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941A -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941A
KR20020047941A KR1020000076591A KR20000076591A KR20020047941A KR 20020047941 A KR20020047941 A KR 20020047941A KR 1020000076591 A KR1020000076591 A KR 1020000076591A KR 20000076591 A KR20000076591 A KR 20000076591A KR 20020047941 A KR20020047941 A KR 20020047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function
service
user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481B1 (ko
Inventor
오태호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2000007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48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481B1/ko

Links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접속에 따라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동일한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동일한 메뉴 내용에 대하여 그 표현을 달리한 다양한 메뉴들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서비스에 접속에 따라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랜덤 함수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다양한 해당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을 상기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동적 메뉴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Dynamic menu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menu)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접속에 따라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동일한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왑 서비스(WAP Service)에서는 숫자로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따라, 왑(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비스의 화면 구성은 메뉴가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왑 서비스(WAP Service)에서는 메뉴를 어떻게 구성하느냐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왜냐하면, 메뉴 구성에 따라 그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친근감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도 1 은 종래의 메뉴 데이터베이스(DB)에서의 DB 루트 선택 개념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메뉴 데이터베이스는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다음 계층으로 넘어가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메뉴 데이터베이스에 따른 메뉴 서비스 방식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사용자가 접속하면 우선적으로 최상위 메뉴(1.식당정보, 2.까페정보, 3.연극정보, 4.영화정보)(11)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최상위 계층의 메뉴(11) 중에서 1번의 식당 정보를 선택하면 1번 루트를 따라 2계층의 메뉴(1.한식, 2.중식, 3.일식, 4.분식)(12)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다시 2계층의 메뉴(12) 중에서 4번의 분식을 선택하면 4번 루트를 따라 3계층의 메뉴(13)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메뉴 데이터베이스는 한가지 메뉴를 한가지 방식으로만 표현하고 있어, 사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동일 계층의 동일 루트에서 같은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동일 사용자의 첫번째 접속, 두번째 접속, 세번째 접속에 상관없이 4번 루트에 따른 2계층 메뉴((14)에서는 항상 1.액션, 2. 애니메이션, 3.SF, 4.코믹과 같은 동일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종래의 메뉴 서비스 방식은 너무 단순하여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낌에 따라 서비스 고객의 이탈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젊은층은 지루하고 단순한 것보다 감각적이고 새로운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탈 속도가 훨씬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접속에 따라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동일한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메뉴 데이터베이스(DB)에서의 DB 루트 선택 개념에 대한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에서의 DB 루트 선택 개념에 대한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홈위치등록기 32 : 이동교환기/방문자위치등록기
33 : 기지국 34 : 이동단말기
35 : 일반공중전화망 36 : 유선 단말기
37 : 인터넷 38 : 게이트웨이
39 : 동적 메뉴 서비스 서버 40 :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동적 메뉴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메뉴 내용에 대하여 그 표현을 달리한 다양한 메뉴들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서비스에 접속에 따라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랜덤 함수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다양한 해당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을 상기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다음의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니면 해당 기능으로 리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이면 해당 루트에 따라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 단계의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 함수를 실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의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동적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동적 메뉴 서비스 장치에, 동일한 메뉴 내용에 대하여 그 표현을 달리한 다양한 메뉴들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기능; 사용자의 서비스에 접속에 따라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랜덤 함수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다양한 해당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을 상기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다음의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5 기능; 상기 제 5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니면 해당 기능으로 리턴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5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이면 해당 루트에 따라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 기능의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 함수를 실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의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 7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에서의 DB 루트 선택 개념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는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동일한 메뉴 내용에 대하여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을 다수개 가지고 있다. 즉, 최상위 계층(21)에서 첫번째 메뉴(22)는 1.식당정보, 2.까페정보, 3.연극정보, 4.영화정보와 같이 표현된 메뉴를 가지고 있고, 두번째 메뉴(23)는 1.배고프면 어디로 갈까, 2. 차 한잔 하면서 분위기를, 3.감동적인 영화 한편, 4. 연극 보면 폼내기와 같이 표현된 메뉴를 가지고 있고, 세번째 메뉴(24)는 1.금강산도 식후경, 2.감미로운 차 한잔, 3.씨네마 천국으로, 4.살아있는 연극 관람과 같이 표현된 메뉴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에 따른 동적 메뉴 서비스 방식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사용자가 접속하면 우선적으로 최상위 메뉴(21)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동일한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22 내지 24)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최상위 계층의 메뉴 중에서 1번의 식당 정보를 선택하면 1번 루트를 따라 2계층의 메뉴(25)로 이동하여 해당 2계층 메뉴(25)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25 내지 28)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접속에 따라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동일한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젊은층에 어울리는 감각적이고 다양한 메뉴를 매 접속시 마다 다르게 보여줌으로써 고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 구조의 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망 구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의 통신망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34)는 고유한 번호(전화번호)를 가지며 가입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 장치이고, 기지국(33)은 이동단말기(34)와 이동교환기(32)간의 무선통신 구간에서 이동단말기(34)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이동단말기(34)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동교환기/방문자위치등록기(32)는 이동단말기(34)가 서비스받고 있는 영역의 교환기로서, 이동단말기(34)의 위치 및 서비스 프로화일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교환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이고, 홈위치등록기(31)는 가입자의 이동단말기(34)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이다.
그리고, 일반공중전화망(35), 인터넷(37) 등은 일반 유선망을 말하며, 여기에는 패킷망, 초고속 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망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단말기(36)는 전화기, 컴퓨터, 인터넷 티브, 세트톱박스 등과 같이 유선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입자 단말 장치이다.
그리고, 게이트웨이(38)는 이동교환기/방문자위치등록기(32)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관문 장치이다.
그리고, 동적 메뉴 서비스 서버(3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메뉴 서비스를 무선 단말기 및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한 서버로서, 상기 도 2 에서 설명한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40)를 이용하여 동적 메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동적 메뉴 서비스 서버(39)가 게이트웨이(38)와 인터넷(37)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서비스 사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사업자는 바로 무선망에 연결시켜 사용할 것이고, 유선통신 사업자는 바로 유선망에 연결시켜 사용할 것이며, 그외의 제3자는 게이트웨이 등을 통하여 유선망이나 무선망에 연결시켜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서비스(예 : 왑 서비스와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접속하면 통신망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메뉴 서비스 서버(39)로 서비스를 연결한다(41).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메뉴 서비스 서버(39)가 최상위 메뉴에 대하여 동적 메뉴 선택을 시작하여(42) 최상위 메뉴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43) 그 실행 결과에 따라 다양한 최상위 메뉴(동일한 최상위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최상위 메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44).
이때, 랜덤 함수로는 가우시안 랜덤 함수와 같이 이미 공지된 다양한 랜덤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 파라미터로는 메뉴 종류 갯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우시안 랜덤 함수를 사용하여 10개의 메뉴 종류 갯수 중에 어느 하나를 순차적(예 : 1,2,3....10,1,2,3....)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을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40)에서 로딩하여(45) 로딩된 메뉴 내용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46).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다음의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인지를 확인하여(47) 하위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니면 해당 기능으로 리턴하고,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이면 해당 선택 루트에 따라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에(48)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 함수를 실행시키는 과정(43)으로 진행하여 상기의 각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속에 따라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켜 다양한 메뉴(동일한 메뉴 내용을 그 표현을 달리한 메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접속시 마다 다양한 새로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젊은층에 어울리는 감각적이고 다양한 메뉴를 매 접속시 마다 다르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다른 표현에 대한 즐거움과 호기심 및 새로움을 줄 수 있어 고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동적 메뉴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메뉴 내용에 대하여 그 표현을 달리한 다양한 메뉴들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서비스에 접속에 따라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랜덤 함수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다양한 해당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을 상기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다음의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니면 해당 기능으로 리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이면 해당 루트에 따라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 단계의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 함수를 실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의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4. 동적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동적 메뉴 서비스 장치에,
    동일한 메뉴 내용에 대하여 그 표현을 달리한 다양한 메뉴들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기능;
    사용자의 서비스에 접속에 따라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random) 함수를 실행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랜덤 함수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다양한 해당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을 상기 동적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다음의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5 기능;
    상기 제 5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니면 해당 기능으로 리턴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5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하위 메뉴 선택 신호이면 해당 루트에 따라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 기능의 해당 메뉴에 대하여 랜덤 함수를 실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의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 7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00076591A 2000-12-14 2000-12-14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KR10038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6591A KR100388481B1 (ko) 2000-12-14 2000-12-14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6591A KR100388481B1 (ko) 2000-12-14 2000-12-14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41A true KR20020047941A (ko) 2002-06-22
KR100388481B1 KR100388481B1 (ko) 2003-06-25

