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986A - 원하는 테이퍼 각도의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 - Google Patents

원하는 테이퍼 각도의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986A
KR20020046986A KR1020010078620A KR20010078620A KR20020046986A KR 20020046986 A KR20020046986 A KR 20020046986A KR 1020010078620 A KR1020010078620 A KR 1020010078620A KR 20010078620 A KR20010078620 A KR 20010078620A KR 20020046986 A KR20020046986 A KR 2002004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optical disc
taper angle
ligh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모토타카유키
야나기사와타쿠마
와다야수미츠
오사와세이이치
요코가와후미히코
Original Assignee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오 이토
Publication of KR2002004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6Differential phase difference system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경우 보다 많은 개구수의 광학계를 이용하여 보다 단파장의 재생용 광빔을 방출함에 의해 고밀도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디스크에는 정보가 소정의 트랙 피치로 피트의 열로서 기록되는 정보기록층, 및 상기 정보기록층 상에 형성된 막 두께 0.13mm 이하의 광 투과층이 제공된다.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는 개구수가 0.75∼0.86의 범위 내에 있는 대물렌즈에서 상기 광 투과층을 통해 상기 정보 기록층에 조사되는 파장 400nm∼415nm의 범위 내의 광빔에 의해 재생된다. 상기 광디스크에서,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는 55도 이상이다.

Description

원하는 테이퍼 각도의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OPTICAL DISC HAVING PITS OF DESIRED TAPER ANGLE}
본 발명은 정보를 피트의 열의 형태로 기록하는 광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의 정보재생장치의 재생능력은, 대물렌즈의 개구수 NA와 독출 광빔의 파장 λ를 이용하여, NA/λ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NA를 크게하고, λ를 작게 함으로써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DVD(Digital Versatile Disc)로 알려져 있는, 고밀도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광디스크는, λ=650nm, NA=0.6이고, 광디스크 표면과 반사 기록면(정보 기록층) 사이의 두께(이하, 광 투과층 두께라 함)가 0.6mm인 광디스크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DVD는 한 면에 4.7MB까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예컨대 NTSC 환산 영상 신호를 약 2시간까지 기록할 수 있다.
현재,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가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BS(위성 방송)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HDTV 영상을 영화 한편 분량(약 2시간 반=150분) 만큼 기록하기 위해서는, 22.5∼27GB(기가 바이트)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를 위한 정보재생장치에 있어서도, 정보를 광디스크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기입하거나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안정적인 방식으로 독출하기 위해서는 소위 대물렌즈의 포커스 서보 및 트랙킹 서보가 필수적이다.
이하 포커싱 서보 제어 방법에 대해, 예컨대 DVD의 재생장치에 의해 위상차법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픽업장치로부터의 광빔을 DVD의 트랙 상에 집광하여 조사한다. 이 픽업은,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4분할 광검출기(1)를 포함한다. 4분할 광검출기(1)에는 트랙 방향과 그 트랙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4분할된 수광면(1a∼1d)을 갖는 광전변환소자가 제공된다. 회전하는 DVD의 기록층상에 광 스폿이 형성된다. 상기 광전변환소자는 정보 독출 스폿에서의 DVD 상으로의 반사광을 4개의 수광면(1a∼1d) 각각에 의해 수광하여, 수광면(1a∼1d) 각각에 의한 수광 량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로서 수광신호(Ra∼Rd)를 출력한다. 수광면(1a,1c)에 대응하는 수광신호는 가산기(2)에 공급되고, 수광면(1b,1d)에 대응하는 수광신호는 가산기(3)에 공급된다. 가산기(2,3)는 위상비교기(4)에 접속되어, 연산을 실행함으로써 로패스 필터를 통해 출력신호 및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RF 신호가 수광면(1a,1b,1c,1d)의 합계 출력으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위상차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는 광디스크로부터 검출기 상으로 반사된 스폿의 피트에 관한 강도 분포의 비대칭성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차세대 광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4분할 광 검출기를 이용하는 위상차법을, 이러한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정보재생장치에 적용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정보재생장치에 위상차법을 적용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대용량화를 위해 기록 피트를 축소함에 따라 상기 기록 피트의 광빔 스폿을 작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재생파장을 짧게 하고 대물렌즈의 NA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들 조건에서는, 광디스크에서의 파면 수차가 문제로 된다.
