1992-08-06 1994-03-23 모리시타 요이찌 영상신호 변환장치
US5389248A (en) * 1993-05-21 1995-02-14 Bioremetek, Inc. Bioreactor for biolog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JPH0871578A (ja) * 1994-09-01 1996-03-19 Daiwa Kogyo Kk 浮遊ろ材を用いた生物的水処理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KR19990025082A (ko) * 1997-09-10 1999-04-06 양인모 생물학적 수처리방법
KR19990046806A (ko) * 1999-04-22 1999-07-05 양기해 자연포기에의한다단식생물막접촉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A (ja) * 1991-06-25 1993-0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槽の浄化装置
KR940006405A (ko) * 1992-08-06 1994-03-23 모리시타 요이찌 영상신호 변환장치
US5389248A (en) * 1993-05-21 1995-02-14 Bioremetek, Inc. Bioreactor for biolog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US5389248B1 (en) * 1993-05-21 1998-09-29 Tour Mcgill College Bioreactor for biolog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JPH0871578A (ja) * 1994-09-01 1996-03-19 Daiwa Kogyo Kk 浮遊ろ材を用いた生物的水処理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KR19990025082A (ko) * 1997-09-10 1999-04-06 양인모 생물학적 수처리방법
KR19990046806A (ko) * 1999-04-22 1999-07-05 양기해 자연포기에의한다단식생물막접촉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72A (ko) * 2002-10-31 2002-12-12 양기해 공기접촉생물막과 침지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CN106069972A (zh) * 2016-06-24 2016-11-09 北京市水产科学研究所 养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9323B (zh) 一种高含氮猪场废水处理组合工艺
CN101928095B (zh) 一种分散式生活污水处理方法
CN102180563B (zh) 一种中水回用装置
WO2021243733A1 (zh) 一种具备固液分离的污水处理装置及其分离方法
US73005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contact media
CN106698858A (zh) 一体化生物转盘污水处理设备及应用
CN101570380A (zh) 组合式污水处理设备
JP5192608B1 (ja) 水質浄化装置、およびこの水質浄化装置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
JP2024026729A (ja) 水処理装置
KR100336263B1 (ko) 폐수처리장치
CN103011528B (zh) 一种综合污水处理系统及方法
CN217025668U (zh) 污水处理系统
CN202011812U (zh) 一种处理高浓度有机废水一体化设备
KR20020048914A (ko) 다단폐수처리장치
RU273618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1367339U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用mbr膜集装箱
CN210764894U (zh) 一种寺院污水处理及回用系统
KR20020048915A (ko) 자연 포기에 의한 다단식 생물막 접촉장치
CN113788583A (zh) 废水处理系统
CN206940693U (zh) 一种适合黄河施工营地的移动式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00352777C (zh) 化妆品生产废水处理设备及其废水处理方法
KR200305124Y1 (ko) 매단 살수여상에 의한 오폐수처리장치
CN218931842U (zh) 一种污泥减量污水处理系统
CN211972069U (zh) 一种高效节能的污水处理系统
CN212198903U (zh) 一种用于小型养户养殖废水的就地成套污水处理车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