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518A -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518A
KR20020046518A KR1020000076753A KR20000076753A KR20020046518A KR 20020046518 A KR20020046518 A KR 20020046518A KR 1020000076753 A KR1020000076753 A KR 1020000076753A KR 20000076753 A KR20000076753 A KR 20000076753A KR 20020046518 A KR20020046518 A KR 2002004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haracter
character code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엽
양기호
Original Assignee
황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엽 filed Critical 황재엽
Priority to KR102000007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518A/ko
Publication of KR2002004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5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문자(가나)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폰용 문자코드발생장치 로서,가나를 자음과 모음의 음소로 나누어 입력토록 하되, 가나의 사전순,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의 자음에 해당하는 'k, s, t, n, h, m, y, r, w'를 각각 '2번키, 3번키, 4번키, 5번키, 6번키, 7번키, 8번키, 9번키, 0번키에 순서대로 할당하고,가나의 모음을 사전순에 따라 'a, i, u, e, o'를 각각 '1번키, 2번키, 3번키, 4번키, 5번키'에 할당하고,상기 할당된 자음의 표시를 해당 버튼에 각각,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라고 표시하고, 상기 할당된 모음의 표시를 해당 버튼에 각각, 'a, i, u, e, o 라고 표시하여,상기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할당된 1번키, 2번키, 3번키, 4번키, 5번키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연속하여 눌렸을 경우는 모음이 입력되고, 모음이 입력된 후에 연속하여 눌렸을 경우는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여 한 번의 키입력으로 원하는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자음이 눌렸을 경우에는 모니터에 해당하는 자음의 발음기호가 디스플레이되고, 모음이 눌렸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모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가나가 디스플레이되어 매우 간편하게 가나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The Japanese GANAcode generator for mobi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의 가나(일본문자)입력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몇 가지의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연속누르기식이라 함은, 3*4 표준키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 중에, 복수의 음소를 각 키에 적절히 배열하고, 키가 한 번 눌렸을 때는 맨 앞순위에 배열된 음소가 입력되고 연달아 두 번이 눌려졌을 때는 그 뒷순위의 문자가 입력이 되며, 계속하여 누르면 같은 키에 배열된 음소가 순서대로 계속하여 교대로 입력이 되는, 예를 들어, 어느 키에 'A, B, C'가 배열되어 있다고 한다면 키를 한 번 누르면 'A', 두 번 누르면 상기 'A'가 지워지고 'B', 세 번 누르면 다시 상기 'B'가 지워지고 'C', 네 번 누르면 다시 상기 'C'이 지워지고 'A'가 입력이 되는 방식을 말한다.
구분키라 함은, 연속누르기식에서 누르고자 하는 음소가 같은 버튼 내에 배열이 되어 있을 경우에, 두 음소의 입력을 구분해주기 위하여 음소와 음소 사이에 눌러주게 되는 키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종래에는, 도 1의 일본어 입력장치가 부착된 휴대폰에 사용되는 일본어 입력방식은 연속누르기식을 따르고 있었다.
도 1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용 가나입력키패드이다.
상기의 입력방식에서 1번키를 한 번 누르면 'あ', 두 번 연속하여 누르면 'い', 세 번 연속하여 누르면 'う', 네 번 연속하여 누르면 'え', 다섯 번 연속하여 누르면 'お'가 입력된다.
상기 방식에 따라 'きもの(기모노, 옷)'을 입력하려면, '2,2,7,7,7,7,7,5,5,5,5,5'라고 총 12회를 눌러야 했다.
또한 영문이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려면 모드변환키를 눌러 모드를 변환한 후에 원하는 문자를 누르게 되어 있었다.
