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412A -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412A
KR20020045412A KR1020000075019A KR20000075019A KR20020045412A KR 20020045412 A KR20020045412 A KR 20020045412A KR 1020000075019 A KR1020000075019 A KR 1020000075019A KR 20000075019 A KR20000075019 A KR 20000075019A KR 20020045412 A KR20020045412 A KR 2002004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motor
power
detec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규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2000007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5412A/ko
Publication of KR2002004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는 방향 전환시 모터가 역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터의 회전관성에 의한 응답속도의 저하로 인해 핸들의 복원이 방해되고, 조향 방향에 따라 모터가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원동기어 및 조향축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져 원동기어와 치합되는 상하 한 쌍의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베벨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서 조향축과 결합되는 동력전달판과, 동력전달판의 상,하면과 종동기어 사이에 각각 충진되는 자성유체(Magnetic Rheology)와, 자성유체를 자화시키는 전자석과, 조향휠의 토크 및 조향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검출된 신호에 따라 전자석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모터를 역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조향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하여 역회전에 의한 응답 저하를 방지하고, 조향휠의 복원성과 조향감 등 조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BY USING ELECTROMAGNETIC CLUTCH}
본 발명은 차량용 동력조향장치(Steer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동 모터를 동력 보조장치로 사용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전자식 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를 이용한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차량과 같이 조향 차축의 하중이 무거운 차량은 전륜의 접지압과 면적이 증가되어 차륜 조향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조향기어비를 크게 하면 조향휠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조향휠을 여러번 회전시켜야 한다. 동력조향장치는 보통의 조향기어비를 이용하면서도 조작력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동력 보조장치를 사용한다.
종래의 동력조향장치는 대부분 유압식 동력조향장치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유압식의 단점으로는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고, 유압펌프, 유압제어장치, 배관 및 작동 피스톤 등 많은 부품수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고 소형화에 곤란한 단점이 있다.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는 모터를 동력 보조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1)에 피니언(2)을 설치하고 이를 모터(3)의 회전축(4)에 맞물리게 하거나, 또는 모터의 회전축을 랙에 맞물리게 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유압식에 비해 차속의 고저, 조향 빈도 등 주행 상황에 따른 적절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는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후 직진으로 복귀시킬 때 선회시에 회전된 양만큼 모터가 역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모터의 회전관성에 의한 응답속도의 저하로 인해 핸들의 복원이 방해되는 단점이 있고, 조향 방향에 따라 모터가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모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향휠의 회전방향과 상관없이 모터가 단일 방향으로만 회전됨으로써 방향 전환시 모터의 역회전에 따른 응답특성 저하를 방지하고, 모터의 내구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원동기어 및 조향축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져 원동기어와 치합되는 상하 한 쌍의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베벨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서 조향축과 결합되는 동력전달판과, 동력전달판의 상하면과 종동기어 사이에 각각 충진되는 자성유체(Magnetic Rheology)와, 자성유체를 자화시키기 위한 전자석과, 조향휠의 토크 및 조향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검출된 신호에 따라 전자석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의하면,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유체가 자화되면서 종동기어와 동력전달판을 결합시켜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동력전달판을 통해 조향기구의 조향축으로 전달하게 된다.
즉, 모터의 회전시 상하측 종동기어는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조향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력전달판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 한쪽의 전자석에만 제어기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한쪽 방향으로만 조향력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작 방향이 바뀔 경우에는 전원을 반대측 전자석으로 공급함으로써 동력전달 방향은 바뀌게 되며, 이에 따라 모터를 역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조향 보조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향축 5 : 토션바(Torsion bar)
6 : 피니언(Pinion) 7 : 랙(Rack)
10 : 모터 11 : (모터의) 출력축
20 : 베벨기어(Bevel gear) 21 : 원동기어
22, 23 : 종동기어 30 : 하우징
31 : 동력전달판 32, 33 : 자성유체
34 ,35 : 전자석 40 : 검출기
50 : 제어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 보조력을 발생하는 전동 모터(10)와, 모터(10)의 출력축(11)에 결합되는 원동기어(21) 및 조향축(1)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져 원동기어(21)와 치합되는 상하 한 쌍의 종동기어(22, 23)로 이루어진 베벨기어(20), 종동기어(22, 23)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조향축(1)에 전달하는 전자식 클러치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조향휠의 토크 및 조향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40) 및 검출기(40)의 신호에 따라 전자식 클러치의 동력 전달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기(50)가 구비된다.
전자식 클러치장치는 상하 종동기어(22, 23) 사이에 위치되어 조향축(1)과 결합되는 동력전달판(31)과, 동력전달판(31)의 상, 하면과 종동기어(22, 23) 사이에 각각 충진되는 자성유체(32, 33), 그리고 자성유체(32, 33)를 둘러싼전자석(34, 35)으로 이루어진다.
