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677A -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677A
KR20020046677A KR1020000076983A KR20000076983A KR20020046677A KR 20020046677 A KR20020046677 A KR 20020046677A KR 1020000076983 A KR1020000076983 A KR 1020000076983A KR 20000076983 A KR20000076983 A KR 20000076983A KR 20020046677 A KR20020046677 A KR 20020046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jection inlet
inlet tube
mixin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식
Original Assignee
최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식 filed Critical 최원식
Priority to KR102000007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677A/ko
Publication of KR2002004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Multi-channel connectors or couplings, e.g. for connecting multi-lume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이 유입되는 수액유입관과 주사액이 유입되는 주사유입관 및 수액유입관과 주사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수액유입관은 일측 말단이 상부 수액관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이 혼합관에 연결되며, 주사유입관은 외부에 개방된 일측 말단과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는 타측 말단사이에 주사유입관을 외부와 차단하는 신축차단마개를 갖고, 배출관은 일측 말단이 혼합관에 연결되며 타측 말단이 하부 수액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ELBOW CONNECTOR FOR INTRAVENOUS INJECTION}
본 발명은 수액유입관과 주사유입관 및 배출관을 갖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는 미국에 특허등록된 스탑칵 밸브(stop-cock valve, US4219021)가 있었다.
도1a는 종래의 스탑칵 밸브(stop-cock valve)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1b, 도1c, 도1d, 도1e는 종래의 스탑칵 밸브(stop-cock valve)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탑칵 밸브는 스탑칵(110)과 수액유입관(102)과 주사유입관(104)과 배출관(106)을 갖는다. 제2의 의약품은 주사유입관(104)을 통해 스탑칵 밸브에 유입되어 수액유입관(102)을 통해 유입된 수액과 혼합되며, 배출관(106)을 통해 배출된다.
도1b는 스탑칵 밸브에 있어서 수액유입관(102)과 주사유입관(104) 및 배출관(106)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1c는 수액유입관(102)과 배출관(106)은 개방되고 주사유입관(104)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1d는 수액유입관(102)과 주사유입관(104)은 개방되고 배출관(106)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1e는 주사유입관(104)과 배출관(106)은 개방되고 수액유입관(102)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종래의 스탑칵 밸브는 주사유입관을 통해 제2의 의약품 등을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탑칵(110)을 회전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탑칵 밸브는 주사유입관을 통해 제2의 의약품 등을 투여하는 경우 투여된 의약품이 주사유입관(104)내에 잔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정량분석을 요하는 핵의학 검사시 주사유입관을 통해 투여된 방사성 의약물질이 주사유입관(104)내에 잔류하게 되면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로는 수액유입관 및 배출관이 "Y"자형의 가지를 이루며 배출관에 연결되며, 수액유입관 및 배출관은 각각 정맥주사용 세트의 수액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Y"자형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역시 주사유입관에 투여된 의약품이 주사유입관내에 잔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사유입관 내부에 신축차단마개를 삽입하고 신축차단마개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방사성 의약품 등 제2의 의약품을 투여하므로, 종래의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비해 간편하게 제2의 의약품을 투여할 수 있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수액과 주사유입관을 유입된 제2의 약품이 혼합되는 혼합관의 형상을 수액유입관 및 주사유입관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주사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방사성 의약품 등 제2의 의약품이 혼합관내에서 수액과 충분히 섞이도록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유입관의 타측 말단과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이 서로 직각 또는 이에 근사한 각도를 이루며 혼합관과 연결되고, 신축차단마개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신축마개를 통해 유입된 방사성 의약품이 주사유입관으로 역류되어 커넥터내에 정체ㆍ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를 제공하기도 한다.
도1a는 종래의 스탑칵 밸브(stop-cock valve)의 개략적 사시도.