더 구체적으로, 파면 수차는 디포커스 량이나 광 투과층 두께 오차의 함수로서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
파면 수차=(1-(1-(대물 렌즈의 NA)2)1/2).(디포커스 량)/(재생 파장)
파면 수차=Const.(대물 렌즈의 NA)4.(커버층 두께의 에러)/(재생 파장)
상기 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생 파장이 짧을수록 또한 NA가 클수록, 파면 수차가 커지게 된다. 예컨대, 디포커스 량이 동일할 때, 차세대 광디스크 시스템은 현행 DVD의 3배 이상의 파면 수차를 가진다. 또한, 이 파면 수차는 여러 가지 신호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 가장 현저한 예가 위상차법에 의해 얻어지는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이하,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라 함)의 게인 변동이다.
DVD 등의 종래의 재생 전용 광디스크 시스템에서는, 위상차법을 이용하더라도 디포커스 및 광 투과층 두께 오차에 의한 파면 수차 량이 충분히 작고, 그 때문에 신호에 미치는 영향도 작게 되어, 위상차법의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게인 변동에 주의하지 않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차세대 광디스크 시스템에서는 큰 문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대용량화 시에는 디포커스 또는 광 투과층 두께 오차에 의한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게인 변동이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되며,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대용량화를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다 많은 개구수의 광학계를 이용하여 보다 단파장의 재생용 광빔을 방출함에 의해 종래의 DVD에 비하여 고밀도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디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정보가 소정의 트랙 피치로 피트의 열로서 기록되는 정보기록층, 및 상기 정보기록층 상에 형성된 막 두께 0.13mm 이하의 광 투과층을 포함하고, 개구수가 0.75∼0.86의 범위 내에 있는 대물렌즈에 의해 상기 광 투과층을 통해 상기 정보 기록층에 조사되는 파장 400nm∼415nm의 범위 내의 광빔에 의해 상기 기록된 정보의 재생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로서,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가 55도 이상이고, 상기 테이퍼 각도는 상기 피트의 테이퍼 면 및 상기 피트의 하부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인 광디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에서는,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가 80도 이상이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에서,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피트의 깊이의 약 1/2의 높이 위치의 테이퍼 면에 접하는 평면 및 상기 피트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이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에서, 상기 트랙 피치는 0.280∼0.325μm의 범위내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인접 트랙들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광디스크 상의 피트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픽업의 광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통상의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a 및 4b는 광디스크에서의 디포커스 량에 의존하는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게인 변동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들,
도 5는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없는 경우의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게인 변동과 피트 테이퍼 각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광디스크에서의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있는 경우의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게인 변동과 피트 테이퍼 각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광디스크에 경사가 있는 경우의 광 투과층 두께에 대응하는 파면 수차 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상의 피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a 및 9b는 테이퍼 각도가 원하는 값 보다 작은 피트 트레인에서 얻어진트랙킹 신호 및 소망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파형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 및
도 10은 피트가 곡선 테이퍼 면을 갖는 경우의 테이퍼 각도의 정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재생 광학계에서는 재생 파장을 400∼415nm, 대물렌즈의 NA를 0.75∼0.86으로 적용할 때의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1979년 J.O.S.A. 볼륨69 1호의 문헌 "광 비디오 디스크용 레이저 판독 시스템의 회절 이론"에 따른 스칼라 회절 이론에 의한 시뮬레이션 계산을 기초로 상기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초점이 맞은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의 파형은 도 3과 같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DVD 등의 광 디스크와 비교하여 재생파장이 작고, 대물렌즈의 NA가 크기 때문에, 디포커스(defocus)의 영향이 커진다. 디포커스에 의해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 신호의 게인 변동이 커져서, 파형이 도 4a로부터 도 4b로 변화한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고밀도 기록 가능한 차세대 광 디스크의 제조상의 한계에 관해서 피트의 테이퍼 각도에 주목하여, 게인 변동 및 피트 테이퍼 각도의 관계를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피트 형상, 특히 테이퍼 각도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디스크의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없는 경우의 게인 변동 및 피트 테이퍼 각도의 관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게인 변동은 피트의 테이퍼 각도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또한, 이 때의 게인 변동은, 디포커스가 ±0.2μm까지 변화할 때 발생하고, 이 디포커스량에 의한 파면 수차는, 광학적인 수차 허용치에 상당한다. 테이퍼 각도의 정의는 도 8(a)에 정의된 바와 같이, 피트(10)의 테이퍼 면(10a)과 피트(10)의 하부면(10b)에 의해 형성된 각도(θ)이다. 또한, 종종 피트의 테이퍼 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단면을 가진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테이퍼 각도는 피트의 깊이(D)의 절반의 높이 위치에서 테이퍼된 면에 접하는 평면(P) 및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θ)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여러 가지 피트 폭이 주어지지만 폭의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피트의 테이퍼 각도가 결정되면, 게인 변동이 없는 양호한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다. 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게인 변동량은 -1dB 이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도 5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실용상 문제가 없는 피트 테이퍼 각도는 55도 이상의 범위가 된다. 테이퍼 각도가 55도 미만일 때, 트랙킹 에러 신호의 진폭이 예컨대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9a에 도시된 바람직한 트랙킹 에러 신호에 비해 변동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진폭의 변동은 트랙-점핑을 포함하는 픽업의 동작에 대해 특히 문제가 된다.