상기의 방식은 문자에 따라 세 번 내지 다섯 번 연속 눌러야 되기 때문에 입력타수가 과다하였으며, 같은 버튼 내에 함께 할당된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할 때는 구분키를 중간에 반드시 눌러주어야 하였고, 가나가 아닌 영문,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때는 복잡한 모드의 변환과정을 거쳐야 했으며, 입력한 후에는 다시 가나입력모드로 복귀하는 과정까지 감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가나를 입력하고자 할 때 입력타수를 줄이고, 구분키를 누를 필요도 없도록 하고, 영문, 숫자, 기호 등을 누를 때 복잡한 모드의 변환과정도 없애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본어 문자입력코드발생장치의 키패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입력코드발생장치의 키패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문자입력코드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문자코드발생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나입력용 숫자키패드의 실시예이다.
표 1은 각 키별로 배열되어 있는 문자일람표이다.
표 1에서 기본키라고 하는 것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숫자키를 한 번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표에서 각 기본키를 누르면 어떤 문자가 입력되는지 잘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키를 누르면 'a'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2번키를 누르면 'k'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3번키를 누르면 's'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4번키를 누르면 't'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5번키를 누르면 'n'이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6번키를 누르면 'h'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7번키를 누르면 'm'이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8번키를 누르면 'y'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9번키를 누르면 'r'이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0번키를 누르면 'w'라는 가나의 발음기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의 발음기호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할당되어 있는 'あ(a), か(ka), さ(sa), た(ta), な(na), は(ha), ま(ma), や(ya), ら(ra), わ(wa)'의 첫발음기호를 그대로 할당한 것이다. 이것은 각각의 발음기호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에 역행쉬프트키를, 그리고 '#'키에는 순행쉬프트키를마련하였다. 표에서 '기본키+??n회' 또는 '기본키+??n회'라는 표시는 기본키를 누른 후 순행쉬프트키나 역행쉬프트키를 누르는 회수를 나타낸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2'는 기본키인 2번키를 누른 후 역행쉬프트키를 1회 누르면 되며, '?'는 기본키인 9번키를 누른 후 순행쉬프트키를 2회 누르면 되는 것이다. 이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각각 'k-2', 'r-!-?'이 된다.
'More'라는 표시는 해당하는 특수기호 및 이모티콘(EMOTICON)이 계속하여 더 배열이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0번키를 누른 후 역행쉬프트키를 계속하여 누르면 '0'의 다음 순서로 '♥♬☎◆♠♣♨◆●★■'와 같은 특수 문양들이 번갈아 나오게 되며, 6번키를 누른 후 순행쉬프트키를 계속하여 누르면 다양한 이모티콘이 번갈아 나오게 되며, 1번키를 누른 후 역행쉬프트키를 계속하여 누르면 '1'의 다음 순서로 '@∼#$%^&*()-+|<>[]{}\'와 같은 기호들이 번갈아 나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면 가나 이외의 문자, 즉, 영문, 숫자, 기호 및 이모티콘을 별도의 모드변환 과정 없이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가나의 입력에 관한 설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나 입력용 키패드의 실시예이다.
상기 설명에서 각 문자키를 한 번 누르면 가나의 자음에 해당하는 발음기호(라틴어로 표현된)가 디스플레이 됨을 알 수 있다. 단, 1번키에는 자음이 없는 가나, 즉, 'あ,い,う,え,お'를 누를 때 먼저 누르도록 하는 키인데, 1번키가 한 번 눌리면 'あ'를 연상할 수 있도록 'a'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번키는 'a', 2번키는 'i', 3번키는 'u', 4번키는 'e', 5번키는 'o'를 입력하는 모음키로 할당된다.