도1b, 도1c, 도1d, 도1e는 종래의 스탑칵 밸브(stop-cock valve)의 사용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가 정맥주사용 세트에 의해 연결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수액유입관 14: 혼합관
16: 주사유입관 18: 신축차단마개
20: 배출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액이 유입되는 수액유입관과 주사액이 유입되는 주사유입관 및 수액유입관과 주사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수액유입관은 일측 말단이 상부 수액관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이 혼합관에 연결되며, 주사유입관은 외부에 개방된 일측 말단과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는 타측 말단사이에 주사유입관을 외부와 차단하는 신축차단마개를 갖고, 배출관은 일측 말단이 혼합관에 연결되며 타측 말단이 하부 수액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제1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3방향 정맥주사용 제1커넥터에 있어서, 수액유입관의 타측 말단과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은 서로 직각 또는 이에 근사한 각도를 이루며 혼합관과 연결되고, 신축차단마개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제2커넥터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3방향 정맥주사용 제2커넥터에 있어서, 혼합관은 수액유입관 및 주사유입관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제3커넥터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3방향 정맥주사용 제1ㆍ제2커넥터ㆍ제3커넥터에 있어서, 신축차단마개의 재질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제4커넥터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10)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3은 도2의 단면도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가 정맥주사용 세트에 의해 연결된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10)는 수액유입관(12)을 갖는다. 수액유입관(12)은 단면이 원형이고, 재질은 투명 내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액유입관(12)의 일측 말단은 링거병 등과 연결된 상부 수액관에 연결된다. 또한, 수액유입관(12)의 타측 말단은 혼합관(14)에 연결된다. 도2, 도3에 수액유입관(12)은 혼합관(14)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수액유입관(12)이 혼합관(14)에 반드시 수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수액유입관(12)과 혼합관(14)이 형성하는 각도는 예각이거나, 둔각일 수도 있다.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10)는 주사유입관(16)을 갖는다. 주사유입관(16)은 일측 말단이 외부에 개방되고 타측 말단은 혼합관(14)에 연결된다. 주사유입관(16)은 단면이 원형이고, 재질은 투명 내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을 참조하면 주사유입관(16)은 외부에 개방된 일측 말단과 혼합관(14)에 연결되는 타측 말단사이에 주사유입관(16)을 외부와 차단하는 신축차단마개(18)를 갖는다. 신축차단마개(18)의 단면적은 주사유입관(16)의 내통의 단면적보다 약간 크게하여 신축차단마개(18)를 밀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축차단마개(18)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16)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된다. 신축차단마개(18)는 주사바늘에 관통되는 경우 주사바늘의 주위를 밀봉하여 신축차단마개(18)와 주사바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또한 관통된 주사바늘이 제거되는 경우 주사바늘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신속히 복원시켜 상기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신축성있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신축차단마개(18)의 재질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2, 도3을 참조하면 수액유입관(12)의 타측 말단과 주사유입관(18)의 타측 말단은 서로 직각 또는 이와 근사한 각도를 이루며 혼합관(14)에 연결된다.
다시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10)는 배출관(20)을 갖는다. 배출관(20)은 일측 말단이 혼합관(14)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은 하부 수액관에 연결된다. 하부 수액관은 인체용 주사바늘 등에 연결된다. 도2, 도3, 도4에서 배출관(20)은 말단이 일자형인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일자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들면 배출관(20)은 "ㄱ"형으로 꺾여 있거나 "S"자형 일 수도 있다. 또한 배출관(20)은 단면이 원형이고, 재질은 투명 내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10)는혼합관(14)을 갖는데 혼합관(14)은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관의 단면적이 작아 진다. 혼합관(14)의 단면적은 서서히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혼합관(14)은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혼합관의 재질은 투명 내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도3을 참조하면 주사유입관(18)은 혼합관(14)에 일자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일자형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 예를들면 주사유입관(18)의 타측 말단은 혼합관(14)과 직각 또는 기타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혼합관(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도3을 참조하면 수액은 상부 수액관에 연결된 수액유입관(12)을 통해 혼합관(14)에 유입되고, 혼합관(14)에 유입된 수액은 혼합관(14)에 연결된 배출관(20) 및 배출관(20)에 연결된 하부 수액관을 통해 인체에 유입된다.
도2, 도3을 참조하면 핵의학 검사시 사용되는 방사성 의약품은 주사유입관(16)내에 삽입된 신축차단마개(18)를 통하여 혼합관(14)에 투여된다. 방사성 의약품은 신축차단마개(18)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주사기 피스톤을 이동함으로써 투여되는데,신축차단마개(18)는 주사바늘에 관통되는 경우 주사바늘의 주위를 밀봉하고, 관통된 주사바늘이 제거되는 경우 주사바늘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신속히 복원시키므로 신축차단마개(18)와 주사바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신축차단마개(18)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16)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되어 있으므로 수액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수액은 주사유입관(16)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는 일이 없이 혼합관(14)을 거쳐 배출관(2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신축차단마개(18)를 통하여 유입된 방사성 의약품도 주사유입관(16)내에서 정체되지 않고, 혼합관(14)내에서 수액과 혼합되어 배출관(20)으로 배출된다.
다시, 도2, 도3을 참조하면 혼합관(14)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관의 단면적이 작아지므로,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에서 수액의 유속은 느려지고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빨라진다. 따라서 신축차단마개(18)를 통하여 유입된 방사성 의약품은 혼합관(14)내에서 수액과 충분히 혼합되게 된다.
