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991A -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991A
KR20020044991A KR1020000074263A KR20000074263A KR20020044991A KR 20020044991 A KR20020044991 A KR 20020044991A KR 1020000074263 A KR1020000074263 A KR 1020000074263A KR 20000074263 A KR20000074263 A KR 20000074263A KR 20020044991 A KR20020044991 A KR 2002004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pbx
dialing
frequently used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관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4991A/ko
Publication of KR2002004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규모 통신사업자의 통신교환기가 사설 구내 교환기(PBX)와 연동시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PBX)집단에서 특정 착신번으로의 착신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 단축 코드로 다이얼링함으로써 불필요한 다이얼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어링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정 사설 구내 교환기와 공중선망 간에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로 부터 자주 사용하는 착신번을 저장하였다가 이 착신번을 단축 코드화하여 상기 공중선망에 단축코드만으로 다이얼링하는 통신교환기와;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코드화하여 통신교환기에 저장 및 착신번 코드를 관리하는 교환기 관리자를 접속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System for Abbreviate Dialing in trunk signalling}
본 발명은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규모 통신사업자의 통신교환기가 사설 구내 교환기(PBX)와 연동시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PBX)집단에서 특정 착신번으로의 착신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 단축 코드로 다이얼링함으로써 불필요한 다이얼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교환시스템인 키폰 시스템이나 혹은 가입자 전화기에는 재다이얼, 재발신, 단축다이얼링 기능 서비스가 부가되어 있어 가입자가 자주 사용하게 되는 전화번호인 경우 일일이 전부 다이얼링하지 않고, 상기 기능 서비스인 재발신, 재다이얼링, 단축다이얼링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신호로 편리하게 사용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들어 통신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통신사업자의 다변화에 따른 소규모 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게 되었는바, 즉 상기 소규모 통신사업자의 경우 특히 공중망에서는 고려될 수 없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소규모 통신사업자는 시장 점유를 위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설 구내 교환기(PBX)와 같은 소규모 특정 집단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설 구내 교환기(PBX)를 이용하게 되는 관공서나 기타 고정 거래선을 가지고 있는 회사들의 경우, 사설 구내 교환기과 공중선망과는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의 가입자는 자주 사용하는 착신번이라도 전체 착신번으로 다이얼링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설 구내 교환기의 가입자에서 공중선망으로 호 전송시 가입자가 일일이 다이얼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전체 착신번 다이얼링에 따른 착신호 접속시간이 길어짐에서 오는 사설 구내 교환기와 공중선망 간에 호접속이 잘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사설 구내 교환기 집단에서 자주 사용되는착신번에 대하여는 전체 착신번으로 다이얼링하지 않고 사전에 지정된 단축 코드만으로 다이얼링하여 공중선망에 전송하는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사설 구내 교환기와 공중선망 간에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로 부터 자주 사용하는 착신번을 저장하였다가 이 착신번을 단축 코드화하여 상기 공중선망에 단축코드만으로 다이얼링하는 통신교환기와;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코드화하여 통신교환기에 저장 및 착신번 코드를 관리하는 교환기 관리자를 접속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교환기는 국설이나 사설 교환기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코드화하여 단축 코드만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 통신교환기에 저장되는 착신호 단축 다이얼링 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STNL; 공중선망 10; 통신교환기
11; 데이터 베이스 Trunk1,1,3; 트렁크
20; 교환기관리자 PBX-1,PBX-2; 사설 구내 교환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 통신교환기에 저장되는 단축 다이얼링 테이블 로서, 다수의 가입자를 갖는 특정사설 교환기(PBX-1)(PBX-2)가 트렁크(Trunk)를 통해서 공중선망(PSTN)에 접속 구성되는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PBX-1)(PBX-2)와 공중선망(PSTN)간에 트렁크(Trunk1)(Trunk2)를 통해서 자주 발생하는 착신번을 저장하였다가 단축 코드만으로 공중선망(PSTN)에 다이얼링하는 통신교환기(10)와; 상기 통신교환기(10)에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PBX-1)(PBX-2)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단축 코드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단축 코드를 관리하는 교환기 관리자(20)를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통신교환기(10)는 통신사업자가 사설 구내교환기((PBX-1)(PBX-2)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설하는 교환기로서, 국설이나 사설 구내교환기(PBX-1)
(PBX-2)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단축 코드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11)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각각의 사설 구내교환기(PBX-1)(PBX-2)의 가입자로 부터 착신번은 트렁크(Trunk1)(Trunk2)각각을 통해서 통신교환기(10)에 전송되고, 상기 통신교환기(10)는 트렁크(Trunk3)를 통해서 공중선망(PSTN))에 전송되어 착신번에 해당하는 국설 교환기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교환기(10)를 통해서 사설교환기(PBX-1)(PBX-2)로 전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특정 사설교환기(PBX-1)(PBX-2)에서 통신교환기(10)를 통해서 공중선망(PSTN) 및 사설교환기(PBX-1)(PBX-2)로 착신번을 전송함에 있어, 상기 통신교환기(10)에서는 상기 사설 구내교환기(PBX-1)(PBX-2)에서 트렁크(Trunk1)
(Trunk2)를 통해서 자주 사용하는 착신번을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하게 되고, 그 후 상기 교환기 관리자(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사설 구내 교환기(PBX-1)(PBX-2)에서 자주 사용하는 착신번을 사용할 수 있는 단축 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해 놓고, 상기 저장된 단축 코드를 사설 구내 교환기(PBX-1)(PBX-2)의 가입자들에게 공지해 주게 된다.