결론적으로, 피트의 테이퍼 각도를 55도 이상이라고 하면, 디포커스의 영향이 없는 안정적인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재생파장이 작고 대물렌즈의 NA가 크기때문에,디포커스에 의한 영향과 같이 광 투과층 두께 오차에 의한 영향이 크다. 따라서,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디포커스에 의한 게인 변동이 보다 크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7μm인 경우의 게인 변동 및 피트 테이퍼 각도의 관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때의 광 투과층 두께 오차는 ±7μm이고, 파면 수차는 광학적인 수차 허용치에 상당한다.
도 6은 게인 변동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게인 변동이 테이퍼 각도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은,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없는 경우와 같다. 또한, 도 6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로 피트 폭을 변화시키고 있지만, 그 영향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광 투과층 두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테이퍼 각도만을 설정함에 의해, 게인 변동이 없는 양호한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피트의 테이퍼 각도를 80도 이상으로 설정함에 의해, 디포커스 및 광 투과층 두께 오차의 영향이 없는 더욱 안정적인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디포커스와 광 투과층 두께 오차에 의한 파면 수차 외에, 디스크 경사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디스크 경사에 의한 파면 수차도 상기와 같이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파면 수차=Const.(대물렌즈의 NA)3.(커버층 두께).(디스크 경사)/(재생 파장)
이 경우도 대물렌즈의 NA가 클 수록 또한 재생파장이 작을 수록 커진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광 투과층 두께를 얇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디스크가 0.7°경사져 있을 때의 광 투과층 두께와 파면 수차 량의 관계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DVD와 같은 레벨의 파면 수차 량(직선 B)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 상기 시스템에서 충분하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시스템(곡선 A)에서는 광 투과층 두께를 0.13mm 이하로 하면 충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직선 B의 DVD에서는, 파장=650nm, NA=0.60, 광 투과층 두께는 0.6mm로 고정된 경우에 얻어진 결과이다.
상기 실시예는, 도 8a에서와 같이 피트가 재생 광학계에서 볼 때 랜드의 후방측에 있을 때(오목 피트)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도 8b와 같이 비트가 랜드의 전방측에 있을 때(볼록 피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테이퍼 각도는 피트(10)의 테이퍼 면(10a)과 피트(10)의 하부면(10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개로 분할한 검출기에서 얻어진 신호들 중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얻어진 다른 방식의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에 기록되는 피트의 테이퍼 각도를 55도 이상으로 설정함에 의해, 청색 광원 및 큰 NA를 가진 대물렌즈를 이용하는 대용량 재생 전용 광디스크 시스템에서도, 디포커스의 영향이 없는 안정적인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트의 테이퍼 각도를 80도 이상으로 설정함에 의해, 디포커스 및 광 투과층 두께 오차의 영향이 없는 안정적인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피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전자빔 레코더에 의한 광디스크의 마스터링에 있어서, 원반 상에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예컨대 상기 원반이 회전하는 동안 원반 상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원반을 노광한 후, 레지스트를 현상함으로써 노광부에 피트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 형성 과정에서, 레지스트 층의 두께, 전자빔의 노광 시간 등을 조정함에 의해 원하는 테이퍼 각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는, 디스크에 기록되는 피트의 테이퍼 각도를 55도 이상으로 설정함에 의해 위상차법 트랙킹 에러 검출신호의 게인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DVD에 비하여 정보기록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정보가 소정의 트랙 피치로 피트의 열로서 기록되는 정보기록층, 및 상기 정보기록층 상에 형성된 막 두께 0.13mm 이하의 광 투과층을 포함하고, 개구수가 0.75∼0.86의 범위 내에 있는 대물렌즈에 의해 상기 광 투과층을 통해 상기 정보 기록층에 조사되는 파장 400nm∼415nm의 범위 내의 광빔에 의해 상기 기록된 정보의 재생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로서,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가 55도 이상이고, 상기 테이퍼 각도는 상기 피트의 테이퍼 면 및 상기 피트의 하부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인 광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가 80도 이상인 광디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피트의 깊이의 약 1/2의 높이 위치의 테이퍼 면에 접하는 평면 및 상기 피트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인 광디스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피치는 0.280∼0.325μm의 범위인 광디스크.