1번키의 'a'를 포함하여 가나의 자음에 해당하는 발음기호가 입력이 된 후에는 본 장치는 모음입력대기 상태가 되어, 모음키가 입력이 되면 해당 모음을 결합한 후 결합된 음가에 해당하는 가나의 문자코드를 발생하고, 모니터에 해당 가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に(ni)'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그 입력 순서는 해당하는 자음과 모음을 순서대로 누르는 것이므로, 'n-i'가 되는데, 'n'은 5번키이고, 'i'는 2번키이므로, '5-2'를 순서대로 누르면 된다. 이 때, 모니터에 나타나는 표시는, 5번키를 눌렀을 때 'n'이 나타나고, 연속하여 2번키를 눌렀을 때 상기 'n'을 지우고 'に'가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나의 자모음을 분리하여 따로 입력하는 방식은 이미 컴퓨터에서의 입력방식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사용자들이 별다른 학습과정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가나가 보통 두 번의 키입력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세 번 내지 다섯 번씩 눌러야 했던 종래 방식에 비해서 입력타수가 현격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탁점이 있는 문자는 탁점키를 따로 두어 상기 탁점키가 눌러졌을 경우 탁점이 있는 문자로 변환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방식에 따라 앞서 보인 입력예인 'きもの(기모노, 옷)'을 입력하려면, 컴퓨터에서 가나를 입력하듯이, 그 발음기호인 'kimono'를 입력하면 되므로, 'k'에 해당하는 'か'를 누른 후 모음 'i'를 눌러 'き'를 입력하고, 'm'에 해당하는 'ま'를 누른 후 모음 'o'를 눌러 'も'를 입력하고, 'n'에 해당하는 'な'를 누른 후 모음 'o'를 눌러 'の'를 입력한다. 즉, '2,2,7,5,5,5'라고 총 6회의 키입력으로 'きもの'를 입력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문자입력코드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핸드폰문자코드입력장치는, 표 1과 같이 문자코드들이 할당되고, 일본어의 모음발음인 'a, i, u, e, o'가 각각 '1번키, 2번키, 3번키, 4번키, 5번키'에 할당된 키버튼과 순행시프키와 역행쉬프트키가 할당된 키버튼을 갖춘 키패드11와 상기 키패드11의 입력을 받아 해당하는 문자코드를 발생하는 문자코드발생부12와상기 문자코드발생부12로부터 발생된 문자코드를 입력받아 폰트롬14으로부터 상기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코드출력부13와 상기 문자코드발생부12로부터 발생된 문자코드를 오토마타하여 LCD16로 출력하는 오토마타부15와 LCD16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장치를 통하여 문자코드를 발생하는 실시예를 들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문자코드발생 순서도이다.
스텝50에서 상기 문자입력장치의, 문자입력모드의 초기상태는 항상 '0'이다.
스텝51에서 키패드11로부터 키입력을 받는다.
스텝52에서 문자코드발생부12는 상기 키입력이 숫자키입력인가 아니면 '#'또는 '*'키 입력인가를 판별하고,
스텝52에서의 판별결과가 숫자키 입력일 때 스텝53으로 간다.
스텝53에서 문자코드발생부12는 문자입력모드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53에서 문자입력모드가 '0'이라면 스텝54로 간다.
스텝54,55에서 문자코드발생부12는 내부문자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숫자키에 해당하는 일본어 자음코드를 발생한 뒤 문자입력모드를 '1'로 만든다.
스텝64에서 문자코드출력부13는 상기 스텝54에서 발생된 자음코드에 해당하는 폰트를 폰트롬14에서 찾아 LCD16에 출력한다.
상기 스텝52에서의 판별결과가 숫자키 입력이 아닌 '*' 또는 '#'키 입력이라면 스텝61로 간다.
스텝61에서 문자코드발생부12는 문자입력모드를 판별한다. 여기서 모드가 '1'이면 표 1에서처럼 기본키에 해당하는 코드이외에 할당된 숫자,영문,기호등의코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므로 스텝62로 간다.
스텝62에서 문자코드발생부12는 숫자키와 '*' 또는 '#'키 입력에 의해 숫자,영문,기호중 해당하는 코드를 발생한다.
스텝64에서 문자코드출력부13는 스텝62에서 발생된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폰트를 폰트롬14을 참조하여 LCD16에 출력한다.
상기 스텝61에서 모드가 '0'이면 문자입력이외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이 실행된다.
상기 스텝53에서 문자입력모드가 '1'이면 스텝56으로 간다.