도2, 도3, 도4를 참조하면 수액과 혼합된 방사성 의약품은 배출관(20)에 연결된 하부 수액관을 통해 인체에 유입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수액유입관(12), 주사유입관(16), 배출관(20)은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수액유입관(12), 주사유입관(16), 배출관(20)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단면형상을 타원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수액유입관(12), 혼합관(14), 주사유입관(16), 배출관(20)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수액유입관(12), 혼합관(14), 주사유입관(16), 배출관(20)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재질을 불투명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신축차단마개(18)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16)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신축차단마개(18)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16)의 임의의 위치까지 삽입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수액유입관(12)의 타측 말단과 주사유입관(18)의 타측 말단은 서로 직각 또는 이와 근사한 각도를 이루며 혼합관(14)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수액유입관(12)의 타측 말단과 주사유입관(18)의 타측 말단은 서로 임의의 각도를 이루며 혼합관(14)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혼합관(14)은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가면서 원추형을 이루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혼합관(14)은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까지 원추형아닌 기타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까지 일정한 단면적을 갖도록 하거나, 수액유입관(12) 및 주사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 갈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기타의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사유입관 내부에 신축차단마개를 삽입하고 신축차단마개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방사성 의약품을 투여하므로, 종래의 3방향커넥터에 비해 간편하게 방사성 의약품을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유입관의 타측 말단과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이 서로 직각 또는 이에 근사한 각도를 이루며 혼합관과 연결되고, 신축차단마개의 일측 말단은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신축마개를 통해 유입된 방사성 의약품이 주사유입관으로 역류되어 커넥터내에 정체ㆍ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관은 수액유입관 및 주사유입관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신축마개를 통해 유입된 방사성 의약품이 혼합관내에서 수액과 충분히 섞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확한 정량분석을 요하는 핵의학 검사시 유용하게 사용되어, 핵의학 영상 촬영시 바람직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차단마개의 재질은 신축성 있는 고무로 하여 신축차단마개에 주사바늘 관통시 신축차단마개와 주사바늘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수액유입관과 혼합관이 이루는 각을 변경함으로써 정맥주사용 세트의 설치를 편리하게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수액이 유입되는 수액유입관과, 주사액이 유입되는 주사유입관 및 상기 수액유입관과 주사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액유입관은 일측 말단이 상부 수액관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이 혼합관에 연결되며,
    상기 주사유입관은 외부에 개방된 일측 말단과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는 타측 말단사이에 상기 주사유입관을 외부와 차단하는 신축차단마개를 갖고,
    상기 배출관은 일측 말단이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이 하부 수액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유입관의 타측 말단과 상기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은 서로 직각 또는 이에 근사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혼합관과 연결되고,
    상기 신축차단마개의 일측 말단은 상기 주사유입관의 타측 말단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은 상기 수액유입관 및 주사유입관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차단마개의 재질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KR1020000076983A 2000-12-15 2000-12-15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KR20020046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83A KR20020046677A (ko) 2000-12-15 2000-12-15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83A KR20020046677A (ko) 2000-12-15 2000-12-15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77A true KR20020046677A (ko) 2002-06-21

Family

ID=3748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83A KR20020046677A (ko) 2000-12-15 2000-12-15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145A (ko) * 2001-12-18 2003-06-25 김화룡 수액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585A (en) * 1977-01-24 1978-10-24 Becker Jr Karl E Anti backflow injection device
US4219912A (en) * 1978-10-10 1980-09-0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Injection site having thermoplastically sealed injection port
JPH01151463A (ja) * 1987-12-10 1989-06-14 Terumo Corp 液体混注器具
JPH0195951U (ko) * 1987-12-18 1989-06-26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585A (en) * 1977-01-24 1978-10-24 Becker Jr Karl E Anti backflow injection device
US4219912A (en) * 1978-10-10 1980-09-0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Injection site having thermoplastically sealed injection port
JPH01151463A (ja) * 1987-12-10 1989-06-14 Terumo Corp 液体混注器具
JPH0195951U (ko) * 1987-12-18 1989-06-2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145A (ko) * 2001-12-18 2003-06-25 김화룡 수액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370B2 (en) Multi-valve injection/aspiration manifold with needleless access connection
US6569117B1 (en) Blood sampling/injecting valve
KR200486088Y1 (ko) 주입 액체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액체 전달 장치
KR100913465B1 (ko) 의료용 밸브 장치
AU2002344492B2 (en) Three-way stopcock, and liquid transfusion tubing set or blood transfusion tubing set using the three-way stopcock
CN106075716B (zh) 医用的输液港、血液管路以及医用治疗设备
KR101651092B1 (ko) 주입량 및 주입방향 조절형 밸브
RU2008122063A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ей
SU955847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едени нескольких жидкостей
JP2006142053A (ja) 針なしコネクタバルブ
JP2008528230A (ja) 医療用yサイトのための逆止め弁
KR20070106432A (ko) 액체 혼합식 주입기
KR19990022479A (ko) 의료용 커넥터
KR20200027267A (ko) 의료용 약액 공급 셋트
US20200338261A1 (en) Three-way device for anti-backflow infusion and dosing
KR20020046677A (ko) 3방향 정맥주사용 커넥터
US20180344928A1 (en) Flowrate regulating device for infusion set
JP3266901B2 (ja) 多段式流量切換装置
CN108159559B (zh) 防逆流输液加药用三通器
KR20030040780A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JP4749863B2 (ja) 三方活栓、それを用いたカテーテル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2006129884A (ja) 混注部材、接続部材及び医療用具
KR101706147B1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CN219921706U (zh) 多种药物输注装置
CN209917035U (zh) 一种麻醉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