즉, 동력전달판(31)은 조향축(1)에 끼워져 조향축(1)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동력전달판(31)의 상, 하측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위치된 종동기어(22, 23)는 조향축(1)에 끼워진 상태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하 양측의 종동기어(22, 23)와 동력전달판(31) 사이의 공간은 링 형상의 마그네틱 코일(Magnetic coil)로 이루어진 전자석(34, 35)에 의해 밀폐되고, 그 내부에 자성유체(32, 33)가 각각 충진된다. 자성유체(32, 33)는 마그네틱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되어 종동기어(22, 23)와 동력전달판(31)을 서로 결합시키는 클러치 기능을 하게되고, 종동기어(22, 23)의 회전력은 동력전달판(31)을 통해 조향축(1)으로 전달된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30)는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고, 조향축(1)의 피니언(6)은 랙(7)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10)는 단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즉, 모터(10)가 회전하면 모터(10)의 출력축(11)에 결합된 원동기어(21)가 이와 치합된 상하측 종동기어(22, 2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조향휠의 토크와 회전방향을 검출기(40)에서 감지하여 제어기(50)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기(50)로부터 한쪽의 전자석, 예를 들어 아래쪽의 전자석(35)에 전원을 인가하여 아래쪽 종동기어(23)의 회전력만이 동력전달판(31)을 통해 조향축(1)으로 전달되어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조향휠의 조작 방향이 반대로 바뀌는 경우에는 모터(1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상태에서 전원을 반대측 즉, 위쪽의 전자석(34)에 공급함으로써 동력전달 방향은 바뀌게 되며, 이때는 아래쪽 종동기어(22)는 공회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역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조향 보조력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역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조향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단점인 역회전에 의한 응답 저하를 방지하고, 조향휠의 복원성과 조향감 등 조향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내구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10)의 출력축(11)에 결합되는 원동기어(21)와, 조향축(1)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원동기어(21)와 치합되는 상하 한 쌍의 종동기어(22, 23)로 이루어진 베벨기어(20)와,
    상기 종동기어(22, 2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향축(1)과 결합되는 동력전달판(31)과,
    상기 동력전달판(31)의 상 하면과 상기 종동기어(22, 23) 사이에 각각 충진되는 자성유체(32, 33)와,
    상기 자성유체(32, 33)를 자화시키기 위한 전자석(34, 35)과,
    조향휠의 토크 및 조향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40) 및 상기 검출기(4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34, 35)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KR1020000075019A 2000-12-11 2000-12-11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KR20020045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019A KR20020045412A (ko) 2000-12-11 2000-12-11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019A KR20020045412A (ko) 2000-12-11 2000-12-11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412A true KR20020045412A (ko) 2002-06-19

Family

ID=2768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019A KR20020045412A (ko) 2000-12-11 2000-12-11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54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75B1 (ko) * 2002-04-03 2005-02-02 위아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토션바의 토크 감지장치
KR101656864B1 (ko) * 2015-11-30 2016-09-13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양축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보조 조향장치
WO2017171255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복동 클러치로 구성된 자동차 보조 조향장치
CN108394460A (zh) * 2018-05-02 2018-08-14 吉林大学 锥齿轮磁流变液力感反馈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170A (ja) * 1987-10-21 1989-04-26 Hitachi Ltd トルク制御装置
KR1998006121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속도감응형 조향휠 감도조절장치
JPH1149562A (ja) * 1997-07-31 1999-02-23 Ngk Spark Plug Co Ltd ベータ・アルミナ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JPH11132259A (ja) * 1997-08-19 1999-05-18 Bayer Ag クラツチ
KR20010053071A (ko) * 1998-06-23 2001-06-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차량 조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170A (ja) * 1987-10-21 1989-04-26 Hitachi Ltd トルク制御装置
KR1998006121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속도감응형 조향휠 감도조절장치
JPH1149562A (ja) * 1997-07-31 1999-02-23 Ngk Spark Plug Co Ltd ベータ・アルミナ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JPH11132259A (ja) * 1997-08-19 1999-05-18 Bayer Ag クラツチ
KR20010053071A (ko) * 1998-06-23 2001-06-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차량 조향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75B1 (ko) * 2002-04-03 2005-02-02 위아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토션바의 토크 감지장치
KR101656864B1 (ko) * 2015-11-30 2016-09-13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양축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보조 조향장치
WO2017094934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양축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보조 조향장치
WO2017171255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복동 클러치로 구성된 자동차 보조 조향장치
CN108394460A (zh) * 2018-05-02 2018-08-14 吉林大学 锥齿轮磁流变液力感反馈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394460B (zh) * 2018-05-02 2023-05-12 吉林大学 锥齿轮磁流变液力感反馈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7922A (en) Four-wheel drive device for a large dump truck
CN101771310A (zh) 一种电动车驱动电机
AU4012195A (en) Continuously variable hydrostatic transmission
CA2310379A1 (en)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for four-wheel drive vehicle
KR101997824B1 (ko) 후륜구동차량용 저속주행장치
US6131389A (en) Hydrostatic steering device with two steering systems
KR20020045412A (ko) 전자식 클러치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WO2003086803B1 (en) Transfer case with multi-gear transfer mechanism
JP3786390B2 (ja) 複数の油圧モータの駆動装置
AU2003292957A1 (en) Hydrostatic multi-motor drive
KR19990060224A (ko) 자동차의 4륜구동 절환장치
JPH11107936A (ja) 油圧ユニット
JP2010521391A (ja) 下部走行体および上部構造体を有する車載式クレーン
CA2327235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CN211258924U (zh) 一种单电机驱动双油泵的油泵总成结构
KR101297649B1 (ko) Mdps 및 컴프레셔 통합 작동 구조
US20020079157A1 (en) Electric motor assisted power steering system
KR101684632B1 (ko) 복동 클러치로 구성된 자동차 보조 조향장치
KR100878618B1 (ko) 전기자동차의 감속기용 파킹장치
CN211258925U (zh) 一种具有变速油泵和助力油泵的油泵总成结构
JPH07174220A (ja) 油圧変速装置の制御方法
KR200248780Y1 (ko) 클러치 단속형 동력 분할 시스템이 구비된 중형 펌프 소방차
EP1219524A1 (en) Electric motor assisted power steering system
KR100264265B1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장치
KR20070083040A (ko) 차량의 동력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