스텝56에서 입력된 킷값이 일본어모음코드가 할당된 것이면 스텝57로, 모음코드가 할당된 것이 아니면 스텝52로 되돌아간다.
스텝57에서 문자코드발생부12는 해당하는 모음코드를 발생한다.
스텝58,59에서 오토마타부15는 스텝57에서 발생된 모음코드와 스텝53,54에 의해 발생된 바로 이전의 자음코드와 합성하여 가나코드를 발생한다.
스텝60에서 오토마타부15는 문자입력모드를 '0'으로 만든다.
스텝64에서 문자코드출력부13는 스텝58,59에서 발생된 가나코드에 해당하는 폰트를 폰트롬14을 참조하여 LCD16에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본어 입력용 숫자키패드에서, 입력타수를 줄여주는 효과와, 복잡한 모드의 변환과정을 없애주는 효과와, 이모티콘을 간편하게 입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코드발생장치에 있어서,
    일본어의 자음 음가(이하 자음)에 해당하는 'k, s, t, n, h, m, y, r, w'를 각각 '2번키, 3번키, 4번키, 5번키, 6번키, 7번키, 8번키, 9번키, 0번키에 순서대로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할당된 자음의 표시를 해당 버튼에 각각,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라고 표시하는 수단과,
    가나의 모음 음가(이하 모음)에 해당하는 'a, i, u, e, o'를 숫자 키버튼에 각각 적절히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할당된 모음의 표시를 해당 버튼에 각각, 'a, i, u, e, o'라고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모음이 할당된 키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연속하여 눌렸을 경우는 해당 모음이 입력되고, 모음이 입력된 후에 연속하여 눌렸을 경우는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수단과,
    자음이 눌렸을 경우에는 모니터에, 해당하는 자음의 발음기호가 디스플레이되고, 모음이 눌렸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모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가나가 디스플레이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자음의 좌우측에 숫자, 영문, 기호 등이 적절히 할당되고,
    그것을 적절히 키 표면에 표시하는 수단과,
    *표키가 좌쉬프트키, #키가 우쉬프트키로 할당되는 수단과,
    상기 숫자, 영문, 기호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상기 좌우쉬프트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KR1020000076753A 2000-12-15 2000-12-15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KR20020046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53A KR20020046518A (ko) 2000-12-15 2000-12-15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53A KR20020046518A (ko) 2000-12-15 2000-12-15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518A true KR20020046518A (ko) 2002-06-21

Family

ID=2768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753A KR20020046518A (ko) 2000-12-15 2000-12-15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33B1 (ko) * 2002-07-30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231A (ja) * 1983-02-21 1984-09-01 Sanyo Electric Co Ltd 文字変換装置
US4872196A (en) * 1988-07-18 1989-10-03 Motorola, Inc. Telephone keypad input technique
JPH1153357A (ja) * 1997-08-05 1999-02-26 Sugimototokio Design Kenkyusho:Kk 情報処理用の新しい日本語表音コード
JPH11327766A (ja) * 1998-03-03 1999-11-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数値キ―ボ―ド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キ―入力方法
JP2000341761A (ja) * 1999-05-31 2000-12-08 Toshiaki Takahashi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入力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231A (ja) * 1983-02-21 1984-09-01 Sanyo Electric Co Ltd 文字変換装置
US4872196A (en) * 1988-07-18 1989-10-03 Motorola, Inc. Telephone keypad input technique
JPH1153357A (ja) * 1997-08-05 1999-02-26 Sugimototokio Design Kenkyusho:Kk 情報処理用の新しい日本語表音コード
JPH11327766A (ja) * 1998-03-03 1999-11-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数値キ―ボ―ド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キ―入力方法
JP2000341761A (ja) * 1999-05-31 2000-12-08 Toshiaki Takahashi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入力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33B1 (ko) * 2002-07-30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7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94360A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32132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20046518A (ko)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20020011299A (ko)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20020009204A (ko) 휴대폰 문자입력코드 발생 장치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078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20018689A (ko)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100539281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316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