Family

ID=2768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76591A KR100388481B1 (ko) 2000-12-14 2000-12-14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973B1 (ko) * 2004-01-07 2006-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26B1 (ko) * 2004-11-01 2011-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브라우저 메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973B1 (ko) * 2004-01-07 2006-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뉴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481B1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65989B2 (en) Networking between VOIP -and PSTN- calls
CN101321078A (zh) 在线环境下的选择性用户监控
CN101106560A (zh) 在移动终端联网游戏界面上显示聊天信息的方法
WO2002033942A1 (en) Providing blended interface for wireless information services
BRPI0113636B1 (pt) método para controlar as características operacionais de um perfil no terminal de comunicação, terminal de comunicação, e, método para fornecer as características operacionais para o perfil para o terminal de comunicação
US200301845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user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8112165A1 (en) Automatic user matching in an online environment
CN103428377A (zh) 一种可视ivr实现方法及系统
CN103995872B (zh) 一种在应用中基于场景展开讨论与聊天的方法与系统
JP2002044256A (ja) 携帯電話用インターネット情報・音声検索システム
CN106512401A (zh) 一种用户互动系统
KR100388481B1 (ko) 통신망에서의 동적 메뉴 서비스 방법
Saha et al. Networking infrastructure for pervasive computing: enabling technologies and systems
CN100527769C (zh) 移动终端的服务方法和系统
KR100774848B1 (ko) 메뉴 리스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2026A (ko) 다른 이동통신사의 단말기에서 호환성을 갖는 폰페이지구현방법 및 그 장치
KR100397290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20020047939A (ko) 통신망에서의 동적 인사말 서비스 방법
KR101016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방법
CN101083789A (zh) 一种扩展的短信网址
Anegg et al. Multimodal interfaces in mobile devices–the mona project
KR100649572B1 (ko)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메뉴의 구성 방법
JP200802249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442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칼라 문자 표시 방법
US20140087773A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Communication Through SMS Communicatio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