이후 상기 특정 사설 교환기(PBX-1)(PBX-2)의 가입자는 실제의 착신번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통신교환기(10)의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단축 코드만을 다이얼링하게 되고, 이 단축 코드는 트렁크(Trunk1)를 통해서 통신 교환기(10)의 데이터 베이스(11)에 전송되고, 상기 통신교환기(10)에서는 사설 구내 교환기(PBX-1)
(PBX-2)의 가입자로 부터 전송된 단축코드에 대하여 데이터 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한 후 실제의 착신번을 트렁크(Trunk3)를 통해서 공중망 교환기(PSTN)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교환기(10)에서는 사설 구내 교환기(PBX-1)(PBX-2)의 가입자로 부터 전송된 단축코드에 대하여 데이터 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한후 트렁크(Trunk1)를 통해서 상기 단축코드로 사설 구내 교환기(PBX-1)(PBX-2)에 다이얼링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신교환기(10)의 데이터베이스(11)에는 수신된 단축 코드에서 실제의 착신번을 구하기 위한 도 2a 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테이블로 정의 된다.
즉 도 2a는 실제 착신번 정보가 저장되는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해당 중계선의 단축 다이얼링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때 중계선에 할당된 단축 다이얼링 개수가 "0" 인 경우 단축 다이얼링을 수용하지 않는 중계선으로 기록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 사설 구내 교환기 집단에서 자주사용되는 착신번에 대하여는 전체 착신번으로 다이얼링하지 않고 사전에 지정된 단축 코드로 다이얼링하여 공중선망에 전송하는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호 접속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임의의 목적을 가진 착신가입자인 경우 사설 구내 교환기 집단에서는 착신번의 변경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사전에 지정된 단축 코드만을 다이얼링할 수 있는 편리함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특정 사설 구내 교환기와 공중선망 간에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로 부터 자주 사용하는 착신번을 저장하였다가 단축 코드만으로 공중선망에 다이얼링하는 통신교환기와;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단축 코드화하여 통신교환기에 저장 및 착신번 단축 코드를 관리하는 교환기 관리자를 접속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교환기는 국설이나 사설 교환기내에서 자주사용되는 착신번을 코드화하여 이 단축 코드만으로 구내 사설 교환기로 다이얼링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을 하는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교환기는 국설이나 사설 교환기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착신번을 코드화하여 단축 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KR1020000074263A 2000-12-07 2000-12-07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KR20020044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263A KR20020044991A (ko) 2000-12-07 2000-12-07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263A KR20020044991A (ko) 2000-12-07 2000-12-07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991A true KR20020044991A (ko) 2002-06-19

Family

ID=2768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263A KR20020044991A (ko) 2000-12-07 2000-12-07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4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06B1 (ko) * 2006-11-03 2008-01-0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357A (ja) * 1988-12-26 1990-07-03 Hitachi Ltd 個人別電話番号方式
JPH0522446A (ja) * 1991-07-09 1993-01-29 Nec Commun Syst Ltd Pbx対向・代表群における短縮コード登録方式
JPH0698024A (ja) * 1992-09-10 1994-04-08 Nec Corp 第3者短縮ダイヤルリストによる呼接続方式
KR19980013936A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호 서비스방법
KR20000040544A (ko) * 1998-12-18 2000-07-05 박태진 망관리 시스템의 무선 구간 계산 방법
KR20000041842A (ko) * 1998-12-23 2000-07-15 윤종용 교환시스템에서 통화 개시후의 다이얼을 포함하는단축다이얼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357A (ja) * 1988-12-26 1990-07-03 Hitachi Ltd 個人別電話番号方式
JPH0522446A (ja) * 1991-07-09 1993-01-29 Nec Commun Syst Ltd Pbx対向・代表群における短縮コード登録方式
JPH0698024A (ja) * 1992-09-10 1994-04-08 Nec Corp 第3者短縮ダイヤルリストによる呼接続方式
KR19980013936A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호 서비스방법
KR20000040544A (ko) * 1998-12-18 2000-07-05 박태진 망관리 시스템의 무선 구간 계산 방법
KR20000041842A (ko) * 1998-12-23 2000-07-15 윤종용 교환시스템에서 통화 개시후의 다이얼을 포함하는단축다이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06B1 (ko) * 2006-11-03 2008-01-0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062A (en) Intelligent terminal based selective call forwarding
JP3734498B2 (ja) 遠隔通信フォローミーサービス
FI116353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jotka liittyvät solukkoteleliikenteeseen
US6167042A (en) Communica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A2143181C (en) Method for use in completing telephone calls
US6278700B1 (en)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067356A (en) Method of routing emergency calls
JPH01279666A (ja) 電話交換装置を改良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7129730A (ja) 通信網装置および方法
CA2191155C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call pick-up capabilities
AU6694694A (en) Subscriber services arrange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pabx access
US6175620B1 (en) Compatibility between a telephone service with server and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service
EP12050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EP1051868B1 (en) Wireline telephony on a cellular switch
CA2246317C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with heterogeneous operation codings
KR20020044991A (ko) 중계선 그룹의 단축 다이얼링 시스템
JPH10285285A (ja) 収容交換機を変更したとき変更前の加入者電話番号を用いることを可能にした呼の接続方法
US64839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speed interface access to a computer network using a subscriber telephone line
US6862350B2 (en) Integrated access device resident mechanism for automatically routing call to specified number upon off hook signaling event
KR100779801B1 (ko) 간이 교환기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JP3427955B2 (ja) 収容交換機を移行/移転したときの同一番号を用いた呼の接続方法
KR100397341B1 (ko) 사설교환망의 가입자 직접 호출 및 정보 전송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KR100214648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클립 기능을 이용한 선택적 음성 메시지 녹음 및 송출 제어방법
KR20000046318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이동된 번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