KR1020010078620A 2000-12-15 2001-12-12 원하는 테이퍼 각도의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 KR20020046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2380A JP2002184040A (ja) 2000-12-15 2000-12-15 光ディスク
JPJP-P-2000-00382380 2000-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86A true KR20020046986A (ko) 2002-06-21

Family

ID=1885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620A KR20020046986A (ko) 2000-12-15 2001-12-12 원하는 테이퍼 각도의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20080713A1 (ko)
EP (1) EP1215665A3 (ko)
JP (1) JP2002184040A (ko)
KR (1) KR20020046986A (ko)
CN (1) CN1225732C (ko)
HK (1) HK1044407A1 (ko)
TW (1) TWI2314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65B1 (ko) * 2000-11-16 2005-08-10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광 디스크용 대물 렌즈
JP2008299955A (ja) * 2007-05-31 2008-12-11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原盤作製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EP2299442A1 (en) 2009-09-17 2011-03-23 Thomson Licensing Optical storage medium comprising a data layer with an inverted pit/land data structure
EP2385524A1 (en) 2010-05-07 2011-11-09 Thomson Licensing Optical disc with improved sensivity for super-resolution pits and lan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712A (en) * 1994-01-19 1995-10-17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apparatus where information is recorded having a specific track pitch and as a plurality of pit train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trapezoidal pits
JPH09320117A (ja) * 1996-05-28 1997-12-12 Pioneer Electron Corp 光ディスク
TW445450B (en) * 1997-03-26 2001-07-11 Toshiba Corp Optical disk apparatus and optical disk
JPH10302309A (ja) * 1997-04-25 1998-11-13 Sony Corp 光学記録媒体
JPH10302321A (ja) * 1997-04-30 1998-11-13 Sony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製造方法
JPH1196601A (ja) * 1997-09-17 1999-04-09 Nikon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1453A (ja) * 1998-06-29 2000-01-14 Sony Corp 光記録媒体と光記録再生装置
CN1304528A (zh) * 1999-04-26 2001-07-18 索尼株式会社 光盘及其制造方法
WO2000072319A1 (fr) * 1999-05-19 2000-11-30 Fujitsu Limited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dit support
JP2002056539A (ja) * 2000-08-11 2002-02-22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ディスク及びその情報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5665A2 (en) 2002-06-19
US20020080713A1 (en) 2002-06-27
CN1366303A (zh) 2002-08-28
EP1215665A3 (en) 2006-04-05
JP2002184040A (ja) 2002-06-28
HK1044407A1 (zh) 2002-10-18
CN1225732C (zh) 2005-11-02
TWI231496B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7280B2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
US7116612B2 (en) Optical pickup device driven by an error signal obtained from an optical detector's output signals
US5450387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phase changing optical disk
KR100337961B1 (ko) 광학헤드및광기록장치
JPH05197968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678360B1 (ko) 광학 헤드, 광검출기, 광학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및초점 에러 검출방법
JPH0481816B2 (ko)
KR100525762B1 (ko) 광디스크 및 그 정보 재생 장치
KR100424907B1 (ko) 픽업 장치
KR20020046986A (ko) 원하는 테이퍼 각도의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
US6426933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polarizing phase plates
KR100335408B1 (ko) 포커스옵셋조정가능한광픽업장치
JPH1064104A (ja) 非点収差フォーカスエラー信号生成方法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072763A (en) Optical head device having a pinhole member for removing wavefront aberration
JP2005302253A (ja) トラッキングエラーオフセット補償用光検出領域が形成され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567444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再生方法
US6310841B1 (en) Optical pickup for narrow track optical discs
KR100464764B1 (ko)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및기록매체기록재생방법
KR100195082B1 (ko) 광헤드
US5612937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a bisected optical receiving element for tracking control
JPH06119653A (ja) 光ヘッド装置
KR20020074996A (ko) 호환성 있는 고밀도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장치
JPH0452533B2 (ko)
KR20000055405A (ko) 광 기록재생장치에서의 트랙킹 서보 장치 및 방법
JPH09251657A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726

Effective date: 2006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